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한의 6.25전쟁인식과 통일을 위한 유산 청산」

        조성훈(Cho Sung-hun) 한국선진화정책학회 2010 선진화 정책연구 Vol.3 No.2

        본고는 북한에서 바라보는 한국전쟁 기원, 전쟁의 성격, 승리한 전쟁론 등을 통해서, 이러한 논리가 전후에도 지속되고 있음에 주목했다. 북한 측은 한국전쟁이 미국의 면밀하고 계획적인 준비에 의해서 일어났고, 미국에 대항하여 북한을 수호하고 남한을 해방하려 했다는 ‘정의의 조국해방전쟁론’을 내세웠다. 그들은 미국이라는 외세를 물리쳤다는 승리사관을 북한체제를 유지시켜 온 동력으로 활용했다. 한 탈북자의 지적처럼, 북한 주민이 평양 전승기념관과 신천박물관을 역사의 유물로 남겨두기 전까지는 전쟁을 일으킨지 60주년이 지났으나 그들의 6.25전쟁에 대한 인식의 전환은 쉽지 않을 것이다. 전쟁으로 비롯된 적대의식을 해소시키고 한반도에서 평화공존을 모색하기 위해 실현 가능한 방안으로 우선 북한에 있을 납북자와 국군포로의 해결이 급선무이다. 이들의 규모와 생존자의 수를 가장 잘 알고 있는 북한당국은 냉전시대의 대결논리가 아닌 진정한 남북간 화해협력과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그들이 문제를 냉전시대의 희생자들이라는 인식 위에 그들의 존재를 인정하고 생존확인과 상봉, 교환가능한 포로규모 등을 논의하는데 적극 나서야 한다. 또한 남북통일을 장기적 과제로 두고, 한반도에서 불안한 군사적 대결을 극복하고 평화공존을 굳건히 하기 위해 남북한 불가침협정을 체결하는 우선 노력이 필요하다. 물론 불가침협정의 체결이 한반도의 평화체제가 수립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나, 이를 통해 평화체제로의 이행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rough North Korea's recognition about Korean war, its nature, and victory view. this paper found these logics were served during and even after the war. North Korea alleges the Korean war occurred by the United States' well preparations and they fought to defend their fatherland and to liberate South Korea under the righteous national liberation war. They utilized to maintain its regime by the theory defeating United States, the foreign power. As a defector pointed out, until War Victory Memorial in Pyongyang and the Sinchon Museum were leaved a relic of history, though 60 years have passed after North Korea invaded, but their recognition toward Korean war will not be easy to change. A solution to resolve the animosity stemed from the war and to seek peaceful coexistence for the liquidation of the war heritage is the solution of abductees and unreturned ROK POWs issues. North Korea, well aware of the number of their survivors should acknowledge their existence and discuss their identification, reunions, and exchanging scales for the true North-South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on humanitarian issues beyond the Cold War logic of the confrontation. In addition, the two Koreas, having a long-term challenges to unification problems, could seek a nonaggression pact to overcome a unstable military confrontation first and to insure peaceful coexistence on the peninsula. It is necessary for North and South to prepare the transition to a peace regime by signing of a nonaggression treaty not guaranteeing a peace regime,.

      • KCI등재

        경제참모본부의 식민지적 유산과 제1공화국 기획처의 탄생

        박성진 ( Park Sungjin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6 東亞 硏究 Vol.35 No.2

