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선 추적기를 활용한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읽기 이해력과 읽기 처리과정 연구

        강시내(Si-Nae Ka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4

        배경 및 목적: 시선 추적기를 활용하여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보이는 읽기 처리과정의 특성을 살펴보고 일반아동과의 차이점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읽기 이해력을 질문의 유형별로 살펴보고 일반아동과 비교한 후, 이야기 읽기 이해력과 어휘력, 읽기 처리과정, 작업기억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충청도 지역의 초등학교 2 학년에서 4학년에 재학 중인 단순언어장애 아동 12명과 일반아동 15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집단별 읽기 처리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시선 추적기를 활용하여 읽기 시간과 시선고정 횟수, 평균 시선고정 시간을 측정하였고, 집단 간 이야기 읽기 이해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세 가지 질문 유형으로 구성된 읽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야기 읽기 이해력과 읽기 처리과정 및 어휘· 작업기억 간 상관관 계를 확인하기 위해 수용 ·표현 어휘력 검사와 두 개의 작업기억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읽기 시간과 시선고정 횟수, 평균 시선고정 시간, 총 시선고정 시간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질문유형에 따른 이야기 읽기 이해력을 분석한 결과, 그룹에 따른 주효과, 질문 유형에 따른 주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읽기 이해력이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두 집단 모두 사실적 정보 이해, 텍스트 연결 추론, 빠진 정보 추론 순으로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수용 및 표현 어휘력과 읽기 이해력 사이에 매우 강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읽기 시간, 시선고정 횟수, 총 시선고정 시간 사이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글을 읽는 과정의 처리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아동 수준에 맞는 텍스트를 선정 및 배열하 고, 아동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읽기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는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읽기 과정의 처리과정을 분석하고 읽기 이해력을 담화수준에서 평가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process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compared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using an eye tracker.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d how reading ability correlates with vocabulary, personal background knowledge, and working memory, which is known as the basis of language develop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 children with SLI and 15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between the 2nd and 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groups, three kinds of questions were used and an eye tracker was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ding process. Also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and two working memory task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correlation with reading comprehension.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SLI need significantly longer reading time and on average need more fixation time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total time of fix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econdly, children with SLI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reading comprehension in all three types of questions tasks. Thirdly, reading comprehen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Conclusion: Children with SLI showed longer reading time and longer mean of fixation time. This study design allowed us to better understan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in word or sentence by using the story at the level of discourse appropriate to the level of school age children in the task.

      • KCI등재

        치유의 숲 이용객의 인체보온지수와 기후적응성에 관한 연구

        강시내(Kang, Si Nae),연평식(Yeon, Poung Sik)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치유의 숲 이용객의 착의 현황을 조사하여 인체보온지수와 기후 적응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이는 산림치유의 효과 중 온열쾌적감을 위한 착의량과 기후적응성 향상을 위한 착의량 제시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는 대관령 치유의 숲, 장성 치유의 숲, 장령산 치유의 숲 이용객을 대상으로 201부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Excel,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상관분석을 하였다. 치유의 숲의 기온과 풍속을 통해 산출한 인체보온지수와 치유의 숲 이용객의 총 착의량 차이에 따른 기후적응성은 인체보온지수와 실제 착의량과 차가 클수록 추위적응력이 낮았으며, 추위대응행동을 적극적으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인체보온지수와 착의량의 차에 대한 자기건강인식은 유의 수준 5%에서 유의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유의 숲을 방문하는 이용객들에게 치유의 숲이 위치한 지역의 기온, 풍속 등 기상요소가 반영된 인체보온지수를 적용한 착의행동을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각 치유의 숲 방문객 인체보온지수와 실제 착의량의 평균 -0.2clo 범위의 차이를 가진 이용객들이 쾌적하다고 파악되었기에 치유의 숲 활동 중 착의행동조절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clothing for healing forest visitors to identify the clo-unit, clothing weight and climate adaptation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amount of clothing for thermal comfort and the amount of clothing for the improvement of climate adaptability among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The survey conducted 201 surveys of visitors to Daegwallyeong Healing Forest, Jangseong Healing Forest, and Jangnyeongsan Healing Forest.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Excel, SPSS 18.0 program. The climatic adapt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lo-Unit calculated through the temperature and wind speed of the healing forest. It was also show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lo-unit of actual clothing weight and the recognition of self-health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5%.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visitors to the healing forest should take an act of wearing a clo-unit that reflects weather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wind speed in the area where the healing forest is locate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visitors of each healing forest will be used to control the behavior of wearing clothes during healing forest activities, as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lo-unit and -0.2clo (average) range of actual wearing is pleasant.

      • 9-35개월 영유아의 어휘발달에 미치는 음운 및 의미론적 인접밀도의 영향

        양윤희(Yoon Hee Yang),강시내(Si Nae Kang),김유미(Yu Mi Kim),이상언(Sang Eon Lee),임동선(Dong Sun Y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Phonemic and semantic representations in infants and toddlers change as they acquire words, and the relationship becomes stronger and more detailed. The main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how phonolog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expressive vocabulary from existing CDI data (CDI-E) by infants and toddlers. Methods: Twenty four infants aged 9-17 months (F=13, M=11) and 31 toddlers aged 18-35 months (F=15, M=16)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ll within the normal range of a nonverbal IQ, and parental report was confirmed about current language ability, behavior pattern and activity preferences, and family history. The phonological neighborhood density (PND) and semantic neighborhood density (SND) scores were obtained from existing data using K M-B CDI.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infant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 than toddlers, the PND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ND, and the expressive vocabulary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receptive vocabulary score. 2) The correlations between PND-E and total CDI-E were significant in infant groups, and PND-E, PND-R, SND-E, and SND-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DI-E in toddler groups. 3) PND-E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CDI-E in infants, whereas both PND-E and SND-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DI-E in toddler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should be more elaborate for the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in case of high phonological neighborhood density between words. The influence of phonological neighborhood density in vocabulary scores was consistently significant in both groups, whereas the semantic effect increases from infants to toddl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