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Korean music appreciation presented in the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by each period of revision to identify current status and any change over time.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methodological aspect(how) while excluding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what) and includ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data.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types and guideline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music curricula for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examination, it review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pieces centered on appreciation activities embodied in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of each period of revision. As a result, the chang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identified as follow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have drastically changed since the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1st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ir textbooks were limited to using physical expressions and integrated activities. However, the revised music curricula and textbooks since 2007 presented more diverse and specific methods such as inter-curricular teaching, linking learning and arts, use of chuimsae, use of jeongganbo and gueumbo, use of various materials, use of visual, auditory, and physical activities, and use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re was also a phenomenon of integrating and expanding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trend was more prominent in the music textbooks than in the music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used more diverse types of teaching methods for Korean music appreciation than the curriculum. Besides these positive changes, a need for improvement is recognized as there is a tendency to lean too much towards the use of physical expression and materials. These changes are the result of actively implementing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e curricula of several periods of revision.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is expected to be achieved steadily. 본 연구는 국악 교수․학습 방법 중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을 개정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무엇을’에 해당하는 교수․학습 내용은 제외하고 ‘어떻게’에 해당하는 방법적인 부분만 연구 내용으로 제한하였으며, 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시기별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활용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는 데 있다. 먼저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을 통해 개정 시기별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과 이에 대한 지침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개정 시기별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구현된 감상 활동 중심 국악 제재곡의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 초등학교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은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제1차에서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이 신체 표현을 활용하는 방법과 영역 또는 활동을 통합하여 지도하는 방법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2007년 이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교과 연계 지도, 예술 연계 지도, 추임새 활용, 정간보와 구음보의 활용, 다양한 자료의 활용, 시각적․청각적․신체적 활동 활용,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 등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여러 유형의 교수․학습 방법을 통합하고 확대하여 활용하는 양상도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음악과 교육과정보다 음악 교과서에서 두드러졌으며 음악 교과서는 교육과정보다 더 다양한 유형의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이 활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뿐 아니라 신체 표현 활용과 다양한 자료의 활용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은 여러 시기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라는 요구를 적극적으로 실천한 결과라 판단하며 앞으로도 꾸준히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初等學校 漢字 敎授學習 方法에 대한探索과 提案

        진철용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5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and organize and suggest in my own wa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in summary.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there requires the organiz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ord. principles and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an easily accessible manners. But in terms of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ord. principles, there is no sufficient discussions even at the academic level and in terms of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y have been suggested in various and distracted manners depending on each researcher. Therefore, writer organized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by classifying them into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principles, and techniques based on the discussions, which have been announce so far, regarding the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is study, it is presumed that the content of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based on Chinese characters and vocabularies and the system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is suggested. In addition, the previous discussions for the Chinese characters are reviewed in the aspects of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echnique and model of class and also the previously made statements regarding teaching of Chinese characters have been extracted. Also, together with that, the achievement of studies related with character education, language education, neuroscience were reviewed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s regarding the instruc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results obtained from above reviews have been readjusted in writer's own way, the principles and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in elementary school were suggested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principles and strategies(methods) depending on the scope of the content. It was believed that suggesting of the basic class model for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was more desirable than the patternization of Chinese character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so basic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was designed and suggested.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hat the research and organizing of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in elementary school, including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should be proceeded more systematically and throughly and then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which has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should be distributed to the teachers at the chalkface as soon as possible. 이 연구는 초등학교 漢字 敎授學習 方法을 탐색해 보고, 필자 나름대로 초등학교 漢字 敎授學習 方法을 정리하여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漢字와 漢字語의 지도 기법, 원리, 교수학습 모형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漢字와 漢字語의 지도 기법과 원리는 학문적 수준에서 논의조차 미흡한 편이며, 교수학습 모형은 연구자마다의 기본적 입장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산만하게 제시되어 있다. 이에 필자는 그동안 발표된 敎授學習 方法에 관한 논의들을 토대로 초등학교 漢字 敎授學習 方法을 교수학습 모형과 원리, 기법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여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초등학교 漢字 교육의 내용은 漢字와 어휘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초등학교 漢字 교육의 내용 체계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漢字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교수학습 이론의 적용, 교수학습 원리, 전략이나 기법, 수업 모형 측면에서 검토하고, 또 漢字 지도에 관한 기존의 진술들을 추출하여 보았다. 또한 이와 아울러 문자교육관련, 언어교육관련, 뇌과학 관련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여 초등학교 漢字 지도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검토에서 얻어진 결과들을 필자가 나름대로 가감하여 필자는, 초등학교 漢字 지도의 원리와 기법을 내용 영역에 따라 원리와 전략(기법)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고, 초등학교 漢字 수업 모형을 유형화하기 보다는 초등학교 漢字 수업의 기본적인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여, 초등학교 漢字 교수학습의 기본적인 모형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漢字 敎授學習 方法을 포함한 漢字 한문 敎授學習 方法에 대한 연구와 정리는 앞으로 더욱더 체계적이고 치밀하게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며, 또 체계적으로 정리된 敎授學習 方法이 일선의 교육 현장에 하루 빨리 보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한문의 이해-한문의 독해 영역의 교수,학습 및 평가 분석

