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려말 탐라목장의 운영과 영향

        강만익 ( Kang Man Ik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2

        이 논문은 고려 말 원 제국이 탐라(제주)에 설치했던 탐라목장의 운영과 영향에 대해 조명한 것으로, 원 제국은 1273년 고려군과 함께 제주도에 있는 삼별초 군대를 진압했다. 그 후 탐라를 직할지로 삼은 원 제국은 1276년 8월 군마를 생산하기 위해 탐라 목장을 설치했다. 이 목장은 제주 地域史에서 최초로 등장한 것이었다. 원 제국은 탐라의 다루가치로 임명된 타라치에게 말 160필과 목축 전문가인 하치들을 보내 탐라목장을 운영하도록 했다. 이 목장은 1276년에 제주 동부지역의 수산평 그리고 1277년에 서부지역의 차귀평에 입지했다. 원 제국의 탐라목장 설치는 제주지역 목초지에 대한 정복과 지배의 여정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원 제국은 제주의 동부지역을 東아막, 서부지역을 西아막으로 삼아 이곳의 목장을 조직적으로 관리했다. 아막은 넓게는 道·郡 등에 해당하는 행정단위, 좁게는 목장을 관리하는 본부의 역할을 했으며, 동·서 아막 내에는 몽골인들의 전통 집인 게르와 城이 있었다고 추정된다. 목장이 설치된 초기에 원 제국은 일본 정벌을 앞두고 있어 탐라에서 말을 반출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1295년에야 원 조정에서는 관리를 보내 탐라에서 말을 반출해갔다. 이것은 탐라목장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즉, 목장 운영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해 취해진 조치로 해석된다. 1296년 원 제국은 탐라목장을 전담해 운영할 단사관[자르구치]을 파견했다. 1300년 원 제국은 사망한 황후의 마구간 말을 탐라목장에 방목했고, 탐라총관부를 일시적으로 부활시키는 등 목장운영에 적극성을 보였다. 그러나 1350년대에 들어와 공민왕이 반원 정책을 전개하고, 명나라가 고려에 탐라 말 2,000필을 요구함에 따라 하치들이 집단적으로 저항했다. 이것은 ``목호의 난``으로 알려지며, 이에 따라 공민왕은 탐라에서 원의 세력을 척결하기 위해 최영 장군에게 탐라의 목호세력에 대한 정벌을 명령했다. 그 결과 목호군이 1374년 최영 군대에 의해 진압되면서 목호세력은 큰 타격을 받았으며, 몽골인이 운영했던 몽골식 탐라목장이 쇠퇴하기 시작했다. 탐라목장이 운영되는 과정에 몽골인 거주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몽골식 목축경관이 등장했고 몽골의 목축문화가 탐라사회로 전파되었다. 이 목장에 대한 탐색 결과, 조선시대 제주도에 설치되었던 국영목장과 산마장 등은 일정 부분 제국이 운영했던 탐라목장과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탐라의 목축 방식 역시 원 제국의 하치들이 탐라에 전파했던 목축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본다. This paper sheds light on actual conditions and influence of the Tamra Ranch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at was established by Mongol Empire. In 1273, the Mongol Empire(the Yuan Dynasty) suppressed the Sambyeolcho[三別抄] army in collaboration with the Goryeo Army in in Jeju Island. Khubilai Khan of the Mongol Empire, who put Tamra under the direct control, established a ranch in Tamra to produce military horses in August 1276. The ranch,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amra, was operated by the Tarachi designated by the Darughachi of Tamra with 160 horses and the dispatched stock farmers(Khachi). The Tamra Ranch[耽羅牧場] was