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접알고리즘 역해석 기법을 이용한 굴착단계별 흙막이 가시설 변위 및 축력의 적정성 평가

        강소라,전제석,이영진,이준석,이강일,So-Ra Kang,Je-Seok Jeon,Yeong-Jin Lee,Jun-Seok Lee,Kang-Il Lee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24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23 No.1

        In this study, direct algorithm-based back analysis was utilized to perform back analysis on two actual earth retaining wall fields, which was then compared with genetic algorithm-based metho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back analysis. Additionally, in order to propose effective utilization methods of the program, the measurement data, as the input for the back analysis, was varied for each excavation step,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back analysis results(displacement, axial force) was examined.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both direct algorithm and genetic algorithm show high applicability; however, the optimization for this program is better predicted by the direct algorithm. Moreover, in order to effectively use the back analysis program employing the direct algorithm, it was evaluated that relatively accurate prediction of the earth retaining wall behavior could be achieved by inputting measurement data from the 7th excavation step for fields with final excavation steps ranging from 8 to 11.

      • 개인의 스트레스, 집단의 학습분위기와 응집력이 지식창출에 미치는 영향

        강소라(Kang, So-Ra),김민선(Kim, Min-S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지식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즉, 개인의 목표에 대한 그리고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는 지식창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때 팀의 어떠한 요소들이 이러한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고 지식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지식창출을 위해 자원에 비해 과도하게 설정된 목표로 인한 목표 스트레스(goal stress of resource inadequacy)와 지식창출을 위한 업무과정에서 발생하는 직무 스트레스(job stress)는 지식창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나 지식창출을 위해 구성된 팀구성원들이 열심히 배우려고 하고 실패도 두려워하지 않는 분위기(팀 학습분위기) 속에서 강하게 결속되어 있다면(팀 응집력) 스트레스로 인한 지식창출에 대한 부정적 영향은 약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수준의 변수와 개인수준의 변수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본 연구의 성격상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다수준접근방법을 적용하여, HLM 6.08을 사용한 위계적 선형 모형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지식창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목표 스트레스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의 학습분위기는 지식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목표 스트레스와 지식창출간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의 응집력 역시 지식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직구성원의 웰빙이 조직이 혁신성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소라(Kang, So-Ra),엄혜미(Um, Hyemi),김민선(Kim, Min-S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7

        본 논문은 통제나 시스템, 제도의 개선 등 외재적 방법이 아닌 조직구성원의 마음을 얻는 근본적인 방안이 제고되어 야 한다는 생각으로 조직구성원이 근로생활에서 느끼는 웰빙을 혁신성 제고의 주요 요인으로 보고 이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 였다. 국내 기업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것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웰빙의 구성요인으로 선택한 상사신 뢰, 의사소통, 직무만족, 조직몰입은 모두 조직의 혁신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영향력은 다시 신제품 개발능력으로 이어져 조직의 혁신성이 신제품 개발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조직의 혁신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 영향요인으로 고려되지 않던 ‘구성원의 웰빙’을 중심으로 조직 혁신성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는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focuses upon ‘organizational members’ well-being’ in order to explain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performance. Based on a survey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Korean firms, we find that supervisory trust, communica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employee well-being variabl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explain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dditionally, our results also suggest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lso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Overall,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accounting for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well-being’ when examining the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firm performance relationship.

      • KCI등재

        고추 생산량 예측을 위한 환경요인과 생육요인 및 관수시설유무에 대한 고찰

        강소라(So Ra Kang),조완현(Wanhyun Cho),나명환(Myung-Hwan Na),최돈우(Don Woo Choi)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1

        우리나라에서 고추는 필수적인 조미료로 사용되고 있고, 가장 부가가치가 높은 채소 작물로 간주된다. 이런 이유로 고추를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고추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배방법에 큰 관심을 갖는다. 최근 생산현황을 살펴보면 고추는 주로 노지에서 재배하기 때문에 고추의 생산량이 여러 가지 환경요인들과 생육요인들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이에 생육품질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규명하고, 생리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생산량을 최대로 할 수 있는 고추재배와 관리에 대한 최적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우리는 재배환경과 생육요인들에 따라 고추의 수확 개체수와 수확 무게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파악할 수 있는 상관분석을 실시한다. 또한 선형 회귀분석과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고추의 수확 개체수와 수확 무게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들과 생육요인들을 알아내고자 한다. 끝으로 관수유무시설여부를 추가한 모형과 추가하지 않은 모형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고추의 생산성과 생육품질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재배관리전략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세부적인 관수량 조절과 시기별 영향력을 고려한 분석을 수행하여 더 좋은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Korea, pepper is used as an essential seasoning and is irrigated as the most valuable vegetable crop. For this reason, farmers growing peppers are interested in a growing method that can improve the production of peppers. Looking at the recent production status, since the pepper is mainly grown in the open field, the production of pepper is affect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d growth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growth quality, and considering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ptimal technology for pepper cultivation and management that can maximize the yield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carry out a correlation analysis to understand how the number of harvested peppers and the weight of peppers differ depending o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nd growth factors. In addition, through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growth variable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and weight of harvested peppers are investigated. Finally, the model with and without watering facilities was compared. Through this, a cultivation management strategy was suggested to maximize the productivity and growth quality of pepper.