        이승현 ( Seung Hyeon Le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6 No.-

        본 논문은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영역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단계의 ‘한문의 독해’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안내하고자 했다. 핵심 개념인 ‘한문의 독해’와 관련하여 내용 요소별 교수·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다.· ‘문장의 구조’를 학습할 때에는 문장 구조 분석하기, 어순에 유의하여 문장 독해하기, 허사의 쓰임에 유의하여 문장 독해하기, 비교· 분석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문장의 유형’을 학습할 때에는 비교·분석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소리 내어 읽기’를 학습할 때에는 낭송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끊어 읽기’를 학습할 때에는 토 달아 읽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내용과 주제’를 학습할 때에는 토의·토론하기, 역할 놀이 학습, 그림·만화활용하기, 연극·방송 대본 만들기, 역사 신문 만들기, 가상 인터뷰하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이해와 감상’을 학습할 때에는 토의·토론하기, 역할 놀이 학습, 그림·만화 활용하기, 연극·방송 대본 만들기, 역사 신문 만들기, 가상 인터뷰하기, 다른 창작물과 비교하기, 감상문 쓰기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한문의 독해’는 ‘한문의 이해’ 영역에 해당한다. ‘한문의 이해’ 영역의 교수·학습방법은 ‘한문의 활용’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과 비교하면 기존의 교육과정을 통해서 이미 알려진 교수·방법들이 대부분이다. 위와 같이 ‘한문의 독해’ 영역의 내용요소별로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은 새롭고 참신한 방법이기보다는 기존의 단위학교 한문 수업시간에 활용해 오던 방법들을 정리한 수준이다. 위에서 제시한 방법 이외에도 내용 요소별로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수·학습 방법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여기서는 2015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에 대한해설과 적용 사례 제시를 목적으로 했다. 또한 ‘비교·분석하기’, ‘토의·토론하기’,‘역할놀이 학습’, ‘연극·방송 대본 만들기’ 등의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들은 ‘한문의 독해’ 영역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단위학교에서는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하나의 영역이나 하나의 내용요소에 제한하여 활용하지 말고 다양하게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thesis aimed to guide methods of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area of ‘reading comprehens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areal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2015 Revised Chinese Characters Subject Curriculum·teaching·learning methods by component related to the key concept ‘reading comprehension of Chinese characters’ are as follows. ‘Reading comprehension of Chinese characters’ falls under the purview of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When comparing 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Use of Chinese characters’, the majority of teachin g·learning methods for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have already been known through existing curriculum. As above, teaching· learning methods suggested by component for ‘Reading comprehension of Chinese characters’ are not new or original, and they are rather the summary of methods that have been used in the Chinese characters class of unit schools. Other than the methods suggested above, application of various and crea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is available by component. However, this thesis intended to suggest explanation and application case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suggested in the 2015 Chinese characters subject curriculum. In addi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such as ‘comparing·analyzing’, ‘having discussion·debate’, ‘role play learning’, ‘making play scenario·broadcast script’ etc.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areas excepting ‘reading comprehension of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unit schools are advised to apply and use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instead of using them limited to a single area or component.