        제1차 대전 이후 1920-30년대에 일본과 만주국에서 등장했던 경제참모 본부는 미래 총력전의 핵심 기관으로 활동했다. 식민지 조선에서도 그러한 움직임이 등장했는데, 1936년 8월 조선총독으로 부임한 미나미 지로는 경제참모본부의 역할과 필요성을 일찍이 인지했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1937년 7월 중일전쟁의 발발과 확전은 미나미 지로의 구상에 상당한 굴절과 변형을 가져왔다. 1939년 11월 조선총독부 기구로는 최초로 ‘기획’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기획부가 설치되었지만, 국가총동원법이 이미 시행되고 있던 상황에서 기획부는 일본 본토 기획원의 하위 부서에 머물렀다. 1945년 8월 해방과 이후 미군정의 경제기획기구에서는 미국식 기획 제도가 접목되었다. 이후 헌법과 정부 조직을 둘러싼 논의 과정에서 “경제문제에 관한 계획을 하는 강력한 관청”을 설립한다는 데 대체적인 합의를 이루었고, 그 결과 7월 제헌헌법과 정부조직법을 통해 계획경제의 핵심 기관으로 기획처가 탄생했다. 기획처는 경제 문제 전반에 대한 종합적 조사, 예산 편성의 심사와 사무, 부처간 정책 조정 등 경제참모본부 본연의 기능을 수행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만주국 관료 경험을 가지고 있던 정현준 비서 실장은 기획처의 운영 방향 설정과 과장급 인선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그러나 1949년 전반기 급변하는 정치적 사건들 속에서 기획처는 이승만 대통령의 정치적 지지를 받지 못한 채, 자유경제론을 주장하던 재무부와 상공부에 밀리기 시작했다. 여기에 더해 1950년 6월 한국전쟁의 발발은 기획처와 계획경제에 치명타를 가했다. 결국 제1공화국에서 경제참모본부는 애초의 구상을 실현시키지 못한 채 사라졌지만 1961년 7월 신설된 경제기획원은 한국형 경제참모본부가 재탄생한 모델이었다. 군대식 위계질서, 전쟁 작전 수립을 방불케 하는 기획성, 고지 점령과 같은 목표지향성과 신속성, 전방위적 협력이 강조되는 합동성, 인적·물적 자원의 동원, 지식의 전문성 등 경제기획원에서 구현된 경제참모본부의 본연의 기능이 바로 1960년대 이후 한국 경제의 경이적인 성장을 이끈 중요한 요인이었다. Since the World War I, the Economic General Staff established in Japan and Manchukuo in 1920sⅵ30s acted as the critical institution for future total war. Such a movement was also emerged in Colonial Korea. Minami Jiro(南次郞) appointed as the Governor General of Korea in Aug. 1936 felt keenly the necessity and roles of Economic General Staff. However, the outbreak and expansion of Sino-Japanese War in July 1937 substantially distorted and transformed the plan of Minami Jiro. While the Planning Department using the word ‘Planning’ for the first time was organized under Governor General of Korea in Nov. 1939, it couldn`t help acting merely as the subordinate office of the Planning Board in Japan because National Mobilization Law was enforced.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 in Aug. 1945 and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American planning system was combined. Since then, it was generally agreed to establish a powerful government authority for planning economic affairs through the discussion on government organization and the Constitution of Korea. Accordingly, the Planning Agency was organized as the core institution for planned economy on the basis of the Korea Constitution and Government Organization Act in July 1948. The Planning Agency executed the intrinsic functions of Economic General Staff including extensive survey on economic affairs, auditing on budget plans and coordination of policies among government departments. In particular, Hyun-jun Jung(鄭顯準), the chief secretary who had the experience as the government officer in Manchukuo, played the important roles in selecting the manager-level officers and establishing the management plans in the Planning Agency. However, the Planning Agency was pushed away by Ministry of Finance and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insisting the free economy system without progressive support from the President Syngman Rhee(李承晩) in the rapidly changing political events in early 1949. Furthermore, the outbreak of Korean War in June 1950 stroke the fatal blow to the Planning Agency and planned economy. After all, the Economic General Staff in the First Republic of Korea couldn`t help being disappeared even without realization of original idea. However, the Economic Planning Board newly organized in July 1961 was the perfect model completing the Korean-style Economic General Staff. Including military-style order of rank, planning reminding the establishment of war strategy, goal orientation and rapidity like capturing advantageous position, unity emphasizing the omni-directional cooperation, mobilization of personal and material resources and professionalism of knowledge, all these intrinsic functions of Economic General Staff implemented in the Economic Planning Board became the critical elements realizing the distinguished growth of Korean economy since 1960s.

      • KCI등재

        식민유산과 한국전쟁 속의 규율적 반공교육

        강진웅 ( Jin Woong Kang ) 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논집 Vol.56 No.-

        This paper explores disciplinary anti-communist education through the prism of colonial legacy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effect of the Korean War in South Korea. Colonial discipline in children`s education was transformed into the authoritarian discipline that was reinforced by anti-communist moral principles in the South Korean state formation process especially during the Korean War. This paper analyzes the political and social mechanisms of the post-war disciplinary children education by focusing on how discourse of colonial morals and that of post-colonial democracy were incorporated into the anti-communist nationalist discourse of the Rhee and Park regimes and how this anti-communist state discourse was penetrated into children`s everyday lives in addition to their curriculum education.

