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아교사의 전문성발달수준 및 영아발달지식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이정미 ( Lee Jung-mi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4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7 No.-

        본 연구는 영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전문성발달수준 및 영아발달지식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원시에 소재한 보육교사교육원 영아보육전문과정 교육에 참여한 132명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전문성발달수준에 대한 인식은 전체적으로 보통이상의 점수가 평가되어 영아교사들이 자신의 전문성에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영아 발달지식은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영아발달 지식은, 언어발달, 신체발달, 인지발달, 사회·정서발달 순으로 점수가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상호작용은 전체적으로 보통이상의 점수가 평가되었다.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이 민간어린이집 교사들에 비해 상호작용을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집 영아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과 상호작용은 모두 높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전문성발달수준이 높은 교사가 영아와 상호작용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발달지식과 상호작용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와의 질 높은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재교육을 통해 영아발달지식에 대한 발달 영역을 중심으로 좀 더 심도 있는 교육을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교사의 전문성발달 수준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levels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infant development knowledge with teacher-infant interactions. Subjects of study were 132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Infant Care Specialist Program in Child Care Teacher's Education Center in Suw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expertise of the infant development is overall above average. Second, their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s overall low. The teac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s scored as followings. Language development has the highest score, physical development is second, recognition is third and social/emotion development is last. The Third, their teacher-infant interaction is overall above average. It turns out that the teachers in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centers have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better than those in private child care centers do. Fourth,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expertise of infant development an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of the infant teachers. The study shows that those with the higher teacher's expertise of the infant development have better interaction with infants. It shows that the teacher's infant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does not have a clear correlation with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s. At result, in order to improve the interaction with infants, teacher-infant requires the in-depth education for the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eacher's expertise of the infant development levels.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학교 특수교사발달단계와 특수교사전문성 인식 비교

        정진자,왕선,이걸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2 시각장애연구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eacher’s development stage and professionalism of cognition of visually impaired school in Korea and China.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0 teacher of visually impaired school of Korea and 87 teacher of visually impaired school of China. The basis of the results obtained in the study’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on the cognitive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Korea and China’s visually impaired school special teacher, Korea and China’s visually impaired school special teacher’s development stage and career setback stage is the highest. In addition, in Korea’s and on the difference between China’s, Korea teacher of the visually impaired school survival stage, growth stage, mature stage, career setback stage, ambition for promotion stage, steady stagnation stage compared with the Chinese special teachers of visually impaired school are high. Secondly, on the professional cognitive differences of the Korea and China’s visually impaired school special teachers, Korea special teacher compared with special teachers in China, educ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 teaching professional, class operation and management, professional attitude and all teachers of professional cognition, Korea is high. Korea special teachers’s teaching professional and China special teachers’s class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se two aspects are considered most important. Thirdly, Korea and China’s visually impaired school special teacher’s development stage has an impact on teacher’ professional.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학교 특수교사의 교사발달단계와 교사전문성 인식 특성을 알아보고 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한국은 서울, 인천, 부산, 대구, 대전, 광주의 시각장애학교 교사 90명과 중국은 장쑤성과 산동성 2개 지역 3개 시각장애학교의 교사 8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얻어낸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 간 시각장애학교 특수교사의 교사발달단계 인식 차이 비교에서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학교 특수교사의 발달단계는 직업적 좌절단계가 가장 높았다. 또한 한국과 중국 간 차이에서 한국의 시각장애학교 특수교사가 생존, 성장, 성숙, 직업적 좌절, 승진지향, 안정침체 단계에서 중국의 시각장애학교 특수교사에 비해서 높았다. 둘째, 한국과 중국 간 시각장애학교 특수교사의 교사전문성 인식 차이 비교에서 한국의 시각장애학교 특수교사가 중국의 시각장애학교 특수교사에 비해 교육과정개발 및 운영, 수업전문성, 학급경영 및 관리, 전문직적 태도와 전체 교사전문성 인식이 높았다. 셋째,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학교 전체 교사발달단계는 교사의 전문성에 영향을 미친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유아 인성발달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분석

