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세기 『경민편(警民編)』 초기 간본의검토 - 상허 중앙도서관 소장본의 사례 -

        정호훈 ( Jeong Ho-hun ) 한국사상사학회 2020 韓國思想史學 Vol.0 No.66

        이글에서는 건국대학교 상허도서관에 소장 중인 『경민편』(상허본)을 통해 『경민편』 초기 간행본의 모습을 검토하였다. 학계에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상허본은 한글 번역문이 실려 있지 않는 특성을 보이는데, 책의 간행 시점은 1579년 이전으로 판단된다. 1579년 허엽이 중간(重刊)한 간본이나 17세기 중엽 이후원이 개간(改刊)한 간본과 비교할 때, 원문이나 구결에서 이들 간본보다 앞서는 양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한편 상허본은 황해도에서 간행된 김정국의 초간본과는 직접적인 연관은 없으며, 전라도 남원과 무장 등 황해도 바깥 지역에서 인쇄된 간본으로 추정된다. 상허본을 통해 필자는 문자적 구성과 관련하여 『경민편』이 진화되는 양상을 확인했다. 통상적인 이해와는 다르게, 『경민편』은 초기에는 한문으로만 원문을 구성했다가 16세기 후반에 이르러 한글 번역을 보완하는 변화를 보였다. 이를 통해 살핀다면, 초기 『경민편』이 나왔을 때 이 책은 그 보급을 가로막는 장애를 내부에 지니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이 책을 읽고 해독할 수 있었던 독자층 또한 유식계층(有識階層)으로 한정되었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경민편』은 권력의 운용 방식을 주자학의 이념에 기초하여 전면적으로 전환하고자 했던 김정국과 기묘사림의 모습을 충실히 담고 있는 문헌이다. 상허본은 초기 『경민편』의 모습이 어떠했던지, 그리고 후대 『경민편』의 변화가 어떠한 방향으로 일어나는지를 살핌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In this article, the appearance of the early publications of 『Gyeongmin Pyeon』 was reviewed through 『Gyeongmin Pyeon』(Sangheo edition) held in the Sanghe Library of Konkuk University. The Sangheo edition, which is not yet known to the academic world, has the characteristic that Korean translations are not included. On the other hand, the Sangheo edition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first edition published in Hwanghae-do by Kim jeong-guk(金正國). Through the Sangheo edition, I confirmed that when 『Gyeongmin Pyeon』 was first published, it contained only the original Chinese text, but after the late 16th century, the Korean translation was supplemented. The Sangheo edition, which contains the appearance of the early 『Gyeongmin Pyeon』,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examin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nges of the later 『Gyeongmin Pyeon』 occur.

      • KCI등재

        조선후기 『警民編』의 再刊과 그 敎育的 活用

        정호훈(Jeong Ho-hun)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미래교육학연구 Vol.20 No.2

