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극동지구 연방주체들의 입법권력기관 : 위상 및 구조

        康惠蓮(Kang Hea-Ryo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5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regional legislative bodies in the Russian Far East on the basis of their structures and political status. In this study, a special attention has been paid to dynamics of institutional changes of legislatures to meet the political challenges that arose in line with the changes in federal relations. Despite the changes in political status in general, the findings suggest that structural features of regional legislatures such as formality of general congress meetings, expanded roles of committees and commission, concentration of power in the hand of chair person seem to remain untouched. However, some progresses are also observed: division of powers between legislative and executive bodies; increasing degree of professionalized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In particular, legislatures in the Russian Far East tended to show wide range of political spectrums in the process of reform during the last decade. For instance, disparities are obvious between those in Kamchatka oblast and Khabarovsk krai. This study suggests that it may takes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before democratic or decentralized legislative reforms are to be completed in the Russian Far East.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체제의 포스트공산주의로부터의 탈피: 동유럽

        강혜련 ( Hea Ryon Kang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2 유럽사회문화 Vol.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political systems and transitions in Eastern Europe, where changes beyond the post-communist transition prevail. This study finds following features of transition from ``post-communism``. First, some states that made a progress in the level of democracy and election process experience authoritarian reaction. In those countries where a moderate rightist regime has developed after the populist phase, populist activism appears to be a part of political process. Second, the establishment of semi-authoritarian regime in the late 1990s constitutes a general feature in the former communist countries. A relatively peaceful transition invites political groups of wide political spectrum to the political arena, and these groups competed for the leading role in the process of political transition. Political groups that have successfully gained political supports of general public replaced politically weak groups, claiming a leading role in the new system. Third, international political pressure and intervention played a major role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In Serbia and Albania, international intervention triggered a war which resulted in a fundamental changes in domestic politics. The need of integration into Europe constituted a background of international intervention although its prime purpose was declared to be an eradication of authoritarian regime.

      • KCI등재후보

        폴란드의 포퓰리즘 정치: 민족주의적 수사학의 대중적 동원력과 그 한계

        강혜련 ( Hea Ryon Kang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소 2011 통일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전환과정에서 포퓰리즘이라는 한 국면을 넘고있는 동유럽 상황을 폴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2005년 선거에서 포퓰리즘 세력의 승리를 정점으로, 이어지는 2년의 기간은 폴란드 정치의 포퓰리즘 국면으로 규정지을 수 있다. 포퓰리즘 국면은 포퓰리즘 정당과 운동의 등장을 주요한 계기로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그들이 주는 타격을 기존 정치권이 수용하지 못하고 대중적인 반정치의 정서에 의거한 세력이 정치의 중심으로 부상하면서 조성되었다. 폴란드의 경우 포스트공산주의적인 좌파세력이 2000년대 들어 일정부분 퇴조하면서 전체적으로 우파성향의 세력들이 중심으로 위치지어지게 되었고, 포퓰리즘과 민족주의의 결합, 그리고 비자유주의적 민주주의 노선의 강화 등이 정치의 전반적 주류로 들어서게 되었다. 포퓰리즘 세력만이 아니라 거의 모든 정치세력들에게 이 부분은 찬과 반의 입장에서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다.포퓰리즘 세력은 그 원천에서 급진적, 우파적이며 마찬가지로 민족주의적 색채를 띠고 있다. 폴란드의 경우 반부패, 반기득권, 법제주의와 절차적 민주주의에 대한 반론, 소수자에 대한 무시, 대외관계에서 민족적, 국가적 이익의 강조 등을 중심적으로 내세운다. 결국 포퓰리즘 세력은 제도적 장치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국민적 의사를 대변하겠다는 의지에도 불구하고 그 실현에 실패하며 시민강령당을 중심으로 한 자유주의적 중도우파 세력에 정부의 구성을 넘겨주게 되었다. 시민강령당은 정당 자체의 발전과정에서 초기에는 일부 포퓰리즘적 성향도 보였으나 경제사회정책을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정책실행에서 신중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극단적이기 보다는 온건한 정치세력이 정권을 장악하게 되면서 급격한 변동의 와중에 있던 폴란드의 정치는 일정정도 안정적으로 돌아서게 되었다. In this study, the author is investigating one phase of Eastern European transformation, that of the populist,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case of Poland. The two-year period beginning from the 2005 election, in which populist forces won and were at the peak of their popularity, can be defined as the populist phase of Polish politics. While the populist phase was triggered by emerging populist parties and movements, as a whole it was actually created since their blow was not acceptable in the established political structure and, therefore, the forces entered politics, based on popular feelings of anti-politics. In the case of Poland, the post-communist left-wing declined in the 2000s, and following that, the right-wing grasped the core of politics. As a result, the phenomena of the combination of populism and nationalism, and the strengthening of illiberal democracy, became visible in mainstream politics. Almost all political forces, not just the populist forces, underwent this influence respectively in positive or negative terms. Current populism is tinged with radical, right-wing ideologies at its core, as well as nationalist sentiments. Populism in Poland is characterized by the banner of being anti-corruption and anti-establishment; challenges constitutionalism and procedural democracy; disregards the minority; and emphasizes ethnic, national interests in foreign relations. In spite of its willingness to represent directly the interests of the people rather than through institutional arrangements, its realization failed; as a result, the formation of the government began to hand itself over to liberal and moderate center-right forces around the Civic Platform. In the development of the party itself, the Civic Platform initially showed a populist orientation in some degree, but in general, it is evaluated as being cautious in the implementation of policy, including economic and social policy. According to the seizure of political power by moderate rather than extreme political forces, Polish politics caught up in radical changes may become more or less stable.

