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대한 연계성과 중학생들의 화학 개념에 대한 인식 분석

        韓有花,강대훈,梁一鎬,白盛惠,朴國泰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9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9 No.1

        제 6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대한 연계성을 분석하고, 화학 개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학습자 수준에 맞고 연계성 있는 과학 교과서 제작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과목의 교육목표와 화학 영역 내용체계간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화학 개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제 6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과 교육목표는 거의 반복 진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물질의 미시적 세계를 다루고 있는 물질의 구성 영역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간의 단원별 목표와 내용체계의 간격이 다소 큰 것으로 보아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계성이 부족한 영역에 대해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연계성 있는 내용조직이 학생들의 내용 이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rticulation between chemistry contents of science textbook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to survey students' perceptions on chemistry concepts, to establish guidelines for science textbooks that not only meet the needs of learners but also fit in a coherent way. In order to do this, we analyzed links of the aims and the organization of chemistry cont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we also surveyed students' perceptions on chemistry concepts students had retained. The study revealed that the 6th middle school curriculum was almost a duplicate of the elementary school syllabus. And there was no inter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 of chemistry contents and the aim of the chapter which built up a logical picture of the world at a molecular level. It was also found that the lack of coherence between science textboo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as a major cause of student difficult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학교 과학교과서, 교사의 인식 및 실험 수업 사례에서 나타난 과학적 탐구 요소 분석

        한유화 ( Yu Hwa Han ),전은선 ( Eun Sun Jeun ),백성혜 ( Seoung Hye Pai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과학 실험의 의미를 고찰하고 실험 수업의 개선 방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 교사 인식, 실제 수업 사례를 분석하여 탐구 요소가 과학 실험 수업에 얼마나 포함되어 있으며 그 수준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2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통해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으며, 중학교 3학년 2개 학급의 2차시 수업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문제제시, 증거수집, 현상설명 및 기존 과학지식의 연결은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제시되었으나, 의사소통 및 정당화 요소는 많지 않았다. 또한 제시된 수준은 주로 교사 주도적이었다. 교사들은 의사소통 및 정당화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으나, 실제 실험 수업에 이를 반영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실험 수업에서 학생들은 시간의 대부분을 증거수집에 할애하였으며, 실험 결과인 증거를 기반으로 현상을 설명하거나 기존 지식과 연결하는 활동, 그리고 의사소통 및 정당화의 활동은 거의 하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science experiment in class and to seek a direction for its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Science textbooks, teachers` cognitions, and classroom activities have been analyzed to find out how many and what kind of levels of inquiry elements are included in those. In this study, 22 teachers have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 about experiment class, and the two instruction cases in two classes of 9th grade have also been analyzed.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textbooks have included questioning, evidence collecting, explanation of phenomena, and connection with existing scientific knowledge. But the elements of communication and justification have been few. Most levels of the inquiry are teacher-led. Although the teachers thought communication and justification are important, their classroom activities does not coalesce with their thoughts. The students mostly spend their time with connecting evidence, they hardly explain the phenomenon based on the proofs as the results of experiment, and the activities of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scientific knowledge, and communication and justification.

      • SCOPUSKCI등재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대한 연계성과 중학생들의 화학 개념에 대한 인식 분석

        한유화,강대훈,양일호,백성혜,박국태,Han, Yu Hwa,Kang, Dae Hun,Yang, Il Ho,Paik, Seoung Hey,Park, Kuk Tae 대한화학회 1999 대한화학회지 Vol.43 No.3

        제 6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대한 연계성을 분석하고,화학 개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학습자 수준에 맞고 연계성 있는 과학 교과서 제작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과목 의 교육목표와 화학 영역 내용체계간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화학 개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었다. 연구 결과, 제 6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와 중학교과학과 교육목표는 거의 반복 진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물질의 미시적 세계를 다루고 있는 물질의구성 영역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간의 단원멸 목표와 내용체계의 간격이 다소 큰 것으로 보아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계성이 부족한 영역에 대해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었으며, 연계성 있는 내용조직이 학생들의 내용 이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rticulation between chemistry contents of science textbook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to survey students ? perceptions on chemistry concepts, to establish guidelines for science textbooks that not only meet the needs of learners but also fit in a coherent way. In order to do this, we analyzed links of the aims and the organization of chemistry cont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we also surveyed students' perceptions on chemistry concepts students had retained. The study revealed that the 6th middle school curriculum was almost a duplicate of the elementary school syllabus. And there was no inter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 of chemistry contents and the aim of the chapter which built up a logical picture of the world at a molecular level. It was also found that the lack of coherence between science textboo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as a major cause of student difficulty.

      • The Effects of Intrapatient Variability in Tacrolimus on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Liver Transplantation during Early Stage

        ( Eun Ji Kim ),( Bo Ram Kim ),( Jung Won Cho ),( Jung Hwa Lee ),( Eun Sook Lee ),( Yun Mi Yu ),( Ho-seoung Han ),( Yoo Seok Yoon ),( Jai Young Choi ),( Euni Lee ),( Youngrok Choi ) 대한간학회 2018 춘·추계 학술대회 (KASL) Vol.2018 No.1

        Aims: Tacrolimus has a narrow therapeutic range requiring concentration monito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tacrolimus intrapatient variability (IPV, %) on clinical outcomes in liver transplantation.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liver transplant recipients from 2009 to 2016 was conduct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IPV was calculated by using individual tacrolimus concentration and averaged tacrolimus concentration.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median IPV; high variability (HV) and low variability (LV) groups. The rate of deviation from the therapeutic range, the incidence of acute rejection, and post-transplant diabetes, the number of infection an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within 6 months after transplantation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Of 82 study subjects, HV group (17.3%) has more frequently deviated from the therapeutic range than the LV group (4.5%)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acute rejection, post-transplantation diabetes and eGFR in both groups, but the number of infe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LV group (0.4 times) than in HV group (0.9 times) for 6 months (P=0.039).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infe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IPV increased (P=0.003). Conclusions: We compared the clinical outcomes between HV and LV groups within 6 month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High IPV of tacrolimus concentration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increased frequency of deviation from the therapeutic range and the number of infection.

