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버드나무과(科) 버드나무속(屬) 쪽버들의 격리분포(隔離分布) 및 분류학적(分類學的) 고찰(考察)

        박완근,Park, Wan-Geun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1995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1 No.-

        한국산(韓國産) 쪽버들의 정확한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형태학적(形態學的), 화분학적(花粉學的)으로 재검토하였으며, 어떠한 일정한 지역에만 분포(分布)하고 있는 쪽버들의 격리분포(隔離分布) 특성에 대한 조사를 행하였다. 1. 쪽버들의 외부형태학적(外部形態學的)인 특성(特性)을 그림과 함께 명확히 하였다. 2. 쪽버들의 화분학적(花粉學的) 특성(特性)은 하나의 명확한 종(種)임을 입증하였다. 3. 쪽버들은 강원도(江原道) 설악산의 백담계곡 일부 지역과 한계령의 양쪽 계곡 지역에 격리분포(隔離分布)하고 있으며, 북한의 성북(成北) 경성군(鏡城郡)과 성남(成南) 신흥군(新興郡) 및 풍산군豊山郡)의 일부 고지대(高地帶)의 계곡 지역에만 분포하고 있다. 4. 쪽버들의 격리분포(隔離分布)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環境因子)로는 수환경(水環境)의 지배가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5. 쪽버들의 생태학적(生態學的), 분류학적(分類學的) 정보들은 사방수종(砂防樹種), 목재생산(木材生産), 귀지공간조성(歸地空間造成) 등과 같은 조림(造林)에 관한 실제적인 적용에 이용될 수 있다. From Salix maximowiczii of the Korean Salix, morphological and palynological characters were investigated by stereoscopic,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Also, this study was e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the disjunct distribution in Salix maximowiczii forests grown within the restricted region. 1. Morphological characters of S. maximowiczii clarified with the descriptions and figures. 2. The palynological description was made to the S. maximowiczii and identified distinctly species. 3. S. maximowiczii is distributed only in Baekdam and Hangyeryong valley of Mt. Sorak in Kangwon-do, and valley of height region in Kyeongseong-gun (Hamgyongbuk-do), Sinhueng-gun, and Pungsan-gun (Hamgyongnam-do) in North Korea. 4. Water factors was better than temperature factors in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factors for disjunct distribution. 5. These ecological and taxonomical informations could be used in practical application for silvicultural prescription, such as erosion control forest, timber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green area in river bank.

      • KCI등재

        강원도 지역 소나무 천연집단의 변이에 관한 연구 : 침엽과 구과의 형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李在善,宋定鎬,韓相燮,朴完根 江原大學校 森林科學硏究所 1999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5 No.-

        要 約 소나무 천연집단의 변이를 연구하기 위해 1994년 9月 25∼27日과 10月 1∼3日 강원도 지역의 13개 소나무 천연집단 [춘천시 효자동(plot 1), 인제군 신맘면(plot 2), 인제군 북면(plot 3), 양양군 서면 A(plot 4), 양양군 서면B(plot 5), 양양군 손양면(plot 6), 고성군 토성면(plot 7), 원주시 신림면(plot 8), 횡성군 둔내면(plot 9), 평창군 진부면(plot 10), 강릉시 소금강 입구(plot 11), 울진군 서면(plot 12), 평창군 미탄면(plot 13)]를 선발하고 각 집단 별로 29개체를 대상으로 하여 침엽 및 구과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변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엽의 특성에서 침엽의 길이는 69.3∼91.9㎜익, 0.5㎝당 거치수는 25.1㎝28.7개 이고, 기공열의 수는 배축면에서 4.1∼6.2줄이고 향축면에서 2.9∼4.6줄이었으며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나타났다. 2. 구과의 특성에서 구과의 길이는 31.1∼43.7㎜이고, 직경은 20.0∼24.1㎜이었으며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나타났다. 3. 배축면과 향축면의 기공열의 수는 정의 상관을 보였고, 구과의 길이와 직경간에도 높은 정의 상관에 있었으며, 거치수는 각 특성들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4. 해안으로부터의 거리는 침엽의 길이와 거치수와 정의 상관을 보였고, 두 면의 기공열의 수 및 구과 길이와는 부의 상관을 나타낸다. 해발고는 거치수와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두 면의 기공열의 수 및 구과 길이와는 부의 상관을 나타냈고, 침엽의 길이 및 구과 직경과는 어떠한 경향도 인정되지 않았다. 5. 평균연결법에 의한 군집 분석 결과, 거리지수 1.0에서 2개의 무리로 나누는 것이 가능하였는데, Ⅰ 그룹에 plot 1, 8, 12와 13이 속하였고 Ⅱ 그룹에 plot 2, 3, 5, 6, 7, 9, 10과 11이 속하였다. 거리지수 0.8에서는 Ⅱ 그룹을 다시 plot 2, 3, 9와 11의 군집과 plot 4, 5, 6, 7과 10의 군집으로 나눌 수 있었다. ABSTRACT For the study on the vari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natural populations, 13 stands were selected in Kangwondo region in 1994. They were located in Hyoja-Dong, Chunchon-Si [plot 1]; Sinnam-Myun, Inje-Gun [plot 2]; Buk-Myun, Inje-Gun [plot 3]; Seo-Myun, yangyang-Gun [plot 4 and 5]; Sonyang-Myun, Yangyang-Gun [plot 6]; Toseong-Myun, Goesong-Gun [plot 7]; Synrim-Myun, Wonju-Si [plot 8]; Dunnae-Myun, Hoengsong-Gun [plot 9]; Jinbu-Myun, Pyungchang-Gun [plot 10]; Sogumgang. Kangneung-Si [plot 11]; Seo-Myun, Ulchin-Gun [plot 12]; and mitan-Myun, Pyungchang-Gun [plot 13];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edles and cones were investigated for twenty individual trees from each popul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needle characteristics, length, the number of serration, and the number of stoma row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opulations and between individuals within a population. They were 69.3∼91.9㎜, 25.1∼28.7 per 0.5㎝, and 4.1∼6.2 rows for abaxial side and 2.9∼4.6 rows for adaxial side, respectively. 2. Among cone characters surveyed, length and diameter were significantly diffenent among populations and between individuals within a population. They were 31.1∼43.7㎜ and 20.0∼24.1㎜, respectively. 3.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number of stoma row of abaxial side and that of adaxial side, and between length and diameter of cone, But the number of ser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traits. 4. The distance from seash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edle length and the number of serration,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toma row and cone length. However, the alt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erration,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toma row and cone length. 5. Cluster analysis using average linkage method for needle and cone characteristics showed two groups to Eulcliean distance 1.0. They were group Ⅰ consisting of plots 1, 8, 12, and 13 and group 11 of plots 2, 3, 4, 5, 6, 7, 9, 10, and 11. However, group 11 was divided again to Euclidean distance 0.8, that is a group including plots 2, 3, 9, and 11 and the other g개up comprising plots 4, 5, 6, 7, and 10.