      • KCI등재

        제1공화국 시기 장충단공원의 정체성의 변형 과정

        김수자 ( Kim Sooja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8 한국문화연구 Vol.34 No.-

        장충단공원은 대한제국 시기에 건립된 장충단을 일제가 공원으로 만든 곳이다. 장충단공원은 일제 시기, 해방, 정부수립, 전쟁 등의 역사적 시간들을 거치면서 복합적인 성격을 갖는 공간으로, 다양한 의미와 상징들이 ‘부딪치는’ 공간으로, 그리고 해방 이후 식민유산 처리의 복합적 성격을 잘 보여주는 ‘역사 공간’이다. 장충단은 고종이 국가를 위해 순국한 충신, 열사들을 추모하기 위해 단을 조성한 제향공간이었다. 그러나 식민 시기 일제는 장충단 일대에 도시정비사업을 실시하여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공원으로, 놀이기구 등을 설치하고, 야유회 및 운동회가 열리는 위락공간으로, 일제의 ‘영웅’을 추모하는 공간으로 조성하여 조선의 식민화를 ‘정당화’ 또는 ‘과시’하는 곳으로 만들었다. 장충단은 일제에 의해 공원이 되면서 대한제국이 의도하였던 국가에 대한 ‘충’의 공간이라는 상징성은 훼손을 넘어 전복되었다. 1945년 해방 이후 장충단공원은 식민청산의 과제와 맞물려 훼손되고 왜곡된 것을 철거하고 ‘고유의’ 상징성을 복원하고자 하는 논의들이 각 분야에서 진행되었으나, 공간의 정체성의 회복 및 확립의 작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오히려 6.25전쟁 및 정치정세 등의 변화에 따라 장충단공원은 전재민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정치 유세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라는 이미지로 변화되었다. 현재까지 장충단공원은 이질적인 조형물들이 혼재하는 공간으로 남아있다. 이러한 현상은 장충단공원의 정체성을 확립시키기 위한 논의의 시작이 일제식민유산의 청산 문제와 닿아 있음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Jangchungdan was built in the period of the Daehan Empire Era and made into a park by Japanese Empire. Since the Daehan Empire period, this area has existed in the name of ‘Park’ where various meanings and symbols “conflict” with each other. It is a complex and mixed-characterized space through the time of Japanese imperialism, liberation, government establishment, and war, and also a place that shows the complex nature of the problem of dealing with colonial heritage after the liberation. Jangchungdan was the altar place to memorialize the loyalists. However, Japan tried to make this area as a park where people can enjoy leisure by carrying out city projects. It is an amusement space where picnic and athletic meetings are held. Japan tried to make it as a memorial space for Japanese heroes to ‘justify’ the colonization of Joseon. As a result, Jangchungdan became a park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symbolism that the Daehan Empire had intended as a ‘loyal’ space for the nation was overturned beyond the damage.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Jangchungdan Park was discussed to be restored to the original form of the symbolism which was dismantled and distorted due to the problem of colonization. However the work of recovering and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space has not progressed well. On the contrary,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War and the changes of the political situation, Jangchungdan Park was transformed into an area for war refugees during the Korean War and also into a space for political campaigns taking place, Currently, Jangchungdan Park remains a place where different pieces of sculpture are mixed. And it can be said that the discussion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Jangchungdan Park is in touch with the problem of the liquidation of the Japanese colonial legacy.

      • KCI우수등재

        제2차 세계대전과 소련 젊은이들의 반체제 운동

        송준서 ( Joon Seo Song ) 한국서양사학회 2009 西洋史論 Vol.0 No.103

        This paper investigates the way in which World War II affected the behaviors and attitudes of Soviet youth who were teenagers during the war period. The experiences of the war made the cohort a unique generation, distinctive for a number of reasons from their predecessors who grew up in peace time. First of all, like members of the older generation who fought for victory in the war, the youth gained a strong sense of entitlement from their contributions to the war effort. During the war, Soviet youth fought against the Nazis on the front or in the occupied territories as soldiers or partisans, while on the home front they labored in the deteriorating working and living conditions of the industrial complexes and construction sites. Secondly, the hardship of the war turned them into more autonomous and independent citizens. During the war, young people faced situations that forced them to make decisions by themselves. Although the older generation shared similar wartime experiences, their political attitudes differed largely from those of the teenagers. Many members of the older generation who had firsthand experiences of Stalin`s terror during the late 1930s either remained silent or conformed to the official ideology. But the generation of students who grew up during the war proved to be more independent in their thinking and behavior than the older generation. Disillusioned at the gap between political propaganda and the reality of postwar hardship, the young people opposed the authorities` suppression of the pursuit of values youth believed were important. Criticizing Stalin`s deviation from Marxism and Leninism, these students organized dissident political organizations that pursued the construction of a true socialist society. The existence of dissident youth groups in the late Stalin era indicates that both de-Stalinization and the dissident movement started not during the Khrushchev era, but even before Stalin died in 1953.

