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가 교육과정 개정과 교원정책의 대응과제

        황규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1

        2015년 9월 23일, 약 2년여에 걸쳐 연구·논의되어 온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되었다 (교육부, 2015a). 개정 교육과정은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교육과정 개 정의 중점 목표로 제시하면서 총론과 각론(교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그러나 교 육과정 개정만으로 교육의 질적 개선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교육과정 개정이 실제 수업 의 변화로 이어져 교육의 질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교과서나 수업 및 평 가의 개선은 물론이요 수능제도를 포함한 입시제도 전반, 그리고 무엇보다 교원 양성 및 연수 교육과 교원 수급 및 배치제도를 포함한 교원정책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점검과 개 선 노력이 요구된다. 교육과정 개정이 학교교육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기 위해서는‘교 육의 질’에 대한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하나의 유기적인 시스템으로 바라보면서 개정된 교육과정이 다른 요인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교 육의 질에 어떠한 개선을 가져오게 될 것인지를 확인하고 점검하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황규호, 2013: 40-42). 이 과정에서는 특히 교육과정과 관련 변인들 사이의 양방향적 상호 의존성이 강조될 필요가 있는데, 한편으로는 교육과정 개정에 함께 관련 변인들에 대해서 도 유기적인 변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관련 변인들의 개혁을 추진함에 있 어서도 항상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특히 ‘국가 교육과정 개정과 교원정책의 대응과제’를 검토 하는 데 목적이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 실제에의 입문: 후기 허스트 논의의 이해

        황규호 한국도덕교육학회 2013 道德敎育硏究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Hirst’s later idea of justification of education as an initiation into ‘social practices’. I argue that there is more continuities than differences between his early and later arguments on education, in that they both represent ‘immanent’ view on the nature of the fulfilled human existence: the view that looks for the fulfilled existence “within the everyday social practices of ordinary men and women”. We may say that whereas he puts more emphasis on the results of ‘intellectual abstraction’ during his early stage, he now pays more attention to the social practices themselves as the original sources of the abstraction. However, he is ambiguo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ory and the practice in that he wants to maintain a sharp distinction between the two. Also, his explanation on the processes of the initiation into social practices could run the risks of atomic individualism that he rejects. I suggest that the processes could be understood as processes of sharing, what Wittgenstein referred to as, ’form of life’. 이 논문은 후기 허스트의 ‘사회적 실제(social practice)에의 입문’이라는 아이디어를 교육의 목적과 교과의 정당화 논의의 맥락에서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허스트의 전기와 후기 사고는 강조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간성이 충분히 완성된 상태를 일상적 사회활동 안에서 찾는 ‘내재적 관점’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속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보았다. 전기의 논의가 사회적 실제의 추상의 결과로서의 지식의 형식을 주목하였다면 후기 논의는 추상 이전의 상태로서의 사회적 실제를 주목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을 바탕으로, 이론과 실제의 관계에 대한 후기 허스트 논의의 불명료성 및 가능한 대안적 접근들을 논의하고, 사회적 실제로의 입문 과정을 비트겐슈타인의 삶의 형식의 공유 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초·중등 교육과정의 연계성 증진을 위한 검토 과제

