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대군인의 직업전환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최나윤,정미경 한국사례관리학회 2019 사례관리연구 Vol.10 No.-

        This study examines two veterans who have been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for less than 5 years to see what they faced during the job transformation process. For research method, three times of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nd the thematic analysis to categorize topic and derive its meaning was applied on collected data from the interview.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support for job transformation was mostly perfunctory, and the-job related information was scarce before the discharge from the military. Second, the veterans had difficulty in reemployment by failing to properly utilize certifications what they have, during job transformation process. Third, even though the job transformation is made, veterans go through conflicts because of the habits from 36 years of military experience.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제대한지 5년 미만의 제대군인 2인을 대상으로, 민간사회로 복귀하여 직업전환 준비, 직업전환 시도, 직업전환 후에서 어떠한 한계와 어려움에 직면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총 3회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면담자료들은 주제를 범주화하고 의미를 도출하는 주제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대 전, 전직을 위한 지원은 대부분 형식적으로 이루어졌고 취업관련 정보 또한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대군인은 직업전환 과정에서 자신이 보유한 자격증마저도 적절히 활용되지 못함으로써 재취업의 어려움을 겪었다. 셋째, 제대군인은 직업전환이 이루어진다 해도, 36년간 체화된 군 습관으로 인해 새로운 직장에서도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Post Pandemic Opportunities: Sustainable Development of Agriculture Industry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in Indonesia

        디마스 해리스 션 키프(Dimas Harris Sean Keefe ),장현미(Hyun-Mi Jang) 한국물류학회 2023 물류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인도네시아의 농업에 디지털 전환이 가져올 도전과제와 기회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농업관련 기업 및 학계를 포함하여 다양한 배경을 가진 전문가를 대상으로 반구조적 인터뷰를 활용한 질적탐색을 실시하였으며, 주제 분석, SWOT분석 및 PESTLE 분석을 사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및 기술 혁신이 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불확실한 수요, 원자재 가용성, 디지털화 관련 비용, 직원 교육 및 기업 목표 이해의 필요성, 기존 생산 수단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디지털 전환 및 지속가능한 개발과 관련하여 인도네시아의 농업에 지속가능한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기술 발전, 잠재적 파트너십 및 협력, 정부 이니셔티브 및 자금 지원과 같은 잠재적인 기회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디지털 전환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파트너십과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정부 정책의 영향에 초점을 맞춘 향후 연구를 제안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in Indonesia. A qualitative exploratory design approach was employed,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from various backgrounds, including government officials, agricultural companies, and academics. Thematic analysis, SWOT analysis and PESTLE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e study found that digital and technology transformation is important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However, there are several challenges that need to be addressed such as irregular demand, availability of raw materials, expenses related to digitalization, need for employee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ompany’s goals, and old production tools. On the other hand,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re are several opportunities for the agriculture industry in Indonesia in relation to digital transform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uch as increased demand for sustainable products, advancements in technology, potential partnerships and collaborations, and government initiatives and fund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tudy recommends future research to focus on partnerships and the impact of government policies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igital transforma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e industry in Indonesia

