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을 위한 언택트 스트레스 관리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강유임,서선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3 청소년상담연구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on-contact stress manag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s used in non-face-to-face situations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ntir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was completed in the following four phases. In the first two phases of planning and desingn, a non-contact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Then in the implementation phases, the developed program was implemented in two groups(i.e., one experimental and one wait-list control groups) from four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institutes. Finally, in the evaluation ph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group participants' pre- and post-test scores on stress coping behaviors as well as their satisfaction survey. Feedback from the program participants and experts who conducted the program was also collected for program modification and complementation. Based on the feedback, the non-contact stress manag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finalized.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and wait-list control groups were not homogeneous in wishful thinking an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 on the Mann-Whitney test. Results from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showed that the program demonstrated is a desirable impacts on the experimental group’s stress coping behaviors, indica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particularly on active coping skil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by developing a non-contact stress manag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it established a foundation for adolescents to help cope with stress in non-face-to-face situations, that can increase stress levels.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청소년을 위한 언택트 스트레스 관리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언택트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기획단계, 구성단계를 통해 개발하였다. 실시 및 평가단계에서는 개발한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4개 시범집단을 운영하였고 참여자의 사전, 사후검사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후 참여자의 피드백과 프로그램을 운영한 현장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프로그램의 수정․보완을 마친 후 최종 작업을 거쳐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청소년을 위한 언택트 관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으로 나누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Mann-Whitney 검증에서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은 소망적사고 및 부정 정서의 경험에서 동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전-사후 변화량에 대한 독립 t-검증으로 분석한 연구 결과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긍정적인 대처방식인 적극적 대처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비대면 상황에서 청소년을 위한 언택트 스트레스 관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청소년들이 스트레스 관리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학령기 아동용 모애착 척도의 타당화

        최희철,강유임,김병석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4

        Although empirical research on attachment has been conducted at all ages, an appropriate self-report scale of attachment for children dose not exist in Korea. In recent, Gullone and Robinsin(2005) revised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to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for Children to assess the attachment of school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by translating and back-translating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for Children into Korean to assess the attachment to mother of school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ial structure of children's attachment to mother scale, we conducted factorial analysis on the basis of score of attachment to mother from the 346 children in 4th, 5th and 6th grade. Cronbach α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assess item internal consistency of the final derived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1 factor model was supported between 1 factor model, 2 factor model, and 3 factor model. Cronbach α of the total scale was .92. In order to examine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IPPARC, we explored the association between attachment and depression on the basis of proposal of Bowlby (1980) that less secured attachment predicts highe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The results showed the higher attachment to mother predict lowe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a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ttachment and depression were -.504 (p < .001). 애착에 대한 경험적 연구들은 모든 연령대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학령기 아동의 애착을 자기보고식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척도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최근 Gullone과 Robinson(2005)이 학령기 아동의 애착을 측정할 수 있도록 IPPA를 개작한 학령기 아동용 부모 및 또래 애착 척도(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for Children: IPPARC) 중 부모 애착척도를 우선적으로 모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번역, 역번역 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모애착 척도의 요인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34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모애착 척도의 점수에 기초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최종 도출된 척도의 내적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Chronbach α 계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1요인, 2요인, 3요인 구조 중 1요인 모델을 지지되었고, 전체 내적합치도는 .92였다. 번안한 모애착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애착이 안정되지 못할수록 우울하다는 Bowlby(1980)의 제안에 기초하여 애착과 우울의 관계를 살폈다. 그 결과 애착과 우울의 상관은 -.504 (p < .001)로, 모애착이 높을수록 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

        고홍월,황매향,강유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0 청소년상담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정체성을 형성하고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대인관계능력 향상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문헌조사와 실무자 대상의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를 확인하고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활동으로 내용을 구현하였다. 또한 다양한 구성요소 중에서 다문화가정 아동 이 실제로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는 대인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내용을 추출하였다. 개발된 프 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의 청소년상담지원센터와 초등학교에서 31명을 대상으로 4개의 집 단을 시범운영하였다. 그 결과 자기이해 및 수용, 부모․친구․교사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었고, 타인과의 소통 방법을 학습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부정적인 정서를 카타라시스하고 자신의 변 화를 인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어려워하는 대인관계 문제를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었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이 보다 많은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보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마 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의의를 논의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보완하기 위한 제안을 제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ocial skill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in South Korea.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b-factor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needs of ethnic minority children, the teachers who had taught the ethnic minorities, and the multi-cultural counselors. 31 ethnic minority children(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4 groups in the test operation stage.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gram, the data gathered from the children in the counseling program, the teachers and the counselors. They reported the children had positive changes in self-understanding, self-acceptance, th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nd the self-confidence and cultural identity. We discussed the resul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 KCI등재

