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능화의 『조선해어화사』에 의한 기생사(史) 및 기생상(像)의 왜곡에 관한 연구 II -삼패(三牌)의 ‘사회적 속성’ 변천과정 및 갈보(蝎甫)로의 왜곡을 중심으로-

        水谷淸佳 ( Miztani Sayaka ),이정남 ( Lee Jeongnam ) 한국음악사학회 2020 한국음악사학보 Vol.65 No.-

        본 연구는 대한제국기 밎 식민지초기의 근대신문들을 중심으로 우선 지금까지 처녀지로 남아 있던 ‘삼패(三牌)의 등장’에 대해 추적해보고, 이후 ‘삼패(三牌)’가 처음 등장한 1899년부터 ‘삼패(三牌) 출신 기생들’이 해체된 1923년까지 총 25년간 ‘삼패(三牌)’들의 가무활동과 사회적 활동, 그리고 사회적 속성의 변화과정을 총 4시기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삼패(三牌)’는 ‘갈보(蝎甫)’가 아니다. ‘삼패’는 등장(1899년)부터 해체(1923년)까지 ‘매음만을 전업으로 하는 창녀(매춘부)’라는 사회적 속성을 가진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또한 ‘갈보(蝎甫)’라는 용어는 기생(관기), 이패, 삼패, 색주가의 작부 등을 총칭하는 대명사가 아니다. ‘갈보’는 ‘매음만을 전업으로 하는 창녀(매춘부)류 중 가장 하위집단’에 지나지 않는다. 둘째, ‘삼패(三牌)’는 ‘기생’이 아니면서도 ‘기생’이다. 국가소속의 여악으로 서의 정통성과 역사적·사회적 인식면에서 보면 ‘삼패’는 ‘기생’이 아니다. 그러나 ‘기생의 범주’를 보다 확장시킨다면 ‘1916년 5월 19일 이후의 삼패’ 역시 ‘기생’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다만 ‘삼패 출신 기생’들은 ‘식민지시기 조선총독부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기생’이다. 셋째, ‘삼패(三牌)’는 대한제국기 및 식민지시기를 통틀어 전반적으로 기생(관기)의 주 레퍼토리인 궁중 정재에서부터 민속춤, 좌창, 입창, 그리고 근대의 새로운 창작춤에 이르기까지 조선 여악의 대부분의 영역을 섭렵한 인기 가무연행자 집단이었으며, 또한 궁중 정재 및 조선 여악의 계승과 발전, 그리고 이의 근대화 및 대중화에 큰 기여를 한 조선을 대표하는 여성 예인 집단이었다. 넷째, ‘삼패(三牌)’는 대한제국기 및 식민지시기에 있어서 국채보상운동과 같은 애국활동, 고아원·기아수용소·조산부양성소·학교 등 다양한 사회 기반시설들을 위한 자선연주회 및 기부활동, 재능기부 및 대중 계몽활동, 신문애독 및 신문물에 대한 적극적 수용 등 조선의 다양한 위기상황과 사회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 다방면에서 실제적 활동을 전개해나간 근대의 신여성 집단이었다. This study seeks to trace the “Origin of Sampae” which remained as the virgin land until now focusing on modern newspapers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and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examine the Sampae’s music activities, dance activities, social activities, and process of change in social attribute for total of 25 years from 1899 when Sampae first appeared to 1923 when Gisaengs who originated from Sampae dissolved by dividing in to four periods. First, Sampae is not Galbo. Sampae never had a social attribute as “A prostitute involved solely in prostitution” from its beginning in 1899 to dissolution in 1923. Also, “Galbo” is not the general term for Gisaeng (Gwangi), Ipae, Sampae, and prostitute bar’s prostitute. Instead, Galbo merely refers to “The lowest group among prostitutes involved solely in the prostitution.” Secondly, Sampae is a Gisaeng and is not a Gisaeng at the same time. In aspect of the originality as a state-owned Yeoak and historical and social perception, Sampae is not a Gisaeng. On the other hand, in extending the category of Gisaeng, Sampaes who were active after May 19, 1916 are also Gisaengs. However, Gisaengs who originated from Sampae are “Gisaengs newly made by Japanese General Govern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rd, Sampae was a group of popular music and dance performers who took over the most of the fields of Joseon Dynasty’s Yeoak from Gisaeng’s (Gwangi) main repertory, royal court dance, to folk dance, Jwachang (seated singing), Ipchang (standing singing), and new contemporary creative dance. Sampae was also a group of female artiste representing Joseon Dynasty and Sampae hugely contributed on inheritance, development, modern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royal court dance and female music and dance during Joseon Dynasty. Fourth,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Sampae was a group of modern new women who participated in practical activities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patriotic activities such as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charity concerts and donations for various social infrastructures such as orphanage, foundling house, and midwife training school, talent donation, public enlightenment activity, newspaper reading, and active acceptance of new culture to solve Joseon Dynasty’s varying crises and social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