      • KCI등재

        십자가 모티브의 표현적 변형: 리스트 B단조 소나타를 중심으로

        김유미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2022 음악이론포럼 Vol.29 No.1

        본 논문은 연구자의 박사 학위 논문 중 1장과 3장 2절을 중심으로 발췌 및 번역한 것으로,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의 B단조 소나타에서 나타나는 십자가 모티브(cross motive)의 주제적, 표현적 변형에 초점을 맞추고, 모티브의 변형을 통해 생성되는 내러티브적 해석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십자가 모티브는 그레고리안 성가 ≪신앙의 십자가≫(Crux Fidelis)에서 유래한 선율적 모티브로, 리스트의 작품에서는 기독교에서의 구원을 의미하거나 그의 신앙심이 표현되는 맥락에서 주로 사용된다. 리스트의 소나타에서는 다섯 개의 모토가 주제적 발전의 기초적 아이디어를 제공하며, 그 중 네 번째 모토인 십자가 모티브는 5번에 걸쳐 등장하며 주제적 변형뿐만 아니라 표현적 변형의 과정을 거친다. 본 논문은 음악이 진행됨에 따라 음악적 아이디어가 정서적 상태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클라인(Michael Klein)의 용어 ‘표현적 변형’(expressive transformation)과 해튼(Robert Hatten)의 ‘표현적 장르’(expressvie genre)의 개념을 연구의 출발 점으로 삼는다. 제시부의 2주제 영역에서의 십자가 모티브의 첫 등장은 화려하고 장대한 반주와 상승하는 십 자가 모티브 선율의 조합으로 인해 D장조에서 종교적인 장엄함을 드러낸다. 반면 발전부에서 제 시된 십자가 모티브는 단조성의 선율, 낮은 음역, 불협화음, 강한 다이내믹으로 인해 고통스러운 모습으로 변모하다. 이는 십자가 모티브의 정서적 상태가 비극적으로 변형되었음을 보여준다. 재 현부와 코다에서 등장하는 십자가 모티브는 이전의 종교성, 장엄함, 영웅적 당당함, 승리를 다시 회복하며 기쁨과 환희에 찬 절정의 감정적 상태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십자가 모티브의 변형은 ‘비극과 고통에서 다시 쟁취해 낸 승리’의 내러티브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내러티브를 제시하는 과정에서 헐리우드 영화 ≪레버넌트≫의 정서 구조와 십자가 모티브의 정서적 흐름 에서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을 발견했고, 상호텍스트적 맥락의 적용을 통해 본 논문이 제시 하는 해석학적 분석에 대한 접근성과 흥미를 높이고자 했다.

      • KCI등재

        주제극놀이 활동 전개과정에서의 디지털 기록화를 통한 유아의 교육활동과 의사소통 변형

        유구종(Yoo ku j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세 유치원이 디지털 기록화 방법을 실천하고 적용한 참여 실행 연구이다. 주제극놀이 활동에서 디지털 기록화가 유아들 교육활동과 의사소통 변형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006년 2학기에 3개 유치원 별로 약 3개월 동안 실행연구와 참여관찰,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주제극놀이 활동은 일주일에 1회 실시되었으며 1회 소요 시간은 연계활동을 포함하여 약 50-110분이었다. 디지털 기록화 활동에 따라 주제극놀이는 변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교수활동과 유아들의 수업활동 참여와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유아들의 상위 의사소통 맥락도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and transformations of educational activity that take place through digital documentation in thematic fantasy play activity. Participants were three,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in three preschools and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ree months. Adopting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his study first analyzes contextual circumstance and the meaning of meta-communication in the activity process. In addition, using the same research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educational activities. This qualitative analysis, which adopted the method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ction research, and interviews, was applied to various cases of thematic fantasy play activity and relational activity. The analysis shows that contextual circumstance and meaning of meta-communication in thematic fantasy play activity differed through digital documentation. The context in which meta-communication appeared in the observed activity process were the modification of roles and impertinent behaviors, decision and re-decision of roles, emergence of readers, resolution of conflicts. The analysis also identifies some desirable transformations in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digital documentation.

      • KCI등재

        19세기 표제음악의 현대적 접근

        박은희(Eunhee Park)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의 영향을 받은 19세기 표제음악을 현대적으로 접근하여, 대중을 위한 서양음악 콘텐츠 기획의 가능성 및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19세기 표제음악은 문학의 영향을 받은 음악으로써, 특별히 문학의 '각색'을 통해 전달된 다양한 스토리를 음악으로 표현한 대표적인 음악적 장르이다. 이를 바탕으로 교향곡, 예술가곡, 춤곡, 오페라 등 다양한 음악적 형식이 발전하였다. 특히, 교향시는 문학을 음악가의 관점으로 새롭게 각색하여, 문학의 스토리를 음악으로 표현하였으며, 이것은 서양음악을 대중에게 쉽게 전달하는 방법이 되었다. 현대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도 스토리를 각색하여 다양한 콘텐츠로 이동하며 하나의 새로운 스토리 세계관을 이룬다. 이러한, 스토리의 각색기법과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표제음악의 콘텐츠 기획을 통해, 대중이 쉽게 서양음악을 접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제음악을 문학의 '각색'과 현대의 융합 미디어 기법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 접근하여, 현대적 접근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괴테의 <파우스트(Faust)>를 스토리 설계, 미디어 선택, 콘텐츠 제작, 상연 그리고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 등의 창작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이로 인해, 대중도 쉽게 서양음악을 접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 창작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ssibilities and prospects of planning western music content for the public through a modern approach to 19th century title music influenced by literature. 19th-century title music is a representative musical genre that is influenced by literature and expresses various stories conveyed through music, especially through literary 'adaptations'. Based on this, various musical forms such as symphonies, art songs, dance songs, and operas developed. In particular, symphonic poetry is a new adaptation of literature from a musician's perspective, expressing the story of literature in music, which became an easy way to deliver Western music to the public. Modern “transmedia storytelling” also adapts stories and moves them to various contents to form a new story worldview. In this way, the public can easily access Western music through the content planning of title music using story adaptation techniques and transmedia storytelling techniques. Therefore, this study approached title music as a literary adaptation and transmedia storytelling, a modern convergence media technique,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 modern approach. By presenting the creative process of Goethe's “Faust,” including story design, media selection, content creation, performance,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the audience,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tilized as a resource for creating cultural contents that the public can easily access Western music.

