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The effect of forest-thinning works on tree growth and forest environment

        강정석,신창섭,Masato Shibuya 한국산림과학회 2014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Vol.10 No.1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effective forest management through forest tree production and forest land changeswhich took place after the forest-tending works in the plantation of Pinus koraiensis. It has been shown that the currentannual diameter growth of trees in regions which implemented forest-tending projects in 2005 had increased by 142.9%compared to those which did not implement the forest-tending projects. In 2006, the current annual diameter growth oftrees in implemented regions increased by 132.6% compared to those which did not implement forest-tending. Additionally,in the Pinus koraiensis plantation of II–III age classes where forest-tending projects works were implemented, thegrowth in diameter started to show a clear increase in the year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and the maximum effectswere displayed within 3–5 years. Thereafter, the growth gradually started to slow down. Therefore, implementing foresttendingworks repetitively with a minimum period of 5 years would be considered appropriate. Soil moisture during therainy seas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s the soil moisture content remained at 40.4–43.0%. However, duringthe dry season, regions which did not implement forest-tending showed an average of 20.4%, and regions which implementedforest-tending showed an average of 26.6%, and the differences were greater when compared to the rainy season. Due to the control in the density of the number of forest trees due to forest-tending and forest thinning works, the numberof understory woody plant species increased from 17 to 30 and the number of herbaceous plant species increased from20 to 44. Furthermore, as the density of standing trees was reduced to about 50% in places where forest-tending workswere implemented, crown length ratios increased greatly from 46.1% to 62.1% and became a great help to the growth offorest trees.

      • KCI등재
      • KCI등재

        효과적인 헌혈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내용분석과 세분화 기법의 적용

        강정석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지역과 세계 Vol.44 No.1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for blood donation communications that help increase blood donation rate in Korea, based on social marketing perspective. To obtain the goal, study 1 and study 2 were conducted as follows. In Study 1, 6 communication message types that were frequently used for blood donation communications in Korea were selected from content analysis. In Study 2,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200 males and females between the ages of 18 and 69-years-old in Korea. Based on blood donation activities, target audiences for blood donation communications were divided into non-donor, uncommitted ex-donor, committed ex-donor, uncommitted repeat donor and committed repeat donor segments. Next, specific blood donation communication messages that enhanced blood donation intention for each segment were found and specific media vehicles that were frequently used by each segment were identified. Finall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each of five segments together, the research suggested the effective blood donation communication message and media strategies for each seg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마케팅 관점을 기반으로 국내 헌혈률 제고에 기여하는 효과적인 헌혈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 1과 연구 2를 진행했다. 연구 1에서 내용분석을 통해 국내 헌혈 커뮤니케이션 활동에서 주로 사용한 6개의 헌혈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유형을 선정했다. 연구 2에서 1,200명의 18-69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 자료에서 헌혈 경험을 기준으로 헌혈 커뮤니케이션의 목표 청중을 비헌혈자, 저빈도 헌혈 중단자, 고빈도 헌혈 중단자, 저빈도 헌혈 지속자 및 고빈도 헌혈 지속자 집단으로 세분화하였다. 이후 각 세분집단 별 헌혈 의향을 높이는 특정 헌혈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유형을 확인하였고 각 세분집단 별 이용 빈도가 높은 세부 매체 종류를 파악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각 세분집단의 특성을 함께 고려해서 각 세분집단 별 효과적인 헌혈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와 매체 전략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정당 배너 광고의 전주의 수준 정보처리: 광고 노출 위치와 유권자 연령대의 역할

        강정석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6 No.1

        As the time spent on the Internet increases, while people searc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they are accidently exposed to political information which are provided by political parties. This even applies to voters who are indifferent about politics. To investigate such phenomenon, this study examined how (a) the exposure locations (the left side vs. the right side of primarily-attended news article) of an online banner ad for a political party and (b) age groups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vs. 40’s) would have an independent or an interactive effect on voters’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 toward the party. The study was a 2 (ad exposure locations: left-adjacent vs. right-adjacent online banner ad for a political party) X 2 (age groups: 20’s vs. 40’s) between-participants design. An online Internet searching task, self-reported measures and Implicit Association Test was conducted in the experiment. As a result, the exposure locations of the online banner ad for a party and the age groups did not have an independent or an interactive effect on the implicit and explicit attitude toward the party. However, an interaction between the exposure locations of the online banner ad and the age groups on the implicit attitude was found. Compare to other experimental groups, the participants who are in their 20’s showed highest implicit attitude toward the party when the online banner ad was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primarily-attended news article. Interestingly, they did not recognized the existence of the political party’s online banner ad during reading the news article. 인터넷 이용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정치에 무관한 유권자라도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보를 찾아 읽는 과정에서 특정 정당이 제공하는 정당 관련 온라인 정보에 우연히 노출될 가능성은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 연구는 유권자가 인터넷 상에서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기사에 주의를 기울여 읽는 동안 우연히 한 번 접하게 된 온라인 정당 배너 광고의 노출 위치(관심 기사의 좌측 또는 우측)와 유권자의 연령대(20대 남녀 또는 40대 남녀)가 해당 정당에 대한 외현 태도와 내현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본 실험을 2(광고 좌측 노출 조건 vs. 광고 우측 노출 조건) X 2(20대 남녀 vs. 40대 남녀) 실험 참가자간 설계로 구성하였다. 실험 참가자가 관심 기사를 인터넷으로 검색하는 과제를 포함한 본 실험은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실험 결과, 온라인 정당 배너 광고의 노출 위치와 실험 참가자의 연령대는 해당 정당에 대한 외현 태도에 독립적 또는 상호작용 효과를 일으키지 않았다. 반면 온라인 정당 배너 광고의 노출 위치와 실험 참가자의 연령대는 해당 정당에 대한 내현 태도에 상호작용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총 4 실험 참가자 집단 중 관심 기사의 좌측에 온라인 정당 배너 광고가 노출되는 조건에 무선적으로 배정된 20대 실험 참가자 집단의 해당 정당에 대한 내현 태도가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실험 참가자가 관심 기사를 읽는 동안 온라인 정당 배너 광고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