        조선에서는 건국초기부터 국가 혹은 차원에서 교화서를 작성하여 보급하였으며, 16세기 초반 김정국이 만들었던 『경민편』도 그 가운데 하나였다. 이 책은 수령의 지방 통치에 필요한 내용을 풍부히 담고 있었는데 17세기 중반 西人 政府에서 재간행하였다. 이 사실은 개인이 만들어 활용했던 교화서를 국가 차원에서 보급하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 책은 황해도 지역이나 함경도, 제주도 등 유교적 문화가 그렇게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하며 강력사건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보급되었다. 이 과정에서 朴世采와 같은 학자는 자신의 제자ㆍ친지들에게 이 책을 교육용 교재로 쓰기를 권하였다. 18세기 중반, 탕평정치가 본격화되는 시점에서 정부에서는 이 책을 지방의 面里 차원에서 향촌민의 교화서로 보급하려고 하였다. 공적 조직을 통하여 『경민편』의 내용을 교육하자는 취지였다. 『경민편』을 향촌민 교육에 활용하자는 정책적 지향은『牧民攷』 『牧綱』 등 18, 9세기에 만들어진 목민서에 반영되었다. 이들 책에서는 『경민편』을 학교 진흥과 풍속 교정을 위한 교재로 인정하고 활용하려 하였다. 한편, 『경민편』의 활용은 이 시기 상민들의 의식 성장에 많은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컸다. 낮은 차원에서나마 유교규범을 익히는 것은 양반사대부들이 전유하던 유교적 人文世界에 들어가는 일이었는데, 『경민편』의 유교 규범을 익히는 과정에서 이들은 자신과 자신이 속한 世界를 보다 넓게 인식할 수 있는 힘을 키워 갔을 것이다. 조선후기 『경민편』 교육은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그러한 문을 열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The government republished 『Gyeongminpyeon(警民編)』 in the mid 17th century, which had been made by Kim Jeong-guk in the early 16th century. And, this fact had great significance in a sense that the national level supplies the educative book(敎化書), which had been made and utilized by an individual. This book was supplied centering on regions where Confucian culture has no great influence such as Hwanghae-do area, Hamgyeong-do, and Jeju-do, and where many homicidal cases occur. In this process, the scholar like Park Se-chae(朴世采) recommended his pupils to use this book as the teaching material for education. In the mid 18th century, at the point of time when Tangpyong(蕩平) theory is substantiated, the Seo-ron government tried to supply this book as the educative book of common people in the dimension of Myeon(面) and Ri(里) in region. It aimed to educate the contents of 『Gyeongminpyeon(警民編)』 through the public organization. The policy orientation of aiming to apply 『Gyeongminpyeon(警民編)』 to the education of the common people was recognized as the teaching material for the school promotion and the custom correction by Mokminseo(牧民書), which was made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Meanwhile, the utilization of 『Gyeongminpyeon(警民編)』 was highly possible of having had great influence upon the conscious growth in the common people in this period. What learns the norm of Confucianism even though being in the low dimension led to entering the Confucian cultural world, which was possessed exclusively by the gentry in the two upper classes of old Korea. These people might proceed with fostering power that can perceive more broadly self and the world, which is included self, in the process of learning the Confucian norm in 『Gyeongminpyeon(警民編)』 The education of 『Gyeongminpyeon(警民編)』 in the late Joseon has high possibility that might open such door even if having not been intended.

      • KCI등재

        鄭道傳의 학문과 功業 지향의 정치론

        정호훈(Jeong Ho-Hoon) 한국사연구회 2006 한국사연구 Vol.135 No.-

        This writing addressed the Political Thought of Jeong Do-jeon, who is the leading role of Joseon's foundation. Jeong Do-jeon criticized Goryeo Society based on the New Confucianism(Seongrihak), and mapped out a Political System, which is required for the new Nation Joseon. Jeong Do-jeon externalized a Plan that can step up the Unity in Politics and the Centralization in a System, by taking Advantage of this Thinking. 《Joseongyeonggukjeon(朝鮮經國典)》 was a Book that contained this Political Conception. The Point that is noted in this Book is many. First, it stressed much a Role of the Law in operating a Nation. What the Law is the mainly instrumental Means for the good Government was Jeong Do-jeon's Idea. Second, he thought that the Nation's Citizenship needs to be intensified largely. What becomes the Core was an Issue that increases the Nation's commanding Power over the People and the Land. Third, he considered that the practical Operation of a political System needs to be attained centering on the prime Minister. Fourth, his political Theory of centering on the prime Minister had a characteristic that attaches Importance to ‘an Achievement’. It was said that the Achievement and the Result are completed by realizing such moral Character and Talent through Bureaucracy, with the prime Minister and Officialdom of having Virtue and Capability. His political theory was much distant from a political Theory of Jujahak(Zhu Xi philosophy), which had the Logic that Bureaucrats including a Monarch preferentially require the perfect Morality, and on the Basis of this, need to perform Politics. Jeong Do-jeon was arranging for a political Theory based on the New Confucianism, but didn't utilize Jujahak enough. This political Theory had Tendency of Hsun tzu(荀子) more strongly than of Mengtzu(孟子). What his learning comes to be excluded by Sadaebu(ruling elite) in Joseon, without being accepted, seems that this Element functioned greatly. In terms of trying to maintain the Position as a Sovereign along with Autonomy as Yangban(兩班) Sadaebu(士大夫), the political Theory of Jujahak was more efficient. What people in the 16th Century had tried to establish a System of learning from Jeoluipa(節義派) since Jeong Mong-ju, was a part of an Effort aiming to have the political Theory of Jujahak as their Thinking.