      • KCI등재

        세 가지 각색 전략과 그 한계성에 대하여: 영화 <許三觀>을 중심으로

        박정경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0 No.2

        중국 대륙의 당대(當代)소설 최초로 허삼관 매혈기가 한국영화 <허삼관> 으로 재탄생되었다. 이번 각색은 시공간의 전환과 함께 문학에서 영상으로 매체변환이 이루어져 선험적 과제들을 수반하고 있다. 영화는 영상시장의 우위 선점과 한국관객들의 효과적인 공감을 목표로 인도주의적 부성애(父性愛)를 중심주제로 설정하고, 서사적 측면에서 세 가지(保留, 轉換, 壓縮)각색 전략을 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주제의식 전개의 통일성에 혼란을 주거나, 관극의집중도를 감소시키는 한계도 내재한다. 이에 본고 Ⅱ장에서는 각색자가 삽화적각색에 중점을 두고 활용한 원작 표현 형식의 이행 과정과 그 의도에 대해 분석한다. Ⅲ장과 Ⅳ장에서는 서사적 측면을 중심으로 재구성된 인물 설정과 스토리텔링에 대해 살펴보고, 원작의 주제의식과 관객의 공감여부를 기반으로 비평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This adaptation contains the context of time and space and the media transformation from literature to film. From the perspective of adaptation mode, this is an attempt to move from Chinese contemporary literature to Korean movies. For the sake of market advantage and wide audience support, the film sets the theme as humanitarian paternity. From the narrative side, three adaptation strategies have been adopted. But these major adaptation strategies undermine the core themes of the original, and undermine the audience's resonance. According to these views, in Chapter Two of this paper, We attempt to analyze the adapter's intentions by re-creating character settings and story plots. In Chapter Three and Chapter Four, the author examines the story plot re-created by the adapter from a narrative point of view, and analyses the theme consciousness of the original work and the resonance of the audience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

      • KCI등재

        교양교육의 주제론으로서 포스트휴먼과 그 서사적 함의 : SF 고전과 현대 문학작품의 신토피칼 접근

        진선영 이화어문학회 2021 이화어문논집 Vol.54 No.-

        본고에서는 주제론적 교양수업의 한 모델이자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교양 독자를 훈련시키기 위해 포스트휴먼이란 테마 아래 SF 고전(아이작 아시모프의 「이백 살을 맞은 사나이」(1976))과 현대 문학작품(김초엽의 「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2019))을 신토피칼적으로 접목해 보았다. 이는 교양교육에서 고전 읽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현대 교양독자인 대학생들에게 동시대적 상상력으로 사유 훈련을 가능케 하며 동시에 새롭게 주목받는 SF 서사의 교육학적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먼저 포스트휴먼, 포스트휴머니즘에 대한 다양한 사유 방식을 고찰하고 미래 사회 다양한 종의 출현을 예고하며 포스트휴먼으로서 전자인간이 등장하여 안드로이드에서 휴먼으로의 역진화를 시도하는 아이작 아 모프의 「이백 살을 맞은 사나이」를 통해 인간 중심주의를 비판하면서도 역으로 호모사피엔스의 가치를 탐구하였고, 인간과 비인간이 공존하는 세상에서 마틴-페니 가의 인물을 중심으로 포스트휴먼에 조력하는 환대의 윤리를 살펴보았다. 김초엽의 「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에서는 주체적 인식과 용기로 현실적 제약을 뛰어넘는 두 명의 여성과학자의 사이보그 되기를 살펴보면서 서구의 가족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 새로운 친족혁신과 규범적인 가족 정치에 매몰되지 않는 새로운 친족이 형성될 때 여성은 새로운 롤 모델을 구성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변혁성에 가치를 둔 미래학습의 표상자는 새로운 미래 주체로서 포스트휴먼을 주인공으로 한 SF 고전과 현대의 만남을 살피면서, 그 문학적 성취와 함께 성찰과 비판의 서사력이 우리에게 던지는 공존과 협력의 의미를 되새김해 볼 수 있다. To train active liberal arts readers, this study combined a science fiction classic (Isaac Asimov's "The Bicentennial Man" 1976) and contemporary work of literature (Kim Cho-yeop's "About My Space Hero" 2019) under the theme of "Posthuman"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lassical reading in liberal education, it aims to provide contemporary imagination to college students and give specific directions on the pedagogical use of science fiction narratives. First, I survey various ways of thinking about posthumanism. Isaac Asimov's "The Bicentennial Man" featur electronic humans as post-humans, criticizing human centralism, while exploring the value of Homo sapiens. In a world where humans and non-humans coexist, I looked at the ethic of hospitality that helps post-humans, focusing on figures from the Martin-Penny family. Kim Cho-yeop's "About My Space Hero" depicts two female scientists becoming cyborgs, going beyond practical constraints with their subjective perception and courage. I consider that women can construct new role models with Kinnovating and the formation of new kinship, which is not limited to Western family systems. The symbol of future learning, which values transformation, examines the modern encounter with SF classics featuring posthumans as new future subjects,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coexistence and cooperation thrown at us by literary achievements.

