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농도 레반 공급이 혈중 지질 및 체지방 형성과 UCP 발현에 미치는 영향

        순아(Soon-Ah Kang),경희(Kyung-Hee Hong),장기(Ki-Hyo Jang),김소혜(So-hye Kim),장은경(Eun-Kyung Jang),김철호(Chul-Ho Kim),조여원(Ryowon Chou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5

        본 연구는 프락토즈 중합체인 레반의 지질 감소 효과와 비만 유전자인 UCP를 통한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성장기 6주간 AIN-76A diet로 사육한 흰쥐에게 레반을 식이 섭취량의 1%, 2%로 5주간 경구투여하여, 혈중지질 수준과 체지방 형성 및 혈중 인슐린, 렙틴 농도와 갈색지방 조직, 백색지방 조직, 골격 근육, 시상하부에서의 UCP mRNA 발현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레반군에서 혈청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은 감소하고 HDL 콜레스테롤 수준은 영향을 미치지 않아 1%와 2% 레반 공급이 지질 대사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 1%와 2% 레반군에서 내장 지방 무게가 감소하여 적은 양의 레반 공급으로 체지방 축적이 억제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3) 갈색 지방 조직과 부고환 지방, 복막 지방 무게는 그룹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 혈청 인슐린 농도는 1% 레반군에서, 혈청 렙틴 농도는 1% 레반군, 2% 레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5) 1%와 2% 레반 공급에 의하여 갈색 지방 조직과 골격근육, 시상하부에서의 UCP mRNA 발현량에는 변화가 없었다. 6) 백색 지방 조직의 UCP 2 mRNA 발현량이 레반 공급에 의해 증가하여 1%와 2% 레반 공급에 의해 에너지 소비율이 증가할 수 있음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저농도의 1%와 2% 액상 레반 공급은 총 식이의 3%~5% 레반 공급과 비교하여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 감소 효과에는 차이가 있으나 UCP 발현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저농도의 1~2% 액상 레반 공급으로 지질 대사를 개선하고 체지방 축적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임상 연구로 레반의 고지혈증과 비만을 조절하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 검색이 요망된다. This study described the effect of levan (β-2,6-linked fructose polymer) feeding on serum lipids, adiposity and uncoupling protein (UCP) expression in growing rats. Levan was synthesized from sucrose using bacterial levansucrase. UCP is a mitochondrial protein that uncouples the respiratory chain from oxidative phosphorylation and generates heat instead of ATP, thereby increase energy expenditure. We observed that 3% or 5% levan containing diet reduced serum triglyceride levels, visceral and peritoneal fat mass and induced the UCP expression in rats fed high fat diet in previous study. To determine whether the intake of low level of levan may have the hypolipidemic and anti-obesity effect, 4 wk old Sprague Dawley male rats were fed AIN-76A diet for 6 wk, and sub-sequently fed 1% or 2% levan solution for further 5 wk. Intake of 1% levan in liquid form reduced serum triglyceride and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s to 50% and 66% of control group, respectively. Although epididymal and peritoneal fat masses were not affected by levan feeding, visceral fat mass was lower in 1% levan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UCP2 mRNA in brown adipose tissue, skeletal muscle and hypothalamus and UCP3 mRNA in skeletal muscle were not changed by levan feeding, while the UCP2 mRNA in white adipose tissue was up-regulated by levan feeding. In conclusions, intake of low level of levan solution reduced serum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restrained the visceral fat accumulation and increased UCP expression in white adipose tissue in rats. This study suggests that hypolipidemic and anti-obesity effect of levan attributed to anti-lipogenesis and inefficeint energy utilization by up-regulation of UCPs.

      • KCI등재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쥐에서 식이 베타글루칸이 체지방 형성 및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순아(Soon Ah Kang),장기(Ki-Hyo Jang),경희(Kyunghee Hong),최원아(Won-A Choi),정경희(Kyung-Hee Jung),이인영(In-Yo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6