      • KCI등재

        초등미술수업의 학습상황 교수 학습방법 교육과정 실행의 상호 관계성에 대한 논의

        김혜숙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6 No.-

        Today’s art class needs more dynamic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rt curriculum in multi-cultural and plural society. Art class develops students’ artistic expressions and sight for various art works and art culture. Elementary school art class engaged with teaching environment, teaching condition, use of time, and executive support that which cause many problems by its poor conditions. The quality of art class closely depends on how to execute the art curriculum with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situation also stimulates learner’s artistic activities.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art curriculum bring students to search, cognize and percept for intrinsic characters and essential value of art. The quality of art class deeply depends on how to executed the lesson plan, lesson activity and evaluation using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art curriculum in school environment. The need of the diverse teaching-learning methods in art class gives opportunity to link together the theory and practice of art in many areas such as creative art education, discipling-based art education, multi-culture art education and visual cultural art education. We also need various kinds of teaching strategies to stimulate a student's individual learning ability to achieve lesson goals in art class. And art class requires more dynamic teaching strategies in order to teach students more efficiently. The teaching strategy, class environment,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develop students’ artistic knowledge including their cognition, perception, thinking ability, interest and participation. Now days, the dynamic and various kind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need to be executed in art class that will carry out students' more diverse art activities in various art areas. 미술의 내재적 특성과 본질적 가치를 탐색하고 인지하며 지각하는 미술수업은 학생들의 시각언어를 활용한 표현력을 길러주고 미술품과 미술문화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길러준다. 그러나 학교현장의 미술수업은 학습 환경이나 학습상황, 시수 운영, 행정적 지원의 열악함에 의해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미술수업의 질은 교육과정의 실행 및 교수 학습방법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특히 오늘날의 DBAE, 다문화, 시각문화, 전통문화 등 여러 이론들이 상호 공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학교현장에서 발견되는 미술수업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학습상황과 교수 학습방법, 교육과정 실행 등에 대한 논의는 미술수업의 맥락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미술수업의 교수전략과 학습 환경, 교수 학습방법은 학생들에게 미술지식의 형성과 함께 인지능력, 사고력, 흥미와 관심, 수업 참여 등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다원화시대의 미술수업이 학생들에게 의미 있게 다가가고 역동적이며 미래지향적이 되기 위해서는 학습상황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 교수 학습방법, 교수전략들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사회과 법교육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허종렬 ( Jong Ryul Hur ),박형근 ( Hyung Keun Park ),고영은 ( Young Eun Ko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0 한국초등교육 Vol.20 No.2

        학교 법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절한 내용과 함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하다는 기본 인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법교육에 관한 구체적 교수학습 방법들을 체계화하여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 개발, 활용되고 있는 법교육 학습 방법들을 소개하고 유형화하였다. 아울러 사례 연구법, 시뮬레이션, 역할놀이, 모의재판, 지역사회 기반 학습 등의 학습 방법들의 의미, 장점, 절차 및 예시, 유의점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법교육 방법론의 보급을 위해 교원양성대학과 법무부, 교육과학기술부 등 유관기관들이 법교육 방법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교육 및 연수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사회과를 비롯한 여러 교과교육의 교수학습 방법들을 법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개발하며,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법교육 방법 매뉴얼을 제작하여 보급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temmed from a basic recognition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ppropriate contents and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ffective law-related education in school, and, thus, aims to systemize and introduce detail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cerning law- related education.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alit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have been utilized dur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law-related education through research into teachers` perception, and introduced and classified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law-related education, which have been studied, developed, and utilized in the USA and Canada. This study suggested the meaning, strengths, procedures and example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cluding case study methods, simulation, role playing, mock trials, and community- based learning, in detail. This study may propose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offer the opportunity to gain diverse experiences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law-related education at the universities of teacher education, and to help teachers learn and acquir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law- related education through various training for teachers. Second, We need to utilize teaching -learning methods involving a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them of law-related education. Third, it is required to prepare for school teachers and distribute to them, manuals for teaching- learning methods regarding law-related education.