separately located in Susanpyeong [水山坪] in the Eastern area of Jeju in 1276 and in Chagwipyeong[遮歸坪] in the Western area in 1277. Establishment of the Tamra Ranch by the Mongol Empire was the signal to inform the journey of conquest and domination over the pasturelands in Jeju Island. The Mongol Empire built the Eastern Aimaq[阿幕] and the Western Aimaq to systematically operate the ranch. The Aimaqs served as a headquarters to manage the ranch, and Gers and castles were within the Aimaqs. The Mongol Empire did not take out horses from Tamra to the Mongol Empire at the beginning of the ranch, since the empire was planning to conquer Japan. The Mongol Empire started to take out horses from Tamra via the government officials in 1292. This was aimed to check whether the Tamra Ranch was operated in a stable manner and examine the ranch operation system. The Mongol Empire dispatched the Jarguchies[斷事官] to Tamra to operate the ranch in 1296. The Mongol Empire put the horses of the stable owned by the deceased empress to pasture in the ranch in Tamra in 1300, and actively operated the ranch by temporarily reviving the Tamlachonggwanbu[耽羅摠管府]. As King Gongmin developed the policies against Mongol in the 1350s and the Ming Dynasty requested 200 horses in Tamra to Goryeo, Karachies staged a revolt. With the revolt, known as the ``revolt of Mongol malchin``, King Gongmin ordered General Choi Young[崔瑩] to conquer the Mongol malchin[牧胡] to eradicate the Mongol forces. As the main military force of Mongol malchin in Tamra was collapsed by General Choi Young`s Goryeo troops in 1374, the Mongol malchin, who ran the ranch in Tamra, were hit hard, whereby the Tamra ranch started to be declined. With the operation of the Tamra Ranch, the Mongolian`s village was formed for the Mongolian officials, Khachies and prisoners and the culture of stock-farming was spread to the Tamra society.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the Tamra Ranch, it is concluded that Gukmajang[國馬場]-the national ranch of Joseon-Dynasty and Sanmajang [山馬場] established in Jeju Island in the Joseon Dynasty were mostly took over from the Tamra Ranch, which as ran by the Mongol Empire. It is also considered that the methods of stock-farming were rooted in the culture of stock-farming that was spread to Tamra by Mongolian Khachies.