        본 연구는 글루코즈 중합체인 β-glucan의 에너지 대사 조절에 미치는 영향과 항 비만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6주간 고지방 섭취로 유도된 비만 쥐에게 β-glucan을 식이의 1%, 5%로 6주간 공급하였고, 체지방 형성 및 분포와 지방세포 크기를 측정하였고 혈중 지질함량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체중 증가량과 식이효율은 고지방 식이군에서 높았으며 β-glucan 군에서는 고지방 식이군과 비교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고지방식이군에서 단위체중당 체지방이 많았으며, β-glucan 식이군에서 내장 지방무게와 복막 지방 무게가 감소하여 β-glucan 섭취에 의해 체지방 축적이 억제됨을 보여주었다. 3) β-glucan 식이군에서 지방 세포 크기가 감소하여 β-glucan 섭취가 지방 세포의 지방축적을 억제함으로써 체지방 형성을 감소시킴을 나타내었다. 4) β-glucan 식이군에서 HDL 콜레스테롤 수준은 증가하여 β-glucan 섭취가 지질 대사를 개선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β-glucan은 지질 대사 개선을 유도하여 체지방형성과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항 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β-glucan obtained from bacterial fermentation on the adiposity and serum lipids level in dietary high fat induced obese rats. Experimentally, four weeks old male Sprague Dawley rats fed high fat diet for 6 weeks to induce obesity, and subsequently fed one of three diets for further 6 weeks: 1) high fat control diet (0% β-glucan) 2) 1% β-glucan diet 3) 5% β-glucan diet. For comparison, normal control group fed AIN-76A diet. Food efficiency ratio of rats were tended to be decreased with β-glucan diet, but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Visceral and peritoneal fat masses were lower in β-glucan groups compared to high fat control group and the effect of β-glucan was dose-dependent. Intake of β-glucan increased HDL cholesterol level and significantly reduced adipocyte size, and free fatty acid, when compared to those of high fat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obesity effect of β-glucan may attributed to anti-lipogenesis.

      • KCI등재

        식이 베타-글루칸이 흰쥐의 장내 단쇄지방산 조성 및 장내환경 개선에 미치는 영향

        경희,장기,순아,Hong, Kyung Hee,Jang, Ki-Hyo,Kang, Soon Ah 한국식품영양학회 2016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9 No.2

        The effects of dietary ${\beta}$-glucan, obtained from bacterial fermentation, on the intestinal mass, short chain fatty acids, lactate production and pH in Sprague-Dawley (SD) rats were evaluated. SD rats fed with 0% (control group), 1% or 5% ${\beta}$-glucan supplemented diets (w/w) for 3 weeks. The presence of ${\beta}$-glucan in the diet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colonic contents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amount of short chain fatty acids increased in rats fed ${\beta}$-glucan diets. Rats fed the 5% ${\beta}$-glucan diets had higher levels of acetate, propionate and butyrate by 1.8, 1.7 and 3.0 fold of the control group in the cecum, and 2.2, 2.9 and 3.1 fold of the control group in the colon, respectively. The ${\beta}$-glucan diet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s of cecal and colonic lactate by 1.4~3.4 fol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diet, indicating that dietary ${\beta}$-glucan stimulated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within the intesti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beta}$-glucan, by providing short chain fatty acids and reducing the cecal and colonic pH, may be beneficial in improving gut health, and provide evidence for the use of ${\beta}$-glucan as a dietary supplement for human consumption.

      • KCI등재
      • KCI등재

        베타-글루칸의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쥐에서 체지방 및 혈청지질 개선효과

        경희(Hong, Kyung-Hee),김현순(Kim, Hyun-Soon),장기(Jang, Ki-Hyo),순아(Kang, Soon Ah)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는 미생물 유래 베타-글루칸의 항비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동물실험을 통해 식이 베타-글루칸이 체지방 형성과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prague-Dawley종 흰쥐를 6주간 고지방 식이로 사육하여 비만을 유도한 후 베타-글루칸을 각각 식이 무게의 0%(고지방 대조군), 0.1%, 0.5%로 함유한 식이로 5주간 사육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AIN-76A 식이로 사육하였다. 고지방식이군에서 단위체중당 체지방이 많았으며, 0.1% 베타-글루칸 공급은 고지방 식이에 의 해 유도된 복막지방, 내장지방 축적을 각각 16%와 19% 억제하였고, 혈중 렙틴을 28% 감소시켰다(P<0.05).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고지방 대조군의 평균 지방세포 크기는 1.7배 높았으며, 베타-글루칸 섭취군에서는 감소하여 정상대조군 수준으로 낮아졌다(P<0.05). 0.1% 베타-글루칸 섭취에 의해 혈청 유리지방산 농도는 19% 감소하였고, 반면 HDL 콜레스테롤 50% 증가 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베타-글루칸 공급은 렙틴과 같은 호르몬 분비와 지단백질 대사 변화로 지질 대사 개선을 유도하 고 체지방 형성과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 베타-글루칸은 고지방 식사에 기인하는 비만과 이상지혈증 개선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β-glucan obtained from bacterial fermentation on the adiposity and serum lipids level in rats. Sprague-Dawley rats fed high fat diet for 6 weeks to induce obesity, and subsequently fed with 0% (high fat control group), 0.1% or 0.5% β-glucan supplemented high-fat diets (w/w) for another 5 weeks. For comparison, normal control groups fed AIN-76A diet. Supplemented with 0.1% β-glucan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of high-fat induced peritoneal fat and visceral fat development by 16%, 19%, and 28%, respectively(P<0.05). Serum free fatty acid levels were reduced(by 19%), whereas the HDL 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by 50%) by 0.1% dietary β-glucan(P<0.05). In conclusion, dietary β-glucan reduced adiposity and improved serum lipids in obese rats fed high fat diet.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β-glucan supplementation to the diet is beneficial in suppressing diet-induced obesity and dyslipidemi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식이 DFA Ⅳ의 흰쥐 장내 단쇄지방산 생성 및 장내환경 개선효과