      • KCI우수등재

        러시아 노동조합운동의 재편

        강혜련(Kang Hea-Ryon) 한국정치학회 2000 한국정치학회보 Vol.33 No.4

        이 연구는 러시아 노동조합이 개혁과정에서 주요세력으로 역할하는 못하는 요인과 상황을 주로 조직적 차원에서 고찰했다. 전국독립노동조합연합은 상황적 요구에 대응한 변신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조직내부적으로 대의제적 기능의 미비, 관료들의 비현장성과 같은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노동조합의 거대기업화를 의도하는 재정프로젝트, 지도부의 정치권 진입을 목적으로 하는 정치세력화정책은 노동조합이 관료들의 이익집단화하는 현상을 보여준다. 구노동조합과의 차별화를 전략으로 하는 새로운 노동조합들도 독자적 세력으로 확립되지 못하고 조직능력, 대중성, 운동전략과 방법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노동 조합운동의 다원화가 일단 시작되었다는 점, 과도적이긴 하지만 전국독립노동조합연합 내부에서 대의제적 측면을 강화하기 위한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는 하위단위들의 변화가 본격화되기 시작했다는 점은 변화의 조짐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중간조직의 붕괴현상과 작업장단위조직들의 이탈 및 변화경향에서 드러나는 바는 러시아 노동조합운동의 발전이 조직건설이 아닌, 조직분리 및 해체의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후보

        러시아 블라디보스톡 광역권의 산업재구조화 전략

        강혜련(Hea-Ryon Kang)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0 연세경영연구 Vol.47 No.2

        블라디보스톡 광역경제권으로 포괄되는 극동지역은, 러시아연방 내에서도 영토규모가 광대한 데 비해 경제규모가 가장 작다. 발전전략의 핵심은 인구 및 도시형성 과정에서 제기되는, 지역의 가장 기초적인 기반의 재편에 관한 문제, 지역의 자연적, 지리적, 정치군사적 조건을 고려하여 산업구조적으로 갖고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확장발전시키는 문제, 더 나아가 동북아의 중요한 경제주체의 하나로 지역을 발전시키는 문제를 중심으로 한다. 이를 위한 투자우선 순위의 결정, 연방중앙과 지역의 원활한 관계정립, 지역현실에 맞는 정책의 형성과 집행력의 확보 등이 과제로 제기될 수 있다. 지역 자체가 새로운 환경에 맞게 재형성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지역안팎의 요소들이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따라 이후 지역발전의 과정이 국내외에 미치는 파장이 달라질 것이다. The Greater Vladivostok Region, including Russian Far East, features with a wide territory with the smallest economy among the Russian regions. It has developed a development strategy that comprised of three main issues: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the realization of economic potentials in connection with natural, geographical, political and military conditions and needs; establishment of region’s status as one main agent of international economic activity. The success of the development strategy appears to be heavily depending on the solution of impending problems such as the readjustment of investment priorities, coordination between the centre and region, and the proper acting programmes that meets the local demands and needs. An extensive restructuring is forecas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rategy. Interactions of various factors that involved with the regional development affect not only the socio-economic outcome of the strategy, and which also have strong impact on not only Russian but Asia and Pacific economies.

