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악을 전승한 예인으로서의기생에 대한 왜곡에 관한 연구 Ⅰ -기생과 성병검사와의 관련성 및 실시여부를 중심으로-

        水谷淸佳,이정남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9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6 No.-

        본 연구에서는 1906년 2월부터 1908년 6월까지 실시된 성병검사에서 그 대상이었던 조선인 여성들의 사회적 속성을 명확히 밝혀 기존 연구들에서의 오류를 바로잡고, 1908년 9월 25일 「기생단속령」 발령이후 기생의 성병검사에 대한 법적규정과 실제 실시여부 사이에 괴리가 없었는지를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기생(관기)의 성병검사가 내포하는 사회적 의미와 당시의 기생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새로운 시각에서의 해석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1906년 2월부터 1908년 6월까지 일제 통감부는 경성의 조선인 매음부들을 대상으로 강제적인 성병검사를 실시했는데, 기생(관기)은 이 시기의 성병검사의 대상이 아니었다. 1908년 9월 25일 「기생단속령」 발령이후 「기생조합규약표준」에 ‘기생들의 건강진단’이 명시되기는 하였지만 10월 6일의 「기생 및 창기단속령 시행심득」에서는 창기에게만 ‘건강증명서’가 요구되었고, 「기생 및 창기단속령 시행 세부지침」에서도 창기의 경우에만 ‘건강진단서’가 요구되었으며, 기생의 경우에는 ‘유예스승의 주소와 이름’이 요구되었다. 1910년 한일병탄 이후 1916년 3월 31일 전국통일법령인 조선총독부 경무총감부령 제3호 「예기․작부․예기치옥 영업취체규칙」에 의해 경찰서장에게 ‘기생에 대한 건강진단’의 요구권한이 부여되었지만, 이 법령이 시행된 지 3주가 지난 1916년 5월 21일자 『매일신보』의 내용을 확인해보면 이 당시 경향(京鄕)의 관기출신들로 구성된 ‘광교기생조합’과 ‘다동기생조합’의 기생들은 건강진단을 받지 않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또한 ‘신창기생조합’의 기생들 역시 완전한 기생조합(갑종 기생조합)으로 승격되어 건강진단을 받지 않게 되었으며, 이들 기생조합들이 일본식 권번시스템으로 체제를 전환한 이후에도 줄곧 이들 기생들에 대한 ‘정기적인 건강진단’의 실제 실시여부는 식민지시기가 끝날 때까지 확인된 바가 없다. 즉 1908년 9월 25일 「기생단속령」이 발령된 이후부터 식민지시기 전 기간에 걸쳐서 기생에 대한 ‘정기적인 건강진단’은 실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대한제국기 및 식민지시기에 전국의 모든 기생들을 대상으로 공식적이고 정기적인 건강진단이 실시된 적도 없으며, ‘기생의 건강진단’이 곧 ‘기생은 공창제도하의 매음녀’를 의미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단발적인 건강진단’의 기록만으로 ‘기생은 창기와 같이 일제의 공창제도하에 편입되어 저급화되었고 창기와 유사한 존재가 되었다’라는 식의 해석은 과도한 왜곡이다. 만약 이후로도 기생의 건강진단 기록들이 발견된다고 하더라도 기생(관기)들은 공창제도하의 창기(매음녀)들과 법적․정책적․사회적으로 분명히 구별된 존재였다. 왜냐하면 기생(관기) 누구나가 예외없이 매음을 하거나 성병에 걸렸던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대한제국기 및 식민지시기에 기생(관기)들에 대한 지배권력의 성병검사 실시계획은 기생의 직업적 특성과 위생상의 안전조치였으며, 거의 실행된 적이 없는 예방적 시도였다고 볼 수 있다. This research intended to correct the errors of existing researches by clearly investigating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Joseon women, who were the target of STD testing executed between February, 1906 and June, 1908, and suggest a necessity of a new interpretation of social implication of STD testing on Gisaeng(Gwangi)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Gisaeng of that period by concretely investigating any gap between legal regulation and actual practice of STD testing on Gisaeng since the execution of 「Gisaeng regulation law」 on September 25, 1908. Between February, 1906 and June, 1908, Japanese residency-general conducted forced STD testing targeting Joseon prostitutes of Gyeongseong(Seoul). But Gisaeng (Gwangi) was not target of STD testing during that period. Since enactment of 「Gisaeng regulation law」 on September 25, 1908, ‘checkup of Gisaeng’ was specified in 「Standard of Gisaeng Association Regulation」. But ‘health certificate’ was requested only on prostitutes in 「Enforcement regulations of Gisaeng and prostitute regulation」 on October 6, also, ‘health certificate’ was requested only on prostitutes in 「Detailed enforcement regulations of Gisaeng and prostitute regulation」, in case of Gisaeng, ‘address and name of artistic teachers’ was requested. Also, considering that there were newspaper articles regarding checkup was conducted on Gwangi 6 months later, in March, 1909, checkup for Gisaeng was not conducted during the 6 months after enforcement of 「Gisaeng regulation law」. Furthermore, these articles were not determined with whether of execution, since they were unconfirmed report. After Korea and Japan annexation in 1910, on March 31, 1916, a right for request on checkup to Gisaeng was given to police chief by the national unified law,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Joseon Gyeongmuchonggamburyeong no.3 based on 「Rule of Yegi․Jakbu․Yegichiok business regulation」, however, after 3 weeks since enactment of this law, according to 『Maeil Sinbo』 dated May 21, 1916, Gisaeng of ‘Gwanggyo Gisaeng Association’ and ‘Dadong Gisaeng Association’, composed of Gwangi from Gyeongseong and the provinces, did not take health examination. Also, Gisaeng of ‘Sinchang Gisaeng Association’ were also promoted and did not take health examination, and whether of actual execution of regular checkup on Gisaeng was not confirmed until termination of colonial period, even after change of Gisang Association to Japanese style Gwonbeon system. That is, it can be said, since enforcement of 「Gisaeng regulation law」 on September 25, 1908, regular checkup on Gisaeng was not conducted through the whole colonial period. This way, official and periodic checkup was not conducted targeting every Gisaeng of the whole nation during Korean Empire period and colonial period, and since ‘checkup of Gisaeng’ did not mean ‘Gisaeng was prostitute under state-regulated prostitution system’, accordingly, the interpretation, ‘Gisaeng became low-graded and target of control by being included in Japanese state-regulated prostitution system just like prostitutes’ only based on ‘temporary checkup’ records, is an excessive distortion. Even if any checkup record of Gisaeng is discovered later, Gisaeng(Gwangi) was clearly differentiated legally․politically․socially from prostitutes(street girls) under state-regulated prostitution system. Because, not every Gisaeng(Gwangi) practiced prostitution or had venereal disease. In conclusion, checkup execution plan of The Empire of Japan onto Gisaeng(Gwangi) during Korean Empire period and colonial period was a safety measure considering the job characteristics of Gisaeng and hygiene, a preventive attempt, which was scarcely executed.

