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학습전략 교수

        Charles A. Hughes 학습전략중재학회 2010 학습전략중재연구 Vol.1 No.1

        특정 과제 해결을 위한 학습전략은 학습장애 학생들을 위한 교수내용으로서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어져 왔다. 이러한 학습전략을 배우는 학생들은 일반교실에서의 학업적 기대를 달성하기 위해 더 잘 준비할 수 있으며, 더 효율적인 학습자가 되고. 더 독립적인 학습자가 된다. 학습전략 자체(예: 독해전략, 문장작성전략 등)는 "교수내용"이며, 이를 어떻게 교수하는가는 이 "교수내용"만큼 중요하다. 왜냐하면,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동원하지 않고서는 학습장애 학생들은 학습전략 사용법을 잘 배울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잘 일반화 하지를 않기 때문이다. 본고는 연구-검증된 교수전략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수전략은 학습장애 학생들로 하여금 배운 전략을 숙달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데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고의 목적은 관찰, 간접교수, 탐구학습, 시행착오 등으로 잘 학습하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학습전략을 어떻게 명시적으로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중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학습장애 학생들은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스스로 터득하거나 간접적으로 잘 배우지 못하기 때문에 학습전략을 배울 필요가 있으나, 이들을 대상으로 학습전략을 가르칠 때 구조적이면서 명시적인 교수방법으로 가르쳐야 함이 필수이다. 명시적인 교수절차는 학생들이 배울 학습전략에 대한 선행 학습기술을 확보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며, 전략의 명시적인 시범과 설명과 아울러 안내된 실습과 교정적인 피드백이 포함되어 있다. 지금까지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학습전략 프로그램의 구조적인 교수절차와 교정적인 피드백이 학습장애 학생들도 하여금 학습전략을 완전학습 하도록 확실히 하며, 이들이 배운 전략을 일반화 하도록 하고 있음을 입증해 왔다. 교사들은 학습장애 학생들이 더 독립적인 학습자가 되도록 돕기 위해서 유용하고도 잘 고안된 학습전략을 선택하여야 하며, 더 중요한 것은 교수할 학습전략을 어떻게 잘 가르치는 가에 따라 학습장애 학생들의 배운 학습전략 사용여부의 성패가 달려 있다는 것을 유념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효과적인 교수방법으로 학습전략을 가르치지 않으면, 학습장애 학생들은 그 전략을 잘 배우거나 일반화 하여 사용하지 않을 것이므로, 교수전략은 교수내용인 학습전략만큼 중요하다.

      • 학습전략 교수의 두 가지 측면

        Charles A. Hughes 학습전략중재학회 2010 학습전략중재연구 Vol.1 No.2

        Hughes 교수는 이 학회지의 지난 호에 학습전략의 내용 자체만큼이나 학습전략 교수방법이 왜 중요한가를 논의하였었다. 이번 호의 논문에서는 학습전략을 학습장애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데에 관련된 두 가지 측면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로는 초등학교 고학년들과 같은 어린 학생들도 학습전략 교수로부터 이득을 볼 수가 있다는 것과 이를 위해서는 교사들이 나이 든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개발된 교수절차를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어떻게 교수적 수정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둘째로는 교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학습전략을 직접 개발하는 방법으로서 학습전략 개발의 9단계를 제시하고 있다. 교사가 학습전략 개발방법을 안다는 것은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중요하며, 학습전략 개발방법을 모른다면 교사들은 학습전략 개발을 저술하는 기회를 가질 수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학습전략 교수의 또 다른 주요 측면으로서 어떻게 학습전략을 개발하는가에 대한 지식은 교사와 학습장애 학생 모두에게 이득을 줄 수 있다.

      • 사회, 과학 교과학습에서 중등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Curriculum-Based Measurement) 활용

