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근거한 기독교교육의 실천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종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3 기독교교육논총 Vol.- No.7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acticality of Christia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a rapidly changing world.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identify the concept, meaning, and direction of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has been studied and published around UNESCO since the early 1980s, and present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hristian education. This study chronologically selected five major reports published by UNESCO--"Our Common Future"(1987), "Agenda 21"(1992), "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2002), "Roadmap for Implementing the Global Action Programme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15-2019"(2014)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30"(2020)--and examined the concept and meaning of "Sustainable Development"(SD). At the same time, in relation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the occurrence, change,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were examined and presented. This study derived three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necessary to properly establish the next generation of faith, based on a leadership development strategy using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 sustainability of Christian education, the foundation of education based on the correct biblical interpretation of cultural mandate is first examined, and then the need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class design is proposed using various types of indicators and educational modules. Finally, specific practice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leadership to revitalize Christian education are presented through a multi-dimensional approach.

      • KCI등재

        아시아 국가의 지속가능발전 전략: 물-에너지-식량 안보 넥서스를 중심으로

        김진욱 ( Gene Uhc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1 유라시아연구 Vol.18 No.3

        세계적으로 지속되고 있는 위험스러운 기후 변화와 심각한 환경적인 질병에 직면하여 전 세계가 환경 문제를 더 크게 주목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많은 국가들은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2015년 UN 총회에서 회원국 모두는 ‘세계의 변화: 2030 지속가능한 발전 의제’를 채택하고, 지속가능발전목표를 2030년까지 이행하기로 합의하였다. 지속가능발전목표는 인간, 지구, 번영, 평화, 파트너십이라는 5개 영역에서 인류가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17개 목표(Goals)와 169개 세부 목표(Targets)로 제시한다. 세부목표는 성과 세부목표와 이행수단에 관한 세부목표로 구분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에너지-식량 안보에 관한 넥서스(Nexus)를 중심으로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목표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여 지속가능발전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지속가능발전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평가지수의 계산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평가지수는 일단 3단계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첫째, 물-에너지-식량 넥서스를 나타낼 수 있는 지표의 선택이다. 이는 2017년 UN에서 발표한 세부 목표별 지표(indicator)를 기준으로 자료 가용성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둘째, 여러 지표를 사용하는 경우 각 지표별 단위가 상이하므로 이를 표준화시킬 수 있는 산식의 선택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이전에 사용하던 인적개발지수(HDI)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모든 지표의 범위가 최대치 1과 최소치 0에서 분포된다. 특히 최대치와 최소치의 범위를 고려하여 각 값의 위치를 계측하면 0과 1 사이의 값을 도출할 수 있다. 셋째, 여러 지표를 동시에 고려하여 하나의 수치화하는 경우에는 각 세부지표별 가중치가 중요하다. 가장 바람직한 가중치는 일반 국민이나 전문가 집단에 대해 설문을 통해 부과하는 방법인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설문 결과가 부족하여 산술 평균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이 된 16개국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국가를 포함하여 개발도상국이다. 우선 UN을 비롯한 국제기구에서 제시한 지표를 중심으로 아시아 국가의 물-에너지-식량에 대한 세부 목표별 지수에 대한 현황을 제시한다. 이 현황을 중심으로 표준화 산식에 의거하여 세부 목표별 평가지수를 도출한 후 이를 산술평균하여 수자원 부문, 에너지 부문, 식량 부문으로 구분하여 각 부문별 평가지수(Water-EI, Energy-EI, Food-EI)를 계측한다. 이러한 각 부문별 평가지수를 근거로 종합적인 넥서스 평가지수(Nexus-EI)를 계측하여 국가별 순위를 부여한다. 수자원-에너지-식량 넥서스를 기준으로 가장 수준이 열악한 국가는 라오스로서 수자원 부문의 용수 효율과 식량 부문의 농산물 생산성 향상과 안정성 추구가 최우선 발전전략이었다. 몽골도 하위권 국가였는데, 에너지 부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시설 증설을 통한 소비 확보가 필요하고, 식량 부문에서는 영양실조를 개선하고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미얀마는 이 둘 국가보다는 종합평가에서는 약간 우수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세 부문 공통적으로 하위권에 속하였다. 특히 용수효율(수자원 부문), 전기접근성(에너지 부문), 빈혈 유병율(식량 부문) 등 여러 부문에서 동시 다발적인 발전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계측되었다. 