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15세기 국어 용언 활용의 규칙성에 대한 검토 -소위 ‘ㅂ, ㅅ 불규칙 활용’과 ‘특수 어간 교체’를 중심으로

        고경재 국어국문학회 2023 국어국문학 Vol.0 No.204

        본고에서는 중세국어의 여러 가지 활용 양상 중 그동안 범범하게 ‘ㅂ, ㅅ 불규칙활용’으로 불러왔던 ‘ㅸ-ㅂ, ㅿ-ㅅ 교체’와, ‘특수 어간 교체’를 대상으로 교체의 규칙성을 판단해 보았다. ‘ㅸ-ㅂ, ㅿ-ㅅ 교체’와 관련해서는, 기존 논저들에서 교체의 양상이 ‘규칙적’이었음을 보인 바 있지만, 일부 논저에서 ‘語基論’이나 ‘공존 규칙’, ‘사전 표제어 제시’, ‘문법 교육’ 등을 근거로 교체의 양상을 ‘불규칙적’인 것으로 규정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들 문제를 검토하여 ‘語基論’, ‘공존 규칙’, ‘사전 표제어 제시’, ‘문법 교육’ 등을 근거로 ‘ㅸ-ㅂ, ㅿ-ㅅ 교체’를 불규칙적인 것으로 규정하기는 어렵다고 보았다. ‘특수 어간 교체’와 관련해서는, 그동안 음운론적인 측면이나 형태・의미론적인 측면에서 여러 가지 논의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특수 어간 교체’의 양상을 ‘규칙적’인 것으로 볼 수 있는지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해 보았다. 검토 결과, ‘특수 어간 교체’를 보이는 어간의 조건을 제약할 수 있다거나, ‘특수 어간 교체’를 보이는 어간들이 비슷한 활용 양상을 보인다고 하여, ‘특수 어간 교체’의 양상을 규칙적인 것으로 규정하기는 어렵다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공시적인 음운 규칙을 통해 교체 양상을 설명할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ㅸ-ㅂ, ㅿ-ㅅ 교체’는 ‘규칙적’인 것으로, ‘특수 어간 교체’는 ‘불규칙적’인 것으로 보았다. 본고의 논의가 향후 이들 교체의 규칙성을 판단하는 데 일정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In this paper, among the various aspects of the conjugation of medieval Korean verb, the regularity of alternation was judged for ‘ㅸ(β)-ㅂ(p), ㅿ(z)-ㅅ(s) alternation’ and ‘special stem alternation’. Regarding ‘ㅸ(β)-ㅂ(p), ㅿ(z)-ㅅ(s) alternation’, the aspect of alternation has been shown to be ‘regular’ in the existing papers, but in some papers, the aspect of alternation was defined as ‘irregular’ based on ‘Verbal Base Grammar’, ‘coexistence rule’, ‘presentation of dictionary entry’ and ‘grammar education’. In this paper, it was difficult to define the ‘ㅸ(β)-ㅂ(p), ㅿ(z)-ㅅ(s) alternation’ as ‘irregular’ based on ‘Verbal Base Grammar’, ‘coexistence rule’, ‘presentation of dictionary entry’ and ‘grammar education’. Regarding the ‘special stem alternation’, there have been various discussions in terms of phonology and morpho-semantics.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 aspect of ‘special stem alternation’ can be regarded as ‘regular’, and discussed that matter. As a result of the review,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aspect of ‘special stem alternation’ as regular. In this paper, based on whether it can be explained through synchronic phonological rules, ‘ㅸ(β)-ㅂ(p), ㅿ(z)-ㅅ(s) alternation’ was regarded as ‘regular’ and ‘special stem alternation’ was regarded as ‘irregular’. I hope that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will be of some help in determining the regularity of these alterna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서울로 7017의 이미지와 경관구조 특성의 분석