      • KCI등재

        일제강점기 濟州島漁業組合 설립과 운영

        강만익(Man-Ik Kang) 제주학회 2022 濟州島硏究 Vol.58 No.-

        이 연구는 일제강점기 濟州島漁業組合의 설립과 운영 실태를 조명한 것이다. 어업조 합은 조선총독부가 자국민의 조선 이주를 장려하고, 조선의 바다에 대한 어장 침탈을 가속화하기 위해 설립된 조직체였다. 제주도 최초 어업조합은 「어업조합령」(1912)에 근거해 1916년 설립된 월정리어업조합이다. 이후 추자도어업조합(1919), 제주도해녀 어업조합(1920), 서귀어업조합(1925)이 등장했고, 이 가운데 제주도해녀어업조합은 어획고가 가장 높았던 “조선 제1의 어업조합”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조선어업령」(1930)이 발효되면서 면단위 어업조합이 설립되었으나, 1936년 12월 일제의 어업조합 재편성 정책에 따라 추자도어업조합을 제외한 면단위 어업조합과 제주도해녀어업조합이 제주도어업조합으로 통합, 재출범했다. 남동해안에 진출했던 제주 출가해녀 조합원들은 1930년대에 부산과 경남, 경북 해안 등 출가지역 어업조합 가입과 입어료 납부를 둘러싼 입어 분쟁에 시달리면서도 연안 바다에서 해조류를 채취해 수입을 올렸다. 제주지역에 어업조합이 설립된 결과, 제주 어민들은 반강제적으로 어업조합에 가입 하지 않으면 제주 바다를 이용할 수 없게 되고 말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조합원들은 어업조합의 횡포에 맞서면서 항일운동이라는 역사적 평가를 받는 1926년 추자도어 업조합 어민항쟁과 1932년 제주도해녀어업조합 해녀항일운동을 일으켰다. 일제강점기 제주도어업조합에 대한 시론적 연구는 제주 해녀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기회가 될 것이며, 나아가 어업조합이라는 창을 통해 일제강점기 제주도 근대사와 어업사의 단면을 이해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Jeju Island fishermen’s associa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Fishermen’s associations began to be established under the Joseon Fishery Ordinance and the Fishermen’s Associations Rule promulga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1912, and the number of fishermen’s associations had since increased to approximately 200 by 1942. The first fishermen’s association established in Jeju Island is Woljeong-ri Fishermen’s Association in Woljeong-ri, Gujwa-myeon in 1916. The association was founded by Park Seong-il and other villagers as the anchovy fishery in Woljeong-ri had the largest catch in Jeju Island. Later, the Chuja-do Fishermen’s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1919; the Jeju Island Haenyeo’s Association in 1920; and the Seogwi Fishermen’s Association in 1925. The 1929 promulgation of the Joseon Fishery Ordinance led to the establishment of myeon-unit fishermen’s associations in Jeju Island in the 1930s. Members of fishermen’s associations in Jeju Island protested against the tyranny of fishermen’s associations, as seen in the 1926 uprising by fishermen from the Chuja-do Fishermen’s Association and the 1932 anti-Japanese movement by haenyeo from the Jeju Island Fishermen’s Association. The study on Jeju Island fishermen’s association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learn about the modern history of Jeju Island through fishermen’s associations.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제주도 잣성(牆垣) 연구