      • KCI등재

        향로봉지역(香爐峰地域)의 식물상(植物相) 연구(硏究)

        박완근,유석인,박광서,Park, Wan-Geun,Yoo, Seok-In,Park, Kwang-Seo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1999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5 No.-

        향로봉(香爐峰)지역을 대상으로 식물상(植物相)을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管束植物)은 86과(科) 254속(屬) 393종(種) 2아종(亞種) 48변종(變種) 4품종(品種)으로 총 450종류(種類)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한국특산식물(韓國特塵植物)은 지리대사초, 키버들, 누른종덩굴, 진범, 금강제비꽃, 산오이풀, 노랑갈퀴, 금마타리, 금강초롱꽃, 흰금강초롱꽃, 각시서덜취 등 23종류(種類), 희귀(稀貴) 및 멸종위기식물(滅種危機植物)은 진부애기나리, 말나리, 연령초, 천마, 누른종덩굴, 도깨비부채, 붉은인가목, 금강제비꽃, 꽃개회나무, 금강초롱꽃 등 17종류(種類)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조사지역내의 귀화식물(歸化植物)로는 오리새, 왕포아풀, 애기수영, 대나물, 다닥냉이, 달맞이꽃, 미국쑥부쟁이, 지느러미엉겅퀴, 개망초, 서양민들레 등 14종류(種類)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vestigated in Mt. Hyangro-Bong was 450 taxa belonging to 86 families, 254 genera, 393 species, 2 subspecies, 51 varieties, 4 formae. Among the investigated vascular plants, Korean endemic plants (Carex okamotoi, Salix koriyanagi, Clematis chisanensis,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Viola diamantiaca, Sanguisorba hakusanensis, Vicia venosissima, Patrinia saniculaefolia, Hanabusaya asiatica, H. asiatica for. alba etc.) were 23 taxa; rare and endangered plants(Disporum ovale, Lilium distichum, Trillium kamtschaticum, Gastrodia elata. Clematis chisanensis, Rodgersia podophylla, Rosa marretii, Viola diamantiaca, Syringa wolfii, Hanabusaya asiatica etc.) were 17 taxa; naturalized plants(Dactylis glomerata. Poa pratensis, Rumex acetosella, Gypsophila oldhamiana, Lepidium apetalum, Oenothera odorata, Aster pilosus, Carduus crispus, Erigeron annuus, Taraxacum officinale etc.) were 14 taxa.

      • 반도체 폐가스로부터 SF<sub>6</sub> 분리 농축시스템

        박완근,이민우,가명진,장원철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1

        SF6 기체는 etching 또는 cleaning 가스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가스는 물리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높은 지구온난화지수 (CO<sub>2</sub>의 23,900배)로 알려져 있으며, 6대 온실기체로 지정되어 있다. SF<sub>6</sub>의 분리에 다양한 기술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타 기술에 비해 분리막을 이용한 기체분리 공정이 경쟁력이 우수하다. 선행연구로 Polysulfone 재질의 중공사 고분자 분리막을 통한 SF6 분리 공정의 공정변수(Stage cut, 공급기체 조성) 변화에 따른 최적화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의 연장선으로 본 연구에서 대용량 중공사 분리막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이의 성능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 SCOPUSKCI등재

        주목 잎의 후라보노이드 배당체

        박완근,한상섭,배영수,함연호 한국목재공학회 1997 목재공학 Vol.25 No.2

        주목 잎을 채취하여 건조하고 아세톤-물(7 : 3, v/v)의 혼합액으로 추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성 부분으로 분리하고 Sephadex-LH20으로 충진한 칼럼을 이용하여 2개의 flavan 단량체와 2개의 후라보노이드 배당체를 단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용성 추출물은 대부분 (+)-catechin과 (-)-epicatechin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수용성 부분에서는 quercetin-3-0-arabinopyranosyl-(1"→6")-β-D-glucoside와 quercetin-3-O-rutinoside인 두 개의 탄수화물로 구성된 배당체를 분리하였으며 주목에서는 이들 화합물은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이들의 구조결정을 위하여 박층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¹H-NMR과 ^(13)C-NMR 스펙트럼을 기존의 스펙트럼과 비교, 분석하여 정확한 구조를 규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