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향의식을 매개로 한 한국 로컬과 중국 동향마을의 트랜스로컬리티 양상과 비대칭성

        조명기 ( Cho Myung-ki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6 No.-

        이 글의 목적은 한국 로컬과 중국 동향마을 사이에 전개된 트랜스로 컬리티의 양상과 배경을 살피고 트랜스로컬리티에 개입하는 내셔널과 글로벌의 영향과 비대칭성을 고찰하는 데 있다. 한국 로컬과 중국 동향마을 사이의 트랜스로컬리티는 글로벌화·신자유주의 그리고 중국의 개혁개방을 배경으로 진행되었다. 한국 로컬들은 동향마을에서 1차 트랜스로컬리티의 결과인 이질성·혼종성을 주로 목격하면서도 원형·전통으로서의 로컬 정체성을 발견하기를 기대한다. 이 기대의 목적은 한국 로컬로 회귀하는 데 있었다. 한중수교로 이후 한국은 연변 공간과 조선족의 분리를 연변이 텅 빈 공간으로 재편되는 것을 조장하거나 방치했다. 동향마을에 대한 한국 로컬 역시 동향마을이라는 로컬의 소멸을 통해 자신의 기대를 수월하게 투사할 수 있는 배경을 확보한 데 반해, 동향마을은 경제적 기회 확대를 요구했다. 한국 로컬의 장소지향성과 동향마을의 경제적 기회지향성은 트랜스로컬리티 과정에서 교환되었다. 한편, 한국의 로컬은 내셔널 층위의 해석을 부가함으로써 동향마을과의 트랜스로컬리티가 갖는 의의를 확대하고자 했다. 이와 동시에 한국과 중국의 대도시로 진출한 조선족 3, 4세대에 의해 동향마을은 보편적인 노스탤지어 공간으로 추상화되었다. 이로 인해 트랜스로컬리티는 내셔널리티와 로컬리티의 중층적 해석·비대칭성이 드러나는 장이 되었고, 동향마을은 이중으로 소외되는 공간이 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aspects of translocality developed between the Korean locales and the Chinese same hometown villages and to consider the national and global influences and asymmetry that intervene in such translocality. Translocality between the Korean locales and the Chinese same hometown villages developed against the backdrop of globalization, neoliberalism and China`s reform and opening. Even as the Korean locales witnessed the primary outcome of translocality such as heterogeneity and hybridity in the same hometown villages, they expected to discover local identity in its original form or in the form of tradition. The aim of such expectation was to see the same hometown villages revert back to Korean locales. With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Korea encouraged or overlooked the separation of Korean Chinese and the Yanbian space and the reorganization of Yanbian into an empty space. Similarly, the Korean locales for same hometown villages also secured the background which enabled easy projection of their expectations through the extinction of local called same hometown village. On the contrary, the same hometown villages demanded the expansion of economic opportunity. Hence, the local-oriented Korean locales and the opportunity-oriented same hometown villages exchanged their directivity capitalisticall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locales attempted to expand the significance of translocality with the same hometown villages by adding a national-level interpretation to translocality. Concurrently, the same hometown villages were abstracted into a universal space of nostalgia by the 3rd and the 4th generations of Korean Chinese, who advanced to large cities in Korea and China. As a result, translocality became a forum disclosing multilevel interpretation and asymmetry of nationality and locality, they are turning into spaces that are doubly alienated.

