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완암(浣巖) 정내교(鄭來僑) 묘문(墓文)의 특성(特性) 고찰(考察) -<금택보묘지명(金澤甫墓誌銘)>과 <제처유인변씨묘지(弟妻孺人邊氏墓誌)>를 중심으로-

        강혜정 ( Kang Hye-jung ) 한민족어문학회 2016 韓民族語文學 Vol.0 No.74

        본고는 浣巖 鄭來僑의 <金澤甫墓誌銘>과 <弟妻孺人邊氏墓誌>를 대상으로 그의 글이 기존의 묘문과 비교했을 때, 개성이 발휘된 측면이 무엇인지, 또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묘문으로서의 상투적 성격을 보여주는 부분은 무엇인지 밝히고, 그 원인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 다루는 두 묘지는 중인 정내교가 그의 친구와 가족을 대상으로 쓴 것인데, 이 묘주들은 사회 경제적 처지가 정내교 자신과 비슷한 여항인들이었다. 사대부의 전유물이었던 묘문이 중인 작가의 손에서 중인 묘주들을 위해 기술되면서 기존의 묘문과는 변별되는 지점이 만들어질 수 있었던 것이다. 두 묘문은 모두 서문과 의론부를 갖추고 있는데, 서문에서 완암의 독특한 글쓰기 방법이 드러났다. <金澤甫墓誌銘>은 서두에서 망자를 함부로 무력을 행사하던 부정적인 인물로 묘사했는데 이는 `稱美而不稱惡`이라는 묘지의 서술원리에 위배되는 것이다. 하지만 후반부에 깨달음을 얻은 이후 크게 변화된 모습을 서술하여 결국에는 망자의 인품과 행적을 더욱 높이는 효과를 주었다. 이는 먼저 굽혔다가 후에 높이는 `俯仰折旋`의 기법을 사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으로 칭송 일변도이던 기존의 묘문과 차이를 보이면서, 진실성을 획득하고, 실감 있는 인물로 형상화되며 망자를 기리는 묘문으로서의 효과는 극대화시킬 수 있었다. <弟妻孺人邊氏墓誌>는 삶의 행적을 기록한다는 묘문의 본래적 성격과 달리 묘주의 삶의 행적은 외면하고 임종의 장면만을 생생하게 기록하였다. 긴장감이 감도는 임종의 장면에서 직접인용을 통해 진실성과 객관성을 확보하며 망자의 성품을 구체화시키고 있는데 이는 簡詳法을 극단적으로 적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서문에서 완암의 개성적인 글쓰기로 형상화된 인물은 의론부에서 문인과 열녀로 평가받고 있다. 삶의 행적을 기록하는 서문에서는 개성 있는 글쓰기 기법으로 형상화되었지만, 의론부의 인물평은 유교적 가치관을 최우선으로 하는 사회에서 당대의 가치 규범을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사대부와는 다른 사회적, 경제적 배경을 가졌지만, 그 지향가치는 사대부와 다르지 않았던 중인이라는 작가의 신분적 특성에서 기인한 것이며, 당대 서울을 중심으로 유행하였던 소품체라는 새로운 글쓰기 방식의 영향과 묘문이라는 장르가 가진 보수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both the unique and the conventional aspects of the epitaphs written by Jung Naegyo(鄭來僑), as compared to the typical epitaphs of the period. At the start of < The Epitaph of Kim Taebo >, Kim is described as an undesirable person and a bully, and this passage violates the unstated premise of epitaph writing that the author should always write positive things about the deceased. However, later in life, Kim became a great man after he changed his perspective, which Jung recounts. This epitaph is illustrative of his style, as he liked to use the technique of initially blackening his subject`s reputation and praising him or her later. This tactic allows readers to recognize Kim`s remarkable abilities and to gain an authentic sense of him. Jung`s epitaphs are distinguished from many other eputaphs through the use of this technique. < The Epitaph of Mrs. Byun, Sister-in-Law > subverts another convention, as it omits the story of Byun`s life and details only the events surrounding the eve of her death instead. While it runs counter to the convention of epitaph writing that the auther should relate the arc of the deceased`s life, it describes how Mrs. Byun was undaunted by the fear of death, and how her fortitude complemented her benevolence as a mother and wife. In the end, Kim and Byun are evaluated as a great writer and a virtuous woman, respectively. The first halves of both epitaphs are replete with unique techniques, but their subjects are ultimately praised as honorable people, as was the case with the subjects of other epitaphs. I believe the dual aspects of these epitaphs, the unique and the conventional, are related to the dynamic between Jung Naegyo`s iconoclastic temperament and his middle class status. Since he was relatively free from the strictures of custom, he could display his indivual writerly style. However, as he lived in Confucian society, he also looked forward to becoming a respected member of that society.