        강만익 ( Man Ik Ka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9 탐라문화 Vol.0 No.35

        잣성이란 명칭은 1970년대부터 제주도의 지형도(1974년 편집)에 공식적으로 등장한 용어로, 조선초기부터 한라산지에 설치된 국영 목마장의 상하 경계에 쌓은 돌담을 가리킨다. 이러한 잣성은 하잣성, 상잣성, 중잣성, 간장으로 구분된다. 이중 하잣성은 해안지대 농경지와 중산간지대 방목지와의 경계부근에 그리고 상잣성은 중산간지대 방목지와 산간지대 삼림지와의 경계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중잣성은 상잣성과 하잣성 사이의 공간을 이등분하는 잣성이다. 상·중·하잣성들은 목마장 상하한선을 나타내는 경계선인 반면 간장은 각 목장간 경계선에 해당된다. 하잣성은 중산간 목축지에 방목중인 우마들이 해안지대의 농경지에 들어가 입히는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축장되었으나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중산간 지대에서 행해지고 있었던 지역주민들의 농경지 개간을 금지함으로써 이 지대를 목장지대로 지정한 다음 안정적으로 말을 사육할 목마장를 설치하려는 의도가 숨어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상잣성은 우마들이 한라산 삼림지역으로 들어가 동사하거나 잃어버리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잣성들을 통해 제주도민들은 일찍부터 한라산지를 공간적인 측면에서 구분하여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현재 해발고도를 중심으로 한 제주도의 지역구분-해안지역, 중산간 지역 및 산간지역-보다 먼저 이루어진 것이라는 데 의의가 있다. 잣성은 제주도민들을 부역형태로 동원하여 축조되었으며, 하잣성이 가장 먼저 형성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잣성들은 무관심 속에서 방치되거나 훼손되고 있다. 따라서 잣성이 가지는 역사문화적 가치를 감안할 때 더 이상 훼손되기 전에 하루 속히 문화재 또는 민속자료, 기념물 등으로 지정, 보호되어야 한다. 잣성은 첫째, 중산간 지대에서 행해진 목축이라는 경제활동을 대표하는 상징적 조형물이며, 둘째, 조선시대 제주도 목마장의 존재를 증명하는 유일한 유적경관이라는 점에서, 셋째, 선형(線形)의 유물(적)로, 제주도에만 남아있는 역사유물 중에서 길이가 가장 길며, 넷째, 단순한 돌무지가 아니라 제주도 선조들의 피와 땀이 서려있는 역사적 유물(적)이라는 점에서 역사문화적 가치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조선시대 목축활동과 관련된 잣성이 제주도에만 분포한다는 점에서 볼 때, 그 가치는 크다고 볼 수 있다. 차후 잣성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와 함께 보호대책이 시급하다. This paper is a study on formation and distribution of Jatseong in Mt. Halla-san Reg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A term of Jatseong appeared officially in Jeju Do topographic map that was edited at 1974. Jatseong means long stone wall of Mt. Halla-san Region that was builded to define the boundary of Government-installed ranches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Jatseong was consist of Sang-Jatseung, Ha-Jatseung, Jung-Jatseung, Gan-Jang and was erected as the upper and lower boundaries of Sip-sojang. From among these, Ha-Jatseung is locate in boundary line(200 meters above sea level) of the Middle-Mountain Region and Coast Region. It was the bottom line of Sip-sojang(十所場). Hajatseong was made from stone consisting of double lines in the boundary neighborhood of grazing land and farm land. Hajatseong was erected to prevented the invasion of farm land by cattle and horses. It was a upper line to cultivate inhabitants residing in the coastal area. Sangjatseong was established to prevented loss from freezing to death or loss horses at Halla Mountain forest belt. Sang-Jatseung is locate in boundary line(600 meters above sea level) of the Middle-Mountain Region and Intermountain area. Jung-Jatseung was divide into two equal parts area of Ha-Jatseung and Sang-Jatseung. As a symbol of Jeju Island ranches that operated by government during the Chosun Dynasty, Jatseong need systematic study and a conservation counterplan because Jatseong is impairing deeply by natural causes and social unconcern. As a method of preventing impairment to Jatseung,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must authorize the Jatseung as cultural properties and must protect Jatseung carefully.