      • KCI등재

        프랑크의 후기 기악 작품에서의 순환조성

        안소영 ( So Yung Ahn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3 음악이론연구 Vol.21 No.-

        프랑크 음악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순환형식 즉 선율적인 측면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을 뿐 조성구조에 대한 논의는 다소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프랑크의 후기 기악 작품에서 나타나는 조성구조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조성구조에서 역시 순환기법이 프랑크의 음악에 존재하고 있음을 논하였다. 즉 제1악장에서 보여주었던 조성구조는 이 후의 악장에서 변형 발전됨으로써 조성적 유기성이 나타나며, 결과적으로 조성적 측면에서도 순환형식의 개념이 보여진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피아노5중주 F단조>(1879), <바이올린 소나타 A장조>(1886), <교향곡 D단조>(1888), 그리고 <현악4중주 D장조>(1889)에서 나타나는 순환형식을 살펴봄으로써 각 작품 안에서 나타나는 선율적 유기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순환형식의 개념이 조성적으로도 나타나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악장 사이에서의 유기적 구조를 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The recent studies on Franck`s music have mainly focused on the cyclic form from the viewpoint of melody, and the discussion on tonal structure has been overlooked. However, the cyclic concept is also applied to tonal structure, especially in some late instrumental music by Cesar Franck (1822-1890). In other words, some tonal relations shown in the opening movement are transformed or developed in the later movements so that the harmonic coherence is formed in Franck`s. The first half of this research explores melodic unity applying the cyclic form from Franck`s late instrumental music such as Piano Quintet in F minor (1879), Violin Sonata in A Major (1879), Symphony in D minor (1888), and String Quartet in D major (1889). This examination leads, in the second half of the study, to the demonstration of a tonal coherence in movements and even in pieces with the cyclic tonality.