      • KCI등재

        「공연법」의 성립―식민지 유산과 냉전의 동학

        이승희 한국극예술학회 2021 한국극예술연구 Vol.- No.73

        Public Performance Act is the institutional basis for all conditions and criticalities of performance (art), but the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it is not very high. In particular, there is no question about the enactment of Public Performance Act. The colonial law was finally repealed and the new law was enacted as the law of the ‘state’, but the enactment of Public Performance Act deserves to be called an ‘event’ in that the colonial rule formed the legal basis and it was none other than the military government that legislated it. When paying attention to the planning of the legislative subject, the context in which the colonial legacy settles in the laws of the postcolonial state system and constitutes a part of the Cold War culture can be explained from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the rapid legislative process of military government power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 internalization of colonial system and the practices that support it. This continuity stems from the fact that the legislative subject takes on the character of a quasi/wartime ‘military government’ power. In this case, ‘law’ means the language of the occupiers for domination, which leads them to believe that the present power is just. Second, the colonial legacy that Public Performance Act inherited is the unification of control based on performativity, control of the performance place, human control, and the censorship system. These were chosen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performativity’, which is useful from a public information viewpoint. Third, the special status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On the one hand, it contributes to composing the jurisprudence of Public Performance Act while filling the void in the law caused by the ghosting of the colonial laws, on the other hand, it was in charge of the formation and execution of new norms required for the Cold War order and the formation of the state system, which was in line with the colonial era. It is necessary to remember the same context that gave birth to Public Performance Act. This is because the military government is the legislative subject that repealed the old laws and created ‘new’ laws and made these laws ‘faith’, and the imagination of this new belief stems from nostalgia for the colonial period. It will be the restoration of the beliefs imagined lost in the eight years of Liberation where the ideology intensified, or the ‘incompetent’ Lee Seung-man government and the ‘disordered’ 4・19 space, and the source of justifying power. 「공연법」은 공연(예술)의 제반 조건과 임계에 관여하는 제도적 기초지만, 이에 관한 이해도는 그다지 높지 않다. 특히 「공연법」의 제정에 관해서는 별다른 의문을 표하지 않는다. 비로소 식민지법령이 폐기되고 신법이 ‘국가’의 법률로 제정되었으나, 식민지 유제가 법리적 기초를 이루고 이를 입법한 주체가 다름 아닌 군정 권력이었다는 점에서, 「공연법」의 제정은 ‘사건’이라 할 만하다. 이 연구는 입법 주체의 기획에 주목하고, 식민지 유산이 탈식민-국가체제의 법률에 안착하여 냉전 문화의 일부로 구성되는 맥락을 살피고자 했다. 이는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군정 권력의 신속한 입법 과정은 식민지 유제와 이를 떠받치는 관행을 내면화하지 않았다면 가능하지 않았을 일이다. 이 연속성은 입법 주체의 성격이 준/전시 ‘군정’ 권력인 데서 비롯하고, 이때 ‘법’이란 현재의 권력이 정당한 것이라고 믿게 하는, 지배를 위한 점령자의 언어임을 의미한다. 둘째, 「공연법」이 이어받은 식민지 유제는 공연성을 근거로 한 통제의 일원화, 공연장소의 통제, 인적 통제, 검열제도 등이며, 이것들은 공보 관점에서 유용한 ‘공연성의 통제’를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다. 셋째, 행정입법의 특별한 지위다. 한편으로 식민지법령의 유령화로 인한 법률의 공백 상태를 메우면서 「공연법」의 법리를 구성하는 데 기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식민지 시대와 단층을 이루는 냉전적 질서화와 국가체제의 형성에 요구되는 새로운 규범의 구성과 집행을 담당한 것이다. 「공연법」을 탄생시킨 이와 같은 맥락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군정 권력은 과거의 법령을 폐지하고 ‘새로운’ 법을 창조하여 이 법을 ‘신앙’으로 만든 입법 주체이며, 이 새로운 신앙의 상상력은 식민지시기에 대한 향수에서 유래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것은 이념이 격화된 해방 8년 또는 ‘무능한’ 이승만 정부와 ‘무질서한’ 4・19의 공간에서 잃어버렸다고 상상한 신념의 회복이자, 권력을 정당화하는 원천일 것이다.