      • 예비교사들의 학습부진아에 대한 교수학습방법 연구

        오찬교 ( Chan Gyo Oh ),나용순 ( Young Soon Na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12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학습부진아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해서 일반적 배경(전공계열, 학년, 성별)과 학습부진아 이해도(교수학습방법 강의경험유무, 학습부진아 지도경험 유무)별로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OO대학교 예비교사 108명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하였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전공계열, 학년, 성별로 학생중심 교수학습방법이 학습부진아에게 적합한 교수방법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사범계 예비교사와 비사범계 예비교사들은 수업집단규모와 학습이론, 수업방법에서 서로 다른 교수학습방법을 선호하였다. 학년별로는 선호하는 교수방법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학습부진아의 효과적인 교수방법에 대해서는 대체로 일치하였다. 둘째, 수업경험 유무 및 지도경험 유무에 따른 예비교사들의 학습부진아에 대한 선호 교수학습방법으로는 학생중심 교수학습방법과 개별학습 및 소집단 학습, 인지주의 및 행동주의이론, 역할수행법 및 토의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for the underachievers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about how general background (major series, grade, gender) and underachievers in understanding (teaching-learning methods experience/unexperience, underachievers teachers experience/unexperience) by lead for the purpose of and, OO University pre-service teachers in 108 subjects,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zed.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series, grade, gender, student-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s as teaching methods were appropriate for underachievers. However, colleges of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and non-colleges of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group sizes and learning theory, learning how different teaching methods was preferred. By grade preferred teaching methods were different, gender, underachievers for effective teaching methods generally agreed. Second, the presence of teaching-learning methods experience/unexperience, underachievers teachers experience/unexperience according of pre-service teachers preferred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underachievers,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individual learning and small group learning, and cognitive theories of behaviorism, and discussion on the role practice as the preferred method showed that.

      • KCI등재

        한문과(漢文科) 교수(敎授),학습(學習) 방법(方法) 연구(硏究)의 성과(成果)와 방향(方向)

