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강현석(Kang. HyeonSuk),전호재(Jeon. HoJ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지금까지 교육과정 개정 논의에서는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가 범교과 학습 주제 교육에 큰 압력으로 작용해오고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가 등장한 이후 범교과 학습 주제는 양적 측면에서 엄청난 팽창을 하여 2009개정 교육과 정에서는 39개의 범교과 학습 주제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범교과학습 주제의 교육에서 당초 의도한 목적에 맞게 실행되고 있지 않으며 더 큰 문제는 교사의 수업과 학습자의 학습에 부담을 주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 상황의 배 경에는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의 반영 과정에서 그 교육적 가치를 적절하게 판단하는 과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자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범교과 학습 주제가 교육과정 운영을 어렵게 하는 이유와 그 모습들을 살펴보고 국가·사회적 요구가 교육과정에 반영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한다. 이어서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범교과 학습 주제의 개념을 대안으로 제 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재의 빠르게 변화하는 국가·사회적 요구의 수용 모델을 검토하기 위한 새로운 범교과 학습 주제의 정련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Teachers and students engage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revision of curricula can affect and be affected by national social needs. The national social needs consist of what is worth being learned in the future. In this context, cross-curricular subjects were designed to reflect those need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ut the cross-curricular subjects have not been working well in every curriculum revision since they were introduced. The curricula revised in 2009 have 39 cross-curricular subjects. They caused many problems in curriculum practice because there were too many things to do in the classroom. Furthermore these 39 cross-curricular subjects sharing similar purposes and contents give rise to unnecessary duplication problems. Expecting the number of cross-curricular subjects, there was no proper curriculum revision system.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nquires into varied reasons and phenomena of the current curriculum revision system in the view of schools and classes. Base on revealed reasons, we need to consider the concept of cross-curricular subjects. Some preceding studies helped us to explore various valid statuses of the cross-curricular subjects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se statuses show some examples of new national curriculum. By synthesizing these alternatives, this study suggests a new cross-curricular subject organization process which consists of 5 steps: positioning the cross-curricular subject; rearranging cross-curricular subjects; verifying new needs; deciding presentation methods; and embodying. This new process of curriculum revision can be applied continuously to deal with national and social needs.

      • KCI등재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질적 전환과 학교교육에의 시사점 탐구: 뉴질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조인숙 ( Insook Cho ),강현석 ( Hyeonsuk Ka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7 중등교육연구 Vol.65 No.3

        2018년도부터 중·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은 21세기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목표로 6대 핵심역량을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교육과의 연계가 모호하고 교실수업에서의 구체적인 실천방안 또한 불분명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핵심역량이 학교교육에 유의미하게 통합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2007년 이래로 핵심역량기반의 학교교육과정을 표방하고 시행한 뉴질랜드 사례에 주목하여 특히 최근 학교교육과정에 도입하기 위해 등장한 ‘능력 접근법’과 ‘능력모형’(능력기반 수업설계모형)을 고찰하였다. 능력(뉴질랜드)은 범교과적 핵심역량과 교과내용을 통합하기 위한 도구로 ‘비판적 사고, 관점의 수용, 학문적 의미구성 및 탐구능력’으로 표상되며 교과핵심역량의 의미적 위상과 실태에 따라 첫째, 일반 핵심역량과 교과핵심역량의 가교역할로, 둘째, 교과역량의 의미규정을 명확히 하는 기능으로, 셋째, 교과핵심역량 자체로, 마지막으로 범교과 역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수업 장면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이 서로 잘 맞물려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능력을 개발하도록 하는 능력모형을 토대로 수업의 목표와 내용, 방법과 평가 측면에서 역량기반 수업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National Curricula revised in 2015 introduced six key competencies such as ‘managing self,'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reative thinking,' ‘aesthetic sensitivity,'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participating in and contributing to the communities', which are expected to encourage students to adapt themselves to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It is not easy, however, for the teachers to embed those key competencies in schooling because they do not exactly know what the key competencies mean and how they integrate those competencies with the subject matters. This study examined ‘capabilities approach', the new approach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New Zealand. Capabilities include ‘critical thinking', ‘perspective taking', ‘disciplinary meaning making', and ‘inquiry capabilities' that have been used to integrate key competencies with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skills. We can apply those capabilities to connect general competencies with specific competencies and clarify the key competencies of subject matter. Also this study suggested how to set the goals, select meaningful contents and evaluate what students perform using the capability-based model.