      • KCI등재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연구사(史) 검토 및향후 연구과제

        水谷淸佳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0

        This study analyzed the preceding researches on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which became active in 2000s, classified them into four categories of 1) Music Studies, Dance Studies 2) Women’s Studies, Historical Studies 3) Gisaeng System and History 4) Other Related researches, and reviewed the accumulative research results and limitations. This study also reviewed database on modern newspaper related to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and online utilization method to suggest predetermined research tasks and directions for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In comprehensive analysis on preceding researches on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while there have been multilateral approaches from various Korean studies fields, most researches such as music studies, dance studies, women’s studies, historical studies, and history on Gisaeng mainly took place in 2000s and the researches on related field significantly slowed down after 2010. In 2010s, there was no review or utilization of existing researches including digital database of modern newspaper published during Daehan Empire Period, [Collection of Korean History Materials] in Korean History Database of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Korean Classics] of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Also, there are rich accumulations of numerous news articles and historical materials on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that are not revealed in the academic field. Thus, there should be additional and complementary researches and active researches on preceding researches to make [History of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to settle as the part of [History of Korean Women] in the current situation of few researches on Gisaeng during Daehan Empire Period after 2000s. In addition, various Gisaeng-related records that are not found on newspaper published by Koreans in Daehan Empire Period are in Japanese newspaper,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relying on Korean newspapers to discover and actively utilize the newspapers published by Japanese and newspapers in Japanese language. The phased process on establishment of licensed prostitute system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involved prostitute abolition policy in 1899, formation of district for prostitution in 1904,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testing in 1906, and taxation on prostitute in 1906. However, Gisang was not related to such process and Gisaeng was regarded to have contrasting social properties compared to prostitute. On September 25, 1908, 「Gisaeng regulation law」 was announced as 「Modern Gisaeng System」 while 「Prostitute regulation law」 was announced as 「Licensed Prostitution system」 individually. As a result, Gisaeng and prostitute were clearly differentiated in terms of law, policy, and society.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활발해진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1)음악학․무용학, 2)여성학․역사학, 3)기생제도 및 변천사, 4)기타 관련연구 이상 4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축적된 연구성과와 한계점 등을 고찰하고, 이후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련된 근대신문 DB구축현황과 온라인 활용방법을 제공하여 이들을 토대로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향후 선결 연구과제 및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다양한 한국학 분야에서 다각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기는 하였으나, 음악학, 무용학, 여성학, 역사학, 기생제도사 등 대부분의 연구가 2000년대에 집중적으로 진행되었고, 2010년 이후로는 관련분야의 연구가 매우 주춤한 실정이다. 하지만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대한제국기에 발행된 근대신문들의 디지털 DB화,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데이터베이스의 「한국사료총서」, 고전번역원의 「고전원문」 등 기존 연구들에서는 검토․활용된 바가 없고, 아직 학계에 공개되지 않은 다양한 대한제국기 기생 관련기사 및 사료들이 매우 풍부하게 축적되어 왔다. 따라서 2000년대 이후 대한제국기 기생에 관한 연구가 미진한 현 상황 속에서 「대한제국기의 기생사」가 한국여성사의 한 부분에 실제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선행연구들에 대한 추가․보완적인 연구와 제분야에서의 연구적 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대한제국기(1897~1910년) 한국인 발행 신문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다양한 기생관련 기록들이 당시의 일본어 신문들에도 다수 실려 있기 때문에 한국어(구(舊)한글, 국한문) 신문들에 대한 의존의 한계에서 벗어나, 대한제국기에 발행된 일본인 경영신문과 일본어 신문들을 대상으로 한 기생관련 기사의 발굴 및 적극적인 활용 또한 실제적으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해제 분석 및 오류 정정에 관한 연구

