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총력전(總⼒戰) 시대의 오즈 야스지로(⼩津安⼆郎) <아버지가 있었다(父ありき)>를 둘러싼 논란을 중심으로

        강태웅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24 씨네포럼 Vol.- No.48

        전시기에 영화 제작활동을 하였고, 패전 후 전후 일본을 대표하는 감독이 된 사람들에 대해서 일본인들은 일종의 환상을 갖고 있다. 그 환상은 유명 감독들은 여타 감독들과는 달리, 전시기에 ‘반국가’ 또는 ‘반국책’적인 생각을 가지고 활동했다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1942년 개봉한오즈 야스지로의 <아버지가 있었다(父ありき)>는 대표적 위치를 차지한다. 기존연구는 당시 상영된 필름을 볼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고, 이 영화에 대한 시대적 반향에 대한 고려가 적었다. 또한 독특한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 스타일 때문인지, 그의 작품을 동시대의 다른 일본영화나 서구영화의 영향관계에서 보려는 노력도 적었다. 이 연구는 2023 년 세상에 나온 1942년 당시 프린트를 토대로 하여, 오즈 야스지로를 시대를 초월한 ‘초인’으로 보기보다는 총력전 시대에 충실히 영화를 만들었던 한 명의 영화인으로 자리매김하려 하였다. 이를 위해서 1937년과1942년, 그리고 1945년 세 시점에서 어떤 점이 바뀌었는지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전후의 환상과 영화에 대한 당시의 평가를 비교 검토해 보았다. Japanese have a kind of fantasy about people who worked in film production during the wartime and became directors representing post-war Japan after the defeat. The illusion is that, unlike other directors, famous ones worked with ‘anti-state’ or ‘anti-national policy’ ideas during the wartime period. However, Japan during the war period was not such a soft country. Moreo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clear motive as to why famous directors had to engage in ‘anti-national’ and ‘anti-national policy’ actions. In order to properly analyze the film in the context of the times, one should not watch films by famous directors that reflect such fantasies of post-war Japan. Rather,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analyze it based o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and the evaluations of the people at the time. This Japanese fantasy is also reflected in Yasujiro Ozu's <There Was a Father> (1942). This study looked at the discussions over surrounding <There Was a Father> that took place in post-war Japan, and based on this, compared it with the discourse at the time when the film was made.

      • KCI등재

        일본영화 속의 적(敵) - 아시아태평양 전쟁기 스파이 영화를 중심으로 -

        강태웅 한국일본학회 2015 日本學報 Vol.105 No.-

        아시아 태평양 전쟁 때 만들어진 일본영화에서 적에 대한 표현보다는 일본인의 희생이 강조되어왔음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적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스파이 영화가 만들어지지 않은 것은 아니다. 본고는 요시무라 고자부로 감독의 1942년도 영화 <간첩은 아직 죽지 않았다>를 중심으로, 적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스파이 영화를 분석함으로써 전시기 일본영화연구에 있어서 빠진 부분을 채워 넣으려고 하였다. 당시 유행하던 미국 스파이 영화와 마찬가지로 여자 스파이의 활약을 다루는 일본영화가 제작되었으나, 평가가 좋았던 요시무라 고자부로 감독의 <간첩은 아직 죽지 않았다>는 다른 방식의 내러티브를 선택하였다. 특수 장비를 사용하거나 고위 장성, 상류층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여자 스파이와는 다르게, 이 영화 속의 남자 스파이는 일상 속에 활동하는 모습이 부각된다. 이러한 변화가 모든 일본인이 자신도 모르게 스파이가 될 수 있다는, 일상 속의 방첩을 강조하는 당국 정책에 의한 것임을 본고는 밝혀내었다. 또한 스파이 영화 속에 드러나는 일본의 적은 미국, 중국, 그리고 혼혈이라는 다양한 층위로 존재하였음을 찾아내었다. 교전국인 미국 스파이는 일본을 점령하려는 야욕을 숨김없이 드러낸다. 이는 미국의 군사적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당시 일본이 안고 있던 물자부족, 주가하락 등의 문제도 스파이의 활동에 의한 것일지 모른다는 인식을 관객에게 심어주는 기능을 하였다. 중국의 스파이는 ‘대동아 전쟁’의 동지이자 동맹국 일원으로 인식되어 스파이다운 행위를 보이지 않고, 적에서 동지로의 변화를 보인다. 혼혈의 경우 일본인의 피가 섞이면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식의 표현이 행해졌음을 본고는 찾아내었다. Many researchers have pointed out the lack of otherness in the war films Japan produced during the Asia-Pacific War. In those films the tendency was to describe only the Japanese themselves and their sacrifices for the country. However, some of the films depicted enemies from other countries such as in the spy films. This article focuses on how those movies described the spies who certainly represent the otherness in wartime Japan. American espionage movies in which female agents played a femme fatale role, such as Dishonored and Mata Hari, were introduced to Japanese audiences and influenced Japanese features. However, highly praised films such as Kanchowa Imada Shisezu(The Spy Is Still Alive) did not follow the narrative of the American films. In this film, a male agent performed his duty among common Japanese people living their daily lives. This article argues that certain kinds of changes were caused by the circulation of counter-espionage ideology in that time, and finds that Japan had a variety of enemies: American, Chinese, and mixed race.