      • BIM과 GIS 연계를 위한 실내 세밀도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실내 시설물 관리 중심으로

        강혜정,황정래,홍창희,Kang, Hye Young,Hwang, Jung Rae,Hong, Chang Hee 한국공간정보학회 2013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5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interests in indoor space, various researches are being carried out for the construction and service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BIM data is very useful to build indoor spatial information. Accordingly, many studies for the use of BIM data on GIS part are in progres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BIM data on GIS part, the conversion technology for building indoor data and visualization techniques are required.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are focused on the conversion technology to construc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importing BIM data into GIS applications while there is few research on visualization. In this study, an indoor LOD(Level of Detail) model is proposed to apply to on indoor facility management system when indoor data was constructed based on BIM data for the linkage between BIM and GIS. 최근 국내외적으로 실내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공간정보 구축 및 서비스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내공간 정보를 구축함에 있어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자료는 매우 유용하다. 이에, BIM 자료를 GIS에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BIM 자료를 GIS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실내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변환기술과 자료 가시화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 연구들이 대부분 실내공간 정보 구축을 위한 변환에 집중되어 있으며, BIM을 기반으로 구축된 공간정보들의 가시화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과 GIS 연계를 위하여 BIM 자료기반으로 실내 공간 자료를 구축했을 때, 실내 시설물 관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실내공간 세밀도(LOD:Level of Detail) 모델을 제시하였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신자료(新資料), 존경각(尊經閣) 소장(所藏) 30장본(張本) 『청구영언(靑丘詠言)』의 편찬년대(編纂年代)와 편찬자(編纂者) 고찰(考察)

        강혜정 ( Kang Hye-jung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57 No.-

        본고는 존경각에 소장되어 있는 신자료, 30장본 『靑丘詠言』을 학계에 소개하고, 이 가집의 편찬연대와 편찬자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가집은 서발문이나 음악에 대한 정보 없이 325수의 작품을 악곡별로 수록하고 있는데, 초중대엽(2), 이중대엽(2), 삼중대(2), 북전(2), 초삭대엽(2), 이삭대엽(164), 삼삭대엽낙희만횡청 신구병초(151)의 7개 항목으로 나누어 배치하고 있다. 이 가집에는 본문이 시작되기전에 “乾隆 三十一年 丙戌 四月 初七日”이라는 간기가 있다. 건륭 31년은 1766년이며 그 해는 丙戌년이었다. 이 기록을 가집의 필사연대로 단정 짓기에 앞서 본 가집에 수록된 작품들의 특성을 살펴보니 중대엽, 북전, 초삭대엽에 놓인 작품들은 모두 18세기에 편찬된 가집이나 금보에서 불리던 것들이다. 따라서 이 가집이 18세기 가집으로서의 특성을 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이삭대엽의 작품 배열에 있어 규칙성을 찾기 어려웠는데 이는 많은 18세기 가집들이 작가별, 시대 순 배열을 취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이질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1761년에 편찬된 임한장의 『解我愁』 역시 삭대엽의 351수를 작가, 시대와 무관하게 배치하였다. 또한 18세기 가집으로 알려진 『歌曲』단국대본과 『永言類抄』역시 시대 순으로 배열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청존』의 이삭대엽 작품배열 방식은 『청진』을 위시한 대부분의 18세기 가집들과는 매우 다른 것 이지만, 이러한 작품 배열 방식 역시 18세기 가집 편찬의 한 경향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청존』을 가집의 간기대로 1766년에 편찬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가집 말미에 `新舊竝抄`라는 항목을 설정하고 이유, 이정보, 김태석, 김수장의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이유를 제외한 세 사람의 작품을 `新`에 해당하는, 즉 당대인의 노래를 따로 모은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김태석의 작품 사이에 존재하는 다수의 신출작은 김태석의 작품으로 간주하였다. 그리고 타 가집과 달리 김태석의 신출작을 이렇게 많이 수록했다는 점에서 볼 때, 이 가집의 편찬자는 김태석이거나 그와 매우 가까웠던 인물로 추정하였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newly discovered thirty-sheet Shijo anthology(歌集), Cheonggooyoungan(『靑丘詠言』), owned by and housed in the Jongyeonggak Library(尊經閣) in Sungkyunkwan University. It further investigates the publication date and compiler of this collection. This anthology has no preface or epilogue but has the imprint `1766(乾隆三十一年 丙戌 四月 初七)`, and all the Shijo(時調) in this anthology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18th century. This evidence therefore suggests that the thirty-sheet Cheonggooyoungan was compiled in 1766. The most notable feature of this anthology is that the Shijo in Isakdaeyeop(二數大葉) tune are arranged irregularly. Most 18<sup>th</sup>-century anthologies classified Shijo according to their musical tune first, and then arranged them chronologically based on the social class of the writers. As a result, the thirty-sheet Cheonggooyoungan may at first glance seems to differ from other anthologies. However, several exiting antho- logies do show evidence of irregularly arranged Shijo, including Haeasoo(『解我愁』), Gagok(『歌曲』 owned by and housed in Dankook University), Younganyucho(『永言類抄』). Therefore, it must be accepted that there was a different trend in the arrangement of Shijo in the 18th century. In addition, the end of the thirty-sheet Cheonggooyoungan contains several Shijo by Kim Taeseok(金兌錫). Due to the tendency for compilers to put their works at the end of their anthologies, it is reasonable to infer that Kim or someone close to him would have compiled the thirty-sheet Cheonggooyounga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연근무제의 성공적인 정착요건으로서의 듀얼아젠다