        水谷淸佳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우선 1992년부터 2015년까지 작성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에 관한 기존 4개의 해제 현황을 고찰하고, 이후 정식적인 해제라고 할 수 있는1992년 『일제문서해제선집』의 해제와 2000년 『일제문서해제-경무편』의 해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여기서 발견되는 다양한 학술적 오류와 오기(誤記), 오독(誤讀) 등의 내용을 하나하나 조목조목 올바르게 바로잡았다.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은 1908년부터 1910년까지 일제 통감부 경시청과내부 경무국 제2과에서 작성한 기록물들을 1910년 조선총독부 경무총감부가 편철(編綴)한 것으로, 문서제목에서 드러나듯이 ‘기생 관련 서류들’과 ‘창기 관련 서류들’ 이상 2종류의 기록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서류들의 작성시기와 실제 내용으로부터 분류하면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은 총 4종류의 문서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①‘공창제도’ 이식의 준비단계로서 ‘경성유녀조합’에 관한 서류들(1908년 6~7월), ②「기생단속령」 및 「창기단속령」 제정준비부터 발령, 시행, 세부지침, 신고서 양식 등에 이르기까지의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들(1908년 9~10월, 1909년 3월), ③‘공창제도’의 시작으로서 ‘한성창기조합소’의 설립과정 및 조직구성등에 관한 서류들(1909년 4~10월), ④기생들의 일본 공연 및 개성(開城) 공연에 관한서류들(1910년 5월) 이상 4종류의 문서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4종류의 문서군은 각각 독자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것이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본질적인성격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은 이와 같이 4종류의 문서군이 각각 독자적인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기생 관련 서류’를 ‘창기 관련 서류’와유사한 서류로 착각·오인(誤認)하거나 ‘창기 관련 서류들’을 ‘기생 관련 서류들’로 오독(誤讀)하여 왜곡된 논지를 전개한 ‘기존 해제들’과 ‘선행연구들’의 내용은 올바르게바로잡아져야 할 것이며, 이의 인용에 있어서도 충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이능화의 『조선해어화사』에 의한 기생사(史) 및 기생상(像)의 왜곡에 관한 연구 Ⅰ : 이능화의 친일 반민족 행적과 신라시대의 왜곡을 중심으로

        水谷淸佳(Mizutani Sayak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2

        본 연구는 우선 이능화의 생애 및 시기별 활동을 ‘친일 반민족 행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후 신라시대의 원화(源花)와 기생과의 관련성, 김유신과 천관녀의 일화에 등장하는 천관녀(天官女)의 사회적 속성, 그리고 신라시대의 매춘풍속(賣春風俗)의 존재여부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능화는 식민지시기에 일본 제국으로부터 고위관직, 훈장, 포상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조선사편수회, 친일 불교단체, 친일 학회, 친일 조직들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여 한국사 왜곡과 식민사관 전파에 앞장섰으며, 심지어는 일본 천황들을 찬양하는 한시(漢詩)를 지어 바치며 일제의 조선 식민지 지배를 합리화시키기까지 하였다. 즉 이능화는 ‘단순히 왜곡된 조선사 편찬에 참여한 정도’가 아니라 다방면에서 매우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친일 활동을 전개해 간 식민지시기의 대표적인 ‘친일 반민족 행위자’이다. 신라시대의 원화(源花)는 진골 신분 이상이거나 왕실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진 최상의 신분을 가진 여성들로 기생(倡)과는 거리가 먼 존재였다. 즉 원화(源花)가 기생(妓生)이라는 이능화의 주장은 사실(史實)에 반(反)하며, 구체적인 논증도 없는 이능화의 추상적이고 개인적인 견해일 뿐이다. 또한 ‘화랑(花郞)≒미동(美童), 비역(屁役), 남색(男色)’, ‘택견(擇其緣)≒미동(美童)을 차지하기 위한 전통 유희(遊戲)’, ‘낭도(郞徒)≒외입장(外入匠)’이라는 주장 역시 화랑, 낭도, 택견의 본질적인 성격을 심하게 변질시킨 이능화에 의한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역사 왜곡의 일부이다. 천관녀(天官女)의 사회적 속성은 여종(女隷)이었으며, 최초 기록자인 이인로는 천관녀의 사회적 기능을 기생(妓生)과 같은 존재로 간주하였다. 하지만 이능화는 천관녀(天官女)를 ‘매음을 주업으로 하는 창녀(娼女)’로 왜곡시켰고, 구체적인 근거나 논리적 타당성이 결여된 채로 “신라시대에 매춘풍속(賣春風俗)이 있었다”고 주장하면서 식민지시기의 공창제도(매춘제도)의 기원을 신라시대까지 끌어올렸다. 즉 ‘천관녀(天官女)=매소부(賣笑婦)의 창녀(娼女)’, ‘음방=창녀를 두고 매음하는 집’, 그리고 ‘신라시대에 매춘풍속이 있었다’라는 『조선해어화사』의 내용은 이능화에 의해 왜곡된 사실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ee Neung Hwa’s life and activities by focusing on his pro-Japanese and anti-national activities. I also investigate the Wonhwa of the Silla Dynas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Gisaeng, the social attributes of Cheongwannyeo from the story of Kim Yu Shin, and the existence of prostitution during the Silla Dynasty. Lee Neung Hwa served in a high-ranking position in the Japanese Empire and won medals and rewar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Lee Neung Hwa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pro-Japanese Buddhist organizations, pro-Japanese societies, and pro-Japanese groups. His contributions led to a distortion of Korean history, and he advocated colonialism. Lee Neung Hwa even wrote and dedicated a Chinese poem praising the Japanese emperors and rationalizing the Japanese empire’s colonial rule of th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Lee Neung Hwa went beyond simply participating in compiling a distorted history of Joseon. Instead, Lee Neung Hwa was pro-Japanese and anti-nationalist who carried out pro-Japanese activities in a practical and detailed manner. The Wonhwa of the Silla Dynasty refers to women of high rank with authority over the Jingol. They were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oyal court. The Wonhwa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Gisaeng. Thus, Lee’s claim that the Wonhwa and Gisaeng were the same is untrue and merely a personal opinion, lacking detailed reasoning. In addition, Lee Neung Hwa regarded the Hwarang as male prostitutes who committed sodomy; he regarded Taekgyeon as a traditional game of winning male prostitutes and he regarded a Nangdo as a person who enjoys brothels. However, these were part of Lee’s intended and planned distortion of history and they severely degrade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Hwarang, Nangdo, and Taekgyeon. Cheongwannyeo’s social standing was that of female servant. Lee In Ro, who was the first person to record Cheongwannyeo, regarded Cheongwannyeo’s social standing as equivalent to that of a Gisaeng. However, Lee Neung Hwa distorted Cheongwannyeo as “a prostitute involved in prostitution.” He also claimed that “the Silla Dynasty approved prostitution” and pointed out that state-regulated prostitu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riginated from the Silla Dynasty, without grounds or logical validity. 『Joseonhaeeohwasa』 claimed that Cheongwannyeo equals prostitute and Eumbang equals a house for prostitution, and that the Silla Dynasty approved prostitution. These allegations were not true. The truth was distorted by Lee Neung Hwa.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온라인 원문이미지 제공 현황 분석 및 개선 과제