        박윤정,Charles Hughes 학습전략중재학회 2012 학습전략중재연구 Vol.3 No.2

        통합교육의 강조로 보다 많은 장애학생들이 일반학급에서 또래 학생들과 함께 사회, 과학 등의 교과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특히 학습장애 학생들은 사회, 과학 교과수업에서 사실적 정보, 개념, 원리, 문제 등의 교과 내용을 학습하고, 교과 핵심 어휘를 익히며, 방대한 교과 지식을 다양하게 조직화하거나,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게다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일반 교육과정에 기반한 교과 학습의 폭은 더욱 넓어지고 깊어지게 되어, 학습의 어려움이 여전히 지속되며 사회, 과학 교과 학습 성취도가 현저하게 떨어진다. 따라서 특수교사 및 교과 담당 교사들은 사회, 과학 수업에 통합되어 교육 받고 있는 학습장애학생들이 무엇을 학습하는 지와 학습 정도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해 신중히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실시하는 전통적인 평가방식은(예: 학업성취도 평가) 일상적인 교수활동 속에서 반복적으로 학습의 진전도(Progress)를 평가하는 것이 어렵고, 특히 장애학생의 학업성취 정도를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교수방법 및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그리하여 대안적인 평가 방법 활용에 대한 수요가 큰 가운데, 그 동안 기초 교과목(예: 읽기,쓰기,수학)에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온 대안적 평가 중 하나인 교육과정중심측정(CBM) 평가 도구를 사회, 과학 교과에서 중등 학습장애 학생들을 위해 활용한 기존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교육과정 중심측정 평가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와 함께, 어떻게 평가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과 학습에서 교육과정중심측정(CBM)은 크게 읽기와 쓰기 중심으로 다양한 평가도구가 개발되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중심 평가로는 구두읽기(Reading Aloud), 어휘검사(Vocabulary Matching), 단락완성(Maze Selection), 객관식 평가(Multiple Choice Test)가 활용되었고, 쓰기 중심 평가도구는 학생들로 하여금 교과 수업에서 학습한 주요 내용에 대한 자각을 통해 핵심 어휘와 주요 내용을 정리하는 검사(Perception Probe)와 이를 실생활 관련 문제에 적용하여 의사결정을 하고 그에 따른 근거를 제시하는 단문 또는 장문의 문제해결 에세이(Problem-Solving Essay)가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교과학습에서 중등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 KCI등재
      • Digital Guest Speakers Who Stutter: Student Perceptions of Videoconferencing Within a Fluency Disorders Course

        Erik X. Raj,Nagwa N. Ahmed,Charles D. Hughes 한국언어재활사협회 2017 Clinical Archives of Communication Disorders Vol.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edagogical research study was to understand how the use of audio/visual Internet-based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Skype, effect student learning, when digital guest speakers who have a fluency disorder (e.g., developmental stuttering) visit the classroom via videoconferencing technology. Methods: A mixed-method approach was used to explore if the use of videoconferencing technology was a valuable method of supplemental instruction for graduate-level speech-language pathology students in a Fluency Disorders course. Twenty-six students enrolled in the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provided numerical and descriptive responses to questions in an optional and anonymous paper-based, pre and post survey. Throughout the course, four guest speakers of varying ages who were people who stutter were brought in, via Skype, and participated in 20–30-minute semi-structured interviews that explored the attitudes and beliefs of people who stutter. Results: Paired sample t-tests revealed that students rated their knowledge of stuttering and confidence to work with populations with fluency disorders 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interacting with the digital guest speakers. Thematic analysis revealed 3 major theme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of utilizing videoconferencing technology: (1) Innovative (2) Informative and (3) Insightful. Conclusions: Findings from the data suggest the use of videoconferencing technology to present students with digital guest speakers who have a fluency disorder and how that learning experience seems to benefit the students. Students reportedly gained a deeper understanding and perspective on the subject matter through the real-time interactions that existed between the digital guest speakers, the professor, and the students.

      • SCISCIESCOPUS

        ALMA Reveals Transition of Polarization Pattern with Wavelength in HL Tau’s Disk

        Stephens, Ian W.,Yang, Haifeng,Li, Zhi-Yun,Looney, Leslie W.,Kataoka, Akimasa,Kwon, Woojin,Ferná,ndez-Ló,pez, Manuel,Hull, Charles L. H.,Hughes, Meredith,Segura-Cox, Dominique,Mundy, Lee,C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017 The Astrophysical journal Vol.851 No.1

        <P>The mechanism for producing polarized emission from protostellar disks at (sub) millimeter wavelengths is currently uncertain. Classically, polarization is expected from non-spherical grains aligned with the magnetic field. Recently, two alternatives have been suggested. One polarization mechanism is caused by self-scattering from dust grains of sizes comparable with the wavelength, while the other mechanism is due to grains aligned with their short axes along the direction of radiation anisotropy. The latter has recently been shown as a likely mechanism for causing the dust polarization detected in HL. Tau at 3.1 mm. In this paper, we present ALMA polarization observations of HL. Tau for two more wavelengths: 870 mu m and 1.3 mm. The morphology at 870 mu m matches the expectation for self-scattering, while that at 1.3 mm shows a mix between self-scattering and grains aligned with the radiation anisotropy. The observations cast doubt on the ability of (sub) millimeter continuum polarization to probe disk magnetic fields for at least HL Tau. By showing two distinct polarization morphologies at 870 mu m and 3.1 mm and a transition between the two at 1.3 mm, this paper provides definitive evidence that the dominant (sub) millimeter polarization mechanism transitions with wavelength. In addition, if the polarization at 870 mu m is due to scattering, the lack of polarization asymmetry along the minor axis of the inclined disk implies that the large grains responsible for the scattering have already settled into a geometrically thin layer, and the presence of asymmetry along the major axis indicates that the HL Tau disk is not completely axisymmetric.</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