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별화된 작업환경에서의 위험인식과 지식의 재구성

        명심(Myungsim Kim),희윤(Heeyun Kim) 한국환경사회학회 2015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9 No.1

        ‘삼성백혈병’으로 알려진 반도체 전자산업 노동자들의 직업성 질병 인정 운동은 산업재해에 따른 노동문제, 질병원인 판단에 따른 과학기술정치의 문제 등 노동자, 기업, 정부 등 이해 당사자들 간의 갈등과 대립이 첨예하게 드러나는 사례이다. 기존연구는 주로 시민운동으로서의 ‘삼성백혈병’ 사례를 다룸으로써, 산재 인정 운동의 주체인 노동자들이 어떻게 건강위험을 인식하고 그러한 경험을 토대로 전문가들의 지식에 대항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지식을 어떤 방식으로 재구성 해내었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이 연구는 반도체 전자사업 노동자의 성별에 따른 유해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인식과 질병 경험을 통한 발병 원인에 대한 지식의 구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성별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위험인식에 대한 젠더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위험정보와 위험인식에 대한 젠더효과를 확인하고, 성별화된 작업현장이라는 사회구조적 차원의 요인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반도체 전자산업 노동자(환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자료를 통해 성별에 따라 작업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유해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인식과 질병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중역학이 구성되는 과정에서 이해 당사자인 노동자들이 단일한 위험인식과 이해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분화되고 층화된 정체성을 가짐을 확인하고, 이러한 이질적 정체성들이 노동보건 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onset of the issue of guaranteeing semiconductor electronic industry workers’ health rights, which we call “Samsung Leukemia”, wa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auses of disease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corporations and activist patients. We examine the risk perception of hazardous chemicals that workers’ go through in their workplace and knowledge construction with the experience through their disease, which helps us to understand alternative knowledge against the mainstream science in terms of the poli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Semiconductor electronic industry workers labor health movement asks for the improvement of inequality including workers’ health and protection of their rights, and at the same time, requires embodied knowledge construction based on actual scenes. We argue not only the redefined notion of gendered difference in risk perceptions, but also construction of knowledge.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risk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the hazardous chemicals differs by gender differences in the semiconductor electronics industry. Our study has the implication for understanding the impact of the multi - stratified identity on labor health movement.

      • KCI등재

        기후게이트(Climategate)와 기후과학 논쟁

        명심(Myung-Sim Kim),박희제(Hee-Je Bak) 한국환경사회학회 2011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5 No.1

        기후변화연구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던 영국 이스트 앵글리아 대학의 기후연구소 연구자들의 사적 이메일을 해킹해 세상에 공표한 기후게이트 사건은 해킹이라는 불법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회의론자들이 기후과학에 제기했던 주요 문제들을 다시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 논문은 그동안 피상적으로만 소개되었던 기후게이트 사건의 전개과정과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기후변화과학의 주요 논쟁점과 기후과학자들의 관행을 비판적으로 되짚어보며, 나아가 기후게이트가 환경과학과 환경사회학에 주는 함의를 논의한다. 무엇보다 기후게이트는 기후변화과학이 지식과 방법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회의론자의 공격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연구절차를 더욱 투명하게 해야 한다는 교훈을 남겼고, 이는 기후게이트 조사보고서나 주요 언론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이 논문은 1970년대 미국 환경청의 발암물질연구의 예와 라베츠(Ravetz)의 탈정상과학 논의를 빌어 연구절차의 투명성만으로는 부족하고 기후변화과학이 보다 중립적인 기구에 의해 검증을 받고 기후변화 회의론자들을 확장된 동료공동체로 삼아 이들과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함께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Despite it involves illegal behavior, Climategate that hackers accessed and released private emails of climate scientists working at the Climatic Research Unit (CRU) at the University of East Anglia (UEA) offers an opportunity to review questions raised by skeptics of climate change.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es and issues of the incident, critically reviews major conflicting issues of climate science and behaviors of climate scientists,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it for environmental science and environmental sociology. Above all, a lesson of Climategate is that climate scientists need to behave with absolute transparency to overcome skeptics’ attacks even if climate science involves uncertainties, which has been endorsed by the mass media and the investigation reports. The case of EPA’s research on carcinogen in the 1970s and Lavets’ concept of post-normal science suggest, however, that transparency alone will not be enough. They suggest that climate science needs to get confirmed by the independent institution and also make skeptics extended peer community with whom they communicate and collaborate for constructing more valid knowledge.