        송병렬 ( Pyung Nyul S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처음부터 활발했던 것은 아니다. 연구는 두 가지 형태로 발표되었다. 즉 ``교수 방법``과 ``교수·학습 모형``이 그것이다. ``교수 방법``의 성과는 강덕희의 「기초 조어표의 활용을 통한 조어표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부터 비롯했다. 이후 김우용의 「특활을 통한 한문과 학습지도가 학습자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자카드 놀이법``을, 조규남은 「그림을 활용한 한자지도법 연구」에서 한자를 그림으로 제시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논문은 지도안의 성격을 띠는 것이었다. 배원룡은 「한문과 교수·학습 지도 방법」에서 ``융판 활용 한자어 지도법``에서 ``비교 학습법``, ``색출 학습법``, ``역할 놀이 카드 활용법`` 등의 다양한 학습법을 제시하였으나, 기존의 교육공학의 매체 제작 및 활용의 수준이었다. 이들 교수 방법은 대체로 모색과 모방의 수준이었다.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은 백원철의 「한문과 학습의 전통적 낭독법에 대하여-한문과 학습의 효과적 일방안의 모색-」, 이태희의 「근체시의 4단 구성과 그림으로 하는 한시 수업」, 이복규의 「옛날 이야기와 수수께끼를 통한 한자 한문 학습」, 송병렬의 「한문교과교육에서 ``한자의 짜임`` 지도 방법의 일고찰」, 김은경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학습 방법」, 김재영의 「신문, 방송을 활용한 한자·한자어 교수 학습 방법」 등이다. 이들 논문은 한문과의 독자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교수 모형에 대한 성과는 원용석이 「한자어 교수·학습 모형」에서 한자어 교수 모형을 제시했다. 백광호는 「한문과에 적용 가능한 웹기반 수업과 문제중심학습」에서 한문과 구성주의 이론에 따른 교수 모형을 소개했다. 김연수는 『한시 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서, 김재영은 「독자 반응 중심 한시 교수·학습 모형에서 ``인지적 도제 중심의 한시 교수·학습 모형``과 ``텍스트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위의 두 모형은 앞서 제시한 구성주의 이론을 적극 수용한 데서 나온 성과물이다. 송병렬은 「한문과 교수·학습의 협동학습 모형 적용」에서 구성주의에 따른 협동학습을 한문과에 적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의 사례를 보고하였다. 이경우는 「UCC를 기반으로 하는 한시 학습 방법 연구」에서 ``동영상 활용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같은 연구 성과는 2000년 이후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활발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체계화 등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김재영이 「한문과 교수·학습방법의 체계화방안」에서, 송병렬이 「한문과 교수?학습의 이론과 방법」에서 각기 ``교수 방법``을 분류를 시도하였다. 즉 교수 방법의 체계화를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분류의 체계화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또한 최근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는 국제적인 학술대회의 개최 등으로 세계화할 조짐이다. 특히 중국·홍콩·대만 등의 국가들이 한자·한문의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들과의 교류로 인해서 새로운 연구 주제와 범위가 확산되었다. 역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도 새로운 방향이 열린 것이다. 그동안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는 100여 편 이상이 될 정도로 많은 편이나, 대체로 중복이 많다. 이는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 대한 미숙함도 있지만, ``교수 방법, 모형`` 등에 대한 차이를 분류하고 체계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매우 주목할 만한 연구도 많았으며, 이들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Aspect of the study for the teaching-learning of Chinese Character can be integrated to three things in general. They are teaching method, teaching-learning model and classification of teaching method. The achivement of the teaching method had begun from 「An effective guide plan of coinage chart through the use of basic coinage chart」 by Kang Duk Hee. Since Chinese Character teaching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on the learner`s academic ability」, and Jo Kyu Nam showed the method that indicates Chinese Character as a picture in 「Study of the teaching method of Chinese Character using pictures」. However, these papers were kinds of guidance plan. After them, Bae Won Ryong presented many learning methods such as ``Chinese Character teaching which uses felt boards``, ``Comparing``, ``Searching`` and ``Application of cards on role-playing``, though, these were the level of imitation and search on the whole. Taking a stronger point of view, there are 「About the traditional elocution in Chinese Character study-Searching for effective way of Chinese Character-」 by Baek Won Chul, 「Four step-construction of modern-style poetry and Chinese poem class using picture」 by Lee Tae hee,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lassics learning though old stories and puzzles」 by Lee Bok Kyu, 「A Thought about the Method to Teach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by Song Pyung Nyul,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and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Utilizing Cultural Heritage」by Kim Eun-kyung and 「A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Characters Using Newspaper and Broadcasting」by Kim Jae-young. They showed their own ways in Chinese Characters. The result concerned with teaching models indicated Chinese words teaching models in 「Chinese words teaching-learning models」 by Won yong suk. Baek Kwang-ho introduced a new teaching models that are based on the Chinese Character`s constructivism theory in 「Web-based course and problem-based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Chinese Character」. Kim Yeon soo showed ``Cognitive apprenti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and `` Text 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in 「Constructivism method study of teaching-learning in Chinese poem education」, Kim Jae-young did in 「Readers` Responce centered Chinese Poem Teaching-Learning Model」. Those two models are the results of accepting constructivism which were mentioned before this actively. Song Pyung-nyul reported the example of ``Teaching-learning model focused learners`` to apply cooperative learning following to constructivism in 「Cooperative model Ap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Lee kyung woo presented ``Model of lesson that uses video`` in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poem using U.C.C in education」. Systematization of teaching method was tried by Kim Jae-young in 「A study on How to Systemize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and Song Pyung-nyul in 「Theory and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by attempting to classify each ``teaching method``. Systematization in classification has contributed to the methodical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Until now,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the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as many as more than 100, however, they have many overlaps. Because they are not only unfamiliar about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learning method but failed to classify the difference of the things like ``Teaching method and model``. Though, many scholars` achivements were very noticable and played a role to expand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Recently, it looks like being globalized through the things like holding international symposiums. Especially in the countries that include China, Hong Kong, Taiwan, etc, the study is lively being conducted. Therefore, interaction with them will be connected to the expand of the new subject and range soon.