        水谷淸佳(Mizutani Sayaka ),이정남(Jeongnam Lee) 한국교방문화학회 2023 교방문화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와 ‘조선총독부 기록물 홈페이지’에서의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 원문이미지 제공 현황 및 관련 내용 항목들을 구체적이고 정치(精緻)하게 분석·고찰하여 그 안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도출해내고, 이를 바탕으로 각 홈페이지에서 개선해야 할 주요 사항들을 체계적으로 정리·제안하였다. 각 홈페이지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부적절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메인 해제(解題)로, 이는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은 대한제국 말기인 1908년 6월부터 1910년 5월까지 일제 통감부 경찰권력이 생산한 문서들을 그들 스스로가 다시 1910년 후반에 편철한 것으로, 기록물의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기생(妓生) 관련 서류들’과 ‘창기(娼妓) 관련 서류들’ 이상 2종류의 기록물로 구성되어 있고, 각 기록물들은 독립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생산기관’은 ‘통감부 경시청(경시총감)과 내부 경무국(제2과장)’이고, ‘생산년도’는 ‘1908~ 1910년’이며, ‘편철기관’은 ‘조선총독부 경무총감부(警務總監部)’, 그리고 ‘편철년도’는 ‘1910년’이다. 대한제국 말기인 1908년 9월 25일에는 900여년을 이어온 한반도의 ‘기생제도(관기제도)’가 일제 통감부 경찰권력에 의해 해체되고, 민간 기생조직인 ‘기생조합소’라는 ‘근대식 기생제도(기생단속령)’가 시작되었다. 또한 동시에 공식적인 성매매에 관한 법률이나 제도가 존재하지 않았던 한반도에 일제 통감부는 공인(公認) 성매매제도인 ‘공창제도(창기단속령)’를 이식시켰다. 그리고 이 「기생단속령(근대식 기생제도)」의 제정준비에서부터 근대 여성 예술인(藝術人)집단인 ‘한성기생조합소(1908년)’의 설립과정 및 국내외 공연과 「창기단속령(공창제도)」의 제정준비에서부터 공인 성매매집단인 ‘한성창기조합(1909년)’의 설립과정 및 실제 공창제도 실시의 전말이 담긴 ‘유일한 공적 일제(日帝) 문서’가 바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이다. 결론적으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은 대한제국 말기 일제 통감부가 당시 ‘가무(歌舞) 전문 예술인(藝術人)이었던 기생(妓生)’과 ‘매음(賣淫)을 전업으로 하던 창기(娼妓)’를 근대적인 방식으로 통제·관리하기 위해 정책방향을 설정하고,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법령을 제정하고, 세부 실시 지침을 마련하고, 실제 정책적·제도적 실시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에서의 ‘근대식 기생제도’와 ‘공창제도’의 ‘성립과정의 전말’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법적·정책적 사료’이다”와 같이 수정·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와 ‘조선총독부 기록물 홈페이지’에 실린 모든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에 관한 세부 내용 항목들과 ‘주요기록물들(5개)’에 대한 간략한 설명 등은 이정남(2022-2023)과 水谷淸佳(2022-2023)에 의한 일련의 연구 결과들을 참고하여 정확한 내용과 올바른 정보로 수정·재탑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ferred to the National Archives and Government-General of Chosun Records Archive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in providing the images of original script from the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 and related content in a detailed manner, find the problems in the websites, and organize and point out the main items to be improved in each website.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at the main bibliography on the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 is the record complied in the late 1910s by the Resident-General of Korea on the documents they produced during the late Korean Empire, from June 1908 to May 1910. As the title indicates, the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 are composed of two types of records on the documents related to Gisaeng and prostitutes, and each record has independent characteristics. During the late Korean Empire, the Korean Peninsula’s 900-year-old “Gisaeng System (Official Gisaeng System)” was disorganized by the Resident-General of Korea in September 25, 1908. After disorganization, it enforced the modern Gisaeng system (Gisaeng Regulation Law) called the Gisaeng Association. The Resident-General of Korea also implanted a licensed prostitution system, “Licensed Prostitution System (Prostitute Regulation Law),” in the Korean Peninsula that did not have laws or systems regarding licensed prostitution. In addition, the websites also need to be revised and clarify that the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 are the only Japanese documents that include the preparation process of the [Gisaeng Regulation Law (Modern Gisaeng System)],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modern female entertainer group named “Hanseong Gisaeng Association (1908),” its performances in Korea and overseas, preparation on establishment of the [Prostitute Regulation Law (Licensed Prostitute System)],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licensed prostitute group called “Hanseong Prostitute Association (1909), and the circumstances of enforcing the state-regulated prostitution system. Furthermore, the details of the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 and brief explanations of the main records in each website should be revised and re-written based on accurate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research by Lee Jeong-nam (2022-2023) and Mizutani Sayaka (2022-2023).