      • KCI등재

        기상 및 토양환경 정보를 이용한 노지 채소의 토양수분 변화 및 예측 모델 개발

        강소라(So Ra Kang),조경철(Kyung Chul Cho),나명환(Myung Hwan Na)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4

        토양수분은 식물이 자라는 데에 필수적인 요소로 기상환경 및 토양환경에 따라 생화학적으로영향을 받는다. 노지 채소의 성장기간 동안 적절한 토양수분 관리는 수확량 증대로 이어지므로노지 채소별 토양수분 관리는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농가에서 토양수분 관리는 농업인들의경험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다습한 환경 조건하에서는 어려운 문제로 주어진다. 따라서 기상환경 및 토양환경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노지 채소(양파)의 토양수분을 관리할 수 있는 모델을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시간 단위의 기상환경 및 토양환경을 이용하여 토양수분과의 상관관계를규명하였다. 다음으로 시그모이드 함수 기반 비선형 회귀모형(non-linear regression, NLS)을 이용하여, 구비대기 동안 토양수분을 예측할 수 있는 통계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끝으로 제안하는 모형이 토양수분 예측 모델로서 적합 그리고 우수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서포트 벡터 회귀(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RF), 엑스지 부스트(extreme gradient boosting, XGB) 알고리즘과 비교 분석하였다.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와 평균절대오차(mean absolute error, MAE)를 통해 성능을 비교한 결과, NLS 모델이 밭재배에서는 우수하였으며, 논재배에서는 다른 모델에 비해 최대 토양수분에서 과소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모델이 다양한 토양환경에서도 적용하기 쉽고, 시간 단위로결과를 산출하기 때문에 농가에 유용한 토양수분 관리 시스템으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Soil moisture is an essential element for plant growth and is biochemically affected by weather and soil environments. Farmers have difficulties in managing soil moisture, and existing soil moisture prediction models require a lot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refore, we intend to develop a model that predicts soil moisture per hour using only limited environmental information.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moisture and the environment is ident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Next, a statistical soil moisture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nonlinear regression model (NLS) using a sigmoid function. Finally,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proposed model is suitable as a soil moisture prediction model, it was compared with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of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random forest (RF), and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 which are widely used in previous studies. Through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nd mean absolute error (MAE), it was found that the NLS model was superior in field cultivation and underestimated the maximum soil moisture in paddy cultivation compared to other models. Since the proposed model is easy to apply in various soil environments, it is expected to help as a useful soil moisture management system for farmers.

      • KCI등재

        클라우드 서비스 위험이 포기옵션 사용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조절변수와 매개변수 연구

        강소라(Kang So Ra),남승현(Nam Seung Hyeon),양희동(Yang Hee Dong) 한국산업정보학회 2017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2 No.4

        본 논문은 클라우드 서비스 위험(기술, 관계, 경제, 보안 차원)의 클라우드 서비스 포기 옵션 사용 의도에 관한 효과에 대하여 두 가지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이 두 변수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조절변수로서 정보시스템 성숙도 변수의 영향을 살펴보았고, 두 번째는 이 두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매개변수로서 클라우드 서비스 만족도의 영향도를 살펴보았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모두 부분적으로만 유효한 결과가 발견되었다. 특히, 클라우드 사업자와의 관계에 대한 위험의 영향에 대한 조절효과와 매개효과가 모두 유효하게 검증되어, 이 위험의 위협을 줄이기 위한 포기옵션의 매력도가 언제 그리고 왜 매력적인지를 이해하게 되었다. We Investigated the Two Additional Effects Regard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Risks of cloud Services on the Intention to use the Abandonment Option. First, we Empirically Tested the Moderation Effect of IS Maturit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Second, we also Investigated the Mediation Effect of Cloud Service Satisfaction on the same Causal Relationship. We could find the Moderation and Mediation Effect only on the Influence of Relational Risk (Which Occurs from the Power Abuse of Cloud Service Providers) on the Intention to sue the Abandonment Option. So, we have better Understanding when and how the Abandonment Option is Attractive in Reducing the Potential Influence of the Relational Risk in using the Cloud Services.

      • KCI등재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자원동원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소라(So-Ra Kang),김윤정(Yoonjung Kim),서형은(Hyung-eun Seo),방윤이(Yun-Yi Bang),이건정(Gunjeong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6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감정 노동과 자원동원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예측적 상관관계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한지 6개월 이상의 간호사 138명이고, 자료 수집은 2016년 4월 10일부터 17일까지 온라인상에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와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감정노동은 연령, 결혼유무, 직위, 임상 경력, 교대근무에 따라, 자원동원성은 성별과 임상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직 의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회귀 분석 결과에서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로는 감정노동(ß=.19, p=.048), 자원동원성(ß=-.18, p=.038)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이 이직 의도를 설명하는 정도는 3.7%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원 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해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자원동원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병원 조직 관리차원에서 이를 활용하여 전략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다면 병원간호사의 이직 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is predictive correlational study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resourcefulness on turnover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138 clinical nurse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an online survey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10thto 17th April,2016.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through t-test, One-way ANOVA,Scheffe’s 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In the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emotional labor by age, marital status, job position, clinical career, shift work, in resourcefulness by gender, clinical career, and in turnover intention by age. As a result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emotional labor and resourcefulness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related variables affecting nurse’s turnover intentions. These factors accounted for 3.7% of turnover intention, which necessitates the consideration of a specific plan to reduce emotional labor and increase resourcefulness for decreasing clinical nurse’s turnover intention.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