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韓國 石塔 出現期 舍利莊嚴方式의 變化 樣相

        주경미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5 百濟硏究 Vol.62 No.-

        In this article, I researched the stylistic changes of the Buddhist relic cult and reliquaries during the early stage of stone pagoda in ancient Korea. The Buddhist relic cult in Korea was transmitted from China in the sixth century A.D.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earliest Buddhist pagodas at that time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of wood, but most of those earliest wooden pagodas have not remained until now. During the early seventh century, the Buddhist of ancient Korea built stone pagodas instead of wood, and those stone pagodas have preserved the reliquaries for the Buddha's relic and many other votive objects. Through these reliquaries, we can understand the Buddhist relic cult of that time. The remaining oldest stone pagodas were Mireuksa pagoda of Baekje Kingdom constructed in 639 and Bunhwangsa pagoda of Silla Kingdom constructed in 634. There is no remaining stone pagoda in Goguryo Kingdom. These two pagodas have enshrined Buddhist reliquaries inside and they were excavated by modern archaeologists in the twentieth century. However the buddhist relic cult of these two pagodas has many differences each other. Most patrons of these Buddhist pagodas were the royal family members of each kingdoms. The cultural and political differences of those patrons could have produced the differences of the two early relic cults in Korea. The buddhist relic cult of Mireuksa pagoda is composed of two enshrinements of the Buddhist relic: the first is found inside the stone pillar of the pagoda; while the second is found under the basement of the pagoda. The first set is for the Buddha's bodily relic and the second one is for the special relic cult for the Buddha's hair and nail relics. Such distinct enshrinement for the cult of Buddha's hair and nail relics were performed and prevailed in ancient Sri Lanka and Southeast Asia. Such peculiar Buddhist relic cults might have been transmitted to Baekje from Liang dynasty of southern China and southeast Asia along the southern sea. In addition, the buddhist of Baekje had a ritual of enshrinement of the buddhist statues inside an wooden pagoda. This buddhist ritual was also originated in ancient Sri Lanka and south China. However the buddhist of ancient Silla did not enshrine such things inside pagodas. In Bunhwangsa pagoda, they enshrined only the reliquaries for the Buddha's bodily relic and several votive objects. The style of the reliquaries and relic cult of ancient Silla during the seventh century is similar to the contemporary Chinese royal buddhist relic cult of Sui and Tang dynasty. 이 논문은 한국 석탑 출현기의 사리장엄구 및 사리장엄방식의 변화 양상에 대해서 현존 유물과 외국 자료와의 관계를 비교 검토하여 고찰한 논문이다. 한국의 사리신앙과 장엄 의례는 6세기 중엽 중국 남조와의 교류를 통해서 처음으로 전래되어 왕실의 후원을 받으며 발전했다. 석탑은 7세기 초반부터 백제와 신라를 중심으로 건립되기 시작했으며, 두 나라의 사리장엄방식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여기에서는 백제 왕흥사지와 미륵사지, 그리고 신라 분황사와 황룡사지, 감은사지 출토품들을 중심으로, 탑내 사리봉안처의 위치, 봉안된 주요 성물의 성격, 공양구의 매납 방식, 사리기의 구성 및 양식 등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백제와 신라의 사리장엄구 및 사리장엄방식은 언제나 동시대 중국을 거쳐 전래된 새로운 불교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동시에 나름대로 자기화되는 양상을 찾아볼 수 있었으며, 꾸준히 새로운 조형 양식을 창출해가면서 발전하였다. 639년경 건립된 백제의 익산 미륵사지 석탑에서는 탑 기단 하부에서 남방 불교계에서 성행했던 佛爪髮舍利 공양의례와 관련된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탑신부에서는 수나라 인수사리장엄방식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백제 특유의 미술 양식을 보이는 사리장엄구가 봉안되었다. 백제 군수리 사지에서는 남방 불교계의 영향으로 보이는 불상의 봉안이 탑내에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백제의 사리장엄방식과 의례는 스리랑카와 동남아를 거쳐 중국 남조로 전해진 남방 불교계의 영향을 상당히 크게 받으면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양상을 보인다. 그에 비해 신라에서는 중국 남조 문화의 영향보다는 오히려 7세기 이후 중원의 통일 왕조인 수·당대 불교 문화의 신경향 전래에 힘쓰면서 신라적 양식으로 발전시켰다. 즉, 7세기 이후 백제와 신라는 각각 중국이나 외래의 新文化 경향을 나름대로 취사선택하면서 각각 독자적인 양식의 불교 문화와 사리장엄 방식을 발전시켰던 것이다.

      • KCI등재

        8~11세기 동아시아 탑내 다라니 봉안의 변천

        주경미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1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0 No.-

        Until now, the dhāraṇīs found in East Asian stūpas have been generally regarded as dharma relics, which are thought to have the same power and meaning as the Buddha’s relic. However, the question arises whether all the dhāraṇīs found in stūpa deposits can be identified as dharma relics. This essay challenges the prevalent assumption that all of them were dharma relics. Some of the dhāraṇīs found in stūpa deposits can be regarded as dharma relics, but after the eleventh century, most of the dhāraṇīs in stūpas were deposited as ritual materials for chanting rites. Moreover, some dhāraṇīs functioned simultaneously both as dharma relics and as ritual objects. Thus,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the changing role and function of dhāraṇīs in stūpa deposits in relation to the ritual of relic veneration in eighth to eleventh-century East Asia. The role of dhāraṇīs in stūpa deposits has changed from that of dharma relics, originally equivalent to the Buddha’s bodily relic, to that of mere ritual votive objects for the Buddha’s bodily relic with which they were enshrined together during the tenth and eleventh centuries in East Asia. This implies that East Asian Buddhists in the eleventh century considered the Buddha’s bodily relic more valuable and sacred than the dharma relic or dhāraṇī sūtras despite the latter's increase in quantity. From this view, the dhāraṇīs in stūpa deposits after the eleventh century in East Asia should be regarded as the subordinate to the Buddha’s relic veneration. 다라니를 탑에 봉안하는 법사리신앙은 인도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지만, 동아시아에서 본격적으로 발전하는 것은 8세기 통일신라시대부터이다. 이후 각종 다라니들은 법사리로서 혹은 불교 의례용으로 탑내에 봉안되었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다라니의 탑내 봉안의 의미와 변천과정을 8-11세기경의 동아시아, 특히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