        고경재,서주환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5 No.1

        보행전용 고가도로의 경관특성 파악을 위해, 시각적 선호도 및 심리적 변수와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경관파악모델을 토대로 경관변화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통해 도시 내에서 보행전용 고가도로 조성 시 경관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인을 분석하여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자연요소가 대부분의 경관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자연요소를 포함한 경관이 주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석된 특이성·심미성·개방성·친숙성 등 4개 인자군 중 특이성이 선호 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어, 고가보행로라는 대상지의 특성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음 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경관요소의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고가 내 식재된 수목이 주대상으로 분석된 사진에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주대상이 건축물로 분석된 경우 선호도가 낮게 나타나 도심의 고가보행로에서 자연요소가 중요한 경관 요소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보행전용 고가도로 경관특성을 선호도, 경관이미지뿐만 아니라 경관요소의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경관파 악모델을 활용함으로써 조성 시 고려되어야 하는 경관 요소에 대한 기초 데이터로서 의미가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overpasses, visual preferenc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identifi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changes were analyzed based on landscape models to derive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ference was high when the natural elements occupied most of the landscape, indicating that the landscape, including the natural elements, was important. In addition, out of the four factor groups analyzed, specificity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preference, indicating that this result wa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priced walking route. In addition,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elements showed a high preference in photos of trees planted in elevated areas, but when trees planted in elevated areas were analyzed as buildings, the preference was low, indicating that natural elements were important in urban high-priced street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basic data on landscape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struction by utilizing landscape identification models that can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elements as well as landscape images.

      • KCI등재

        초급 한국어 교육 교재의 자모 관련 기술에 대한 고찰 - 자모의 제시 순서와 음가(발음)를 중심으로

        고경재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3 한국어문교육 Vol.44 No.-

        This paper reviewed the order in which Korean alphabets are presented and how their phonetic values are express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beginners, and suggested some alternatives. The effici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varies depending on the order in which Korean alphabets are presented, and the effect on the accuracy of Korean learners' speech varies depending on how Korean alphabets are presented and explained. So it can be important to review these contents. This paper proposes the Korean alphabets and their phonetic value be presented as follows. Initial consonants can be presented as follows: “ㅇ- → ㅁ[m], ㄴ[n] → ㄹ[ɾ] → ㅂ[p/b], ㅍ[pʰ], ㅃ[p*] → ㄷ[t/d], ㅌ[tʰ], ㄸ[t*] → ㄱ[k/g], ㅋ[kʰ], ㄲ[k*] → ㅅ[s], ㅆ[s*] → ㅎ[h] → ㅈ[tɕ/dʑ], ㅊ[tɕʰ], ㅉ[tɕ*]”. And vowels can be presented as follows: “ㅏ[ɑ] → ㅓ[ʌ] → ㅗ[o] → ㅜ[u] → ㅡ[ɯ] → ㅣ[i] → ㅐ/ㅔ[ɛ]”, “ㅑ[jɑ] → ㅕ[jʌ] → ㅛ[jo] → ㅠ[ju] → ㅒ/ㅖ[jɛ]”, “ㅘ[wɑ] → ㅝ[wʌ] → ㅟ[wi] → ㅚ/ㅙ/ㅞ[wɛ]”, “ㅢ[ɰi]”. 본고에서는 초급 한국어 교육 교재에서 자모를 어떤 순서로 제시하였는지, 그리고 자모의 음가를 어떻게 표기하였는지를 검토하고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자모를 어떤 순서로 제시하느냐에 따라 교수·학습의 효율성이 달라지고, 자모의 음가를 어떻게 제시하여 설명하느냐에 따라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바, 이들 내용을 검토해 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고에서는 자모를 다음과 같은 순서와 음가로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초성 자음자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ㅇ- → ㅁ[m], ㄴ[n] → ㄹ[ɾ] → ㅂ[p/b], ㅍ[pʰ], ㅃ[p*] → ㄷ[t/d], ㅌ[tʰ], ㄸ[t*] → ㄱ[k/g], ㅋ[kʰ], ㄲ[k*] → ㅅ[s], ㅆ[s*] → ㅎ[h] → ㅈ[tɕ/dʑ], ㅊ[tɕʰ], ㅉ[tɕ*]” 그리고 모음자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ㅏ[ɑ] → ㅓ[ʌ] → ㅗ[o] → ㅜ[u] → ㅡ[ɯ] → ㅣ[i] → ㅐ/ㅔ[ɛ]”, “ㅑ[jɑ] → ㅕ[jʌ] → ㅛ[jo] → ㅠ[ju] → ㅒ/ㅖ[jɛ]”, “ㅘ[wɑ] → ㅝ[wʌ] → ㅟ[wi] → ㅚ/ㅙ/ㅞ[wɛ]”, “ㅢ[ɰi]”.