        강혜정(Hye jung Kang),강혜선(Hye sun Kang),구자숙(Ja sook Koo),김효선(Hyo sun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4 인사조직연구 Vol.22 No.3

        최근 조직 구성원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사회적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많은 조직이 일ㆍ삶 양립 제도들을 도입해오고 있으나, 제도 도입 비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제 활용률은 매우 열악하며 제도를 통해 체감하는 유익도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일ㆍ삶 양립제도가 인적자원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집중되어 있으며, 제도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심층적 논의를 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해 일ㆍ삶 양립지원 관행의 성공적 정착과 관련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제도도입의 성공을 위해서는 제도에 대한 개념적 인식과 변화추진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는 입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일ㆍ삶 양립 제도가 조직에 잘 정착하고, 궁극적으로 경쟁우위를 제공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이를 듀얼 아젠다적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하며, 변화추진 과정에 있어 연구자와 조직 구성원의 상호 협조 및 참여가 수반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를 명확하게 드러내기 위해 본 연구는 대표적 일ㆍ삶 양립 제도인 유연근무제도를 도입하고자 한 국내 두 기관의 변화추진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두 기관은 모두 적극적인 의사를 가지고 유연근무제도를 도입하고자 하였으며, 변화추진의 방법으로 상호협조적 실천연구(CIAR)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한 기관에서는 실제 변화 과정에서 CIAR의 주요 특징들이 잘 발현되지 않았고, 이는 제도의 성공적 정착을 저해했다. 본 연구는 이와 관련한 구체적 사항들을 논의함으로써 국내 상황에서의 일ㆍ삶 양립 제도의 성공적 정착 요건을 드러내 향후 연구에 기여하고, 실무자를 위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Flexible working arrangements (FWA) are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kplace practices in improving work-life balance for employees. They are also viewed as a good way of enhancing workplace effectiveness by promoting innovative work practices. These perspectives have led to a great surge in the introduction of flexible working arrangement across profit and non-profit organizations. However, despite the increase in FWA, these arrangements have not been utilized as expected by policy makers. This lack of utilization can be largely attributed to the fact that organizational decision makers consider FWA primarily as an employee benefit program rather than as a strategic opportunity to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more effectively and innovatively. A dual agenda approach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pursuing both the goals of employee work-life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workplace effectiveness in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FWA. If organizational decision-makers consider FWA only as an employee benefit program, without considering implications for productivity, they may not actively support the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FWA practices. On the contrary, if an organization promotes FWA main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roductivity, employees may not have ownership over the program success. Although a dual agenda approach is intuitive at a conceptual level, it requires learning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Such an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is often achieved by action research in which researchers and organizational members actively collaborate to find solutions that are tailored specifically to their organizations. This study compares the cases of the K Organization and C Organization, where members worked side by side with a researcher to introduce and implement FWA. Specifically, the study compared the initial motivation for FWA,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change efforts to introduce and implement them, and the result of these organizational change efforts. Although the two organizations had similar motivations for introducing FWA, their processes showed stark differences. The K Organization attempted an across-theboard introduction of FWA policy, while the C Organization took a team-based tailored approach. The difference in processes resulted in different utilization patterns of FWA. FWA were not utilized actively in the K Organization, but was implemented actively among departments in the C Organization.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successful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by comparing these two cases. The critical requisites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FW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lexibility should be connected to effective and productive work practices, that represent as dual agenda approach. Organizational culture changes only when the new work practices and policies benefit both the employees and the organization. In many organizations, FWA are considered as as benefits that improve the work-life balance of the employees. This approach is limiting in the sense that it discourages active uses of the policies and fails to bring about any fundamental changes inof organizational culture. If both flexibility and effectiveness are satisfi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FWA, they can be used as a strategic tool in the management of the organization. Second, a team-based tailored approach is more effective than the across-the-board introduction of new policies. For the organization-wide introduction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to be successful, far-reaching organizational reform would need to support the change. In other words, the changes in vision, HR policies, IT,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ulture would have to be aligned with the introduction of FWA, which is not feasible in reality. However, the team-based tailored approach considers team-specific and contextual nature of works, and addresses both the needs of the employees and the o