        EBP 기반 자살⋅자해 청소년 상담클리닉 운영 모형 개발

        서미,소수연,강유임,손지아,김지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청소년상담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idence-based practice(EBP) model for counseling clinics working with youths who deal with suicidal and non-suicidal self-injury. For this, an extensive review of counseling literature and surveys with practitioners were conducted from which the principles and elements of the EBP model were drawn. A pilot program with the model was run and its effective was tested in youth counseling centers in Gyeonggi-Do and college counseling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South Korea. Findings showed that as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nalizing scores in the Korea Youth Self Report, non-suicidal self-harm and suicidal risk, and hopelessness, along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results within the group. The final model was confirmed based on the lessons learned from the pilot test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This study was first to develop an EBP model, standardized and found to be effective, that will help youth counseling clinics and organizations effectively serve children and adolescents.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상담복지 관련 기관에서 자살 및 자해 청소년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상담개입이 가능한 Evidence-Based Practice(EBP) 기반 상담클리닉 운영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와 현장종사자 인터뷰를 통해 EBP 기반 자살․자해 청소년 상담클리닉 운영 모형의 구성원리 및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운영 모형으로 경기도 지역 청소년상담복지센터와 수도권 대학상담센터에서 시범운영을 실시하고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 행동평가 내재화 점수, 비자살적 자해와 자살위험성, 무망감 점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최종 확정된 상담클리닉 운영 모형은 긴급대응 단계, 상담개입 단계, 추수관리 단계로 구성되며, 상담자의 상담 개입뿐만 아니라 기관 차원에서 유기적인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EBP 기반 효과성이 입증된 상담클리닉 운영 모형 개발을 통해 전국의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및 청소년 상담관련 기관에서 표준화된 프로그램과 운영 절차에 따라 상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운영 모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기술기반 중소벤처기업의 수출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임재웅 ( Jae-woong Lim ),윤호중 ( Ho-jung Yoon ),강유임 ( Yu–Rim Kang ) 사회혁신기업연구원 2020 혁신기업연구 Vol.5 No.2

        오늘날의 기술기반 중소벤처기업은 해당 분야에서 많은 부분 강점이 있지만, 급속한 환경 변화와 경쟁자의 도전 때문에 계속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경쟁사회에서 기술 부분의 우위와 존속하기 위하여 변화하는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해서 혁신해야 한다. 하지만, 중소기업은 대기업이나 공기업보다 부족한 인력 및 자원 등 업무분담으로 인한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기술기반 중소벤처기업도 이와 마찬가지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수출요인이 기술기반 중소벤처기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이 얻을 수 있었다. 많은 기업은 변수마다 유의한 차이가 존재했지만, 기술 기반 중소벤처기업은 자원기반, 경영자 특성, 산업조직론 관점, 전략의 관점 및 시장 차별화 전략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경영관리 기능의 관점에서는 기술기반 중소벤처기업의 경우 초임 연봉, 제품 경쟁력, 조직개편 시행, 설비투자 금액, 설비 가동률, 국내 판매, 유통망 유무, 생산성 프로그램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수출을 고려하는 많은 기술기반 중소벤처기업들의 수출검토와 결정에 도움이 된다는 데 연구에 의의가 있다. Today's technology-based Small and Medium venture Enterprises have many strengths in their respective fields, but continuous changes are required due to rapid environmental changes and challenges from competitors. In order to stay ahead of the technology sector in a competitive society, we must continuously innovate to meet the changing needs of diverse customers. However, SMEs have many difficulties due to the division of work, such as manpower and resources, which are less than large companies or public companies, and technology-based SMEs are the sa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effect of export factors on technology-based SMEs through prior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each variable in many companies, but technology-based SME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resource-based, managerial characteristics, industrial organizational perspective, strategy perspective, and market differentiation strategy. However, in terms of business management func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starting salary, product competitiveness, organizational reorganization, facility investment amount, facility utilization rate, domestic sales, distribution network, and productivity programs in technology-based SM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many technology-based SMEs considering exports to review and decide on ex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