      • KCI등재

        문법교육에서 국어 지식의 특성과 가치에 대한 고찰

        고경재 한국문법교육학회 2018 문법 교육 Vol.34 No.-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at various levels and explore the value of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In the meantime, we have tried to approach grammar in terms of the ‘use’, and as a result, grammar education has become justified on a higher leve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the status of grammar education is still shaky. This is illustrated by the recent debate on whether grammar (language and media) should be excluded from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r the need to convert grammar (language and media) into an elective course in high school subjects. Attempts to value knowledge itself were relatively small. Since grammar education is essentially a subject of knowledge, shouldn't efforts be made more aggressive in finding the value of knowledge itself as well as the use of knowledge for certain uses or purposes? In that sense, it would be meaningful to discuss knowledge in various ways and to find its value. And when this discussion comes together, I think it will raise the status of grammar education. I think that by admitting that there is knowledge that contributes to expressing and understanding, and that there is something that needs to be learned in itself, we can increase the need for grammar education. Therefore, this article conducts the work of reviewing the knowledge covered in grammar education in various aspects. First, Chapter 2 looks at how knowledge relates to other educational content in grammar education, and what the status of knowledge is in relation to it. Next, in Chapter 3, we think about the type and nature of knowledge in grammar education. Among the various knowledge, knowledge of the grammar system, in particular, is not considered to be helpful in learning the practical functions, which are discussed in Chapter 4. And finally, when we emphasize knowledge, we discuss what our relationship with learners will be like in Chapter 5. I think this will be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knowledge in a variety of ways through this article.

      • KCI등재

        『高麗史』의 몽골어 차용어 ‘詔羅赤(조라치)’에 대한 고찰

        고경재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2 한국어문교육 Vol.40 No.-

        This paper tried to figure out what the ‘jorachi’ in Koryeosa meant. To this end, the context in which ‘jorachi’ appears in Koryeosa was interpreted in Chapter 2, and based on this, three interpretations of ‘jorachi’(‘servant’, ‘kesig’, and ‘court musician’) were reviewed in Chapter 3. The review revealed that ‘jorachi’ in Koryeosa had a military function, and it was difficult to say ‘jorachi’ was used to mean ‘servant’ or ‘court musician’. This paper concluded that ‘jorachi’ corresponded to ‘ǰulači’, a kind of ‘kesig’. The study also explored to find out how ‘jorachi’ had come to mean ‘court musician’ in the Korean language, and concluded that this could be explained by the phonetic similarity between ‘jora’ and ‘chura’, or by an assumption that there could be a form in which ‘-chi’ is combined with ‘jura’, a Mongolian loanword. In either case, this paper differs in its opinion from that of Lee Ki-moon(1993) in that it argues tha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jorachi’ in Koryeosa was used to mean ‘court musician’.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issues related to ‘jorachi’ from various angles. 본고는 『高麗史』의 ‘詔羅赤’가 무엇이었는지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高麗史』에서 ‘詔羅赤’가 출현하는 문맥을 해석하였으며, 3장에서는 ‘詔羅赤’에 대한 세 가지 해석(‘下僕’, ‘怯薛’, ‘樂工’)을 검토해 보았다. 검토 결과, 『高麗史』의 ‘詔羅赤’는 일정한 군사적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詔羅赤’를 ‘下僕’이나 ‘樂工’의 의미로 파악하기는 어렵다고 보았다. 『高麗史』에서 ‘詔羅赤’의 출현 맥락과 고려 후기 兵制 개편 과정 등을 고려하여, 본고에서는 ‘詔羅赤’를 ‘怯薛’의 일종인 ǰulači에 대응하는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한편, 국어에서 ‘조라치’가 ‘악공’의 의미를 갖게 된 연유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이는 ‘詔羅/照羅’와 ‘吹螺’ 사이의 음성상의 유사성에 기인한 것으로 설명하거나, 몽골어 차용어 ‘쥬라’에 ‘-치’가 결합된 어형의 존재를 가정하여 설명해 볼 수 있었다. 어느 쪽이든 『高麗史』의 ‘詔羅赤’는 ‘악공’의 의미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본고는 李基文(1993)과는 견해를 달리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조라치’와 관련한 문제를 여러 각도에서 이해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한국어 담화표지에 대한 고찰 -담화표지의 정체 및 형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고경재 한국어학회 2019 한국어학 Vol.83 No.-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roblem of the identity of discourse markers and the formation of discourse markers. As for the identity of discourse markers, I defined discourse markers as elements that perform textual functions and interactive functions on the pragmatic layer, and are elements that do not affect the semantic meaning to be conveyed by the speaker. I considered discourse markers and exclamation·conjunction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formation of the discourse markers,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pragmatic meaning is divided into two. In other words, grammatical morphemes may be formed even if they acquire pragmatic meanings, or discourse markers may be form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discourse markers work on the pragmatic layer without affecting the meaning of the sentence, this paper distinguishes the discourse markers from the other elements that experienced the grammaticalization, and I proposed to explain the phenomenon as pragmaticization.

