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양수(歐陽修)⋅소식(蘇軾)의 시문학 작품 속 금(琴)의 함의

        문성호,김민경,김서영,안영실,김은희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4 동방학 Vol.- No.50

        Understanding the implied meanings of objects is essential to appreciating Chinese poetry. Along with the moon, the “Qin(琴)” has been a frequent feature in Chinese poetry since ancient times. In Korean, “Qin” is usually translated as lyre, but it is rarely discussed from a philosophical or aesthetic perspective. In Confucianism, “Qin” is a central instrument for moving people through music. In Taoism, it is interpreted as a tool to leave the world and unite with nature. This article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Qin” in the poetic works of Ou Yangxiu and Su Shi, two representative writers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idea of “Qin” in Ou Yangxiu’s poems is based on Confucian ideas. He used “Qin” as a tool to express his desire to escape the world and live with nature. Su Shi’s poems are mostly about hiding and living in nature.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he lived in exile for a long time.

      • KCI등재

        중국 古琴 음악 문화를 통해 살펴본 훈민정음의 聲音 小考

        문성호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1

        본고에서 古琴 음악 문화를 우리나라에 소개함과 동시에, 『道德經』, 『樂記』, 훈민정음에 사용된 聲과 音의 용어 사용을 古琴 음악 문화 영역에서 살펴보았다. 『道德經』에서 聲과 音의 의미 범주에 대해 파악할 수 있고, 『樂記』에서 聲과 音의 구체적인 뜻에 대해 살필 수 있다. 聲은 공간에 울려 퍼지는 물리적 차원 그 자체의 것이라면, 音은 청신경이 인지한 외부의 물리의 소리가 개인의 경험 및 사유와 같이 작용하여 해석된 차원의 것이라 할 수 있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역대 왕들의 경연(經筵)에서 꾸준하게 『樂記』를 강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樂記』에서 논하는 聲과 音에 대한 사상은 조선의 문인에게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 따르면, 세종은 17세 때부터 남에게 고금을 가르쳐줄 정도의 고금 연주 실력을 갖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중국 고사에 나오는 고금조차 대부분 거문고라 번역하는데, 이는 첼로를 바이올린으로 번역하는 것 이상의 오역으로 이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聲과 音에 대한 사상은 훈민정음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훈민정음의 聲音을 당시의 용어 사용을 기준으로 하여 검토해 보았다. 훈민정음의 ‘音’은 正音의 관점에서 주로 다뤄진 반면 聲音의 관점에서는 집중적으로 다뤄지지 않았다. 훈민정음에서 聲과 音이 구체적으로 어떤 개념이며, 聲音으로 쓰일 때는 또한 어떤 뜻으로 사용되는지에 대해 고금 음악 문화 영역에서 사용하는 聲과 音에서 살펴보았다. In this study, the terminology usage of shēng(聲) and yīn(音) in Dàodéjīng(道德經), Yuèjì(樂記) and Hunminjeongeum was investigated within the gǔqín music cultural field while the gǔqín music culture was being introduced to Korea. Within the Dàodéjīng(道德經), the meaning category was able to be grasped about the shēng(聲) and yīn(音) while the specific meaning of the shēng(聲) and yīn(音)could be looked into within the Yuèjì(樂記). In the Joseonwangjosillok (朝鮮王朝實錄: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e are able to see that sermons regarding the Yuèjì(樂記) were being given continuously and regularly during the royal seminars throughout the generations of Joseon kings. As such, the philosophy regarding the shēng(聲) and yīn(音) that are discussed in the Yuèjì(樂記) can also be applied to the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This philosophy regarding the shēng(聲) and yīn(音) can also be confirmed within the Hunminjeongeum and it appears that the terminology of shēng(聲) and yīn(音) used in music and Chinese phonology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used in the same concept. If shēng(聲) is a physical sound that resonates in empty spaces, the yīn(音) is a sound that has been interpreted as an outside sound recognized by the auditory nerves being applied as an individual’s personal experience and reason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need to reinvestigate the shēngyīn(聲音) within the Hunminjeongeum based on how its terminology was used at that particular period.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윤리와 사상』 교과서에 수록된 플라톤의 ‘절제’ 관련 내용 정확성 비교 연구

        문성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윤리와 사상”의 천재교육, 지학사, 금성, 미래엔, 교학사 등의 5종 교과서에 서술된 Platon의 절제 관련 내용의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Platon 절제의 국가와 개인에 있어서의 의미와 대상을 국내 학자들과 해외 학자들의 번역서와 연구 결과를 통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출판사별 교과서 내용의 정확성을 따져보았다. 그 결과 5종 교과서 중 세 출판사의 교과서는 정확성이 높았고, 두 출판사의 교과서는 낮은 정확성을 보였다. 정확성이 높은 세 출판사의 교과서 내용도 그 안에서 보다 정확성이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이 있었다. Platon은 국가에 있어서의 절제를 어떤 계급이 지배할 것인지에 관한 모든 계급의 합의로 보고, 절제가 생산계급만이 아니라 모든 계급에게 필요한 덕이라고 보았다. 개인에 있어서의 절제도 이성, 기개, 욕구 모두의 합의, 의견 일치, 조화로 보아 이성, 기개, 욕구 모두에 절제의 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일부 교과서에는 Platon의 입장과는 다르게 그의 절제관이 서술되어 있어 수정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accuracy of the contents in 5 textbooks published by Chunjae Education, Jihaksa, Kumsung, Mirae N and Kyohaksa regarding Platon’s moderation. For this, the research examines the meaning and the subject of Platon’s moderation each of the country and of individual through translations and research results of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and checks the accuracy of the related contents in each of the publishers, based on the examination. As a result among those companies, Chunjae, Jihaksa and Kumsung has high accuracy, and Mirae N and Kyohaksa shows low accuracy in the concept. Platon considered that moderation to the country was the consent among all strata on which stratum should govern, and that the moderation was the virtue necessary to not only the production stratum but all the strata. Chunjae, Jihaksa and Kumsung incorporate this point in common. Platon thought that moderation also to individual was the agreement of opinions and balance between rationality, spirit and desire, so they needed the virtue of the moderation. However, the textbooks of Mirae N and Kyohak describe that Platon’s moderation to the country is the virtue necessary only to the production stratum, so moderation to individual is the virtue needed only to wants or desire, too.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