      • 6조식 자탈형 콤바인 선별조건에 따른 선별성능 분석

        이명희 ( Myung-hee Lee ),최일수 ( Il-su Choi ),김태구 ( Tae-goo Kim ),우제근 ( Jea-keun Woo ),유승화 ( Seoung-hwa Yu ),최용 ( Yong Choi ),최덕규 ( Duck-kyu Choi ),김영근 ( Young-keun Kim ),이충근 ( Choung-keun Lee ),신창순 ( Chan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벼농사의 기계화율은 98.4%으로 수확 작업은 콤바인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4~6조 콤바인이 되어 시판 중에 있다. 대형 농가 및 영업농의 출현으로 대형 콤바인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고속화, 대형화, 정밀화 등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6조식 콤바인의 고속 작업을 위한 선별부 최적 메커니즘을 위해 선별부 운용 조건에 따른 곡립 선별 성능을 분석하였다. 선별부 최적화를 위해 6조 콤바인 선별부과 동일한 선별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였으며, 선별체, 채프, 풍구, 수확이송 오거, 환원처리 오거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선별체 회전수 및 풍구 회전속도를 요인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콤바인 수확 시 투입된 벼는 탈곡 선별부 초기 1/3 지점에서 약 70%의 곡립이 탈곡되어 선별부로 누하 된다(2016, 김 등). 이에, 시료는 선별체 투입구에서 26.25 cm 떨어진 중앙에 투입하였다. 시료는 벼 알곡으로만 구성하였으며, 투입장치로 위치를 고정시킨 후 1 kg를 투입하였다. 선별체 회전속도는 선별체 회전수 393, 408, 422 rpm일 때의 풍구 회전수 저속, 중속, 고속 3수준을 요인으로 수행 하였고, 배진 손실량 및 처리 시간을 측정하였다. 처리 시간은 고속 카메라를 사용하여 시료 투입지점부터 수확이송 오거 수직상단 지점까지의 시료 이동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초당 프레임 600으로 촬영하였다. 그 결과, 선별체 회전수 408 rpm, 풍구 회전수 저속일 때 처리 시간 4.8초, 배진 손실률 0.69%로 배진 손실률이 가장 양호하였지만, 처리시간을 고려하였을 때 선별체 회전수 422rpm, 풍구 회전수 저속 조건이 처리 시간 3.7초, 배진 손실률 1.08%로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 보온자재 이용 피복·월동에 따른 한지형 마늘 생육특성 분석

        강나래 ( Na-rae Kang ),최일수 ( Il-su Choi ),김영근 ( Young-keun Kim ),유승화 ( Seoung-hwa Yu ),우제근 ( Jea-keun Woo ),최용 ( Yong Choi ),현창식 ( Chang-sik Hyu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마늘은 국내에서 고추, 양파와 함께 중요한 양념채소 중 하나이나, 농촌의 고령화와 지속적인 인건비상승으로 인해 과거에 비하여 재배면적은 ’05년 31.8천 ha에서 ’16년 20.8천 ha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 마늘 재배 기계화율은 ’18년 58.6%로 조사되고 있으며 작업단계별 세부 기계화율의 경우 벼농사 및 타 밭작물과 공동으로 농기계를 이용하는 경운·정지, 방제 등의 작업을 제외하고 미흡한 실정이다. 파종작업의 경우 경운기 및 트랙터 부착형 파종기가 보급중에 있으며 기계화율은 15.9%로 보고되고 있으며, 수확작업 기계화율은 36.7%로 조사되고 있으나, 굴취형 수확기로 굴취 후 인력으로 수집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마늘 재배는 생태적, 생리적 특성에 따라 한지형과 난지형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한지형 마늘의 경우 파종 후 비닐피복, 월동 및 비닐절개·줄기유인으로 인해 파종노력이 전체 작업의 17.7%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지형 마늘의 관행 파종 및 줄기유인 작업 생력화를 위해 비닐피복 후 트랙터용 마늘 파종기 이용 기계 파종을 수행한 뒤 보온자재 이용 피복·월동에 따른 생육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의성군 소재 농업기술센터 시험 포장에서 비닐피복 후 트랙터용 9조 마늘 파종기를 이용 ‘의성 재래종’ 마늘을 기계 파종한 뒤 월동 요인별 생육을 분석하였으며, 실험 조건은 보온자재 미설치 및 부직포 설치, 비닐 설치로 설정하였다. 처리구별 생육분석은 파종 96일과 111일 경과 후에 실시하였으며, 요인별 초장, 엽초경, 엽수를 조사하였다. 마늘 생육특성 조사 결과 96일 경과 시 부직포 설치구간은 초장 7.08±1.89 cm, 엽초경 0.39±0.08 cm, 엽수 2.51±0.62개, 비닐 설치구간은 초장 8.48±2.42 cm, 엽초경 0.41±0.08 cm, 엽수 2.76±0.63개였으며, 111일 경과 시 미설치 구간은 초장 65.95±25.04 cm, 엽초경 3.88±0.95cm, 엽수 3±0.72개, 부직포 설치구간은 초장 112.53±35.96 cm, 엽초경5.08±0.94 cm, 엽수 3.77±0.73개, 비닐 설치구간은 초장 144.68±49.35cm, 엽초경 5.71±1.23 cm, 엽수 3.88±0.91개로 조사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