캄보디아는 수자원 부문(식수서비스 제공, 야외배변) 개선이 최적 전략이었으며, 파키스탄은 여러 부문(수자원 부문의 용수효율, 에너지 부문의 전기접근성, 식량 부문의 빈혈 유병율)을 동시에 투자하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네팔은 수자원 부문(높은 용수효율과 수역범위 확대)의 투자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인 넥서스 평가지수는 중위권이었으나 국가에 따라서는 특정 부문이 열악한 수준으로 나타난 국가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중국은 신재생에너지, 부탄은 에너지 집약도에서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제한 때문에 세부 목표별 모든 지표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없었지만, 주어진 여건에서 여러 국가들의 발전전략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다만 부문별 평가지수를 계측하고, 종합적인 넥서스 평가지수를 도출하는 과정에 적절한 가중치가 없어 산술평균을 이용하였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으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설문결과를 근거로 가중치를 설정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a world undergoing dangerous climate change and other serious environmental ills, there is widespread understanding that worldwide environmental objectives need a higher profile. The member countries of the UN General Assembly in 2015 adopted the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t its heart are the 5 categories(people, planet, prosperity, peace, partnership), the 17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nd the associated 169 targets(outcome targets and means of implementation targets) and 232 indicators. This paper proposes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considering the status of three sectors’ Goals (Water-Energy-Food) in Asian developing countrie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will be obtained from the Evaluation Index(EI). The establishment of the Evaluation Index can be characterized in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selection of the indicators of Water sector (SDG-6), Energy sector(SDG-7) and Food sector(SDG-2) separately. The lists of targets and indicators for each of the 17 SDGs was published in a UN resolution in 2017. Considering the availability of data in Asian countries, the indicators have been selected. The second is characterized as formula for standardize all indicators. In this analysis, the old HDI method(before 2010) has been adopted to transform a raw variable(value) into a unit-free index between 0 and 1. The third stage will be the choice of weight for each indicator. Even though optimal weights would be obtained from the users’ survey as well as experts’ survey, arithmetic mean will be used in the analysis due to lack of survey data. This analysis considers recent status(values) of water-energy-food sectors in Asian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ASEAN) applying the indicators presen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UN. Water-EI, Energy-EI, Food-EI can be obtained separately by the formula which adopted the old HDI method from the indicators’ values of all countries. The Nexus-EI is calculated from the Water-EI, Energy-EI, Food-EI using the arithmetic mean and it determines the ranking of countries. According to the Nexus-EI, the least advantaged country has been Lao PDR whose best development strategies should be water efficiency in Water sector and crop production and food supply variability in food sector. Mongolia, second worst country in Asia, should adop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for increase the renewable energy consumption in energy sector, improve undernourishment and reduce food supply variability in food sector. Myanmar needs to adopt strategies to improve three sectors simultaneously, especially development strategies for higher water efficiency(water sector), higher electricity accessibility(energy sector), lower prevalence of anemia(food sector). Cambodia should focus on its water resources strategy(extended basic water drinking services, lower defecation). Pakistan government determines investment plan for higher water efficiency, easier access to electricity, lower prevalence of anemia simultaneously. Nepal’s best strategy would be water sector investment for improve the water efficiency and for protect and restore water-related ecosystems. In energy sector, China should increase percentage of renewable energy and Butane should invest the energy intensity level of primary energy. Even though all indicators could not be analysed in this paper,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ies of several countries are proposed using the 11 indicators. For the calculation of the Water-EI, Energy-EI, Food-EI and Nexus-EI, the optimal weights obtained from the survey of users and experts should be employed instead of simple weights(arithmetic mean) using in this paper.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의 개념과 법적 효력에 관한 검토