      • KCI등재

        爲民과 休息의 정치론

        정호훈(Jeong, Ho-Hun) 부산경남사학회 2011 역사와 경계 Vol.81 No.-

        이 글에서는 정인홍의 현실인식과 정치론의 성격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정인홍은 사류를 국가의 원기로 인정한 가운데 一黨專制의 정치를 구상했으며, 국가가 갖추고 있는 형벌, 무력을 적극 활용하는 ‘伐邑’의 정치를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정인홍은 ‘民’의 안정을 통하여 ‘國’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여겼다. ‘보민’ ‘위민’의 논리 위에서의 국가 공고화론이었는데, 이 생각은 정치권 일각에서 일본과의 전쟁을 거치며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국’의 영역을 강화하자는 움직임과는 대립하는 요소를 지니고 있었다. 전쟁기에 시행되었던 召募陣, 束伍軍등의 새로운 군대를 혁파하고 감사의 留營制를 폐지하자는 주장, 수령 적임자를 뽑아 그들의 지방민에 대한 침탈을 방지하도록 하자는 주장은 모두 이러한 맥락에서 제시된 사회경제적 대책이었다. 이러한 모습은 민의 休息그리고 이를 통한 民力과 國力의 회복을 기대하는 의식과 연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지방에 살았던 ‘민’의 처지 위에서 만들어진 자연스런 것이었지만, 한편으로 민의 휴식을 강조하는 노장사상과도 연결되는 태도이기도 했다. 정인홍의 생각은 ‘國’ 영역을 강조하며 집권 체제를 강화해 가던 당시의 大勢와는 상충하는 점이 있었다. 서인계 인물로서 성혼과 이이의 학문에 영향 받았던 이귀가 1601년(선조 34)에 정인홍의 죄를 성토했던 것은 ‘민’의 영역을 극히 중시하고 강조했던 정인홍에 대해 그 반대편에서 ‘국’의 확장과 강화를 강조했던 인물이 보내는 공격의 일단이었다. 요컨대, 정인홍의 정치적 사유는 공권에 압도당하지 않는 재지 사족의 지위와 역할을 중시하고 그 위에서 전란 전후의 위기 국면을 돌파하려는 요소를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것은 지방적 분권적 질서 위에서 조선의 현실을 진단하고 정치 운영의 방향을 설정하려는 모습이기도 했다. 정인홍 스스로 ‘위민론’ ‘보민론’을 표방했지만 그 언설이 내포했던 것은 지역 士大夫의 영향력이 크게 작동하는 사회를 변함없이 유지하는 것이었다. This thesis has looked into the political concepts of Jeong, In-Hong(鄭 仁弘), the political leader of late 16th century-early 17th century in Joseon dynasty. Jeong, In-Hong focused on a single party-led political state and powerful political empowerment and valued "citizen" rather than ‘country’ and tried not to be affirmative of big changes in policy and law. This seems related to the thought of rest for citizen and expectation of citizen power and national power through it and was clearly different from the moves of political parties that tried to prevent war through changes in law. Also, his thoughts collided with the current state of emphasizing the ‘nation’ territory and strengthening the power centralism system. The political reasoning of Jeong, In-Hong had strong tendency of keeping the current orders of local decentralization. Although he contended the theory of caring citizen and protecting citizens, the theory had implications of keeping the society that had big influence of local great man. In certain terms, at a time during the war season, the retreat of Jeong, In-Hong and the political demise of the northern party resulted into the collision of the big flow of strengthening the centralization of power and the move to keep the local decentralization orders that eventually had the latter lose.

      • 근 · 현대 한국의 실학연구와 다산

        정호훈(Jeong, Ho-Hu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5 다산과현대 Vol.8 No.-