      • KCI등재

        일제하 제주도농회(濟州島農會)의 운영 실태와 성격

        강만익 ( Man Ik Ka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1 탐라문화 Vol.0 No.38

        이 연구는 1930년대 제주도 마을공동목장조합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濟州島農會가 이 조합의 운영에 깊이 개입했음을 확인한 것이 계기가 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주도농회가 이 조합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파악하는 선행연구 차원에서 제주도농회의 운영 실태와 그 역사적 성격을 구명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기록원에 보관되어 있는 1941∼1943년 제주도농회 자료와 1943년 조선총독부에 제출한 「국유림대부허가원」 문서를 발굴하여 일제하 제주도농회의 창립배경과 운영조직 그리고 사업별 재정운영 실태를 면밀히 검토한 것이다. 이 농회는 1926년에 조선총독부의 인가를 받아 창립되었으며, 회장은 濟州島司가 겸임했다. 일제의 식민지 농축산 정책을 제주도에 실현하는 농업단체였으며, 특히 일제말기 군수품 확보에 필요한 밭작물 재배와 함께 축산장려정책을 집중적으로 시행했던 조직이었다. 이에 따라 제주도내에서 제충국, 감저(고구마), 면화 등 상품작물 재배와 양잠, 면양, 우마 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제주도농회 주도로 농축산물 공출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조선총 독부의 농축산 장려정책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각종 사업마다 기수와 지도원 그리고 독려원 등을 해당 마을에 파견하여 면작, 전작, 양잠, 축산증산을 핵심 사업으로 추진했을 뿐만 아니라 기술전수와 계몽을 위해 경작회, 품평회, 전습회, 강습회 등을 실시했다. 태평양전쟁 중이었던 1943년 이 농회는 조선총독부에「국유림대부허가원」을 제출, 제주도 중산간(해발 200m~600m) 17개소에 가축방목장을 운영했다. 그러나 제주도에 주둔한 일본군들이 주민들을 강제로 동원해 중산간 목장지대 내 오름(측화산)을 중심으로 진지동굴을 구축하고, 마을 공동목장에 방목했던 소들이 피해를 보는 상황에서 이 농회의 가축방목장 운영은 부분적으로 실행될 수밖에 없었다. 이 연구를 통해 그동안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던 제주도농회의 운영 실태와 그 역사적 성격을 구명하고 제주도 농축산업 변화에 미친 제주도농회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제주도농회는 조선 총독부의 농축산 정책을 충실히 이행했던 관변단체이면서 공출에 앞장 선 수탈조직이었다는 역사성을 지닌다. 앞으로 면지역에서 활동했던 제주도농회 面分區에 대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긴다. This thesis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nagement of the Jejudo-Nongheo(濟州島農會)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Jejudo-Nongheo was established in April, 1926. It`s office was located in Jejudo provincial government and its president was Jejudosa (濟州島司). It`s main department heads was command by Japanese and they were hold real power of Jejudo-Nongheo at 1943. It was composed of president, vice chairman and ordinary, special assemblyman. The Jejudo Nongheo was faithfully carried out agricultural policy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o supply war supplies, it was put spurs to produce sweet potato, upland cotton, insect flower and sheep, horses and cows. To increase production of agro-livestock, the Jejudo Nongheo was held competitive show, workshop, quality evaluation and utilize cooperation seller`s office, water supply spot, cooperation storehouse, common breeding ground. To obtain high-grade seed, it operated seed-gathering and guide field. To effective administration of agro-livestock production and provide war supplies in a short time, the Jejudo Nongheo was send stimulate personnel and agricultural agent all work and push ahead cotton culture, silkworm raising, stockbreeding as core operations. Ago and livestock products in Jejudo were offered to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by delivery policy with the help of the Jejudo Nongheo. As a result of analyze budget and settled accounts of the Jejudo Nongheo(1941), it`s settled accounts was reduced in compared with the budget sum. Therefore, this Nongheo was carry out retrenchment under war basis(1937-1945). The Jejudo Nongheo was carry out stockbreeding improvement and encouragement policy to Nongheo members to production increase of stockbreeding and was submit national forest loan permission request to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t 1943 and operated pasture in the middle-mountain regions(中山間地帶) but pasture building program cannot effective satisfactorily because Japanese army construct encampment cave with compulsory mobilization of inhabitant. In conclusion, Jejudo Nongheo was a the Pro-Japanese Official Organizations and colonial exploitation association that take the head offering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in Jejudo 1940s. This thesis confirm that essence of the Jejudo Nongheo and review its role to agriculture history and pasturage history of Jejud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terials for various kinds agricultural organization and cooperative union existed in Jejudo will contribute to correct Jeju history as local history.