      • KCI등재후보

        거리와 풍경의 청년들 - 허우샤오셴 영화와 산업사회 타이완 청년

        박자영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0 사이 Vol.9 No.-

        이 연구는 타이완의 감독 허우샤오셴은 초기영화인 <펑궤이에서 온 소년>과 <연연풍진>을 통하여 1960년대와 1970년대 타이완 청년들의 삶과 정서, 감각의 궤적을 되묻는 것에 방점이 찍혀있다. 허우는 고도산업화 시대의 타이완을 살아가는 청년들을 혼란과 고독 등의 정서로 포착한다. 이를 거스르고 극복할 힘의 소재(所在)를 찾는 것이 허우 영화의 목표 중의 하나였고, 그것이 ‘포스트 경제 기적’ 시기 타이완에서 허우 영화가 가지는 정치성이다. 본고는 산업화와 근대화의 변동기에 청년들이 도시로 이동하고 또 도시와 고향을 왕래하는 궤적 속에서 새로운 감각과 정치의 장소를 구체적으로 발견하고 있는 것을 살펴보았다. 청년들은 도시와 고향 사이의 넘나듦을 통하여 도시와 고향이라는 이중적인 시공간을 해체하고 재조직하여 현재적으로 공존하는 청년들의 공간인 새로운 로컬을 형성했다. 허우의 영화에서 특권적으로 등장하는 도시의 ‘거리’와 고향의 ‘풍경’은 청년들이 구축한 트랜스로컬리티의 감각이 빛나는 장소이다. 영화 속 청년들은 개발과 발전의 이데올로기에 영합하지 않고 이를 거스르고 재사고하는 새로운 공간을 트랜스로컬한 사고로부터 생성시킨다. 그 과정에서 1970년대 점화했던 ‘향토’ 개념이 재해석되고 재정치화되고 있다. 1960~70년대 경제개발기 고단한 타이완의 노동자 청년이 발견한 삶의 장소와 감각은 도시와 고향을 오가는 청년의 등장이라는, 이동성이 심화되는 조건 및 그 주체의 형성과 관련이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life, mentality and sensibility of Taiwanese youth in the 1960s and 1970s through Boys from the Fengkuei(1983) and Dust in the Wind(1987), early representative films of Hou Hsiao-hsien. Hsiao-hsien portrays the youth in Taiwanese industrial society as subjects of mental loneliness and confusion. The aim of his films is discovery of the place where this state can subvert and be overcome. They express the politics of the “post-economic miracle” period of Taiwan. This paper argues that his films uncovers the specific place of politics and sensibility as youth in the transformativ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moves from the country to the city, migrating between the urban and the rural. Youth constitutes a new locality, while youth in his films deconstruct the double space-time of the urban and rural through the transbordering between the country and city. The “street” in the city and “landscape” in the hometown, where his films privilege, are places of sensibility where youth constitutes translocality. Youth in his films doesn't follow the ideology of development. Furthermore, they construct a new space that is subverted and reconsidered it via the thought of translocality. The concept of “Xiangtu(native)”, which is greatly discussed criticism of the in 1970s, is reinterpreted and repoliticized in this process. The place and sensibility that the working youth discovers in the period of economic development of the 1960s and 1970s, is related to the condition of mobility and constituting of its subject.

      • KCI등재

        모빌리티와 트랜스로컬리티로 살핀 강원영동문학의 공간 재해석

        정연수 한중인문학회 2020 한중인문학연구 Vol.69 No.-

        한국 최대 탄광지역인 강원영동남부 지역은 일제강점기에는 석탄 자원 수탈을 겪었으며, 해방 이후부터는 국가발전을 위한 산업현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석탄 수송에 나서던 철도 모빌리티는 폐광을 거치면서 위기를 겪기도 했지만, 삭도마을이나 철도테마파크 건설을 통해 관광모빌리티의 역동성을 드러낸다. 본고는 탄광-폐광-관광 등으로 변모하는 강원영동지역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역의 재장소화를 구체적으로 살폈다. 현대시작품이 반영한 철도 모빌리티와해상 모빌리티, 트랜스로컬티 관점에서 강원영동지역의 재장소화에 주목했다. 모빌리티 관점에서 기차역은 사이공간에 불과하지만, 정동진역은 여행의 목적지가 되는 특이한 지점에 놓이는 것을 확인했다. 해상 모빌리티에서는 이사부·묵호항·잠수함·철조망 등이현대시 작품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영동지역 시에서는 대마도 정벌에 나선 이사부의 정신과 제국주의의 석탄자원 수탈 통로인 묵호항을 주목하고 있었다. 영동지역의 시작품에서는 동해안의 철조망을 분단의 상징 공간으로 주목했다. 해안 철조망은 분단의 비극을 일상 속에서 보여주는 상징이었으나, 최근 들어 철거 대상이 되면서 분단의 경계를 넘어서는 트랜스로컬리티의 새로운 접점을 시사했다. 강원영동지역의 시를 모빌리티와 트랜스로컬리티관점에서 살피는 일은 영동지역문학의 의미 확장과 지역의 다양성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한다. Railway mobility, which was used to transport coal, has experienced a crisis since a lot of coal mines were closed. However, Yeongdong area overcomes the limitations caused by mass closure of way stations,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tourism mobility by constructing ropeway villages or railroad theme parks. The fact that one area which used to be a coal mine has turned into an abandoned mine, and now into a tourist destination means dynamic translocality that a village can show us. Jeongdongjin Station is the typical example of translocality. In light of mobility, a train station is only an in-between space. Nevertheless, it is special in that it can also be a tourist destination. From the viewpoint of maritime mobility, the focus was on Isabu, Mukho Port, submarine, and wire entanglements which are used as subject matters in modern poems. The East Coast is the place where we can feel the spirit of Isabu, who set out to conquer Tsushima Island, Japan. It was also used as a channel through which Japanese imperialism exploited coal resources, as confirmed through Mukho Port. The coastal wire entanglements that defend against enemy invasion are a kind of symbol that shows the tragedy a divided nation occurs in everyday life. These days, coastal wire entanglements has been subject to demolition due to its ugly looks. This suggests a kind of translocality that goes beyond the boundaries in between. Examining railroad mobility and maritime mobility appearing in poems related to Yeongdong area is not only expanding the range of its literature, but also securing regional diversity.