      • KCI등재

        유자차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지불의사액 추정

        강혜정 ( Hye Jung Kang ),최지현 ( Ji Hyun Choi ),이기웅 ( Ki Woong Lee ) 한국식품유통학회 2015 食品流通硏究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conomic value of the new products of citrus tea evaluated by Korean consumers,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his study estimates the prices of new products of citrus tea which consumers are willing to pay depending on the attributes of new product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rices which consumers are willing to pay for new products might be within the price ranges of similar products currently on the market.

      • KCI등재

        영역(英譯) 한국고전시선집(韓國古典詩選集) 『The Orchid Door 난규(蘭閨)』의 특성 고찰

        강혜정 ( Hye Jung Kang ) 한국시가학회 2016 韓國 詩歌硏究 Vol.40 No.-

        본고는 1935년 일본에서 간행된, Joan S. Grigsby(그릭스비)의 The Orchid Door(『蘭閨』)를 소개하고 이 번역서의 의의와 한계를 통해 20세기 초 서구사회에 소개된 영역한국고전시선집의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이 번역서의 서지사항 및 출간 배경을 밝히고, 서문에 드러난 편찬 취지와 한국 시문학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후, 그릭스비의 번역관을 소개하고 이러한 번역관에 수반된 번역의 의의와 한계를 논하였다. 그릭스비의 번역은 오늘날 서구사회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시로 통용되고 있지만,정작 국문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蘭閨』는 1935년 일본에서 출간되었으며, ‘Ancient Korean Poems 한국고전시’라는 부제를 달고 < 공무도하가 >부터 조선후기 문인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고전시 73편을 번역 수록하고 있다. 당시 번역자로서 그녀는 한국어나 한국 고전에 대한 이해는 부족했지만, 게일의 『한국민족사』를 비롯한 영문판 한국학 자료가 상당한 정도로 축적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1929년 한국을 처음 방문했던 그릭스비는 외부에 알려진 것과 전혀다른 한국의 현실을 목도하고 한국이 장구한 역사를 가진 문화민족이라는 것을 세상에 알리고자 한국 고전시를 번역하였다. 그녀는 한국이 중국, 일본과 구별되는 정체성을 갖고 독특한 문화를 이룩해 왔지만, 서구화가 진행되면서 과거와 단절되었다고 인식하고, 기품있는 인물들이 이루어낸 과거의 아름다움이 사라져가는 것을 안타까워하면서 이를 서구 사회에 알리기 위해 본서를 편찬한다고 하였다. 그릭스비는 작품을 직역하면 서양의 독자들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키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유려한 영시로 읽힐 수 있도록 그 형식과 내용에 많은 변화를 주었다. 이러한 번역관은 20세기 초 그 존재조차 거의 알려진 바 없었던 한국의 시를 소개하기 위해 그녀가 취했던 방식이었고, 이로 인해 『난규』는 오늘날의 독자들에게까지도 아름다운 시로 읽히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서구인의 취향에 맞도록 변형되었기에 『蘭閨』의 번역시는 한국시가 가진 미감을 구현하지 못하였고, 부기된 기록이 없이는 그 원전조차 확인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This paper focuses on introduc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chid Door: Ancient Korean Poems which was collected and translated into English verse by Joan S. Grigsby, and was published in 1935, Japan. Although The Orchid Door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s of the Korean classical poetry in the Western Society, it has not even been introduced in the academic world in Korea. Therefore in this paper, I clarified the bibliography of it and the purpose of publica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is anthology. This book contains 73 pieces of classical Korean poems from Ancient Joseon Dynasty (BC 3C) to the late Joseon Dynasty (19C). There were lots of writings about Korean history and literature written by Western missionaries such as James S. Gale, so Joan S. Grigsby could translate Korean classical poetry into English even though Joan S. Grigsby couldn’t understand Korean language nor Korean classical poetry. Especially she was inspired deeply when she read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by Gale. In 1929, Grigsby visited Korea for the first time reluctantly. However after she realized that Korea has a long history of over 5000 years and glorious civilization, she decided to translate Korean classical verses. She intended to present this anthology to the west the beauty of the little known corner of the orient. It is significant that her anthology has stimulated the interest of the western reader about Korean classical poetry. However, we can``t find the original texts without her additional record because she transformed Korean poems into English verses which don``t have characteristics as the Korean poems any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