      • KCI등재

        내러티브 교육과정과 해석학의 상보적 가능성 탐구

        노진규(Jingyu Noh),강현석(Hyeonsuk K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4

        자연과학의 발전은 근대 학문의 발전을 이끌었고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자연과학 연구 방법인 실증주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인문사회과학의 탐구 대상인 인간과 사회를 새롭게 바라보는 도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브루너는 내러티브라는 아이디어로 교육학(교육과정)영역의 새로운 해석적 전환을 시도하였다. 우리가 만약 내러티브를 보다 잘 이해하길 원한다면 해석학과 관련된 철학적 함의를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교육을 구성주의 틀에서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는 내러티브 교육을 학교교육의 기술적 적용에 과도한 관심의 발로로 읽힌다. 그러나 해석학은 초기 텍스트의 정확한 해석에서 발전하여 인간 삶에 대한 이해, 실존 자체에 대한 이해의 문제까지 확장했다. 그리고 이 문제에는 언어의 사용과 해석의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이는 마치 브루너가 내러티브를 통하여 존재를 구성하고, 타인을 이해하며, 세상을 만들어가는 과정과 무척 닮아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석학과 내러티브 사이의 상보적인 가능성을 통하여 추후 교육과정연구와 해석에 보다 풍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논의는 교육과정을 바라보는 관점을 개발에서 이해로, 설명에서 해석으로, 인식에서 존재로 교육과정 패러다임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development of natural science led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studies. Positivism is the application of natural science research methods to the social sciences. However, it can raise the question of whether ‘nature’, the object of observation in natural science, and ‘human’ and ‘society,’ the objects of observation in social science, have the same essence. Thus, Bruner attempted a new interpretation of the curriculum with the idea of narrative. In order to aptly understand the narrativ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meaning related to hermeneutics. Hermeneutics developed from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exts and expanded to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human life and the existence itself. In this regard, there is an inherent problem of language usage and interpretation. This is very similar to the process in which Bruner constructs existence through narrative, understands others, and creates the worl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future curriculum research through the complementary possibility between hermeneutics and narrative. This discussion will open a new horizon for the curriculum paradigm by changing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from ‘development’ to ‘understanding’, from ‘explanation’ to ‘interpretation’, and from ‘cognition’ to ‘existence’.

      • KCI등재

        IB MYP의 아이디어에 기반한 학교 민주시민교육 개선 방안 탐색

        김우철 ( Woochul Kim ),강현석 ( Hyeonsuk K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속 민주시민교육 내용 제시 및 운영 방식의 특징과 한계점을 검토하고, 국제 바칼로레아 중학교 프로그램(IB MYP)의 구성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학교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속 민주시민교육 접근방식을 고찰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여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IB MYP의 세 가지 구성 아이디어에 기반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세 가지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MYP ‘교과군 개요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 문서 속 내용 체계표를 재구성함으로써 교육과정 설계의 일관성과 명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둘째, MYP ‘봉사를 통한 실천’ 아이디어를 통해 민주시민교육 수업 후 봉사활동을 실시하고 성찰일지를 작성함으로써 배움이 경험을 통해 진정한 학습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MYP ‘간학문 학습’ 아이디어를 통해 통합 교육 방법을 구안함으로써 현재 운영되고 있는 범교과 학습이 보다 실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끝으로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에서 수업과 평가상의 유의사항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안들이 교실 맥락에서 적용해 본 양적, 질적 효과에 비추어 보다 진전된 개선안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present a new approach to schoo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at utilizes the compositional ideas(or concepts)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Middle Years Programme (IB MYP). We considered the approach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defin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identify problems, and then proposed ways to improve it based on the three compositional ideas of the IB MYP. The three proposed improvemen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subject-group overviews” idea, the contents system table in the Korean curriculum documents was reconstructed to ensure consistency and clarity in curriculum design. Second, with reference to the “action through service” idea, services were conducted aft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lasses and reflection journals were completed so that learning could be achieved through experience. Third, based on the “interdisciplinary learning” idea, the integrated education method was devised so that the current cross-curricular learning in operation could be more effective. Lastly, we proposed recommendations for enhancing instruction and the assessment of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교과 심리화에 대한 내러티브적 해석 가능성 탐색