      • KCI등재

        고착되는 경계, 트랜스로컬리티의 불가능성 : 한국 영화에 재현된 조선족을 중심으로

        문재원(Mun, Jae- Won) 한일민족문제학회 2015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8 No.-

        This paper was to examine how the movie text accommodated and represented the transnational migration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facing at multiple impossibility. First, as recently the migration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being connected from remote regions to other remote regions presented in violent gangster movie practice, the knock-on imaginary structure connecting China-Yanbian- poverty-violence contributes to the production of negative images about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nd their space. Second, the discourse on issue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who are the familiar and also unfamiliar others to us coming in our society, has spread the discourse of exclusion and deportation rather than revealing hospitality for others, in which the device of rumor worked very effectively.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this kind of rumor present that today our country takes a stand of post nation-state superficially, but internally still solidifies the boundary inside a nation-state. Third and finally, nevertheless, these circumstances in the risk of deportation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lead to their own imagination, by which the planning of the solidarity with unfamiliar others and the competence being able to generate new communities are possible. However, as this imagination zone is possible only in the world of innocent pure love or the space of death, paradoxically it emphasizes how difficult those solidarity is. Likewise, the representation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being reproduced expansively in Korean movies doesn’t suggest post-modern nomadic imagination, but discloses its fabrication.

      • KCI등재

        고착되는 경계, 트랜스로컬리티의 불가능성-한국 영화에 재현된 조선족을 중심으로-

        문재원 한일민족문제학회 2015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8 No.-

        This paper was to examine how the movie text accommodated and represented the transnational migration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facing at multiple impossibility. First, as recently the migration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being connected from remote regions to other remote regions presented in violent gangster movie practice, the knock-on imaginary structure connecting China-Yanbian- poverty-violence contributes to the production of negative images about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and their space. Second, the discourse on issues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who are the familiar and also unfamiliar others to us coming in our society, has spread the discourse of exclusion and deportation rather than revealing hospitality for others, in which the device of rumor worked very effectively. Th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this kind of rumor present that today our country takes a stand of post nation-state superficially, but internally still solidifies the boundary inside a nation-state. Third and finally, nevertheless, these circumstances in the risk of deportation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lead to their own imagination, by which the planning of the solidarity with unfamiliar others and the competence being able to generate new communities are possible. However, as this imagination zone is possible only in the world of innocent pure love or the space of death, paradoxically it emphasizes how difficult those solidarity is. Likewise, the representation of 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being reproduced expansively in Korean movies doesn’t suggest post-modern nomadic imagination, but discloses its fabrication.