        황계영 한국환경법학회 2017 環境法 硏究 Vol.39 No.3

        Since the 1992 Rio Conference,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confirmed as a basic principle to guide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at the various international conferences. In 2015, UN adopte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including sectoral golas and concrete target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internationally. Regarding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definition presented by the 1987 report “Our Common Future”, “development … that it meets the needs of the present without compromising the ability of future generations to meet their own needs”, is generally accepted by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Though the concept is criticized that it is too comprehensive and vague to provide concrete policy guidance, it has important meaning in both international and national legal systems because it provides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development to consider the economy, environment and society together, departing from the old traditional, economic growth oriented paradigm of development. And, whether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strong or weak should be decided by the institutional system and specific means of international law and national law to realiz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ough there is no doubt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has a meaning as a goal or vision to pursue for international society and each government, regarding its legal effect in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law, there are some conflicting opinions. Considering the codification in the international law and related decisions, it can be argued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has normative effect, which provides strong guidance in the context of various policy decision making processes. But, to carry forwar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at the national level, the effort to work out a legal system to back it up and improve the existing laws should be accompanied by. 지속가능발전은 1992년 리우선언 이후 요하네스버그를 비롯한 수차례의 국제적인 회의에서 향후의 세계적인 발전을 인도할 기본원칙으로 확인되어 왔다. 2015년 UN은 국제사회가 지속가능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분야별 목표와 구체적인 추진과제들을 담은 지속가능 발전목표(SDGs)를 채택하였다.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에 대해서는, 국제환경법에서는 1987년에 발표한 보고서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에서 제시한, “미래 세대가 자신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발전”이라는 정의를 일반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지속가능발전은 지나치게 포괄적이고 모호한 개념이며 따라서 현실적으로 구체적인 정책의 지침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는 것도 사실이나, 과거 전통적인 경제성장 위주의 발전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경제와 환경, 사회의 영역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발전의 개념과 방법론을 제시하여 준다는 점에서 국제법뿐만 아니라 국내법 체계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이 강한 의미의 것으로 볼 것인지, 약한 의미의 것으로 볼 것인지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국제법 및 국내법적 제도와 구체적인 수단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지속가능발전이 국제사회와 각국 정부들이 추구해야 할 목표 또는 비전으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할 것이나, 이것이 국제법 또는 국내법에 있어서 법규범으로서의 효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견해의 대립이 있다. 오늘날 국제법규 상의 성문화와 관련 결정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지속가능발전은 적어도 다양한 정책적 의사결정의 맥락에 있어 실제 논의에 대한 강력한 지침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규범적인 효력을 가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속가능발전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해줄 법체계를 마련하고 기존의 법령들을 정비하는 노력이 수반되어야만 한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가정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소비생활 개선’을 주제로 한 체인지메이커 교육을 중심으로