        노진규(Jingyu Noh),강현석(Hyeonsuk Kang)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2 敎育思想硏究 Vol.36 No.2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Dewey’s psychologization of subject matter as Bruner’s narrative. Dewey explains continuity and interaction as a condition of experience, and “an experience” is a completed experience. For Dewey, experi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developing students’ minds. Humans use language to give meaning to their experiences. The problem of meaning is very important in human learning. Narrative is an important factor for subject matter to become established in students’ minds through experience. In this study, it was explained with a narrative scheme.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narrative is given a new meaning that overcomes the problem of the separation between experience and subject and supports students’ learning and growth. 본 연구는 듀이가 제안한 교과 심리화의 아이디어를 브루너의 내러티브 아이디어로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듀이는 경험의 조건으로 계속성, 상호작용을 설명하며, ‘하나의 경험’으로 완성된 경험을 제시한다. 듀이에게 경험은 학생들의 마음을 성장시키는 중요한 기제이자 세상 이해방식인 것이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인간은 언어를 사용하여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자연스러운 성향을 지니고 있다. 교육 맥락에서 학생들이 구성하는 의미는 자신의 배움에서 나아가 인생 여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교육, 특히 수업 실천의 맥락에서 내러티브는 교과(내용)가 경험을 통하여 학생들의 마음에 자리 잡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내러티브 도식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간 교과와 경험의 통합 문제가 선언적이거나 추상적인 이론의 수준에서 많이 제안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브루너의 내러티브 도식을 통하여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 결과는 경험과 교과의 분리 문제를 극복하고 학생들의 배움과 성장을 지원하는 새로운 해석으로 다가올 것이다.

      • KCI등재

        브루너 내러티브와 듀이 질성적 사고의 상보적 가능성 탐구

        노진규 ( Noh Jingyu ),강현석 ( Kang Hyeonsu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2

        본 연구는 브루너가 소위 후기 이론에서 주장하는 내러티브와 듀이의 경험이론의 핵심적 토대인 질성적 사고의 상보적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통적인 서양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은 지금까지 이원론에 경도되어 있어서 이에 따른 교육적 문제가 대두되었다. 듀이는 이원론적 교육 문제를 극복하려는 시도 속에서 경험의 본질을 설명하는 ‘질성적 사고’에 주목하였다. 특히 그는 인식론적인 일원론을 설명하며 ‘하나의 경험’으로 분절적인 지식이 아닌 총제적인 지식을 설명하였다. 한편 브루너 또한 그의 저서 여러 부분에서 듀이가 이야기하는 ‘질성’의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직관’과 ‘내러티브’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특히 그의 내러티브는 듀이의 ‘질성적 사고’와 상보적인 통합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교육적으로 매우 풍부한 가능성을 가진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내러티브의 생성적 입장에서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두 학자의 주요 저작물과 그에 관한 2차 문헌 분석을 통한 철학적 논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mplementary possibility of Bruner's narrative and Dewey's ‘qualitative thought’. Education concentrated on traditional Western philosophy is based on dualism, and accordingly educational problems have emerged with separated knowledge from experience. Dewey tried to overcome such a dualistic educational problem. In particular, he explained monism, not as segmental knowledge, but as a whole knowledge as 'an experience'. He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that looks at the world through 'qualitative thought'. Meanwhile, Bruner also explains the concept of thought with the concept of ‘intuition’,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quality’ that Dewey talks about. In particular, Bruner's narrative has the potential to be complementary to Dewey’s ‘qualitative thought’. It has a lot of educational potential when we try to integrate and organize experience into a narrativ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plementary possibility, and we attempt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ducation from the generative nature of nar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