      • KCI등재

        학교형식의 재인식을 위한 네 가지 구조적 틀 - 네덜란드 구조주의 건축이 제시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학교형식을 바탕으로 -

        강태웅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6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53

        Without self recognition of modern movements in architecture the spatial structure and concept of school in Korea has been followed that of a modern school adapt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origin of the spatial structure and the concept of the modern school adapted is "a ethical steam engine" which was designed for enlightening children worked at factories in Scotland and Wales, also British colonies, in the period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modern school is devised with 6 crucial concepts such as a theater inverted, rule & discipline, keep silence, productive work, order of rank and religious symbolism. Without developing the form of school continues until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Architects echoing structuralism suggested new paradigm of school which was user-centre place. Four structural frames, which is so useful to derive hidden structure from the modern school, can be founded from the schools suggested. They are path, blank space, In-Between, and visual focus.

      • KCI등재

        초소형 위성 SAR 온-보드 X 대역 첩 신호 보상 기법 및 검증

        강태웅,김경록,김선구,허예림 한국전자파학회 2024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5 No.6

        초소형 위성 SAR(synthetic aperture radar)은 궤도에서 운용 중에 관심 지역을 향해 첩 신호를 방사하고 반향된 신호를수신하여 세기 및 위상 정보 해석을 통해 영상을 생성하는 100 kg 미만 급의 레이다이다. 이상적인 SAR 영상을 생성하기위해서는 영상 획득 지역에 대한 채널 정보만을 추출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장치 및 위성 기동에 대한 오류를 최소화하는 방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우주 환경의 온도 변화는 장치 오류 및 신호 품질에 영향을미치기 때문에 우주 환경에 의한 온도 변화에 대한 영향성 최소화 방안도 함께 고려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주 환경온도 조건을 고려하여 장치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온보드에서 온도에 따른 X대역 첩 신호 보상을 수행하고, 검증을 위해 열 챔버를 활용하여 열주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SAR의 성능 지표인 IRF(impulse response function) 분석 결과를 제시하여 우주 환경의 온도 변화 내에서 발생하는 장치 오류 및 신호 품질영향에 대한 보상 효과 및 타당성을 검증한다. The micro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satellite weighs less than 100 kg and synthesizes high-resolution images of a region of interest by processing the amplitude and phase information of the back-scattered echo signal. As it is crucial to acquire only the channel information of the region of interest to generate an ideal SAR image, many publications have addressed methods to minimize hardware errors and satellite maneuvers. Furthermore, the space environment affects hardware performance, such as variations in temperature and signal quality. In this study, a method for onboard compensation of X-band chirp signals considering the variation in temperature is proposed and verified by an analysis of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IRF) using the data acquired by testing hardware in the thermal chamber.