      • KCI등재

        러시아지방의 지배세력의 재형성과 변화

        강혜련(Hea-Ryon Kang) 21세기정치학회 2008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8 No.2

        Regional ruling groups in this context consist of personnels or groups of personnels who are working for the state organs and official institutions, in which governors and heads of the regional legislatures constitutes the top of the hierarchy. Regional ruling groups are diversified after the reform in the early 1990s when a part of for soviet elites who survived the reform were joined by new elite groups of various origins. Diversification of regional elites in the 1990 can be traced with a couple of referent factors: elite's attitude towards reform, relationship with political elites of the federal level, and adaptation to the changing surroundings such as economic success and so on. In the late 1990s, there emerged a new generation of regional political elite groups particularly in the 'large' federal subjects. In particular, an increasing proportion of elites from professional sectors, who resembles technocrats during the Soviet period, were recruited into regional elites groups to which added Siloviki groups of military and science sectors. Regional elections have critical impact in the changes of regional ruling groups.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legitimacy gained by the elections constitutes the very the basis of regional political power. In addition, political shifts in the center also have strong influence upon the elite changes in the regions. The federal government's incessant attempts to gain control over the regions appear to bear fruits in the Putin's regime. Putin's regional policy has been supported by political and material capabilities, which resulted in the restructuring of regional ruling elites.

      • KCI등재

        일반논문 : 동북아 연해거점도시의 광역권 발전전략과 거버넌스 : 다롄, 후쿠오카, 블라디보스토크 광역권의 특성 비교

        박재욱 ( Jae Wook Park ),정해용 ( Hae Yong Jeong ),강혜련 ( Hea Ryon Ka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1 地方行政硏究 Vol.25 No.4

        동북아지역의 연해거점도시들은 세계적으로도 가장 활발하게 광역권 구축 노력이 진행 되고 있는 지역에 속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동북아 연해거점도시 중 중국의 다롄, 일본의 후쿠오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각 도시권의 광역권 발전전략과 정부간 거버넌스의 특성을 비교?고찰하였다. 분석영역은 광역권의 등장배경, 광역권 발전전략의 기본계획과 프로젝트, 광역권 발전전략 추진체계와 거버넌스 등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세 지역 모두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역적 자원 결집과 효율적 운영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연해거점도시라는 지경학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항만을 통 한 물류거점의 육성이라는 전략적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다. 둘째, 광역권 발전을 지향하 는 지방정부 차원의 요구도 중요하지만 중앙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수립과 행재정적 지원도 필수적이다. 셋째, 계획 수립에 있어서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파트너십과 역할분담이 명확하고 체계적이다. 그리고 넷째, 공통적으로 광역권 추진에 있어 행정단위의 분절화 극복, 전략산업의 배치와 도시 간 기능배분, 광역권내 핵심거점도시의 집중 육성, 그리고 인 접 도시와의 연계협력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 향후 광역권 발전과 그 성패 여부는 중앙과 지방 간, 지방과 지방 간에 구축되는 수직적?수평적 거버넌스와 연계협력 네트워크 조직과 운영에 있어 가치 창출의 효율성, 주체참여의 민주성, 유연성과 개방성을 함축한 역동성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 Coast center cities of Northeast Asia are nominated most frequently as a hub of metro-regions in the world. This thesis focuses on Dalian in China, Fukuoka in Japan and Vladivostok in Russia as sample cases of coast center cities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their metro-region growth strategy and governance characteristics. Three major dimensions are comparatively reviewed. They are 1) the background of appearance of metro-regions, 2) basic plan and project of development strategy of metro-regions, and 3) system and governance of development strategy of metro-regions. As a result, first of all, it is found that all the three cities have tried to gather regional resources and to operate them effectively to achieve global competitiveness. Also, based on their regional characteristics as coastal hub city, they share the understanding of growth of distribution center through the ports. Secondly, in order to develop the metro-region, it is found that the Local government support as well as the central government one are very important. Thirdly, partnership and systemic co-responsibility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re very critical in establishing a development plan for metro-region. Finally, it is found that all they tried hard to overcome the separatism of administrative units, to develop the strategic industry, to make a clear functional division between cities, to develop central hub cities in metropolitan region, and to secure active cooperation from adjacent c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successful development of metro-region shall be determined upon governanc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ance between locals, value creation effectiveness of formation and operation of Linked network organization, democratic process of participation, and dynamic structure of flexibility and openness.