      • KCI등재후보

        한국 줄기세포연구정책 거버넌스의 특성

        명심(Kim, Myungsim) 한국과학기술학회 2015 과학기술학연구 Vol.15 No.1

        이 논문은 황우석 사태 이후 줄기세포연구의 정책변화에 대한 기술을 통해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특성을 분석하였다. 황우석 사태 이후 한국의 줄기세포연구가 위축되었다는 일반적인 통념에도 불구하고, 2015년 현재 한국은 세계 최초 최대의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한국의 줄기세포연구 역량과 기술경쟁력이 개발성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같은 성과가 도출될 수 있었던 원인에 대한 설명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첫째, 정부의 R&D 투자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황우석 사태 전후의 정책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황우석 사태 이후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정부 지원의 축소에 따른 ‘줄기세포연구의 위기’가 실제 하였는가를 확인하였다. 둘째, 정부의 정책보고서 및 뉴스보도 등의 문헌분석을 통해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정책적 담론의 변화과정을 기술함으로써 줄기세포연구를 둘러싼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의 개발성과는 기술 경쟁력 보다는 한국 정부의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투자 및 규제 정책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주장한다. 더 나아가 기술관료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줄기세포연구에 대한 정책결정과정은 ‘황우석 사태’를 통한 정책학습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기보다는 기존의 전문가 중심으로 구성되는 정책과정을 답습함으로써 우리나라가 여전히 과학기술에 대한 민주적 거버넌스가 작동하기 어려운 정책환경에 있음을 주장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tics of technoscience and governance in South Korea, taking advantage of the policy changes on the stem cell research after Hwang"s affair. In spite of generally accepted conventional wisdom that stem cell research had been suffering ‘crisis’ after the Hwang’s affair, South Korea succeeded in developing thefirstandthelargeststemcellproduct in the world.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tem cell research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Korea have been assessed 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development performance, there is a need to extrapolate how such result could be achieved. To answer these questions , we analyzed changes in the R&D expenditure before and after the scandal and verified the ‘crisis of stem cell research’ following the reduction of financial support from government. From the analysis of literature on the policy reports and news, we described the process of discourse changes in policy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tics of technoscience and governance of stem cell research.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 government R&D and regulation policy play the key roles in the development of stem cell research rather than in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South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argued that democratic governance still does not work under the policy conditions that technocratic decision-making of stem cell research fails to learn from the Hwang’s affairs.

      • KCI등재

        기후게이트(Climategate)와 기후과학 논쟁 - 환경과학 거버넌스에의 함의

        명심,박희제 한국환경사회학회 2011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5 No.1

        <P>기후변화연구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던 영국 이스트 앵글리아 대학의 기후연구소 연구자들의 사적 이메일을 해킹해 세상에 공표한 기후게이트 사건은 해킹이라는 불법적 요소에도 불구하고 회의론자들이 기후과학에 제기했던 주요 문제들을 다시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이 논문은 그동안 피상적으로만 소개되었던 기후게이트 사건의 전개과정과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기후변화과학의 주요 논쟁점과 기후과학자들의 관행을 비판적으로 되짚어보며, 나아가 기후게이트가 환경과학과 환경사회학에 주는 함의를 논의한다. 무엇보다 기후게이트는 기후변화과학이 지식과 방법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회의론자의 공격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연구절차를 더욱 투명하게 해야 한다는 교훈을 남겼고, 이는 기후게이트 조사보고서나 주요 언론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나 이 논문은 1970년대 미국 환경청의 발암물질연구의 예와 라베츠(Ravetz)의 탈정상과학 논의를 빌어 연구절차의 투명성만으로는 부족하고 기후변화과학이 보다 중립적인 기구에 의해 검증을 받고 기후변화 회의론자들을 확장된 동료공동체로 삼아 이들과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함께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P>

      • KCI등재

        한국 과학자의 경력초기 생산성과 인정의 결정요인들

        명심(Myungsim Kim),박희제(Hee-Je Bak)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5