      • KCI등재

        제주지역 독립운동 사적지 활용방안

        강만익 ( Kang Man-ik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7

        최근 지방자치단체는 독립운동 사적지를 지역민의 정체성을 발견하는 장소로 이용하거나 역사문화 관광자원으로 삼고 있다. 이 글은 2017년 12월 말 현재 제주지역 독립유공자로 인정된 148명에 대한 현황분석과 그들의 활동거점인 독립운동 사적지의 활용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148명 독립유공자 공적개요를 중심으로 파악한 독립운동 양상은 국내항일운동(82), 일본방면활동(19), 3·1운동(18), 학생운동(18), 의병(4), 문화운동(4), 광복군(1), 애국계몽운동(1), 임시정부(1) 순으로 나타났다. 독립유공자 훈격 현황은 대한민국장, 대통령장, 독립장은 해당자가 없으나, 건국훈장에 속하는 애국장(21)과 애족장(79) 그리고 건국포장(21), 대통령표창(27)이 확인됐다. 148명이라는 독립유공자 수치는 『제주항일인사실기』(2005)에 기재된 독립운동인사 500여명의 30% 정도에 불과해 추가 자료발굴을 통해 독립유공자 지정을 확대했으면 한다. 제주지역 독립운동은 민족주의 계열에 속하는 의병운동, 법정사 항일운동, 조천 만세운동에서부터 시작해 192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주의와 아나키즘 실현을 지향하는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사회주의 계열에는 신인회, 신간회, 제주청년동맹, 제주야체이카, 제주적색농업조합이 대표적이며, 무정부주의를 표방했던 아나키즘 계열에는 우리계(宇利契)가 있었다. 제주지역 독립운동 사적지를 가지고 다크투어리즘을 활용한 역사관광상품 개발, 항일독립운동 아카이브 구축, 스토리텔링과 콘텐츠 개발, 청소년 보훈캠프 등 활용방안이 필요하다. 이 글이 제주지역 독립운동사 연구를 유도하고, 현재 방치되고 있는 독립운동 사적지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dependence movements carried out by 148 persons of distinguished service to independence in Jeju region and suggests a method to utilize independence movement historical sites.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issues for further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of December 2017, there are 148 people recognized as the person of distinguished service to independence in Jeju region, and they account for only 30% Third, it is necessary to find materials to prove the activities of independence activist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ut in experts specialized i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and to find materials on the persons who participated in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Cultural Movement, New Education Movement and others but failed to be recognized as the person of distinguished service to independenc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find materials about Kang Pyeong-guk, who was a female independence activist, Im Do-hyeon, who was a Jeju anti-Japan pilot, and the people involved in the Fishermen’s Struggle Against Japanese in Chujado Island. Fourth,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cogni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historic sites. It is necessary to brand the sites and make them ‘a place to visit’ or ‘a place to stay’ by revitalizing the entire sites rather than just to keep them as historic sites or cultural properties. Fif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story tourism products and services related to dark tourism, establish anti-Japan independence movement archives, develop storytelling and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and establish a youth patriot camp by utiliz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historic sites. Further, it is worth establishing the networks between historic sites and civil societies, fostering the commentators of anti-Jap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and linking the regeneration of old downtowns and the revitalization of villages in Jeju. Sixth,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role of Jeju anti-Japanese Memorial Museum. Approximately 350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re not yet recognized as persons of distinguished service to independence due to the lack of evidence. In order to help them to be recognized as persons of distinguished service to independence, Jeju anti-Japanese Memorial Museum should actively hold independence movement-related academic seminars,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independence movement researchers, and expand the employment of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specialists as curators, beyond performing facilities maintenance and repair. Finally, in order to protect and preserve Jeju independence movement historic sites, the following are needed: the active involvement of the residents in villages where historic sites are located; the participation of youth and students; and great efforts of civil societies, Jeju history research groups, Jeju Research Institute and Jeju Anti-Japanese Memorial Museum.

      • KCI등재

        일반논문 : 근현대 한라산 상산방목의 목축민속과 소멸

        강만익 ( Man Ik Ka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3 탐라문화 Vol.0 No.43