      • KCI등재

        韓國 梗攝 漢字音의 反映 樣相에 대한 批判的 考察: 二等韻 庚韻과 耕韻을 중심으로

        고경재 한국어학회 2020 한국어학 Vol.8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aspects of Sino-Korean in Geng group[梗攝] second rhyme[二等韻]. For this purpose, the problem is raised in Chapter 2 by presenting the aspect of Sino-Korean in Geng group[梗攝] second rhyme[二等韻]. In chapter 3, I discuss the reflection of / from the perspective of Ending[韻尾] and Main Vowel[主要母音].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regarded the Sino-Korean / as reflecting the sound of Late Middle Chinese. In chpater 4, I discussed the Sino-Korean /역. Here, I looked at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to set the medial in Middle Chinese second rhyme, and whether the reflection of /역 can be explained by palatalization in Old Mandarin.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paper considered that /역 reflects the sound of Early Middle Chinese, a period similar to that of Japanese Go’on[吳音] 본고는 梗攝 二等韻의 한국 한자음 반영 양상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 梗攝 二等韻의 한자음 반영 양상을 제시하면서 문제를 제기한다. 그리고 3장에서는 ‘ / ’의 반영을 韻尾와 主要母音의 관점에서 논의해 본다. 즉, 梗攝 二等韻 /aɲ~ɐɲ/이 왜 ‘ / ’으로 반영되는지, 그리고 주요모음이 /a/ 계열임에도 /ㅏ/로 반영되지 않고 /ㆍ/로 반영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고찰해 본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는 한국 한자음의 ‘ / ’이 中古漢語 後期의 音을 반영한 것으로 보았다. 다음으로 4장에서는 ‘ / 역’의 반영을 고찰해 보았다. 여기서는 中古漢語 二等韻에 介音을 설정해야 하는지, 그리고 ‘ / 역’의 반영을 近代漢語에서의 口蓋音化로 설명할 수 있는지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는 ‘ / 역’이 일본 吳音과 비슷한 시기의, 中古漢語 初期의 音을 반영하고 있다고 보았다.