        누적이익이론은 과학자사회의 계층화과정에서 경력초기의 생산성과 동료인정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에 이 연구는 대학(원) 위신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 과학자의 학위기간과 학위 후 3년이라는 경력초기에 연구생산성과 동료인정의 차이를 낳는 요인들을 살펴본다. 분석 결과 실제로 출신 대학원의 위신이 높을수록 그리고 국내 대학원보다 해외 대학원 학위자가 전반적으로 대학원 재학기간과 박사 후 3년간 생산성이 높고, 보다 많은 인정을 받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이 연구는 박사 학위 후 3년간 국내 상위 3개 대학원 학위자의 생산성과 인정이 급속히 증가하여 해외 대학원 학위자와의 격차가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정도로 줄어든 반면 국내 기타 대학원 학위자의 생산성과 인정은 다른 그룹에 비해 더욱 뒤처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이러한 대학(원) 위신에 따른 생산성과 인정의 차이는 상당부분 지도교수와의 공동연구와 지도교수의 후광효과에 기인하며, 지도교수의 후광효과는 국내 대학원보다 지도교수의 생산성이 높은 해외 대학원에서 오히려 더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 연구는 초기 생산성에 따른 누적이익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경력형성 과정에서 출신 대학원의 위신과 지도교수의 후광효과가 생산성과 인정의 차이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이 연구의 결과들은 대학원의 위신과 지도교수의 후광효과와 같은 요인에 의해 형성된 누적이익의 영향이 한국 과학자의 경력초기 생산성과 인정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한국 과학자사회의 계층화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cumulative advantage theory has emphasized scientific productivity and peer recognition in the early stage of scientists’ career in the stratification in science. In light of the cumulative advantage theory, this study examines empirically determinants of the productivity and recognition during graduate and post-doctoral periods of Korean scientists. A particular emphasis is given to the effects of the prestige of graduate schools. The results show that scientists from highly ranked graduate schools in foreign countries tended to yield the higher productivity and greater recognition than did scientists from domestic graduate schools and foreign graduate schools ranked lower during not only a graduate period but also three years after getting Ph. D degree. In particular, after obtaining their Ph.D degree, scientists from domestic graduate schools lose their competitiveness rapidly, with the exception of those from top ranked domestic graduate schools. In their post-doctoral period, the difference in the scientific productivity between scientists from top ranked domestic graduate schools and scientists from foreign graduate school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holo effect of graduate advisors accounted for, to a large degree, the difference in the productivity and peer recognition across the level of prestige of graduate schools. Scientists from foreign graduate schools where graduate advisors tended to have higher scientific productivity and recognition enjoyed greater halo effect than those from domestic graduate schools where advisors’ productivity and visibility tended to be lower. Furthermore, not only did scientific productivity in early stage of scientists’ career make the cumulative advantage but also the prestige of graduate schools and the holo effect of advisors kept influencing the productivity and peer recognition in the process of career m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fore, reveal that particularism―the cumulative advantage of the prestigious graduate schools and graduate advisors―has had effect on scientific productivity and recognition and, in turn, the stratification of Korean scientific community.

      • KCI등재

        대중과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도전: 전통적 PUS와 구성주의PUS에 대한 비판적 분석

        명심(Kim, Myung-Sim) 동양사회사상학회 2017 사회사상과 문화 Vol.20 No.2

        이 연구는 대중의 과학이해(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S)를 다루는 두 가지 접근에 대한 비교를 통해 과학기술과 대중의 관계 변화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1980년대 이후 서구사회를 중심으로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대중적 신뢰의 위기가 폭넓게 인지되면서 과학과 대중의 긴장 관계를 해소하기 위해 제시된 대중의 과학이해는 대중 (Public), 과학(Science), 이해(Understanding)에 대한 서로 다른 전제와 관점을 제시하는 전통적 PUS연구와 구성주의 PUS연구로 발전해 왔다. 전통적 PUS연구는 과학대중화에, 구성주의 PUS연구는 과학민주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대중과 과학기술의 관계를 조망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비판적 계승을 통해 이론적・실천적 영역을 확대해 오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전통적 PUS연구와 구성주의 PUS연구 각각의 이론적 특성과 비판점을 비교 분석하고, 각각의 연구사 례를 통해 대중과 과학기술의 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사회 에서 논의되어 온 PUS의 이론적・실천적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분석 하고, 과학기술의 민주화와 참여적 거버넌스로의 전환이라는 새로운 도전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This study attempted a theoretical analysi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public relations through comparison of two approaches to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S). Since the 1980s, PUS has developed into the two branches of traditional PUS and constructive PUS, suggesting different assumptions and perspectives on the public, science, and understanding. While traditional PUS studies have influenced the popular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structive PUS studies have influenced scientific democratization. Constructive PUS studies provide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for 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and science and technology and expand their theoretical and practical domain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traditional PUS and the constructive PUS with respect to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nd criticism. The study analyzed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and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each of the PUS case studies. Also, it critically analyz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chievements of PUS,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Korean society, and inquired into the new challenge of democratization and transition to participatory gover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