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베트남, 필리핀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습득이 주관적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외국인어머니와의 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승희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9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중국, 베트남, 필리핀 다문화가정 자녀의 가정에서의 모어 습득에 초점을 맞추어 이중언어 습득이 자아존중감과 외국인어머니와의 관계를 통하여 주관적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중언어 습득이 자녀의 심리사회적 발달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5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데이터에서 한국인아버지와 중국, 베트남, 필리핀 출신의 외국인어머니로 구성된 다문화가정의 만10에서 12세의 자녀로서 한국에서 태어났으며 외국 경험이 없는 자녀613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습득이 자아존중감과 외국인어머니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매개로 주관적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이중언어 습득은 자아존중감을 높이며외국인어머니와의 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중언어습득은 자아존중감과 외국인어머니와의 관계를 매개로 주관적 학교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습득을 장려할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법, 교수-학생 관계, 전공만족도가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승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ess Coping Typ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Major Satisfaction on Life Stress of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from 146 nursing students, May 27 to May 30, 2018 at a college in the J city.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through SPSS 20.0/window statistical analysis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pon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Major Satisfaction the correlation was significant.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β=-.34, p<.001) predict 29.5%(F=9.70 , p<.001).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various programs to improve professor - student interaction of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J시에 소재 일개 대학의 간호학생 146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5월27일부터 2018년 5월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과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는 교수-학생 관계, 전공 만족도 간에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교수-학생 관계였으며(β=-.34, p<.001), 29.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9.70, p<.001).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와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세대별 성역할에 따른 젠더뉴트럴 색채 특성

        유승희,박영경 한국색채학회 202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6 No.3

        Depending on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gender roles and the color association have been chan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ender-neutral col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der roles by generation and the changes in the color associati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four colors of Bluish, Pink-Liliaceous, Yellowish-Reddish, and Greenish, as well as White, Gray and Black as per Light-Main-Dark tones targeting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4050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der-neutral color showed differences by generation and gender, and the younger the age, the wider the gender-neutral color range. Gender-neutral colors were affected by both tone and color. Second, gender roles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generation. The less clear the gender role, the wider the choice of gender-neutral colors. Third, gender role differed according to generation, and the group in 4050s generally followed conservative gender rol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era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gender-neutral colors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generation – gender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roles were affected when selecting gender-neutral colors. However, the color association between generations and genders can coexist with their boundaries crossing each other so it cannot be defined in one way. Instead it can be continuously changed by various social factors.

      • KCI등재

        17세기 한성부 내 軍兵의 실태와 거주 공간

        유승희 진단학회 2018 진단학보 Vol.- No.130

        This study takes a look at the status of regional military personnel that moved to Seoul following the change in the military system in the later part of Joseon as well as their residential style at the time. Through this effort, it is intended to find out the special features of the residential space and an aspect of process for those military personnel who moved to the region to settle in as residents of Hanseong-bu. During the later part of Joseon, the military base was established around the Seoul defense line, the regional military personnel moved to Hanseong-bu and resided around the capital city. Therefore, at the end of the 17th century, the military personnel had almost 10% of entire population in Hanseong-bu as they enticed the increase of population in Hanseong-bu. Those military personnel were required to support their family members with very little salary in Seoul where they never had the basis of livelihood before that they made living by engaging in commercial activities or daily labor. They also committed larceny or robbery acts that the life in Seoul for those regional military personnel that moved to the city were not very inspiring for them. Those regional military personnel who moved to Hanseong-bu had difficulties of finding their residents. The way for those military personnel without a home to prepare the residence would be, first, having the settlement by finding vacated space in Hanseong-bu by the military personnel. Those military personnel moved to the capital city lived without owning a home in Hanseong-bu to settle down, but to live by renting homes. Those military personnel clustered and lived around the Inwang-san, Baekryeon-san and Mohwa-gwan areas, including Susakri-gye, Hongje-wongye, Yeonseo-gye, Yangcheolri- gye, Malheungsan-gye and the like. Second, the military base led to secure the residents for military personnel without a residence. In military base including Hunryeondogam, the empty spaces in Hanseong-bu were purchased to secure the residence sites for those military personnel without a home and such spaces were provided for them to build homes. The bases of the military personnel were mainly prepared around the regions within the capital region. Each military base prepared the residential space from the vacant lots for the regions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works and caused its military personnel to reside in group clusters. As such, the state's vacant lots were borrowed to prepare the residential site and it caused to formulate the cluster residential sites for the military personnel. And the Namsomun-dong and Angyeong-gung sites were the group clusters for the military personnel and the Mohwa-gwan and Oigwan area was the same. In particular, the northwestern region and eastern region of Hanseong-bu that is located around Inwang-san was the group residential area of those military personnel. 본 논문은 조선후기 군제 변화에 따라 서울로 이주하게 되는 지방 군병의 실태와 이들의 거주양상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를 통해 승호군으로 상경한 지방의 군병이 한성부민으로 정착하는 과정의 일면과 군병의 거주공간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선후기 서울 방위를 중심으로 군문이 설립됨에 따라 지방의 많은 군병은 한성부로 올라와 도성을 시위하며 거주하였다. 그리하여 군병과 군관이 17세기 말 한성부 전체 인구 중 10%를 차지할 정도로 한성부 인구의 증가를 유도했다. 집이 없는 군병이 거주지를 마련하는 방식은 첫째, 군병 스스로가 한성부의 빈터를 찾아 자신의 거처를 마련하는 것이다. 고향을 떠나 상경한 군병은 사대부의 행랑이나 다른 사람의 협호를 차입하는 무주택자로 생활하여 주인과 가대를 둘러싼 쟁송을 하기도 하였다. 둘째, 군문이 주도하여 집이 없는 군병의 거주지를 확보하는 것이다. 군문에 의한 군병의 가대는 주로 궁성 밑이나 성저 지역을 중심으로 마련되었다. 각 군문은 업무의 편의성을 고려한 지역의 公垈를 차입하여 군병의 거주지를 마련하였고, 소속 군병들을 집단으로 거주하게 하였다. 그 결과 17세기 지방의 군병들은 궁성이나 성저 주변, 인왕산, 백련산 기슭인 한성부 북서부 산 밑에 거주지를 마련하여 생활하였다.