        고정리(Go, Jeong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과 유아 인성발달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경남지 역에 근무하는 공립유치원 교사 33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8년 9월 1일부터 7일까지 일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 인성발달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셀프 리더십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 인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 셀프리더십과 유아 인성발달 관계에서 교사-유아 간 언어적 및 행동적 상호작용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유아 인성발달관계에서 교사-유아의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각각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바람 직한 인성 발달을 위해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mediating effect of teacher-preschooler s interaction in relation of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and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To achieve this purpose, public kindergarten teacher measured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teacher-preschooler s interaction and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the subject were 336 public kindergarten teacher in gyeong sang nam do. To measure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teacher-preschooler s interaction and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measurement tool was made existing tool. On this basis, research material was collected and analyzed. SPSS statistics 23 for window program for data processing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etween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teacher-preschooler s interaction and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had attentive relation and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teacher-preschooler s interaction effected on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positively. Second, linguistic, active interaction had part mediator effect attentively in relation of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and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This study had meaning to analyze mediating effect of teacher-preschooler s linguistic, active interaction in relation of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and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This study present necessity to examine way to improve preschooler teacher s self-leadership and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for preschooler character development.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전문성발달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인식 및 문제행동지도전략

        차어진(Eo-Jin CHA),권연희(Yeon-Hee KWON)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13 水産海洋敎育硏究 Vol.25 No.1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gnitions and strategies of child’s problem behaviors depending on the level of preschoo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articipants were 176 preschool teachers in B Metropolitan city. The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perception of child’s problem behaviors, and teacher’s guiding strategies for child’s problem behavi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t cognitions of child’s problem behaviors depending on the level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Secondly, child’s problem behavior guiding strategies by the level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sitive prevention strategy Ⅰ, Ⅱ, and the positive reaction strategy. Finally, there were somewhat different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on of child’s problem behaviors and the problem behavior guid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teacher’s education planning for teacher’s guiding strategy about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

      • KCI등재

        유아교사의 성장ㆍ발달에 대한 인식

        허정무 교육종합연구원 2011 교육종합연구 Vol.9 No.1

        In this study, a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about growth and development as teacher were analyzed. 33 teachers. Recognition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a momentum of growth and development, a future forecasts and expectations for growth and development were classified and content analy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eacher recognition of the changes in response to early childhoods and to understand how to lead change in perspective is presented. Second, a momentum of growth and development as teachers was advise from seniors and colleagues, and a class teacher experience for an early childhood hard to deal with. Third, the first appointment teacher's future forecasts and expectations for growth and development to lead and respond to the early childhood is presented. However, a senior teachers are presented with a more comprehensive problem.