      • KCI등재후보

        동시대 한국 범죄영화에 재현된 연변/조선족의 로컬리티

        이명자 영상예술학회 2014 영상예술연구 Vol.24 No.-

        신자유주의 담론과 결합한 전지구화가 ‘노동의 유연화’를 내세우며 인력의 이동을 부추긴 결과 오늘날 세계는 소위 ‘이주의 시대’를 맞고 있다. 대한민국도 2007년 국내 체류 외국인 노동자가 100만 명을 넘어서며 인력 유 입국으로 전환하고 있다. 현실의 변화에 접속한 한국영화가 최근 몇 년 사이 스크린에 외국인 노동자를 등장 시키는 가운데 외국인 노동자 중 대다수를 차지하는 조선족의 로컬리티는 범죄영화로 수렴되고 있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증가하기 시작한 조선족은 일제의 식민지배로 탄생한 디아스포라로서 조선족은 그동 안 지리적으로나 이데올로기 면에서 북한과 근접해 한국영화에서는 그다지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그런 데 2010년 <황해> 이후 일련의 영화들 <카운트다운>(2011), <공모자들>(2012), <신세계>(2013)를 통해 연변 /조선족의 표상은 가장 단시간에 민족/국가/지역이 하나의 장르와 결합하여 특정한 담론으로 굳어지고 있다. 이 글은 로컬로서의 연변/조선족이 범죄영화에서 재현되고 문화적 의미로 생산되는 과정을 초국가적 이주의 문제로 접근하였다. 최근 범죄영화가 재현하는 조선족의 로컬리티는 전지구화가 배출한 쌍생아인 글로벌한 범죄와 이주민이 충돌 적으로 결합한 결과이며 범죄영화에서 연변/조선족의 과도한 폭력성은 우리 사회에 누적된 경제적 스트레스 와 외국인 노동자를 만나는 현장에서의 히스테리가 발생시킨 상상물이라고 할 수 있다. 범죄영화에서 조선족 은 전근대적 가치로 영역화 되는데 그것은 조선족이 정보통신 기술을 발판으로 삼고 전지구화의 부국으로 진 입하고자 신자유주의 담론을 철저히 내화한 한국이 억압하고 싶은 기억을 떠올리게 하기 때문이다. 같은 민족 인 조선족의 귀환이 식민 조선으로서의 열등하고 빈곤한 기억을 표면화할 뿐만 아니라 이주민과 내부인 사이 에 놓인 경계의 인위성, 불가능성을 폭로하여 그 경계의 허약함을 드러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조선족은 친 숙하고도 낯선 존재 혹은 ‘어브젝션’으로 재현된다. 한국에서 신자유주의가 일상화되는 것과 비례해 조선족이 전근대에 대한 향수를 자극하는 멜로드라마에서 사라지고 그것을 철저하게 억압한 범죄영화를 통해서만 살아 남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타자가 우리와 완전히 다르지 않다는 프로이드와 크리스테바의 지적은 우리가 트랜스로컬리티(translocality) 의 관점으로 시각을 전환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트랜스로컬적 시각이란 로컬과 로컬을 대립적으로 사고하거 나 자신이 속한 로컬과 현재 거주하는 로컬을 분리하여 사고하는 것이 아니고 두 개나 그 이상의 정체성을 포 기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로컬적 상황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여전히 국민국가의 위력이 강고한 현실에서 그것 은 아직 (불)가능성의 영역에 놓여있지만 그 경계를 담론화하는 것이 한국영화에서 새로운 로컬리티 재현의 출발이 될 수 있다. As globalization pursued on the back of neo-liberalism incited movement of human resources putting forward flexible labor, the world is facing the era of migration today. Chosunjok(Ethnic Koreans living in China) forms a large majority of foreign laborers in Korea that is going through transition to a receiver of human resources. Since 1992 when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with China, Chosunjok, the diaspora that was born in the wak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s begun to enter Korea, but they have failed to draw attention of the Korean movie circles as they were closer to North Korea in terms of geology and ideology. Since the movie titled the Yellow Sea was released in 2010, the symbol of the Chosunjok that had been created through a series of films such as Count Down, Conspirators and The New World led an ethnic group, a nation and an area to be combined with a genre and generate a certain discourse in the least amount of time. This paper is focused on analyzing the theory of a global city where super-national migration is explained based on the fact that a global city where capital and human resources are concentrated on the strength of economic mechanism that is operating at a global level is born and that crimes are globalized as well with regard to the process where the Chosunjok is created in a cultural sense in Korean crime movies. In crime movies, the Chosunjok is diminished as outdated value, and it is due to the fact that Korea wants to join the ranks of advanced countries on the back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y vigorously internalizing neoliberal discourse. As return of the Chosunjok, the fellow countrymen, is likely to expose the artificiality and impossibility of a boundary between migrants and insiders betraying the weakness of the boundary, the Chosunjok is reenacted as ‘uncanny’ or ‘abject.’Freud and Kristeva said that outsiders were not that different from insiders urging us to change viewpoint based on translocality. According to a translocal viewpoint, locals do not think oppositively separating their own locality from their current residential locality, and they create a new local situation without giving up on two or more identities. However, as a nation-state is still powerful, it appears to exist in the territory of impossibility.