      • KCI등재

        ‘茶’ 字의 한자음 /다/와 /차/의 형성에 대한 고찰

        고경재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0 한국어문교육 Vol.30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formation of Sino-Korean /ta/ and /cha/ of ‘茶’.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forming process of the Sino-Korean of ‘茶’ should be handled more precisely, because some of the existing discussions are not accurate in their phonetic descriptions, or they are not consistent with the forming process of the letter ‘茶’, nor with the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related to the inflow of tea. Thus, in Chapter 2, we discussed the formation of ‘茶’ and the propagation process of the tea. Book of Tea(茶經) and other literatures reveal that letter ‘茶’ was formed between the 7th and 8th centuries and that before that period, the letter ‘荼’ was used most widely. Also, according to the discussions by the academic community of tea, it wa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hen Korea started to import tea from China. Based on these facts, in Chapter 3, we discussed the Sino-Korean of ‘茶’. Before the formation of letter ‘茶’, the most widely used Chinese character for tea in China was ‘荼’, so it was the sound of ‘荼’ that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And then the letter ‘茶’ was formed, and the sound of ‘茶’ was introduced. The letter ‘荼’ changed to ‘茶’, but their sound was the same as /ta 다/. Later, during the Old Mandarin period, /tʂha/ was introduced in Korea. 본고는 ‘茶’ 字의 한자음 /다/와 /차/의 형성 과정을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茶’ 字의 형성과 같은 문자론적인 배경이나 ‘차’의 유입과 관련된 문화사적인 배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茶’ 字의 한어음(漢語音)을 재구하고, 그것을 한국의 /다/ 혹은 /차/ 音과 비교하는 설명 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으로는 ‘茶’ 字의 음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기 어렵다. 본고의 2장에서는 ‘茶’ 字가 언제 형성되었는지, 그리고 차를 중국으로부터 언제 수입하였는지의 문제를 다루었다. 『茶經』 등의 문헌을 통해 ‘茶’ 字는 7~8세기에 형성되었음을 보였으며, 그 이전에는 ‘荼’ 字가 가장 널리 사용되었음을 보였다. 또한, 차 학계의 논의에 따라 한국이 삼국시대부터 중국에서 차를 수입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 ‘茶’ 字의 한자음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기존 논의에서 설명이 미흡했던 것들을 지적하였으며, 특히 ‘茶’ 字가 형성되기 이전에 차를 수입하여 음용하였다는 점에 주목해 보았다. ‘茶’ 字가 형성되기 이전에 중국에서 차를 가리키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된 한자는 ‘荼’ 字였으므로, ‘荼’ 字의 음이 먼저 /다/로 유입되었으며, 다음에 ‘茶’ 字가 형성되어 그 음이 /다/로 유입되었다고 보았다. 즉, 어느 시기에나 音은 /다/로 동일하지만 문자가 ‘荼’ 字에서 ‘茶’ 字로 바뀌었다고 보았다. 이후 近代漢語 시기에 /tʂha/가 /차/로 유입되어 ‘茶’ 字의 訓이 되었다.

      • KCI등재

        반치음 ‘ㅿ’ 음가 [j] 가설에 대한 검토: 주로 한자음의 관점에서

        고경재 국어사학회 2022 국어사연구 Vol.- No.34

        In this paper, I reviewed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view the sound value of ‘ㅿ’ as [j]. Since the ‘ㅿ’ [j] hypothesis has been proposed by Sino-Korean researchers, and the argument is largely related to Sino-Korean, this paper focused on Sino-Korean and examined the [j] hypothesis. To examine the [j] hypothesis, I looked a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j] hypothesis and its rationale in Chapter 2. Based on this, in Chapter 3, I reviewed the sound value and acceptance problem of Chinese 日母(Ilmo), and the explanation of ‘ㅿ’ in the Middle․Modern Korean literature, and concluded the sound value of ‘ㅿ’ was [z], and ‘ㅿ’ disappeared as [z] > ø. Until now, a full review of the hypothesis that the sound value of 'ㅿ' was [j] has not been conducted in the context of Sino-Korea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can be found from this. 본고에서는 ‘ㅿ’의 음가를 [j]로 보는 입장이 타당한지 검토해 보았다. ‘ㅿ’ [j] 가설은 한자음 연구자들에 의해 제기되어 왔고, 그 논거도 대체로 한자음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도 한자음을 중심에 두고 [j] 가설을 검토해 보았다. [j] 가설을 검토하기 위해, 먼저 2장에서 [j] 가설이 수립되는 과정과 그 논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3장에서 漢語 日母의 음가와 수용의 문제, 中世 및 近代 漢字音 유관 문헌들에서의 ‘ㅿ’에 대한 설명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漢字音 표기에 나타나는 ‘ㅿ’이 [z]의 음가를 표기하였으며 ‘ㅿ’이 소멸하는 경우에도 [z] > ø와 같이 소멸하였다고 결론하였다. 지금까지 한자음 논의의 맥락에서 ‘ㅿ’ [j] 가설에 대한 전면적인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던 상황인바, 이로부터 본고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