      • KCI등재

        영화 속에 표현된 천황, 그리고 터부

        강태웅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일본비평 Vol.- No.9

        이 글은 일본영화에서 천황이 어떻게 묘사되어 왔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전전 일본에서 ‘일반인’이 천황의 신체를 대신해 스크린에 출연한 적은 없다. 전후가 되어서야 천황 역을 맡은 배우가 등장하 는 영화가 제작되기 시작한다. 그렇다고 어떠한 제약도 없이 영화에서 묘사될 수 있었던 것은 아니 고, 천황의 숭고함을 해치는 ‘불경(不敬)’을 저지르지 않는 한에서 허용되어 왔던 것이다. 이 글은 터부를 피해 천황을 극영화에 표현하기 위해 일본영화는 어떠한 고안을 해냈는지를 살펴보았다. 1950년대 역사상 처음으로 천황을 주인공으로 하는 메이지 천황 3부작이 만들어진다. 이 영화에서 메이지 천황 역을 맡은 배우는 어진영과 같은 분장을 하고 출연해 거의 움직임이 없는 연기를 한 다. 전후 일본에 있어서 아시아·태평양 전쟁을 다룬 영화는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만들어졌지만, 그러한 작품 속에서 쇼와 천황이 조연으로라도 등장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쇼와 천황이 등장한 다 하더라도 공간을 차지할 뿐 연기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이러한 일본영화에서의 독특한 천황 표 현은 러시아 감독에 의해서 만들어진 영화 <태양>과 비교되어질 때에 더욱 두드러진다. <태양>은 쇼와 천황의 개인적인 모습에 초점을 맞추어서 제작되었고, 이는 일본사회에 충격을 주었다. 이처 럼 현재까지도 천황을 일반인이 대신하여 표현하는 행위는 터부에 속하는 것이고, 이를 피하기 위 해서 성문화되지 않은 규범이 존재함을 이 글은 밝혀냈다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how Japanese emperor has been depicted in Japanese fictional films. In prewar Japan, no movie existed in which ‘a mere actor’ played the role of the emperor. It was after 1945 that this trend began to change. Yet film-makers in Japan could only produce those movies under certain restrictions. The production of film was only permitted when it presented the emperor as a sublime figure.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formula as well as the convention of the films. The very first trilogy in which Meiji emperor was the protagonist was made in the 1950s. The protagonist was dressed up just like how Meiji emperor appears in his ‘Goshinei’, or the emperor’s portrait, and played the role with very little movement. Although numerous films on World War Ⅱ have been made in Japan, there are very few in which Showa emperor was played by an actor. Even in those films, his movements were limited and the acting was kept at minimum. The peculiaritie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emperor become more comprehensible when they are compared with a 2005 film <The Sun> by a Russian director. <The Sun> so vividly portrayed the private life of Showa emperor that it shocked the Japanese people. This study uncovers that, until recently, playing the role of the emperor has been considered a taboo in Japan, and there exists implicit norms to avoid fictional representations of the emperor.

      • KCI등재

        우키요에 붐과 21세기 자포니슴

        강태웅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9 일본비평 Vol.- No.20

        Ukiyo-e, which caused Japonisme in Western society 150 years ago, had not been highly evaluated in Japan. However, it became a cultural resource representing Japan in the 21th century. There is a large time discrepancy between the West and Japan on evaluating Ukiyo-e.This paper explored how and why the estimation of Ukiyo-e changed in Japan. That was mostly caused by the popularity of manga and animation abroad, as well as the emphasis on soft power by the Japanese government. Furthermore, Ukiyo-e has played its part as the symbol of the power of Japanese culture when the discourse on worshiping everything from Japan was popular. This also affected the people who had conservative historical view. They included columns on Ukiyo-e and Japonisme Japanese history textbook. But rather than understanding why the West accepted the influence of Japanese culture in the 19th century, there is a distorted sense of self-confidence that Japan’s excellence had been known to the ‘world.’ This paper also uncovered the fact that Ukiyo-e caused censorship problem in Japan.

      • KCI등재
      • KCI등재

        Ste. Genevieve Library as a criticism of Classicism

        강태웅 대한건축학회 2013 Architectural research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and revaluate Ste. Genevieve Library designed by Henri Labrouste as a criticism of Classicism. Considered as the epitome of the early structural Rationalism the modern historian tried to focus only on the iron structure of the library. Arguably, the structural concern was one of the ideas that the architect wanted to manifest in the library. As a rebel against a view of the Académie des Beaux-Art the notions of H. Labrouste were radical. He criticized an autistic Classicism with an echoing Claude Perrault’s doubt about the myth of classical beauty. These radical ideas firstly showed in his report of the Grand Prix de Rome and must have been developed through several discussions for a novel: Notre-Dame de Paris by V. Hugo. ‘Ceci tuera cela’, one of the chapter of the novel, was generally known as the death of architecture due to the invention of the printing press around Renaissance period. We, however, consider that even thoug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novel is the Gothic period the ideas, which was discussed with Labrouste, related to the death of architecture was not the architecture itself but classical architecture recomposed during Renaissance period. As the first design work the library must be reflected his ideas, which were developed, and manifested his criticism of the Classicism indirec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