      • KCI등재

        한·미 동맹과 한반도 평화

        이상우(Rhee Sang Woo)(李相禹)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8 신아세아 Vol.25 No.4

        In East Asia, the Cold War legacy lingers: the rivalr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encourages North Korea to militarily threaten South Korea. South Korea faces a strengthened military menace from a nuclear-armed North Korea, which is backed by China. For non-nuclear South Korea, military alliance with the US is the only reliable means to deter the North Korean threat. To dissuade China from its aggressive policy of ‘Finlandize South Korea,’ the ROK-US alliance is also the most effective measure. To maintain the valuable ROK-US alliance, South Koreans should do more to make Americans feel that the alliance is a valuable asset for the US. Alliance with the democratic ROK with a half-million well-trained armed forces will strengthen US influence in East Asia. The ROK government should convince American friends of its determination to spread democratic values that Americans hold in East Asia.

      • KCI등재

        Our Children of the Enemy: The Amerasian Homecoming Act of 1987 and Bringing 'Home' Vietnamese Amerasians to the United States

        W. Taejin Hwang 한국아메리카학회 2013 美國學論集 Vol.45 No.1

        This study examines the discourse and policy interaction surrounding the Amerasian Homecoming Act of 1987, which facilitated the transpacific migration of Vietnamse "Amerasians"-often mixed-race people of Vietnamese and American parentage-to the United States. Through this immigration act, the United States welcomed "home" Amerasians to resolve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America's war in Vietnam. This study, thus,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American military abroad and its intrinsic ties with the nation's immigration policies. It also suggests that the opening of its immigration gates for "our children of the enemy," constructed in the nexus of American cold war responsibility and "humanitarian rescue," facilitated the postwar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the former cold war foes and rendered an opportunity for Americans to reshape the memory and legacy of the bitter war in Vietnam.

      • KCI등재

        악극, 헐리우드를 만나다-1950년대 한국 대중영화의 혼종성에 드러나는 식민성과 탈식민적 근대성의 문제들-

        김청강 대중서사학회 2013 대중서사연구 Vol.- No.29

        이 연구는 해방과 정부수립 이후 대한민국의 대중문화에 있어서 식민성과 탈식민적 근대성의 문제가 “민족 영화 만들기”의 과정에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되었는가에 관한 것이다. 해방 이후의 국가 만들기의 과정은 정치, 제도적 차원의 국가 만들기(state-building)뿐 아니라 일상적이고 상상적이고 감정적 차원의 민족 국가 만들기(nation-building) 형성의과정이었다. 때문에, 대중이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새로운 대중매체들은 민족국가 만들기 작업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수밖에없었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전쟁 후 왕성하게 만들어지기 시작한 “국산영화”는 남성 엘리트 담론에 의해 도덕적, 미학적 상위 개념으로의 “민족영화”로 걸러지기 시작했다. 이들은 항일 혹은 반일, 오리엔탈리즘적고유미의 (재)발견, 예술영화 등의 담론으로 민족주의적 문화담론을 구성하기 시작했고, 이러한 담론은 특정영화를 “선택”과 “배제” 하면서 영화의 층위를 규율했다. 이러한 가치를 충족시키지 못했던 영화는 “저속한 문화”로 쉽게 규정되었음은 물론이다. 이 논문은 1950년대 남성 엘리트 지식인의 민족영화 만들기 담론에서주로 “대중적 취향” 혹은 “저속한 영화”로 폄하되었던 악극을 기반으로한 영화를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필자는 악극을 기반으로 한 영화들이열렬한 대중의 지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1950년대 영화비평가나 영화사 속에서 배제되었던 기준을 악극의 식민성에 근거한다고 본다. 이영화들 속에는 식민지 기간 동안 전성기를 누렸던 악극이라는 공연형태가 텍스트의 일부로 계속적으로 발현되었고, 영화내의 이러한 공연에대한 익숙함은 악극 기반 영화의 주요 셀링 포인트였다. 그러나 동시에어떤 식으로든 “일색”을 가진 과거의 상업적 혼종문화인 악극은 저속문화로서 민족영화 체계 내에서는 정제되거나 배제되어야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첫째로 1950년대 국산 영화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악극의 자취가 영화에 재출현하는 현상과 이러한 영화를 “저질 영화”로 낙인을 찍으며 고급한 민족영화를 선택, 배제하는 기제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둘째로는 악극에 드러나는 식민지적 근대성이나 상업성이어떤 방법으로 1950년대 한국영화들에 변형, 삽입되어 탈식민적 대중에게 현재적 의미로 재맥락화 되었는지 추적하고자 한다. 특히, 선택적이고 균열된 방식의 헐리우드화의 실험은 악극의 자취를 통속적 근대성으로 재구성하여, 매우 복합적이고 포섭적인 형태로 대중에게 받아들여졌다고 보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