        1970년에 국립공원, 2007년에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된 한라산은 제주도민들의 일상생활과 목축민속 그리고 다양한 역사의 전개에 영향을 주고 있는 삶의 터전이었다. 이 연구는 근현대 제주지역 한라산 아고산지대에서 이루 어진 상산방목을 주제로 한 한라산에 대한 역사민속학적 접근의 하나에 해당된 다. 그동안 제주지역에서의 상산방목은 농촌마을 촌로들만 기억할 뿐 논문형식 의 학술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상산방목은 백록담 부근 해발 1400~1950m에서 이루어진 아고산지대 목축형태로, 우리나라에서는 해발고도 가 가장 높은 장소에서 이루어진 목축민속이었다. 상산방목이 이루어진 한라산의 목축지로는 백록담 남쪽의 선작지왓, 움텅밭, 백록담 북서쪽의 사제비~만세동산, 큰두레왓, 가메왓, 개미등이 있었다. 목축민 들은 여름철 파종을 마무리한 후 일정한 날을 정해 백록담을 랜드마크로 삼아 우마를 올렸다. 이곳에는 마을과 상산방목지를 연결하는 상산방목로가 존재했 다. 상산방목은 계절적 방목이면서 이목(移牧)에 해당되었으며, 이것이 이루어지 기 위해서는 초지, 물, ``궤``가 필요했다. 초지와 물은 우마의 생존에 필수적인 자 연요소였으며, 특히 ``궤``는 소규모 자연동굴로, 방목우마를 관리하는 테우리(목 자)들의 임시 거처로 이용되었다. 해안마을과 중산간 마을에서 원하는 목축민이면 누구나 상산방목지를 무료로 활용할 수 있었다. 상산방목은 대체로 제주도 남북부 지역인 제주시 동지역(구, 제주시)과 애월읍 광령리 그리고 서귀포시 중문동~하효동 지역민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상산방목지는 해발고도가 높아 서늘하여 진드기 피해가 없었기 때 문에 방목지로 선호되었다. 다만 수시로 변동하는 일기변화와 많은 비바람은 어 린 송아지와 망아지들에게 피해를 주었다. 목축민들은 대체로 우마들을 절기상 청명일을 전후해 상산으로 올린 다음, 상강일 경에 상산에서 마을로 이동시켰다. 상산방목은 상산으로 우마 올리기, 방 목하기, 데려오기 순으로 진행되었다. 방목기간은 5개월 정도였으나, 마을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상산에 처음으로 방목을 하거나 방목 중 잃어버린 우마를 찾으려 할 때 마른 옥돔과 양초 등을 준비해 고사를 지냈으며, 우마에 낙인과 귀표를 한 다음 방목했다. 한라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국가정책에 의해 국립공원 내 방목이 전면 금지되면서 상산방목 민속은 소멸되고 말았다. Hallasan(1,950m) was designated a national park in 1970, also designated a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in 2007. This mountain was a base that influenced to unfolding of various history and daily lives and breeding-culture of Jeju peoples. This paper is an historical-folklife study about Sangsan-graze(上山放牧) of pastoralists get done in Mt. Halla of Jeju region at modern and contemporary. Sangsan-graze was stock-farming form that done near Baengnokdam(白鹿潭) 1400~1950 meters above sea level that is the highest pasturage region in Korea and it was a traditional stock-farming culture of Jejudo pastoralist. Sangsan-graze place of Mt. Halla divide into Witsae-oreum (윗세오름, altitude 1,700m), Seonjakjiwat(선작지왓), Umteongbat(움텅밭) that is located in the south of Baengnokdam and Sajebi Hill(사제비 동산, altitude 1,423m), Manse Hill(만세동산, altitude 1,606m), Gaemideung (개미등) the whole place located in the Northwestern area. Generally, grazed villages in Sangsan-graze place were located in the North and South of Jejudo, for example, ``Dong(洞)`` region and Aewol-eup Gwangryeong-ri of Jeju-si and from Jungmun-dong to Hahyo-dong and Namwon-eup Harye-ri of Seogwipo-si. Pastoralists of Jeju region were high up horses and cattle to near Baengnokdam as landmark set aside a regular day, after seeding of early summer was finished. Unpaved and primitive pasturing route existed to interlink from hamlet to Sangsan-graze place. Sangsan-graze was constituted to seasonal pasturing that is transhumance(移牧) in Southern Europe. Sangsan-graze need to grassy place, water, ``gwe``(궤). Grassy place and water(for example, Sajebi and Bang-ae-oreum, Baengnok Springs) was vital element for survival of horses and cattle, ``gwe`` was a small rock cave, temporary dwelling place of ``Teuri``(牧子) whom care for horses and cattle. In Sangsan-graze place, all pastoralists of coast and the middle-mountains hamlet can graze no charge. Generally, in the subdivisions of the seasons, before and after the Cheongmyeong(淸明, 4월5일), Jeju-teuris(pastoralists) were high up horses and cattle to near Baengnokdam, and at that time the Sanggang (霜降, 10월23일), they descend a mountain horses and cattle from Sangsan(上山) to coast and the middle-mountains hamlet. Sangsan-graze was proceed doing high up, grazing, making horses and cattle come back. Jeju-teuris(pastoralists) were offering a sacrifice to spirits for find that lost horses and cattle and make a start grazing, prepare for dry a tilefish and candle. When high up horses and cattle, Jeju-teuris were doing brand iron and ear tag. After Mt. Halla was designated a national park in 1970, by national power, Sangsan-graze was prohibited wholly. In consequence, traditional Sangsan-graze folk was disappeared completely, Jejujoridae(제주조릿 대)was expanded to breeding and as alpine plant, the Siromi(시로미)`s habitat was threaten.