        김남은 ( Kim Nam Eun ) 대한가정학회 202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ome economics educational programs on the theme of ‘improving consumer lif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a program to enhance the changemaker mindset for responsi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among the 17 goal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The program was developed 8 that to make solar cookers, make household goods from recycled materials, change maker-practice green life, eco-friendly journal 1, plastic warnings, design alternatives for disposable products, change maker-efforts and eco-friendly journal 2. The developed program was validated 3 times by a group of experts and students. This program has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the Home Economics Education(HEE) program under the theme of ‘Improving consumer lif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 carried out at the stage of change-maker education with project-based process. It can improve students’ collaboration skills, self-directed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Second, eight programs can increas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learners are interested in social issues. This program can raise learners who play an active role in solving social problems by increasing their interest and interest in the class, free from the form of passive classes. Third, the HEE programs under the theme of ‘Improving consumer lif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to students’ lives and encourage them to practice in their own lives. Fourth, since the program is well-suited to the present time and includes content elemen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t can induce changes in learners’ perceptions, attitudes and behaviors.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5~8 영역에 근거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성희,이상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rovement of competency and ESD effectiveness by developing a program for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ased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that were raised following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MDGs). To this end,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curriculum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12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SDGs 5~8 goals and developed a total of 12 program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vised program through expert review, 100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applied for 8 weeks with 8th classes with 4 subjects by applying a pre- and post-test single group experimental design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As a result of applying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core competency, SD general area, social area, environmental area, economic area, SDGs 5-8, basic understanding of SD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s, capacity building for environment, economy and social area, and changes in SDGs 5~8 goals. Therefore, it seems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curriculum linkage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or the spread of ESD in the school field. Based on this research, further study should be carried out to develop the programs related to 17 SDG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student level considering the school classes and the grade group so that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spread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본 연구는 밀레니엄 발전목표(MDGs) 후속으로 제기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역량 및 ESD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외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선행연구 및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SDGs 5~8과 관련한 주제로 총 12 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되었다. ESD에서 강조하고 있는 가치관, 태 도, 기술을 습득하고 문제해결능력을 키워줄 수 있도록 초등학교 5~6학년·중학교, 고등학교용 SDGs 5~8 영역을 주제로 수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교사용 PPT 자료, 학생활동지, 평가방법 및 내 용, 교사용 도움자료 등을 함께 개발하여 ESD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없는 교사들도 학교 수업에 즉시 적 용할 수 있도록 현장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그리고 개발한 ESD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 100명을 선정,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사전·사후 단일집단 실험설계 방법으로 4개 주제 를 가지고 8주 동안 8차시 수업을 적용하였다. 핵심역량, SD 일반영역, 사회적 영역, 환경적 영역, 경제적 영역, SDGs 5~8 영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SD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와, 환경· 경제·사회적 영역에 대한 역량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SDGs 5~8 목표 관련 태도 변화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또한 초등학교 2학급, 중학교 1학급, 고등학교 1학급을 대상으로 수업을 적용한 교사에게 수업을 하면서 부족한 점, 잘된 점을 기술하게 하였으며 학생들의 활동 모습을 관찰하고, 학생들 의 학습 결과물을 제출하도록 하였다. 회수된 적용 결과 보고서를 중심으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산출물 과 소감을 확인해본 결과, 대체로 만족스러워 하면서 SDGs에 대한 이해의 심화를 가져왔다고 하였다. 특 히 수업시간에 깊이 있게 다루지 않고 개념적으로만 알고 있었는데,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이 잘 인 지하였고, 교사들도 학생들이 새롭게 생각하고 다양한 산출물을 내는데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프로그램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등 정규교육과정 적용의 효율성과 효과성이 높 아 학교 현장 ESD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를 기초로 각 지역과 학교, 학생 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SDGs 연계 ESD 프로그램들이 SDGs 17개 영역별로 다양하고 지속 꾸준히 개 발되어 학교 교육 현장에서 ESD가 착근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13~17 목표에 근거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조영철 ( Jo Youngchul ),이상원 ( Lee Sangwo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연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학교교육 현장 적용 및 확산을 목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 선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국내외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선행연구 및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지속가능발전목표 13~17 목표와 관련한 주제로 가치관, 태도, 기술을 습득하고 문제해결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 5개씩 총 15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학생 10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사전·사후 단일집단 실험설계 방법으로 5개 주제를 가지고 8주 동안 10차시 수업을 적용하였다. 핵심역량, 지속가능발전교육 기본 영역, 지속가능발전목표 13~17 목표로 구성된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와 환경·경제·사회적 영역에 대한 역량이 향상되었고 지속가능발전목표s 13~17 목표 관련 태도 변화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학생들의 면담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수업에 만족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이해를 하였다고 의견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개발한 프로그램은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등 정규교육과정 적용의 효율성과 효과성이 높아 학교 현장 지속가능발전교육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연구를 기초로 각 지역과 학교, 학생의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지속가능발전목표 연계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들이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별로 다양하고 연계성 있게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학교 교육 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가 착근될 수 있도록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rovement of competency and ESD effectiveness by developing a program for systematic implementation of ESD connected with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that were raised following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MDGs). To this end,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curriculum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12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SDGs 13~17 goals and developed a total of 15 program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vised program through expert review, 105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ere applied for 8 weeks with 8th classes with 4 subjects by applying a pre- and post-test single group experimental design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As a result of applying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core competency, SD general area, social area, environmental area, economic area, SDGs 13~17, students' basic understanding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mpetency in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areas improv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change in attitudes related to the SDGs 13~17 Goals. Therefore, it seems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curriculum linkage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or the spread of ESD in the school field. Based on this research, further study should be carried out to develop the programs related to 17 SDG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student level considering the school classes and the grade group so that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spread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시발전 단계별 SDGs 우선순위 분석 연구