      • KCI등재

        이용악 시에 나타난 유민(流民)의 트랜스로컬리티 연구

        송지선(Song, Ji-seon)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9 No.-

        이용악 시의 트랜스로컬리티 연구는 일제강점기 정치 사회적 혼란과 관련하여 당시 유민들의 디아스포라적 삶에 내재된 경계적 의미를 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트랜스로컬리티는 기존의 이분법적 경계구분으로는 제대로 설명하기 힘든, 이용악 시의 탈경계적 현상을 해석하고, 당대 유민들이 현실을 직시하고 희망을 찾아내는 동력 기제를 사유하는 개념이 된다. 이용악의 시세계에서 중심공간으로 등장하는 ‘북쪽’, ‘북방’은 고향과두만강을 거쳐 광활한 대륙과 접하고 있는 만주와 연해주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두만강과 연해주는 탈경계적 북방대륙으로서 트랜스로컬적 의미가 큰 공간이다. 함북의 변방지역을 오고 가는 유민은 ‘국민’이나‘민족’이라는 개념의 바깥에서 살아 가는 존재로, 북방의 초국가적인 공간에서 끊임없이 월경하며 살아갔다. 경계로서의 두만강과 대안의 땅으로서의 연해주를 통해 유민의 트랜스로컬한 삶을 살펴보고자 한다. 유민에게 두만강은 새로운 삶터를 찾아 가는데 거쳐야할 길목이었다. 도강은 국경을 넘는 위험한 행위이지만, 강 건너 그곳은 생존을 모색할 수 있는 최후의 대안공간이었다. 이용악의 아버지와 친척들은 원고향과 연해주 간의 트랜스로컬한 관계망을 만들어 간다. 그러한 관계망은 조선과 러시아라는 국가와 상관없이 국가 내의 로컬에 밀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그들에게 원고향과 연해주는 단절된 기억과 향수가 아닌 두 지역의 문화와 로컬리티를 동시에 향유하는 트랜스로컬리티의 특성을 보인다. 유민들의 혼종적 정체성은 기원지로부터 목적지로 이동하는 과정의 산물로서, 이는 이용악 문학 공간의 본질적 요소가 된다. 트랜스로컬리티적 관점은 이와같이 이주(민)에 대한 해석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이끌어 낸다. 현실과 가상에서 사람과 물자의 이동성이 활발해진 오늘날, 트랜스로컬리티는 로컬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이해하게 한다. 이것은 로컬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영역으로서 로컬에 잠재된 의미를 도출해내고 세계화 시대의 거시적이고 구조적 동인에 의한 로컬의 장소성과 그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정체성에 대해 말한다. The study on the translocality of Lee Yong-ak’s poems allows one to consider the boundary implications implicit in diasporic life of the drifting peo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association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confusion at the time. The translocality serves as a concept that interprets the cross-boundary phenomenon of Yong-ak’s poems, which is hard to explain from the existing dichotomic demarcation and to reason the power mechanism that allows the drifting people of the time to face the reality and seek hope. The `north` or ‘northern region’ that appears as a central space in the Lee Yong-ak’s poetic world stretches its reach beyond his hometown and the Duman River to Manchuria and the Yeonhea Ju. Therefore, the Duman River and the Yeonhea Ju hold translocal meanings as a transboundary northern continent. The drifting people who travelled around a backwater of North Hamgyeong Province, lived outside the boundary of `people` or `nation` but rather in the transnational space of the north while continuously crossing the border.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translocal life of the drifting people through the Dumen River as a boundary and the Yeonhea Ju as an alternative land. To the drifting people, the Duman River was a crossroad that they had to go through on their way to finding a new life. Crossing the river, which is basically crossing the border, was a dangerous attempt but seeking to reach the land across the river was the last option for their survival. Lee Yong-ak`s father and relatives create a translocal network between their hometown and the Yeonhea Ju. Such network is built in close contact with the locals within a nation regardless of the counties of Korea and Russia. In addition, the hometown and the Yeonhea Ju feature translocal characteristics that embrace and enjoy the culture and the locality of the both regions instead of the disconnected memory and nostalgia. The hybrid identities of the drifting people are a result of the process of migration from their place of origin to a new destination,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Lee Yong-ak’s literary world. The translocal perspective, in this regard, gives rise to meaningful results in interpreting the migration (migrating people). The circumstances today that allow the active and easy mobility of people and things both in reality and in virtual world make us understand the various phenomena that occur at local boundaries. This brings out the meanings latent in the local as a new territory that traverses the local boundaries and speaks of the placeness of the local by the macroscopic and structural driver of the globalization era and the identities of the people who live in there.