      • KCI등재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의 體系化 方案

        김재영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set the standards for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Classical Chinese' for systemization and typology the methods. For this, Teaching-Learning methods provided in national-wide curriculums and articles reported to Classical Chinese related academic association were reviewed in order to understands the history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specific subject education. We also try to systemize the study results related to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by reviewing the Teaching-Learning cases of the subject in the field.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were categorized for the systemization according to the three criteria of 'Curriculum Domain', 'Teaching-Learning Types' and ‘Classical Chinese Text'. However, the systemized teaching-learning methods may not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methods in the rigorous point of view. Additionally, there may be some methods that cannot be considered as unique frames.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to some extent by applying teaching-learning methods to the actual field such as classroom, observing and analyzing the application process.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study results should be accumulated, and fed back to teaching-learning theory. In other words, the cycle should be continuous. Only through this circulation cycle, the systemiz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can be made. 본 논문의 목적은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樣相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체계화를 위한 基準을 설정하여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類型化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에 제시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검토했으며, 한문교육 관련 학회에 보고된 연구 논문도 검토하여, 그 동안의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 현장의 한문과 교수-학습의 모습도 살펴봄으로써 기존 한문 관련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 성과를 통합하여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체계화의 기준은 ‘교육 과정 영역’, ‘교수-학습 형태’ 그리고 ‘한문 텍스트’의 3가지 기준을 설정하여 기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들을 유형화 하였다. 그러나 체계화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이 때론 다른 방법과 엄격히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한 영역에만 적용되는 고유한 틀로 보기 어려운 것들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교수-학습 방법을 교실 현장에 실제 적용하고, 그 적용 과정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어느 정도 해결되리라 본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그것이 교수-학습 이론으로 재투입되는 還流의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서만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體系化가 더욱 탄탄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문과(漢文科) 교수(敎授)-학습(學習) 방법(方法)의 체계화(體系化)의 방안(方案)

        김재영 ( Jae Young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樣相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체계화를 위한 基準을 설정하여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類型化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에 제시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검토했으며, 한문교육 관련 학회에 보고된 연구 논문도 검토하여, 그 동안의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 현장의 한문과 교수-학습의 모습도 살펴봄으로써 기존 한문 관련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 성과를 통합하여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체계화의 기준은 ``교육 과정 영역``, ``교수-학습 형태`` 그리고 ``한문 텍스트``의 3가지 기준을 설정하여 기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들을 유형화 하였다. 그러나 체계화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이 때론 다른 방법과 엄격히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한 영역에만 적용되는 고유한 틀로 보기 어려운 것들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교수-학습 방법을 교실 현장에 실제 적용하고, 그 적용 과정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어느 정도 해결되리라 본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그것이 교수-학습 이론으로 재투입되는 還流의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서만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體系化가 더욱 탄탄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set the standards for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Classical Chinese`` for systemization and typology the methods. For this, Teaching-Learning methods provided in national-wide curriculums and articles reported to Classical Chinese related academic association were reviewed in order to understands the history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specific subject education. We also try to systemize the study results related to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by reviewing the Teaching-Learning cases of the subject in the field.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were categorized for the systemization according to the three criteria of ``Curriculum Domain``, ``Teaching-Learning Types`` and ``Classical Chinese Text``. However, the systemized teaching-learning methods may not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methods in the rigorous point of view. Additionally, there may be some methods that cannot be considered as unique frames.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to some extent by applying teaching-learning methods to the actual field such as classroom, observing and analyzing the application process.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study results should be accumulated, and fed back to teaching-learning theory. In other words, the cycle should be continuous. Only through this circulation cycle, the systemiz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can be made.