        황규호 한국교육과정학회 1999 교육과정연구 Vol.17 No.1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및 '수준별 교육과정'의 아이디어를 근간으로 하는 제7차 교육과정의 도입과 함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 증진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교육과정의 연계성 증진을 위한 구체적 방안들을 모색함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과제인 연계성의 의미와 기준을 분석·검토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연계성의 의미와 관련해서는 타일러가 제시한 계속성·계열성·통합성의 원리를 검토하였으며, 각각의 원리가 필요한 이유들을 극적으로 '교육내용'의 성격이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달리 규정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계열성의 기준에 대해서는 학습내용의 순서 배열 문제가 단순히 '심리학적 사실'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점, 지식교육이 추구하는 앎의 상태에 대한 관점에 따라 학습 내용의 수준 차이가 달리 규정된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이렇게 볼 때, 연계성의 문제는 단순히 교육과정의 조직 원리로서만 파악되기보다는 교육내용의 선정과도 관련이 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연계성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체제 개선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There are growing concerns on the issue of curriculum continuity in Korea recently with the introduction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Differentiation requires curriculum conternts to be organised in a proper sequence according to the difficulty levels of the contents. The issue of continuity is also discussed in relation with the problem of so called 'overloaded' curriculum. It is argued that curriculum overload is partly caused by unnecessary repetition of the same curriculum content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clarify the meanings and criteria of curriculum continuity, and to suggest policy measures for ensuring it. The menaing of curriculum continuity can be defined by clarifying what kinds of relationship should be maintained between the elements of curriculum contents. This question has been largely regarded as a matter of curriculum organisation, rather than a matter of selecting curriculum contents. Tyler's principles of continuity, sequence and intergration have been accepted as the basic principles in this area. The principle of continuity requires the same educational contents are taught in repetition so that imporatant learning experiences are fully internalised to the learner. However, it is not quite clear what should be repeated and what should be not. Repetition of a simple factual knowledge is unacceptable, for example, whereas 'big ideas', or 'conceptual themes' are encouraged to be repeated. Thus, the criteria of continuity will depend eventually on our views on what is the educational contents. This means that the principle of continuity is not simply a matter of organisation, but also related to the selection of contents. Sequence is important to ensure progression. However, the meanings of progression again depends on how we conceive the nature of curriculum contents, or the state of authentic learning pursued by teaching the curriculum. The state of authentic learning can be described in many different ways: eg. direct experiences on the objects of knowledge; development of thinking skills; development of structure of knowledge; enabling whole responses of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f human beings, etc. These views are reflected in different conception of the nature of curriculum contents, and then in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meaning of progresssion. The above arguments show that the curriculum continuity is not simply a technical matter of organisation. We need clearer views, above all, on the nature of curriculum contents themselves, if curriculum continuity is to be maintained.

      • KCI등재

        교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진술 방식 개선 과제

        황규호 한국초등교육학회 1997 초등교육연구 Vol.11 No.1

        5·31교육개혁 방안이 제시된 이래 교육과정 개정 작업이 활발하게 추진되어 곧 제 7차 교육과정이 고시될 예정이다. 제7차 교육과정은 '수준별 교육과정'을 가장 중심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동안 수준별 교육과정의 성격을 명료화하고 그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과제를 '학습 능력에 따른 학습내용의 난이도 조정' 문제로만 국한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오히려 이보다는 각 교과별 학습내용을 보다 의미있는 내용으로 개선하는 일, 즉 교과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일이 더욱 중요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각 교과에서 가르쳐야 할 기본 아이디어들이 무엇인지를 보다 분명하게 제시해 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그동안 7차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논의가 주로 수준별 교육과정의 아이디어에 집중되게 된 원인을 이번 교육과정 개정과정의 특징인 다단계식 개정 방식의 특징에 비추어 검토해 보고, 현행 초등학교의 자연과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 방식에 나타난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이와 함께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영국의 새 교육과정의 내용 진술 방식에서 찾을 수 있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Korea,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is under progress since The Presidential Commission for Educational Reform(PCER) issued Education Reform Proposals in May, 1995. The major issues PCER suggested to consider for curriculum reform are: (1) reduction of the number of compulsory subjects, (2) preparation for the era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globalization, and (3) introduction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on the basis of students' academic ability. Among these agendas, the idea of curriculum differentiation is the most unfamiliar one in Korean context, and not surprisingly, recent arguments and researches are largely focused on clarifying the meaning of curriculum differentiation and constructing ways for implementing the idea in classrooms. However, I argue in this paper, the more fundamental issue for curriculum revision should be how to improve the form of stating educational contents, so that they properly emphasize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and basic principles of each subject rather than discrete fragments of facts and information. To use J.S. Brunet's term, subject contents should be stated in a way to highlight 'the structure of knowledge' rather than 'the middle language'. I examined the current format of Korean science curriculum document, in which contents are stated in a list of basic topics, concepts and investigation activities. I also examined the recently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England and Wales, where the format of stating the 'programmes of study and' 'statements of attainment' is significantly changed. The programmes of study, which set out the statutory entitlement to the knowledge, understanding and skills for each subject, are now more systematically and clearly stated in a form of propositions, whereas the statements of attainment which used be consisted of several fragmented statements are now replaced with more general and broad 'level descriptions'. I conclude this paper with discussions of the implications of UK experiences for Korean curriculum revision, some of which are: curriculum contents should be stated in a clear way to highlight the basic idea of each subject; curriculum revision should be more focused on improving subject-curriculum than on deciding the range of subjects to be taught at each school level or amount of time to be allocated for each subject; the importance of consultation to school teachers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revision; and above all the importance of enhancing teachers' understanding of subject contents knowled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