      • KCI등재

        토마스 킹의 경계적 사유와 북미 원주민의 트랜스로컬리티의 문제

        이유혁 ( Lee¸ Yoo-hyeok )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16 영어권문화연구 Vol.9 No.3

        This paper aims to examine some characteristics of Thomas King’s border thinking and the question of translocality King explores by analyzing his short stories and essays. The paper gives particular attention to borders such as the physical border established betwee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a result of colonialism in North America, and the border of identity (indigenous peoples’ identity in North America in particular). Hence, the term border includes both visible and invisible borders or boundaries. King’s thoughts on these borders are closely related to the ways in which such borders imposed by the dominant white regimes in the process of colon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nation-states affect the lives of indigenous peoples and their thought world. Not only does King represent the coloniality of such borders, but he also highlights important aspects of indigenous peoples’ lives in his writings, that is, the ways in which their lives are fundamentally hemispheric (or transnational and translocal) rather than limited to the border of one nation-state. Furthermore, King’s attempts to question and overcome the physical border and the border of identity in relation to indigenous peoples’ lives in North America criticize how such colonial borders can serve to colonize the mind of (colonized) people and also suggest how decolonial (or anticolonial) thinking toward the decolonization of the mind can be explored. This paper studies some characteristics of King’s border thinking by relating the topic of border to the topic of locality. The concept of translocality in particular helps us to consider how King’s border thinking tackles the question of borders, such as a physical border, the border of colonial identity, the border of thought world, etc., and also to explore how it can become transborder and decolonial. This also helps us to consider how the concept of translocality, which has often been used in social sciences and geography in particular, can become a useful critical concept for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in humanities. By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crossing the boundary of borders as suggested in the term ‘trans’ in translocality,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a potential for extending the boundary of translocality as a critical concept that can contribute to questioning and overcoming the colonial frame of borders often imposed vertically and oppressively. This study hopes to show how a different cognitive mapping of indigenous peoples’ cultural geography in North America can be made possible.

      • KCI등재

        트랜스로컬 주체성과 경계의 재구성

        문재원 현대미술학회 2022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6 No.2

        In this paper, the category of translocality was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physical and cognitive borders. Understanding the translocal subject should be a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as a hybrid subject capable of producing cracks and gaps through heterogeneous bonding. In the context of this translocality, I paid attention to the film “Free Minu” (directed by Ji Hye-won, 2018), which traced the life of ‘Minu’, who practiced cultural crossing by connecting here and there. The narrative of the documentary film “Free Minu” is representing Minu, who performs social and cultural practices here, intersecting here/there, present/past, hospitality/exclusion. The reflective frame set by this film visualizes the social discourse surrounding it while evoking Minu's deportation. and In addition, performativity inside and outside the film is requested by representing various voices surrounding it.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인식적 경계의 해체와 재구성의 관점에서 트랜스로컬리티의 범주를 고찰했다. 이때 트랜스로컬 주체에 대한 이해는 탈장소화된 주체의 단순한 이동에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이질적 접합을 통한 균열과 틈을 생산할 수 있는 혼종적 주체로서의 가능성을 탐문하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트랜스로컬리티 맥락 안에서 이곳과 저곳을 연결하며 문화적 횡단을 실천했던 ‘미누’의 삶을 추적한 영화 <안녕, 미누>(지혜원, 2018)를 주목했다. 다큐멘터리 영화 <안녕, 미누>의 서사는 이곳/저곳, 현재/과거, 환대/추방을 교차시키면서 지금 여기의 사회문화적 실천을 수행하는 미누를 재현하고 있다. 이 영화가 설정한 성찰적 프레임은 미누의 추방을 환기시키면서 이를 둘러싼 사회적 담론들을 시각화하고, 이를 둘러싼 여러 목소리들을 재현함으로써 영화 안팎의 수행성을 요청하고 있다.