      • KCI등재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 보육신념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기철(Kim Ki Cheol),신애선(Shin Ae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 보육신념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 J시, G시, I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71곳에 재원중인 만 0, 1, 2세 영아교사 307명과 그들의 영아 307명이며,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 보육신념, 영아발달에 대한 평정척도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사효능감은 영아발달과 전체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보육신념은 부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영아발달 전체에 대한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 보육신념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의 수업전략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본 연구는 영아발달 증진을 위한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사효능감 및 보육신념의 관계를 밝히고, 영아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아 영아발달을 증진시키는 데 의미 있는 정보를 제시하여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infant-teacher s self-efficacy, teacher-efficacy, and child-care belief on infant development.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307 teachers for infants aged 0, 1, and 2, and their 307 infants of 71 day-care centers located in J, G, and I cities, Jeollabukdo. Rating scale for self-efficacy, teacher-efficacy, child-care belief, and infant development was utilized to infant teachers. Date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ant-teacher s self-efficacy and teacher-efficacy generall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fant development, while child-care belief did in part. Second, the results of the effects of infant-teacher s self-efficacy, teacher-efficacy, and child-care belief on infant development in general showed that the teaching strategy of teacher-efficacy had the greatest influence. The study can be said to be very suggestive, in that it revealed the connection of infant-teacher s self-efficacy, teacher-efficacy, and child-care belief with infant development and suggested effective and valuable information in improving infant development by finding out the factors affecting infant development.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전문성발달수준과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박은미(Park, Eun Mi),이석순(Lee, Seok S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전문성발달수준과 보육효능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보육교사들의 전문성발달 수준과 보육효능감의 일반적 경향과 개인변인, 근무환경 변인에 따른 전문성발달 수준과 보육효능감을 알아보고, 전문성 발달수준과 보육효능감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아 보육교사들의 전문성 발달과 보육효능감을 높이고 바람직한 전문 보육교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은 개인변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근무환경 변인으로 교사연수와 재교육여부, 월평균보수, 근무기관, 만족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은 개인변인으로 교사연령과 근무경력, 결혼여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나, 교사의 학력과 전공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은 근무환경 변인으로 근무시간과 월평균보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만 교사연수와 재교육, 근무기관, 만족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과 보육효능감간의 전체 상관관계는 매우 긍정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전문성의 발달수준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work is about to comprehend what is need for teacher in their activity researching teachers on care center in Gyunggi-Do. first of all, we check individual variables and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affecting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nd teacher's efficacy of care, then we calibrate correlation of 2 factors. Doing so, we willing support basic data to enhan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nd efficacy of care. As tool of check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we used modified scal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made by Yi Kyung Don(2010) that developed by Back Eun Ju, Jo Bu Gyeong(2004), for teacher's efficacy of care, we used scale by Hyun Jung Hwan(2003) We found there is nothing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Individual variables 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but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as teacher training, for retraining, monthly maintenance, type of work organization, satisfaction crate some meaningful difference. on teacher's efficacy of care, individual variables(marriage, period of working )affect more and less, but academic background, major department doesn't affect at all. On the other hand, teacher's efficacy of care is affected a little bit by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working time & income), but not affected by teacher training refresher, type of work organization, satisfaction. In conclusion, 2 factors are in very close correlation and highe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stimulates better teacher's efficacy of care.

      • 보육교사의 질적특성과 유아의 인지·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이기숙,박경자,김영옥 육아정책연구소 2007 육아정책연구 Vol.1 No.1

        This study explored whether quality of child care teacher's characteristics were related to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 of preschoolers. 281 4-year-old preschoolers and 11 teachers from 11 child care centers in 4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were recruited. Quality of child care centers as well as IQ, socioemotional problems from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 self-perception of competence and social interaction of the preschoolers were measured. In addition,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and teachers were observed during indoor free play. The quality of child care teacher's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teacher's education level, work experi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study showed that teacher's education level and positive/permissive teacher-child interaction rather than negative/sepatate teacher -child interaction had correlations with child's understanding level. Teacher's work experiences was correlated with child's power of thought in IQ. Specially positive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the important factor for preschooler's social development. The more teacher's positive interaction with child showed the less child's sensitivity and distraction and the quality of teacher interaction with child was related with child's self-perception of compet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 시설에서 보육교사의 질적 특성과 유아의 인지발달과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11개소에 재원하고 있는 만 4세 유아 281명과 담임교사 11명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행동과학연구소의 유아지능검사와 유아의 사회성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사회적 문제행동, 자아개념, 사회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보육 교사의 질적 특성은 어린이집 주교사의 학력, 경력, 교사-유아 상호작용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학력이 높고, 교사가 유아와 긍정적, 허용적으로 상호작용하고 비판적 상호작용과 분리된 상호작용을 적게 할수록 유아의 이해력이 높았다. 교사의 경력은 지능 지수의 하위 영역 중 사고력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교사의 질적 특성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에서 특히 교사와 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교사가 긍정적 상호작용을 많이 할수록 유아의 과민성과 주의산만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상호작용의 질은 유아의 자아개념과 상관이 있었다.