        연희전문-연세대학은 오랫동안 한국에서의 실학과 정약용 연구의 중심 공간이었다. 해방 후 초창기 연구에서는 현실의 폐단을 해결하고자 그 방도를 적극 모색한 ‘정치경제학’으로서 실학을 이해했다. 정약용의 정치경제 사상을 다룬 홍이섭 교수는 정약용이 조선 사회의 문제를 전면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경세유표』와 『목민심서』와 같은 책을 저술했으며, 이 과정에서 정약용이 “민생을 중시하고 국법을 높이는” 개혁안을 마련했다고 파악했다. 1970년대 중반 이후, 김용섭 교수는 근대적 · 농민적 사회개혁사상이자 한국형 근대화론으로서의 실학론을 제기했다. 이 시각은 주자학을 지주 · 양반층의 처지를 반영한 학문론으로 평가하고 또 주자학이 한말에 이르러서는 개화파의 개혁론으로 계승된다는 판단을 전제하며 이루어진 것으로, 학계의 일반적 이해와는 크게 달랐다. 이 같은 실학관은 정약용 이해와도 맞닿아 있었다. 김용섭 교수는 정약용의 농업경영론(農業經營論)에 보이는 정치경제적 사고가, 사회 제 계층의 평등화의 문제를 모색하는 초기의 농업론, 30대 후반의 공동농장(共同農場)적인 농업경영론, 유배기에 정립한 독립자영농(獨立自營農)적인 농업경영론 형태로 변화한다고 정리했다. 정약용의 구상이 단계적으로 변화했으며, 초기의 급진적인 방법론을 벗어나 온건하면서도 점진적인 방식을 택했다는 이해였다. 실학 연구의 역사는 끊임없이 연구의 시각이 확대되며 변화하는 과정이었다.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실학 연구는 분단 체제의 극복, 통일 국가의 실현을 전망하며 그에 필요한 지혜와 방법을 모색해 나가는 노력의 하나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research of Silhak(實學) in the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at Yonsei University has been developed by a professor Hong I-seop and Kim Yong-seop. Hong I-seop understood Silhak as a political economy to reform social reality, and confirms it more concretely through Jeong yak-yong’s thoughts. In the perspective of Hong I-seop, reformation proposal of Jeong Yak-yong(丁若鏞) aims to promote people’s life and reinforce the national law. Kim Yong-seop comprehends Silhak as modern social reform thoughts and also the theory of Korean style modernization. Professor Kim thought Silhak reflects class interest of the peasants, in contrast Neo-Confucianism reflects social interest of the landowners, or the gentries. On the thought of Jeong Yak-yong, Kim esteems Jeong Yak-yong has the egalitarian orientation representing the pesant but this radical egalitarian orientation at the early period turned into rather moderate perspective as time passed. The history of the study on Silhak has been a process with constant extension and variation of a perspective regarding the research. The study of Silhak is expected to be progressed toward an Unification of the n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조선 후기 『小學』 간행의 추이와 그 성격

        정호훈(Jeong Ho-hun)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1

        이 글에서는 조선 후기 『소학』 간행의 추이를 다루며 조선의 사상사 교육사의 문제를 살폈다. 초기 조선에서 간행한 『소학』은 『小學集成』과 『小學集說』이었다. 조선 전기 사회를 살았던 사람들은 이 두 책을 근간으로 『소학』을 익혔다. 17세기 초, 李珥가 여러 주석을 모아 편집한 『小學集註』가 나타났다. 이 책은 17세기 후반부터 널리 보급되었다. 18세기 중엽, 영조는 『小學訓義』를 편찬하여 『소학』을 보다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이 나옴으로 해서 조선에는 『소학』의 세계에 쉽게 다가갈 수 있는 텍스트가 갖추어지고, 이와 연관하여 소학의 문화가 사회 전반에 확산될 수 있는 기제가 마련되었다. 조선 후기 이이 편집본 『소학』의 출현, 그리고 정부의 지속적인 소학서 보급과 그 교육의 강화는 서인-기호학파가 중앙 정계와 학계를 장악하는 상황과 맞물려 일어난 변화였다. 이 책은 이후 서인-기호학파의 이념을 확산하는 강력한 토대가 될 수 있었다. 한편, 조선 후기 『소학』 교육의 강화는 유교적 규범을 민들이 익히게 함으로써 제반 사회질서를 손쉽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 것이었다. 정부 측의 이러한 노력은 또한 백성의 意識 成長을 간접적으로 도우는 일이기도 했다. This writing was examined problems of educational history in the thoughts of Joseon while addressing the publication in 『Sohak』 and its local educational activity. 『Sohak』, which was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included 『So-hak-jip-seong(小學集成)』 and 『So-hak-jip-seol(小學集說)』. 『Sohak』 in the former-term society of Joseon was formed the foundation by these books. In the early 17th century, 『So-hak-jip-ju(小學集註)』 appeared that Lee Yi(李珥) edited after collecting several notes. This book was widely supplied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In the mid-18th century, King Yeongjo edited, thereby having allowed 『Sohak』 to be possibly read and understood more easily. In the wake of the appearance in this book, Joseon came to be equipped with the text that can have easy access to the world of 『Sohak』, and was arranged the mechanism that the culture of 『Sohak』 can be diffused in the whole society. The advent of 『Sohak』, which is the editing volume by Lee Yi in the latter term of Joseon, the government's continuing to supply the book of Sohak, and the reinforcement in its education were changes that were caused by occluding with a situation, in which Seoin-Giho school(畿湖學派) occupied the central political circles and the academic circles. This book could become the strong foundation that can later expand ideology of Seoin-Giho school. The strengthening of education in 『Sohak』 in the late Joseon was what expected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maintain the whole social order by which people learn the Confucian norm. This effort of the government was also what indirectly helps people with conscious growth, on the other hand.