      • KCI등재

        식민지시기에 있어서 ‘기생(妓生)’과 ‘삼패(三牌) 출신’의 개념적 구분에 관한 연구-‘기생(妓生)’과 ‘삼패(三牌) 출신’의 ‘법적ㆍ정책적ㆍ사회적 속성’과 개념적 차이-

        水谷淸佳 ( Mizutani Sayaka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7 No.-

        본 연구는 식민지시기의 ‘기생(妓生)’과 ‘삼패(三牌) 출신’에 관한 기사 및 자료들을 최대한 빠짐없이 총망라하여 ‘한국의 기록과 사료들’만을 토대로, 식민지시기 ‘기생(妓生)’과 ‘삼패(三牌) 출신’의 ‘법적ㆍ정책적ㆍ사회적 속성’과 개념적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식민지초기(1910년 8월 29일~1916년 5월 19일)에 존재했던 ‘삼패(三牌) 출신들’은 ‘기생(妓生)’이 아니다. 이 시기의 ‘삼패 출신들’은 항상 ‘시곡(詩谷)’, ‘시곡예기조합’, ‘시곡기생조합’, ‘신창기생조합(新彰妓生組合)’이라는 단어가 앞에 붙어 ‘기생(妓生)’이라고 단독으로 불리는 경우가 없었으며, 이로써 당시 ‘온전한 기생(갑종 기생)들’과 ‘사회적’으로 뚜렷이 구별되었다. 즉 이 시기의 ‘삼패 출신들’은 ‘○○ 기□(○○ 妓生)’이라고 불리기는 했지만 ‘법적ㆍ정책적ㆍ사회적’으로 여전히 ‘공창제도 하의 예창기(藝娼妓)’로서 ‘온전한 기생’은 아니었으며, 조선총독부 역시 1916년 5월 19일까지 이 시기의 ‘삼패 출신들’을 ‘온전한 기생(갑종 기생)’으로 공인해주지 않았다. 둘째, 식민지초기(1916년 5월 19일~1923년 8월)에 존재했던 ‘삼패(三牌) 출신들’이 중심이 된 ‘신창기생조합(경화권번) 기생’은 ‘식민지시기 조선총독부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기생(妓生)’이다. 다만 같은 ‘가무(歌舞)를 전업(專業)으로 하는 전문 여성 예인(藝人)’이라 할 지라도 그 ‘기원 및 역사적 전통성과 사회적 인식’을 고려해볼 때 한반도에서 900년 이상 여악(女樂)의 전통을 이어온 당시 관기(官妓) 출신들을 중심으로 한 ‘광교기생조합(한성권번) 기생’ 및 ‘다동기생조합(대정권번) 기생’ 등과 1916년 5월 19일 ‘조선총독부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기생’인 ‘신창기생조합(경화권번) 기생’은 분명한 개념적 차이가 있음을 구분하여 인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일패(一牌)’라는 용어도, ‘삼패(三牌)도 기생에 포함된다’ 따라서 ‘기생(妓生)에는 일패(一牌), 이패(二牌), 삼패(三牌)의 3종류가 있었다’라는 사(史)적으로 틀린 분류법도, ‘조선의 기생은 갈보(蝎甫)ㆍ매춘부(賣春婦)이다’라는 왜곡된 정의도 모두 ‘재한일본인들’과 ‘친일파 이능화’가 남겨놓은 ‘기생에 관한 왜곡된 역사의 잔재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한반도의 기생에 관한 왜곡된 정의와 분류법’은 이제 그만 한일 양국의 학계에서도, 일반사회에서도 청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include articles and materials about “Gisaeng” and “Former Sampae Group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much as possible to clarify “Legal, Institutional, and Social Attribute and Conceptual Difference” of “Gisaeng” and “Former Sampae Groups” during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based on “Korean Records and Historical Records” empirically. First, “Former Sampae Groups” that existed during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August 29, 1910 - May 19, 1916) were not “Gisaeng”. During this period, “Former Sampae Groups” were not called “Gisaeng”. Instead, they were called “Sigok”, “Sigok Female Entertainer Union”, “Sigok Gisaeng Union”, “Sinchang Gisaeng Union”. These names show that “Former Sampae Groups” we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rue Gisaeng (Top Gisaeng)” of the time in legal, institutional, and social aspects. In other words, while “Former Sampae Group” was called “OO Gisaeng” during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Former Sampae Group” was still different from “Gisaeng” as the Yechanggi under “Licensed Prostitution System” and the Residency-General did not authorize “Former Sampae Group” as “True Gisaeng (Top Gisaeng)” until May 19, 1916. Secondly, “Gisaengs of Sinchang Gisaeng Union and Gyeonghwa Gwonbeon” existed during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May 19, 1916 - August 1923) and they were largely composed of “Former Sampae Groups”. These groups of Gisaeng were newly made by “Residency-General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le both “Sinchang Gisaeng Union” and “Gisaeng” are both female entertainers specialized in singing and dancing,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the clear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Gisaengs” who continued the tradition of female musicians for about 900 year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Gisaengs of Sinchang Gisaeng Union” who were newly made by the “Residency-General” on May 19, 1916 in consideration of their origins and historical traditions. Lastly, defining Gisaeng of the Joseon Dynasty as Galbo and prostitute, dividing Gisaeng into Ilpae, Ipae, Sampae, using the term, Ilpae, including Sampae in Gisaeng are all “Remains of the distorted history recorded by the Japanese residents in Korea and pro-Japanese groups.” Therefore, it is time to end such distort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n Gisaeng of Korea in Korean and Japanese academics and the general public.