      • KCI등재

        우산본 <복선화음록>의 특성 연구

        윤주필 ( Ju Pil Yoon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8

        변형계녀사의 성격을 띠고 있는 <복선화음가>는 아주 많은 이본을 거느리고 있는 유형이다. 그것은 대개 가난한 집으로 시집간 여성이 큰 재산을 모으고 남편과 아들을 성취시킨 후에 혼사를 앞둔 딸에게 훈계하면서 악행으로 패가망신한 괴똥어미 내력을 곁들여 들려주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단락은 치산내력, 계녀훈, 괴똥사설이다. 계녀사라는 이 가사유형의 본래 취지를 가운데 두고 작중화자의 긍정적 경험담과 괴똥어미의 부정적 목격담이 에워싸고 있는 형국이다. 계녀훈의 진실성이 이중으로 보강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전통사회에서 여성의 힘만으로 그같은 치산과 성취를 실제로 이뤄낼 수 있는가? 또 그 목적은 궁극적으로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를 옹호 유지하기 위한 것인가? 이같은 문제의식 속에서 <복선화음가>는 구한말에서 일제초기까지 세 계열로 변모되어 갔던 것으로 판단된다. Ⅰ계열은 액자구조에 충실하면서 개인서사에 초점을 맞춘 기본형이며, Ⅱ계열은 계녀사설에 구체적 행동강령과 생활적 지식을 추가하여 교술적 내용을 확대한 변이형이며, Ⅲ계열은 괴똥사설을 약화시키고 내포화자의 신분을 상층가문으로 바꾸면서 가문서사로 방향을 틀은 또 하나의 기본형이다. 우산본은 대체로 Ⅲ계열의 특징을 극단화하면서 Ⅰ계열보다는 6.5배, ⅡⅢ계열보다는 3~4배로 그 분량을 대폭 늘린 특이한 이본이다. 그것은 부(富)와 귀(貴)를 동시에 성취한다는 새로운 주제의식을 다루면서, 여성의 욕망과 그 충족이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상상해 보았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우산본은 일제시대 이후에 창작된 작품으로서 당시의 어휘나 분위기가 곳곳에서 드러난다. 반면 작품내용은 숙종에서 정조까지의 노론 벌열가문을 배경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간극은 사실과 허구의 가상적 결합이라는 우산본 특유의 상상력으로 봉합되고 있다. 그것은 작중화자나 시집식구의 가공적 인물상, 벌열가문의 안살림과 바깥일, 여성의 치산과 문화향유 의식이라는 여러 측면에 일관되게 작용하고 있다. 사실관계에 있어 여러 모순점을 드러내지만 굳이 노론 벌열가문의 가상적 삶을 통해 여성의 부와 귀를 꿈꾸고자 했던 것은 우산본 <복선화음록>의 상상력이며, 이 이본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그러나 우산본은 부의 축적보다 신분의 고귀함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은 <복선화음가>의 여러 계열을 비판적으로 계승한 결과이다. 부유한 물화를 온전하게 누리는 길은 가정이라는 한정된 범위에서 보장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문제의식으로 제기했다. 물화를 인간 관계 속에서 어떻게 누리고 베풀 것이냐의 문제를 두고 우산본은 전근대적 가치관인 귀족가문으로서의 번영에다가 꿈을 기탁했다. 그러나 벌열가문을 지탱해 줄 물리적, 이념적 보호막이 제거된 일제시대에서 그것은 서술자가 작품 대미에서 스스로 밝혔듯이 한갓 "봄꿈 같은 일"에 불과하다. 하지만 어렴풋하나마 돌파구 비슷한 것이 숨어있기는 하다. 그것은 전통문화와 연희에 대한 여성적 관심과 계승의식이었다. <Bok-Seon-Hwa-Eum-Ga>, which is a type of transformational poetry of advising daughter, have a great many of versions. They have story geneally that a woman to be married to the poor family make fortune, let husband and sons succeed in passing Kwago(科擧), subsequently advise her duaghter just before marriage, accompaning KeoTongMother`s history to go to ruin because of her wrongdoing. Among this story, more important parts are making fortune, advising daughter, and KeoTong history. It is appeared that the original point i.e. advising remarks in this Kasa(歌詞)-type called `poetry of advising daughter`, are surrounded with the interior narrator`s positive story of experience herself and KeoTongMother`s negative story to be observed. The fidelity of that remarks are built up twofoldly. However there are sevral problematic consciousness in this type. In traditional society can really a woman accomplish such making fortune and her family`s succeeding? And are ultimately her aims in order to support male-oriented patriarchal system? In the midst of such consciousness this type <Bok-Seon-Hwa-Eum-Ga> has been derived to three groups from the last period of Choson Dynasty to the first time of Japanese colonialism`s rule. 1st group is one basic sort to sustain picture-frame structure and to focus on individual narrative. 2nd group is a tranformational sort to add practical principles of behavior and knowledges in life, hence to enlarge didactic parts of contents. 3rd group is another basic sort to weaken KeoTongMother`s story, to change the interior narrator`s status to high rank and to shift to family narrative. The version owned by WooSan is very special one to go to extrems in the 3rd group. The quantity is enlarged greatly, 6.5 times 1st group, 3~4 times 2nd or 3rd groups. The version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it develop new theme to accomplish wealth(富) and nobleness(貴) at the same times, hence it imagine in what process for woman`s desire and its fulfillment to be able to realize. Also It has the characteristics formally that it combine facts and fiction imaginatively; it`s story is telling in the context of a distinguished family at the time from King Sukjong to King Jeonjo, on the other hand it was created in the first time of Japanes colonialism, so reflected that time`s cultural atmosphere. Such splits are sewing through Woosan-version`s special imagination of combination with facts and f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