      • KCI등재

        전쟁의 기억과 정치론,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정호훈 ( Jeong Ho Hun ) 한국사상사학회 2018 韓國思想史學 Vol.0 No.58

        이 글에서는 광해군대에 간행된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를 통하여, 광해군과 북인 정권이 임진왜란의 경험을 정치와 도덕의 측면에서 정리하고 활용하는 모습을 살펴 보았다. 광해군과 북인 정권은 충(忠)ㆍ효(孝)ㆍ열(烈)의 도덕 관념을 매개로 전쟁을 기억하고 이를 바탕으로 무너진 질서를 세울 이념 자산을 찾고자 했다. 논의를 통하여 다음 몇 가지 내용을 확인하였다. 첫째, 이 책에서는 임진왜란 시기의 충ㆍ효ㆍ열의 가치를 '동국'=한민족의 역사적 전통과 결부하여 강조하였다. 둘째, 국가는 전쟁 시기 및 역사 속에 등장했던 절행자들의 명예를 높이는 행위를 통해, 절행자들의 혈연 및 절행자들의 공간과 단단히 결합하고자 했다. 셋째, 광해군과 북인 정권에서는 이 책을 통하여 국가ㆍ군주에 대한 직접적인 충성을 강조하였으며, 사적인 영역에서의 효도 행위가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국가ㆍ군주에 대한 충성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했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전쟁의 참화, 전쟁의 참혹함을 충ㆍ효ㆍ열의 도덕 가치를 매개로 기억하고 그 기억에 기초하여 나라를 이끌고자 했던 정치적 행위의 소산이라 할 것이다. 전쟁 직후 내외 정세가 불안정하고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시절, 광해군과 북인 정권은, 그 시도가 궁극에는 실패로 끝났지만, 전 국토와 인민을 아우르고 결합하는 정치를 이 같은 방식으로 구현하고자 했다. In this article, I examined how the Gwanghaegun and Northern regimes summarize and utilize the experience of the Imjin-waeran(壬辰倭亂) in terms of politics and morality, through the Dongkuk Sinsok Samkang Hangsildo saw. First, this book emphasizes the value of loyalty combined with the historical tradition of Korean people. Second, the state gave honor to the dead, to join them, and to gain the hearts of the living. Third, the Gwanghaegun and Northern regimes emphasized direct loyalty to the state and monarchy through this book, and hoped that the acts of filial piety in the private sphere would be extended to loyalty to the state and monarchs. This book would be the result of the political act that tried to lead the nation based on the memories of war and the horrors of war through its moral values.