      • KCI등재

        한라산지 목축경관의 실태와 활용방안

        강만익 ( Man Ik Kang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3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는 고려시대부터 현재까지 한라산지(해발 200m 이상)를 기반으로 등장한 목축경관들의 실태와 활용방안에 대해 문화?역사지리적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현재 제주지역에서는 축산업이 약화되면서 전통적 목축경관이 소멸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이 연구에서는 목축경관의 유지와 계승, 그리고 활용방안의 하나로 목축문화콘텐츠 제작, 역사문화 관광상품 개발 등을 제안한다. 제주지역에서 목축은 한라산지의 완경사지와 초지자원을 배경으로 우마를 기르는 활동이어서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한라산지 목축경관은 중산간 지대(200~600m)와 고산 초원지대(1400m 이상)의 장기지속적 자연환경과 여기에 층층이 누적된 고려말 원(元)이 설치한 탐라목장(1276~1374) 그리고 1400년대 초 조선정부가 설치한 국마장(1430~1894) 운영이라는 역사적 환경에 영향을 받아 등장했다. 즉 이곳의 목축경관은 고려 말부터 시작된제주도 목장사의 전개와 함께 온난한 겨울과 광활한 초지대 및 완경사지로 이루어진 자연환경이 상호작용하여 생겨난 것이다. 이러한 목축경관은 목장자연경관, 목장역사경관, 목축문화경관 등으로 구성된다. 이 경관요소들은 제주지역 전통문화의 원형 중 핵심을 이루며, 목축경관의 유지와 계승을 위해서는 방송매체를 이용한 목축문화 콘텐츠 제작, 목축의례와 관련된 음식콘텐츠 개발, 목축박물관 설치 등이 필요하다. 나아가 목축경관의 창출주체인 목축민들이 보유하고 있는 전통적 목축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요구된다. This is a study of historic-cultural based analysis for useful application on the sorts of stock-farming resources in the altitude above more than 200m sea level pastures around Mt.Halla mountain area. Recently, ranching in Jeju-island grows weakened and faces a serious crisis, then I dare to propose a new live-cultural process on whole ranching of Jeju-do Island. Ranching is impacted on the light slope and pasture, then the unique historical-pasture culture is built with the various environments on slopes, meadows, small(200~600m) and high hills(more over1400m) around Mt. Halla. And all of them was influenced by the long lasting historical circumstances as Tamra-Ranch[during Monglo[yuan Empire] and Gukmajang-the national ranch of Joseon- Dynasty. Warm weather in the winter and large expansive with slowing grade meadows help the progress of Jeju Island`s cattle raising. This facts above leads the possibility for making various contents on the important culturalhistorical basis, material varieties. These need to develop the new field like stock-farming formality, food applications, making wide-diversities and programs with broadcasting systems, building farm-raising cattle museum and so forth. Above all, the whole contents developing has to go with cowboys and stock-farmers. Surely it leads the poor and decline ranching conditions around Jeju Island to strong and wealthy one. I suggest that conventional knowledge and know-hows should be arranged and kept carefu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