      • KCI등재

        경계투쟁과 아장스망-광주 광산구 고려인마을의 횡단지역성-

        김기성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4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explain the translocality of Korean Village located in Gwangsan-gu, Gwangju. In order to capture and analyze not only the transversality of Korean Village, but also the coincidence, fluidity, and hybridity, I will take a border as a method and take a topological perspective. First of all, from the topological point of view, space is viewed as being produc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actors and objects, away from the classical view that space is a priori, physical, and fixed form. Therefore agencement as a social arrangement of heterogeneous individuals is produced. Looking at Korean Village as a kind of agencement means that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the place is not just a small scale space or a single point compared to the country or Earth, but a kind of location where various flows and open connections come into contact, intersect, and coexist. In addition, it pays attention to the creation of a difference space with temporary, fluid, and internal diversity through transnational networks and interaction between multiple regions, and at the same time it recognizes this space as a place that can be constantly transformed while overlapping the past. The reason for using border as a method is to recognize the power and asymmetry that exercise (discriminatory) inclusion and exclusion. Furthermore, it is to track the activities of border struggle to produce hétérotopie as a difference space, and for transnational network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ubjectivation and subjectivity created in the process of these activities. Lastly, this article is also a preliminary work to explore the potential possibilities of transversal universality created by crossing transnational border, or multiple regions, native and migrant border within a country, based on the empirical research results on the Goryeoin compatriots in the existing social science field. 이 글은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고려인마을의 횡단지역성(translocality)을 해명하려는 하나의 시도다. 고려인마을의 횡단성뿐만 아니라 우연성, 유동성, 혼종성을 포착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나는 경계(border)를 방법으로 삼고 위상학적(topological) 관점을 취할 것이다. 우선 위상학적 관점은 공간이 선험적, 물리적, 고정적 형태라고 확신하는 고전적 시각에서 벗어나 다양한 행위자들과 사물들 간의 관계 속에서 생산되는 것, 즉 이종적인 개체들의 사회적 배치물로서 아장스망(agencement)이 생성되는 것으로 바라본다는 시각이다. 고려인마을을 일종의 아장스망으로서 바라본다는 것은 우선 지구화(globalization)의 흐름 안에서 그 장소를 단순히 국가나 지구에 비해 작은 규모의 공간이나 하나의 단일한 지점(地點)이 아닌 다양한 흐름과 개방적 연결이 접촉하고 교차하며 병존하는 일종의 위치(location)로 설정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것은 초국가적 네트워크와 복수 지역들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일시적이고 유동적이며 내부적 다양성을 지닌 차이 공간의 생성을 주목하면서 동시에 이 공간을 과거와 중첩되면서 부단히 변형될 수 있는 장소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경계를 방법으로 삼는 이유는 (차별적) 포섭과 배제를 행사하는 권력과 비대칭성을 주시하면서 인식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이주민들이 일상적 삶의 다양한 영역들에 침윤해 있는 경계의 효과들을 감내하는 일상적 행위들과 더불어 차이 공간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hétérotopie)를 생산하고 초국가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경계투쟁 행위들을 추적하고, 이 행위들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주체성과 주체화의 가능성 여부를 탐문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덧붙이자면, 이 글은 기존의 사회과학 영역에서 수행되었던 고려인 동포에 관한 경험적 연구성과의 토대 위에서 초국가적 경계를, 혹은 한 국가 내에서 복수 지역들 간, 선주민과 이주민 간 경계를 횡단하면서 만들어가는 횡단적 보편성(transversal universality)의 잠재적 가능성과 그것의 인문학적 전망을 모색하려는 예비작업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