      • KCI등재
      • KCI등재

        소재 노수신(盧守愼)의 『대학집록(大學集錄)』의 지식 세계와 그 영향

        정호훈 ( Jeong Ho Hun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1

        노수신의 『대학집록(大學集錄)』은 노수신 개인의 사상을 담고 있는책이자 16세기 후반 조선 사상계의 성과와 과제를 담고 있는 자료이다. 이 책에는 중국과 조선에서 나온, 『대학장구』와는 시각을 달리하여 『대학』을 이해하는 주요한 글들이 실렸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대학』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여러 정보를 모아 둔 지식의 보고였다. 『대학집록』은 간행된 이후 조선에서 널리 유통되지 못했다. 육왕학(陸王學)에 대한 비판과 금제가 심해지면서 자유로운 유포가 쉽지 않은 형편이었다. 이 상황에서 『대학집록』은 『개정대학(改正大學)』, 『대학집람(大學輯覽)』의 두 형태로 변신하며 조선 사회에 영향력을 발휘했다. 『개정대학』은 『대학집록』에 실려 있던 왕수인의 글, 권근의 글,『대학보유』에 대한 노수신의 발문을 제외한 나머지 자료로 만든 축소본으로, 이언적과 학적 인연이 깊은 옥산서원에서 간행했다. 『대학집람』은 이단상(李端相)이 편찬했으며, 『대학집록』을 비롯 이언적의 『대학보유(大學補遺)』, 중국과 조선의 대학에 관한 학설을 두루 집성했다. 『대학집록』의 확대판이라 할 수 있다. 두 책 모두 『대학장구』와는 다른 견지에서 『대학』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집으로서, 관심 있는 학자들에게는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17세기 중 후반, 고본 『대학』을 활용한 윤휴의 새로운 『대학』 이해와 학문 활동은 아마도 이러한 여러 학술 정보의 축적과 직ㆍ간접의 관계가 있을 것이다. Daehak jimnok (大學集錄) by Noh Susin comprises several essays that reflect an understanding of Daehak in China and Joseon different from the views of Daehak janggu. In this light, the book is a collection of several pieces of information that allow a new interpretation of Daehak. Daehak jimnok could not reach wide readership in the 17thcentury Joseon. As criticism and prohibition of the study of Lu-Wang(陸王學) grew stronger, the book could not be freely circulated. Under these circumstances, Daehak jimnok was transformed and came to be known among Joseon scholars in two versions: Gaejeong daehak (改正大學) and Daehak jimnam (大學輯覽). Gaejeong daehak is an abridged version of Daehak jimnok whereas Daehak jimnam is an expanded version. Both version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interested scholars as sourcebooks allowing to understand Daehak from a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at of Daehak janggu. It is likely that the new understanding of Daehak by Yun Hyu (윤휴) who used the old version of Daehak and the scholar’s academic activities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century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is accumulated scholarship.

      • KCI등재

        조선후기 소학의 磁場과 變容 * – 小學枝言, 士小節을 중심으로 –

        정호훈(Jeong, Ho-Hun)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4 No.-

        Elementary Learning was a foundational book that drove the social proliferation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Chosŏn Dynasty. In terms of understanding Neo-Confucianism, this book greatly appealed to Chosŏn scholars as a text designed for children to learn the principles of society management based on adult norms. Therefore, in seeking an easy way for people to study the book, a variety of commentaries and translations have been disseminated since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From the latter half of the seventeenth century, Collected Commentaries of Elementary Learning became the foundational textbook for the study of Elementary Learning.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need to seek a new Elementary Learning emerged. This movement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the search for a new commentary on the original text of Elementary Learning, the recomposition of Elementary Learning using the original format to address the realities of Chosŏn[Sohak Jeon (小學枝言)], and the preparation of a substitute textbook from Elementary Learning.[Sasojeol (士小節)] Although none of these endeavors completely broke free from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 ideology, scholars consciously sought to remedy the loss of relevance of Elementary Learning, which had been composed in China, to the realities of Chosŏn. This could be regarded as the interconnection of the movement and the weakening of the thought system of contemporary Neo-Confucianism. 조선에서 小學은 주자학의 사회적 확산을 이끄는 기본 서적이었다. 조선의 위정자와 학자 들은 건국 이래 이 책을 쉽게 익힐 수 있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여 여러 종류의 주석서, 번역서를 마련하고 보급하였다. 17세기 후반 이후 로는 李珥가 재구성한 小學集註가 소학 학습의 기본 도서가 되었다. 18세기를 지나면서 학계 일부에서는 소학 을 보완하거나 넘어서려는 분위기가 만들어졌 다. 그 흐름은 소학 원문에 대한 새로운 주석을 모색하는 노력, 소학의 체재를 활용하여 조선의 역사와 현실로부터 소학을 재구성하는 경우, 소학과는 다른 체재와 내용을 지닌 代替 규범서를 마련하는 움직임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 가운데 보다 창조적인 학술 성과를 드러낸 활동은 첫 번째, 세 번째였다. 이 글에서는 丁若鏞의 小學枝言, 李德懋의 士小節을 통해 그 구체적인 모습을 살폈다. 어느 경우든 주자학의 영향을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으나, 논자들은 중국에서 만들어진 소학 이 조선 현실에서 시의성이 떨어지므로 이를 보완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으로 이 일을 수행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이 시기 주자학의 사유체계를 넘어서려 백방으로 노력하던 학계의 한 모습이 기도 했다. 여전히 소학이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상황 위에서, 소학의 세계를 탈각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조선 사회에 팽팽한 긴장을 조성했으 며, 이 과정에서 小學과 脫小學의 길항은 창조적 공간을 만드는 동력으로 작용했다. 새로운 소학을 만들자는 조선 사회의 지향은 19세 기 말에 이르면 ‘小學’이라는 이름은 그대로 빌리지만 내용은 완전히 달라진 ‘소학’ 교과서를 편찬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