      • KCI등재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이석순(Lee, Seok Soon),박은미(Park, Eun Mi)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들을 대상으로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발달수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아보육교사들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발달 수준을 일반적 경향과 개인변인, 근무환경 변인에 따라 살펴보고,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아 바람직한 전문영아보육교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개인변인에서는 연령과 근무경력, 결혼여부, 교사선택계기, 교사직 만족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근무환경 변인에서는 근무기관 유형과 보수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은 개인변인에서 학력과 교사연수와 재교육, 교사선택계기, 교사직 만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문성 발달수준은 근무환경 변인으로 근무기관과 보수, 학급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만 근무시간과 학급연령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간의 전체 상관관계는 매우 긍정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성 인식이 높을수록 전문성의 발달수준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the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ccording to variables perceived. The data collected from 349 infant educare teachers in Gyunggi-Do. first of all, we check individual variables and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affecting their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then we calibrate correlation of 2 factors. Doing so, we willing support basic data to enhance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s tool of check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e used modified scale of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made by Kim YuJin(2003), Shin JangMi(2007), Wi SookHee(2008),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we used modified scal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made by Yi KyungDon(2010) that developed by Back EunJu, Jo BuGyeong(2004). We fou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individual variables as age, experiences, marital status, selected motivation of teacher, job satisfaction on infant educar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as working facilities, salary crate some meaningful differ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is significant difference caused by individual variables(academic background, teacher training, selected motivation of teacher, job satisfaction, marital status, experiences), and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working facilities, salary, number of classes). 2 factors are in very close correlation and higher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stimulates bette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 KCI등재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인식

        김규수(Kyu Soo Kim),박미정(Mi Jeong Park),백승선(Seung Seon Bae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시행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이러한 인식은 기관 유형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일반적 인식에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인지도가 사립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 교육능력개발평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공립유치원 교사들에 비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목적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의 질 향상 및 교육에 대한 신뢰 제고’,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진단 및 자기발전에 필요한 자료 제공’이라고 응답하여 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내용 중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에 대해서 기관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며, 평가지표 내용의 적절성에 대해 교사의 태도 외에 공·사립 유치원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지표 내용 중 ‘학습지도 영역’의 ‘교사의 태도’ 에서 기관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방법 중 적절한 평가자 및 평가제도의 운영방법에서 기관 유형별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결과 활용 중 평가결과 통보 방법, 우수교원에 대한 평가결과 연계방법, 맞춤형 연수에 대한 인식에서 기관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유치원 교원능력개발 평가의 기대효과에서도 기관 유형별로 인식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다섯째,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실시에 따른 어려움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평가자의 주관성 개입’,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업무 과중’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안에 대해 공립 유치원 교사들은 ‘평가체제 개선’, 사립 유치원 교사들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꾸준한 지원책 마련’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앞으로 전면 시행될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s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and also looks at how that awareness differs by types of agency.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f 241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than wer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However,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ware of the need for it. Second, the aim of these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differed by type of agency.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aw it as being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the enhancement of confidence in educatio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aw it as being “the diagnosis of teacher’s specialty and providing necessary data on teacher’s self-development.” Third, as for the evaluations`` contents, the teachers`` awareness of content composition and of wha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iffered significantly by type of agency. Regarding the propriety of content of the evaluation index, all the public/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it positively. In addition, regarding the method of kindergart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 the appropriateness of evaluators and the operational method of evaluation system were perceived differently by type of agency. Fourth, regarding the method of linking to proper evaluation results for excellent teachers, the method of notifying of evaluation results, the method of linking to evaluation results for excellent teachers and the perception of customized training were different by type of agency. In addition, the evaluations`` expected effect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type of agency. Fifth, as for the trouble of carrying out these evaluatio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noted “the intervention of evaluator’s subjectivity.”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noted the “teacher’s excessive workload.” As for how to improve these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ed “improving the evaluation system”, whereas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suggested “establishing a continuous support policy to increase teacher’s specialty.” The study``s findings seem to shed light on how to work out an improvement plan for the kindergart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evaluations, which after it is established, will be put into practic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