      • KCI등재

        대한제국기 및 식민지시기 재한일본인들에 의한 기생사(史) 및 기생상(像)의 왜곡에 관한 연구 : 쓰네야 세이후쿠와 이마무라 도모에 의한 ‘왜곡된 기생의 정의와 분류법’ 「기생=갈보 매춘부: 일패, 이패, 삼패」를 중심으로

        水谷淸佳(Mizutani Sayaka),이정남(Lee Jeongna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본 연구는 우선 대한제국기인 1901년 재한일본인이었던 ‘식민주의 정치인’ 쓰네야 세이후쿠(恒屋盛服)에 의한‘자의적이고 왜곡된 기생의 정의와 분류법‘인 「기생=갈보(蝎甫) : 일패(一牌), 이패(二牌), 삼패(三牌)」의 등장과 이의 확산 및 굴절과정을 살펴보았고, 이후 식민지시기인 1914년 이러한 ‘왜곡된 기생의 정의와 분류법‘을 그대로 수용하여 내용을 보다 굴절 확장시킨 ‘제국주의 경찰관료’ 이마무라 도모(今村鞆)의 「기생=매춘부(賣春婦) : 일패(妓生), 이패(妓生), 삼패(準妓生)」에 등장하는 다양한 학술적 오류와 왜곡된 내용들을 한국과 일본의 1차자료들과 당대의 사료들을 총망라하여 객관적이고 실증적으로 하나하나 규명하였다. 비록 조선시대와 대한제국기 및 식민지시기의 기생들이 유교문화와 일제의 식민지 지배 하에서 남성들의 성적유희와 착취로부터 자유로웠던 존재는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매일매일을 매음으로 생계를 꾸려갔던 갈보 매춘부는 아니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사 , 한국근대사 , 한국여성사 , 음악사 , 무용사 등의 ‘기생(妓生)’ 관련 연구들에 있어서 ‘가무(歌舞)를 전업으로 하였지만 성(性)적 유희나 착취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던 기생(妓生)집단’과 ‘국가의 관리 하에 지정된 지역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금전거래를 통해 매일매일을 성매매(性賣買)로생업을 이어갔던 창녀(娼女) 매춘부(賣春婦)’는 ‘분명하게 구별하여 인식’하고 연구를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무엇보다도 이러한 ‘과거 재한일본인들’과 ‘비틀린 기생관(觀)을 가진 근현대 일부 기생 관련 연구자들’ 에 의해 왜곡된 ‘한국의 기생사(史)와 기생상(像)’을 객관적이고 실증적으로 바로잡는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할 것이며, 한국의 각 시대별 시기별 ‘법적 정책적 사회적 인식’을 토대로 한 ‘기생(妓生)의 사회적 역사적 존재적 실체’를 분명하게 규명하는 새롭고 신선한 연구들도 활발히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일패(一牌)’라는 용어도, ‘삼패(三牌)도 기생에 포함된다’ 따라서 ‘기생(妓生)에는 일패(一牌), 이패(二牌), 삼패(三牌)의 3종류가 있었다’라는 사(史)적으로 틀린 분류법도, ‘조선의 기생은 갈보(蝎甫) 매춘부(賣春婦)이다’라는 왜곡된 정의도 모두 ‘재한일본인들’과 ‘친일파’가 남겨놓은 ‘왜곡된 역사의 잔재들’이란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한반도의 기생에 관한 왜곡된 정의와 분류법’은 이제 그만 한일 양국의 학계에서도, 일반사회에서도 철저하게 청산해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vent and spread of Gisaeng=Galbo : Ilpae, Ipae, Sampae , which is the arbitrary and distorted classification method by Tsuneya Seifuku in the Daehan Empire, to investigate the numbers of academic errors and distortions objectively and empirically one by one found in Gisaeng=prostitute : Ilpae, Ipae, Sampae of Imamura Tomo who adopted, distorted, and expanded such distorted classification metho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based on reviewed whole materials and records of the time. Although the Gisae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Daehan Empire,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not free from the sexual amusement and exploitation of the men under the Confucian society and the Japanese colonial rule, Gisaeng was not a prostitute who made a living by the prostitution. Defining Gisaeng of the Joseon as Galbo and prostitute, dividing Gisaeng into Ilpae, Ipae, Sampae, using the term, Ilpae, including Sampae in Gisaeng are all “Remains of the distorted history recorded by the Japanese residents in Korea and pro-Japanese groups.” Therefore, it is time to end such distort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n Gisaeng of Korea in Korean and Japanese academics and the general public.

      • KCI등재

        이능화의 『조선해어화사』에 의한 기생사(史) 및 기생상(像)의 왜곡에 관한 연구 II -삼패(三牌)의 ‘사회적 속성’ 변천과정 및 갈보(蝎甫)로의 왜곡을 중심으로-