      • KCI등재

        스페이스 브랜딩 관점에서 산업유산 재생공간 사례 연구

        유승희,황용섭,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유산 재생공간은 지역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서 낙후된 도시 문제와 세계적인 환경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도시 개발의 트렌드가 되었다. 국내에서도 각 지역에서 공공부문의 주도로 다양한 재생공간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 재생공간은 지역 공공 정책적인 측면에서 물리적 공간의 가치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는 공급자 중심의 계획으로 지역의 복합문화 공간이자 관광객 유치를 위한 지역 특색 공간의 역할을 기대한다. 그러나 현재의 일부 재생공간은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에 대한 전달력 부족과 콘텐츠 차별성 부재, 공급자 중심의 정책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이용자의 흥미를 끌지 못했고, 그 결과 운영 및 활성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유산 재생공간의 활성화와 가치향상을 위해 스페이스 브랜딩 관점에서 산업유산 재생공간의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산업유산 재생공간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산업유산 재생공간과 스페이스 브랜딩의 선행연구를 통해 개념을 재정립하고, 산업유산 재생공간과 스페이스 브랜딩의 요소를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스페이스 브랜딩 관점에서 산업유산 재생공간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후 도출한 특성을 중심으로 대상 공간을 선정하여 사례 연구를 진행한다. 대상 공간은 국내외 6곳으로 선정하고, 각 공간에서 특성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례별로 살펴보면, 사례 A. B. D 는 역사적, 문화적 특성의 적극적인 시각화로 정체성을 구현한 대표적인 사례로 판단된다. 산업유산을 디자인적 요소 및 컨텐츠로 활용하고 다양한 공간운영으로 지역 활성화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사례 C는 역사적, 문화적 특성이 역사적 유산과 현대 구조와 결합하여 시너지를 낸 대표적인 사례로 스페이스 브랜딩 관점에서 성공적이 사례이다. 사례 E는 환경적 특성이 중심이 되는 사례이다. 과거 산업유산 건축의 외관의 요소보다는 건축적 구조를 활용한 재생공간으로 역사적 특성의 시각화가 아쉬운 부분이다. 본 연구의 종합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유산 재생공간은 역사적 가치를 시각적 요소로 적극적으로 활용할 때, 재생공간의 정체성을 직관적으로 표현하며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둘째, 산업유산 재생공간은 문화적 특성을 기반으로 차별화되고 지속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산업유산 재생공간은 경제적인 효율성과 환경개선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결론) 도시 재생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현대 상업공간의 경쟁력 향상과 활성화의 중심 키워드 전략인 스페이스 브랜딩의 관점에서 재생공간의 사례 분석을 통해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산업유산 재생공간의 지속적인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의료인을 위한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승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asic Life Support course for healthcare provider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on CPR knowledge, attitude and self-efficacy. This study was a one group pre-post design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9 nursing students, July 11 to August 1, 2020 at a college in the J city.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paired t-test using SPSS 20.0. CPR program was significantly increasing CPR knowledge(t=-14.71 , p<.001), attitude(t=-7.33 , p<.001), and self-efficacy(t=-6.63, p<.001). Base o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program will be continued and need to study using various method of eduction, effect period. 본 연구는 의료인을 위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후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지식, 태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단일군 사전-사후 설계로 J시에 소재 일개 대학의 간호학생 69명으로 2020년 7월 11일부터 2020년 8월 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t=-14.71 , p<.001), 태도(t=-7.33 , p<.001) 및 자기효능감(t=-6.63 , p<.001)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은 지속되어야 하며, 다양한 교육방법 및 지속효과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