      • KCI등재

        한문과 어휘 교수,학습 방법 연구

        정효영 ( Hyo Young Jeo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5 한문교육논집 Vol.45 No.-

        이 연구는 韓國漢文敎育學會에서 ‘2015 한문과 교육과정을 위한 교수ㆍ학습 이론과 사례 연구’를 주제로 개최된 학술대회를 계기로 수행되었다. 어휘의 의미를 명료화하고, 교육과정 분석과 한자 어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현황 분석을 시도하였다. 어휘 교수·학습은 성격을 달리하는 한문 문장 학습을 위한 어휘 교수·학습과 언어생활 속의 어휘 교수·학습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문 문장 학습을 위한 어휘 교수·학습에는 ‘단어, 실사와 허사, 품사’의 교수·학습이 해당되고, 언어생활 속의 어휘 교수·학습 방법에는 ‘일상용어, 학습 용어, 성어’의 교수·학습이 해당된다.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보면,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교수·학습 방법이 이전 교육과정에 비하여 자세하게 서술되었다. 하지만 내용이 상세하지 않아 실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어휘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한 연구들을 검색하여 모형과 기법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모형보다는 기법과 관련한 연구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성어 관련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였으며, 정기적으로 발행되는 한문교육의 수업사례, 다른 교과에서 연구한 한자 어휘 관련 교수·학습 방법 등도 한문과 어휘 교수·학습 방법 연구에 참고가 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어휘 교수·학습 방법을 제언하였다. 교수·학습에 있어서 교육적 효과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의 흥미도 중요한 요소이다. 교육적 효과와 학생들의 흥미가 적절하게 융합된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방법들이 현장에서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 연수 등의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고, 그러한 교수·학습 방법들을 교사들이 자신만의 방법으로 만들어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starting from the symposium held by Society for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on the subject ‘Teachingㆍ Learning Theory and Case Study for 2015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Clarifying the meaning of vocabulary, analysis of curriculum and analysis of study status for classical Chinese vocabulary``s teaching·learning method were tried. Vocabulary``s teaching·learning can be distinguished into vocabulary teaching·learning of classical Chinese for learning different character``s classical Chinese sentence and vocabulary teachin g·learning in language life. To vocabulary teaching·learning for classical Chinese sentence learning, teaching·learning of ‘word, open-class word and closed class word, word class’ are corresponding and to vocabulary teaching·learning in language life, teaching·learning of ‘daily life term, learning term, phrase’ are corresponding. If we review teaching·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curriculum``s achievement, 2015 revised curriculum described teaching·learning method more detailedly than previous one. However, the content is not described in detail, so teachers`` study and endeavor are required in order to be used in actual school site. We tried analysis searching the studies related to vocabulary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classifying them into model and technique. studies relating to technique were more than those to model. Studies on teaching·learning method related to phrase were active and case of class on Classical Chinese Educationissued periodically, teaching·learning method etc. studied in other curriculum on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can be references in studying classical Chinese and vocabulary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these studies, vocabulary teaching·learning method was suggested. In teaching·learning students`` interests are important factor too as well as educational effect. Teaching·learning method where educational effect and students`` interest are properly fused is required. In addition, in order for these method to be widely utilized in the field, the plan such as teachers training is to be prepared and teachers`` endeavors to make and develop those teaching·learning method as their own one will b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