        水谷淸佳 ( Miztani Sayaka ),이정남 ( Lee Jeongnam ) 한국음악사학회 2020 한국음악사학보 Vol.65 No.-

        본 연구는 대한제국기 밎 식민지초기의 근대신문들을 중심으로 우선 지금까지 처녀지로 남아 있던 ‘삼패(三牌)의 등장’에 대해 추적해보고, 이후 ‘삼패(三牌)’가 처음 등장한 1899년부터 ‘삼패(三牌) 출신 기생들’이 해체된 1923년까지 총 25년간 ‘삼패(三牌)’들의 가무활동과 사회적 활동, 그리고 사회적 속성의 변화과정을 총 4시기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삼패(三牌)’는 ‘갈보(蝎甫)’가 아니다. ‘삼패’는 등장(1899년)부터 해체(1923년)까지 ‘매음만을 전업으로 하는 창녀(매춘부)’라는 사회적 속성을 가진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또한 ‘갈보(蝎甫)’라는 용어는 기생(관기), 이패, 삼패, 색주가의 작부 등을 총칭하는 대명사가 아니다. ‘갈보’는 ‘매음만을 전업으로 하는 창녀(매춘부)류 중 가장 하위집단’에 지나지 않는다. 둘째, ‘삼패(三牌)’는 ‘기생’이 아니면서도 ‘기생’이다. 국가소속의 여악으로 서의 정통성과 역사적·사회적 인식면에서 보면 ‘삼패’는 ‘기생’이 아니다. 그러나 ‘기생의 범주’를 보다 확장시킨다면 ‘1916년 5월 19일 이후의 삼패’ 역시 ‘기생’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다만 ‘삼패 출신 기생’들은 ‘식민지시기 조선총독부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기생’이다. 셋째, ‘삼패(三牌)’는 대한제국기 및 식민지시기를 통틀어 전반적으로 기생(관기)의 주 레퍼토리인 궁중 정재에서부터 민속춤, 좌창, 입창, 그리고 근대의 새로운 창작춤에 이르기까지 조선 여악의 대부분의 영역을 섭렵한 인기 가무연행자 집단이었으며, 또한 궁중 정재 및 조선 여악의 계승과 발전, 그리고 이의 근대화 및 대중화에 큰 기여를 한 조선을 대표하는 여성 예인 집단이었다. 넷째, ‘삼패(三牌)’는 대한제국기 및 식민지시기에 있어서 국채보상운동과 같은 애국활동, 고아원·기아수용소·조산부양성소·학교 등 다양한 사회 기반시설들을 위한 자선연주회 및 기부활동, 재능기부 및 대중 계몽활동, 신문애독 및 신문물에 대한 적극적 수용 등 조선의 다양한 위기상황과 사회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 다방면에서 실제적 활동을 전개해나간 근대의 신여성 집단이었다. This study seeks to trace the “Origin of Sampae” which remained as the virgin land until now focusing on modern newspapers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and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examine the Sampae’s music activities, dance activities, social activities, and process of change in social attribute for total of 25 years from 1899 when Sampae first appeared to 1923 when Gisaengs who originated from Sampae dissolved by dividing in to four periods. First, Sampae is not Galbo. Sampae never had a social attribute as “A prostitute involved solely in prostitution” from its beginning in 1899 to dissolution in 1923. Also, “Galbo” is not the general term for Gisaeng (Gwangi), Ipae, Sampae, and prostitute bar’s prostitute. Instead, Galbo merely refers to “The lowest group among prostitutes involved solely in the prostitution.” Secondly, Sampae is a Gisaeng and is not a Gisaeng at the same time. In aspect of the originality as a state-owned Yeoak and historical and social perception, Sampae is not a Gisaeng. On the other hand, in extending the category of Gisaeng, Sampaes who were active after May 19, 1916 are also Gisaengs. However, Gisaengs who originated from Sampae are “Gisaengs newly made by Japanese General Govern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rd, Sampae was a group of popular music and dance performers who took over the most of the fields of Joseon Dynasty’s Yeoak from Gisaeng’s (Gwangi) main repertory, royal court dance, to folk dance, Jwachang (seated singing), Ipchang (standing singing), and new contemporary creative dance. Sampae was also a group of female artiste representing Joseon Dynasty and Sampae hugely contributed on inheritance, development, modern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royal court dance and female music and dance during Joseon Dynasty. Fourth,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Sampae was a group of modern new women who participated in practical activities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patriotic activities such as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charity concerts and donations for various social infrastructures such as orphanage, foundling house, and midwife training school, talent donation, public enlightenment activity, newspaper reading, and active acceptance of new culture to solve Joseon Dynasty’s varying crises and social problems.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서지학적 고찰과 그 가치 및 특징

        水谷淸佳(Mizutani Sayaka ),이정남(Jeongnam Lee) 한국교방문화학회 2021 교방문화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우선 그동안 자주 오인(誤認)·오독(誤讀)되어 왔던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본질적인 성격을 명확히 밝히고, 이후 기존에 생산된 4개의 해제(解題)와 1988년 마이크로필름화부터 현재 온라인 서비스에 이르기까지의 자료 현황 검토,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종합적인 서지 내용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를 거쳐 대한제국기에 이르기까지 여악(女樂)이라는 한반도의 전통문화예술을 계승해 온 한국의 ‘기녀(기생)제도’가 전근대에서 근대로의 전환기인 대한제국기에 있어서 스스로의 힘으로 ‘근대식 기생제도’로 전환되지 못하고, 일제 통감부 경찰권력에 의해 타의적이고 강제적으로 이루어진 것임이 명백히 기록된 역사적으로 매우 개탄스럽고 안타까운 타자의 기록물이다. 둘째, 1876년 개항 이후의 매우 혼란한 정치적, 사회적 상황 속에서도 국가가 공인한 성매매제도가 존재하지 않았던 한반도에, 일제강점기를 코앞에 둔 1908년 9월 25일, 일제 통감부는 조선인 창기(娼妓)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공인 성매매제도인 ‘공창제도’를 한반도에 실제적으로 이식(移植)시켰다. 즉 역사적으로 금전거래를 통한 성(性)의 매매가 엄격히 금지되었던 한반도가 돈만 있으면 성(性)을 마음대로 사고 팔 수 있고, 어떠한 법적 처벌도 받지 않는 ‘성매매 공인 국가’로 전락해버린 것이다.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은 이러한 ‘한반도로의 공창제도 이식’이라는 피식민자들의 원통한 역사적 상흔(傷痕)이다. 마지막으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전체내용을 포괄하는 구체적인 해제(解題) 연구와 ‘기생’ 및 ‘창기’에 관한 각각의 서류들을 한국어로 번역한 단행본 발간 작업이 진전을 이루어, 관련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한제국기라는 근대화의 전환점에서 ‘기생(妓生)’과 ‘창기(娼妓)’가 각각 어떠한 존재들이었는지를 구체적이고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여악의 전통을 계승한 예술인(藝術人) 집단이었던 기생집단’과 ‘성매매만으로 생계를 이어갔던 매춘부(賣春婦) 집단인 창기집단’에 대한 정확한 개념구분과 새로운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larified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which are frequently misunderstood and misread, examined related data ranging from four existing bibliographies to microfilms since 1988 and the current online service, and thoroughly explored the overall description for the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First,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re historically deplorable and miserable records that clearly show that the Gisaeng System, which has been inheriting the traditional cultural art of the Korean Peninsula, female musician,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and The Korean Empire Period, was forcibly changed by the Japanese Residential-General and police authority without having own power to convert into the Modern Gisaeng System, during the turning point from a pre-modern time to a modern time in the Korean Empire Period. Secondly, even though the Korean Peninsula went through extremely chaotic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since opening a port of Busan in 1876, there was no nationally authorized prostitution system. On September 25, 1908, which was right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Japanese Resident-General implanted a Prostitution System, which is the first official prostitution system involving Korean prostitutes. In other words, the Korean Peninsula, which strictly prohibited any prostitution involving money, was degraded into an immoral society (country with an official prostitution system) where people trade sex without any legal punishments. The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re the bitter historical scars of colonized Koreans who were victims of the prostitution system implanted in the Korean Peninsula. Lastly, there needs to be more detailed bibliographical studies that cover the whole contents of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nd publish books that interpret each document about “Gisaeng” and “Prostitute” in Korean. This would allow both related researchers and ordinary people to approach more easily and understand the concept of “Gisaeng” and “Prostitute” during The Korean Empire’s turning point of modernization in more detailed and correct ways. Moreover, there should be clear definitions and new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Gisaeng Group” as the artist group that inherited the tradition of female musicians and “Prostitute Group” as the prostitute group who lived on prostitution.