      • KCI등재

        동유럽 체제이행 연구에서 제도적 선택논의 : 특성비교를 위한 분석틀의 모색

        강혜련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09 통일연구 Vol.13 No.2

        제도적 선택이론은 경제학적 논의로서 그것이 정치영역으로 도입되어 분석되기 시작한 것은 합리적 선택이론, 신제도주의를 경유하면서이다. 최근에 이르기까지 이행기에 있는 다른 나라들, 구체적으로는 남미와 대만 등이 분석대상이 되었고 동유럽에 대해서는 1990년대 중반과 후반, 간헐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도는 집행기구를 갖는 사회의 게임의 규칙으로서, 공식적 규칙과 비공식적 규칙 모두를 포함한다. 제도가 규칙의 세트라면 제도적 변화의 문제는 “규칙들은 어떻게 변화하는가”라는 것이 된다. 제도적 변화의 문제는 결국 불안정한 현실세계 상황에서 공식적, 비공식적 규칙의 역할들이 상호적으로 어떻게 작용하여 거시적 수준에서 변화로 이끌어지는가라는 측면으로 집약될 수 있다. 평형적 관점이라고 언급되는 접근법의 요소들이 주요하게 다루어질 수 있으며 제도적 관성과 역사, 심리적, 의식적 측면은 부가적으로 고려 된다. 제도적 선택, 제도적 변화논의는 동유럽과 러시아의 체제이행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부분을 선명히 하고 있다. 첫째, 체제변동의 주요영역으로서 제도의 의미를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제도적 선택에 대한 논의는 제도적 근원, 제도적 선택과정, 제도적 디자인, 제도적 변화를 구성으로 한다. 둘째, 평형적 관점으로 대표되는 제도적 선택논의는 흥정과 타협, 정치세력들간의 상호작용의 문제에 대한 기준선을 제공한다. 셋째, 제도적 선택논의는 대부분 안정적인 맥락에 초점을 맞추는데 비해, 동유럽과 러시아를 포함, 이행기를 분석하는 적지 않은 논의들은 반대세력과 집권세력 혹은 권위주의체제와의 투쟁의 산출로서 제도적 선택모델을 강조하고 적용한다. 이행을 제도적 선택과정의 연속, 궁극적으로 제도적 변화의 측면과 결합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The discussion of institutional choice has started after a history long discussion of rational choice and neoinstitutionalism. Institutional Choice theory has intermittently employed to analyze the transition in the Latin America and Taiwan in the middle of 1990s. Institutions indicate rules of the game in a society including both formal and informal regulations/rules. Institutional change leads us to a question how rules change, when institution is defined as a set of rules. The question of institutional change is in this context concentrated on the questions of how formal and informal rules are interacted and developed into a change at the macro-level. In this analysis, factors that have influence upon the equilibrium are to be discussed, in additions to the consideration of institutional inertia and history, psychological aspects of changes. Institutional Choice provides readers of the transition of East Europe and Russia with a couple of merits. First, it brings our attention to institutions as a major sector of system changes. The discourse of Institutional Choice includes the discussion of the origins of institution, process of institutional choice, institutional design, institutional changes. Second, 'equilibrium view' of Institutional Choice bring our attention to the bargains and negotiations, interaction of political forces. Third, the discussion of Institutional Choice is concentrated on the stability. However, those discussions of transition, particularly in East Europe and Russia, pay more attention to the struggle between ruling forces and their oppositions, focusing on the sequence of institutional choice or eventual changes of instit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