        경희(Hong, Kyung-Hee),장기(Jang, Ki-Hyo),순아(Kang, Soon Ah)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는 미생물 발효로 생산된 DFA Ⅳ의 장내환경 개선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동물실험을 통해 식이 DFA Ⅳ가 장의 길이 및 무게와 단쇄지방산 및 젖산 생성, 장내 pH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prague-Dawley종 흰쥐를 식이 무게의 DFA Ⅳ를 0%(대조군) 또는 1%로 함유한 식이로 3주간 사육하였다. DFA Ⅳ를 공급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맹장의 무게와 맹장벽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DFA Ⅳ 공급에 의해 맹장 내용물의 아세트산과 부티르산 함량이 각각 대조군의 1.6배, 3.2배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맹장과 대장의 pH도 DFA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DFA Ⅳ는 또한 맹장의 젖산 생성을 1.5배 증가시켜, 식이로 공급한 DFA Ⅳ가 장내에서 젖산균의 증식을 촉진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 DFA Ⅳ 함유 식이는 장에서 발효되어 장내 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DFA Ⅳ는 장건강에 유익한 프리바이오틱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roving effect of DFA Ⅳ obtained from bacterial fermentation on the gut health. The effects of the dietary DFA Ⅳ on the intestinal mass, short chain fatty acids production and pH were evaluated in vivo. Sprague-Dawley rats were fed the 0% (control) or 1% DFA Ⅳ supplemented diets for 3 weeks. Supplementation of DFA Ⅳ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cecal tissue and wall weights. Together with the lowering of the cecal and colonic pH, the amount of acetate and butyrate increased by 1.6 and 3.2 fold of the control group in the cecum, respectively, in the rats fed DFA Ⅳ diets. The DFA Ⅳ diet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ecal lactate 1.5 fold compared to the control diet, indicating that dietary DFA Ⅳ stimulated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a in the intestin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dietary DFA Ⅳ may be used as a putative prebiotic supplement.

      • KCI등재

        학교 스트레스의 비교연구 : 한국과 일본의 초 중학생을 중심으로

        광식,강안 ,진전창 한국초등교육학회 1994 초등교육연구 Vol.8 No.1

        학교교육에 적응하지 못하고 중학교를 중퇴한 자는 2만 2천명이 넘는다(1991). 이같은 학교 부적응은 학교스트레스가 원인이 된다는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한·일 양국의 초·중학생이 학교생활에서 어느 정도 스트레스를 인지하고 있으며 그것이 스트레스 반응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학교생활에서 불건강을 초래하는 요인을 예방하고 학생들이 보다 건강하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스트레스 주요인은 한·일 아동 모두 「교사·교우관계」, 「공부」, 「규칙」, 「지원결여」였고 중학생은 「교사와의 관계」, 「학업성취」등이었으며 스트레스원의 경향성은 우리나라 학생이 일본의 학생보다 높았고, 스트레스 반응의 표출인 「불쾌 ·분노감정」, 「우울·불안감정」, 「무력감」, 「신체적 반응」에서 한국의 중학생은 모두 「학업성취」와 가장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일본 중학생은 「교우관계」와 「학업성취」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a wide variety of maladaptation, such as school refusal or mental disorder, has remarkably increased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Japan. The increase of stressful events which students experience in their school life is regarded as one of the causes of this phenomenon. In the previous study which attempted to clarify the school stress process(Okayasu et al., 1992) developed the School Stressor Scale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SSS-J) to assess both the frequency and the aversiveness of events which students encounter in their daily school life, and extracted four main factors, i.e.,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lationship with friends, club activities, and achievement.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aggravating relationship with friends highly correlated to depressive-anxious feeling, and achievement did to helplessness. However, the cognitive appraisal of stressful events is considered to be extremely dependent on person variables, such as values, commitments, or general beliefs(Lazarus & Folkman, 1984),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differences of culture, social system, and/or national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ature of school stress in two countries, Japan and Korea,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s of nationality or educational system on school stress process. 400 Korean and 452 Japa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leted stressor scal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 (a) Korean students evaluated all the events more stressful than Japanese did. (b) Korean students also perceives achievement than Japanese did. 378 Korean and 542 Japanes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SSS-J and Stress Response Scal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a) Korean students evaluated all the events more stressful except for club activities of SSS-J than Japanese did: (b) Korean student also perceives psychological and physical distress more than Japanese did; (c)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achievement could explain each distress more than the other events in both Japanese and Korean students: and (d) relationship with teachers was relatively highly correlated with irritated-angry feeling in Japanese students, but was not in Korean. In summary, Korean students felt the events in school more stressful and showed more distress than Japanese did, and, however, did not differ much from Japanese students on the kind of stressful events which caused psycholosical or physical di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