      • KCI등재

        대한제국기에 있어서 ‘기생(妓生)’과 ‘삼패(三牌)’의 개념적 구분에 관한 연구 : ‘기생(妓生)’과 ‘삼패(三牌)’의 ‘법적 정책적 사회적 속성’과 개념적 차이

        水谷淸佳(Mizutani Sayak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본 연구에서는 대한제국기의 ‘기생(妓生)’과 ‘삼패(三牌)’에 관한 기사 및 자료들을 최대한 빠짐없이 총망라하여‘한국의 기록과 사료들’만을 토대로 대한제국기 당시의 ‘기생(妓生)’과 ‘삼패(三牌)’의 ‘법적 정책적 사회적 속성’과 개념적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삼패(三牌)’는 ‘기생(妓生)’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대한제국기(현재까지 기록상1899년 8월 등장~1910년 8월 소멸)에 존재했던 ‘삼패(三牌)’는 ‘법적 정책적 사회적’으로 ‘예창기(藝娼妓)’였지‘기생(妓生)’이 아니었다. 즉 대한제국기에 있어서 ‘기생(妓生)’과 ‘삼패(三牌)’는 ‘법적 정책적 사회적 속성과 역할’이 다른 별개의 집단이었고, ‘삼패(三牌)’는 ‘기생(妓生)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무엇보다도 조선사회와 조선인들 사이에 「기생(妓生)에는 일패(一牌), 이패(二牌), 삼패(三牌)의 3종류가 있었다」라는 분류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1901년 조선개화사 의 쓰네야 세이후쿠에 의해 자의적으로 만들어진 「기생(妓生)에는 일패(一牌), 이패(二牌), 삼패(三牌)의 3종류가 있었다」라는 ‘왜곡되고 틀린 기생의 분류법’의 무분별한 인용 및 재생산을 이제 그만 멈추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이 120년간 ‘가무를 전업으로 했던 기생(妓生)’이 「‘삼패=기생’→‘삼패=가무와 매음을 겸업하던 집단’→따라서 ‘기생=가무와 매음을 겸업하던 집단’」이라는 ‘왜곡된 논법’에 의해 ‘기생(妓生)은 가무(歌舞)와 매음(賣淫)을 겸업으로 하던 존재’로 왜곡되어 온 ‘기존까지의 학술적 오류’와 ‘기생(妓生)에대한 왜곡된 역사인식’을 올바르게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삼패(三牌)도 기생에 포함된다’ 따라서 ‘기생(妓生)에는 일패(一牌), 이패(二牌), 삼패(三牌)의 3종류가 있었다’라는 사(史)적으로 틀린 분류법도, ‘조선의 기생은 갈보(蝎甫) 매춘부(賣春婦)이다’라는 왜곡된 정의도 모두 ‘재한일본인들’과 ‘친일파’가 남겨놓은 ‘기생에 관한 왜곡된 역사의 잔재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왜곡된 기생의 정의와분류법’은 이제 그만 한일 학계 및 일반사회에서도 청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include articles and materials about “Gisaeng” and “Sampae” during theKorean Empire Period as much as possible to clarify “Legal, Institutional, and Social Attributeand Conceptual Difference” of “Gisaeng” and “Sampae”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basedon “Korean Records and Historical Records” empirically. “Sampae” that existed during Korean Empire Period (Emerged in August 1899 and disappearedin August 1910) was not “Gisaeng”. From August 1899 when it first emerged in the record toAugust 1910 when the term, “Sampae”, rapidly disappeared from the historical records, “Sampae”was constantly controlled and managed by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and the JapaneseColonial Residency-General as Yechanggi. In the aspect of legal, institutional and social perception,“Sampae” had different properties from “Gisaeng”. Therefore, the Joseon society and people didnot treat “Sampae” as “Gisaeng”. Defining Gisaeng of the Joseon as Galbo and prostitute, dividing Gisaeng into Ilpae, Ipae,Sampae, using the term, Ilpae, including Sampae in Gisaeng are all “Remains of the distortedhistory recorded by the Japanese residents in Korea and pro-Japanese groups.” Therefore, it istime to end such distort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n Gisaeng of Korea in Korean andJapanese academics and the general 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