        양은진,김도년,서명원 사단법인 스마트도시건축학회 2021 사단법인 스마트도시건축학회 논문집 Vol.2 No.1

        The 17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consist of 169 targets launched in 2015 to provide inclusive, saf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cities and human settlements and make sure that no one is left behind. SDGs are new universal agendas that are integrated and indivisible and balanc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Due to unprecedented urbanization, cities are the hotspo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have been the centre of global issues including climate change, poverty, and inequality. To tackle these global challenges, an urgency to implement SDGs is recognized. Cities evolved to content public interest by satisfying public needs and wants, but each city has its own social, political, economical and environmental context which generally leads to a different level of development and hence the ability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refore, in this research, SDGs and urban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public interest are analyzed and SDGs that needs to be prioritized for each Urban Development stage are suggested. This research is divided into four parts, In step one,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public interest are stud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o provide the conceptual idea of public interest and identify the public interest of the current era. In the second step, SDGs' background and purpose are explained to identify key areas of each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In the third step, urban development history is studied and explained based on the public interest to provide four stages of urban development. The last stage of this research comprises a detailed interrelationship between SDGs and urban development stages. This paper provides guidelines for all countries at different stages of urban development when implementing SDGs by illustrating SDGs that must be prioritized at each stage of urban development. This research supports that cities developed to support the public interest and SDGs being the public interest of the current era, the universal guideline is developed to implement SDG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 KCI등재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관점에서 본 북한개발협력법제

        김대인(Daein Kim) 한국국가법학회 2022 국가법연구 Vol.18 No.4

        이 글에서는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중심으로 북한개발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법제적 과제를 살펴보았다. 2015년에 수립된 유엔의 SDGs는 경제, 사회, 환경 등 광범위한 어젠다를 아우르는 17개 목표와 169개 세부목표로 구성되어 있다. 북한은 2016년에는 유엔북한사무소와 공동으로 ‘유엔전략계획 2017-2021’를 수립하고, 2021년에는 ‘자발적 국가검토보고서’를 제출하는 등 이러한 SDGs에 대해서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유엔전략계획 2017-2021’에서는 기존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던 인권중심 접근법을 채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SDGs 중 북한이 ‘유엔전략계획 2017-2021’에서 우선순위를 부여한 ‘건강과 웰빙(SDG3)’ 및 ‘SDGs를 위한 파트너십(SDG17)’과 관련된 북한법제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건강과 웰빙(SDG3)’에 관한 북한법제로는 「인민보건법」과 「비상방역법」을, ‘SDGs를 위한 파트너십(SDG17)’에 관한 북한법제로는 「외국인투자법」, 「통계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북한법제를 보면 보건의료협력을 비롯한 비경제적 분야의 교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법제적 기반이 약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국제개발협력기본법」과 같이 국제개발협력 전반에 관한 법제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SDGs의 이행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데에 필수적인 것이 ‘통계’인데, 현재 북한의 「통계법」은 기밀성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최소한 SDGs에 대해서는 통계를 공개할 수 있도록 근거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유엔의 SDGs는 개도국과 선진국 모두에 적용되는 국제적인 규범이다. 즉, SDGs의 이행은 북한뿐만 아니라 한국도 노력해야 할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의 「지속가능발전 기본법」과 「국제개발협력기본법」 간의 연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국제개발협력기본법」과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간의 연계성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SDGs라는 국제규범을 이행하는 과정에서 남과 북이 각자의 법제개선을 위해서 노력하고 이와 관련한 교류를 활성화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평화통일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과정에서 남북교류협력법제와 국제개발협력법제를 통합적으로 보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analyzes the legal tasks to facilitate development cooperation in North Korea through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UN SDGs, established in 2015, is composed of 17 Goals and 169 Targets, and it includes comprehensive agenda such as economy, social, and environment. North Korea government, with the cooperation with UN branch of North Korea, established ‘UN Strategic Plan (2016-2021)’ in 2016, and furthermore published the ‘Voluntary National Review (VNR)’ in 2021. In particular, it is noticeable that ‘UN Strategic Plan (2016-2021)’ adopted the ‘human rights-oriented approach’ to which North Korea was negative in the past. This paper deals with North Korean Law in relation to “health and wellbeing (SDG3)” and “partnership for SDGs (SDG17)”, which is prioritized by North Korea Government in ‘UN Strategic Plan (2016-2021).’ In relation to “health and wellbeing (SDG3)”, 「Act on People’s Health」 & 「Emergency Quarantine Act」 in North Korea is analyzed. In relation to “partnership for SDGs (SDG17)”, 「Foreign Investment Act」 & 「Statistics Act」 is dealt with. When we review the above SDGs related Acts in North Korea, we can find lack of legal ground which can facilitate non-economic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North Korea. To address this issue, it is necessary for North Korea to adopt law which covers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comprehensively. North Korean 「Statistics Act」 stipulates that confidentiality in statistics is the norm, hence this Act hampers the use of statistics which is indispensable in monitoring SDGs implementation. To facilitate SDG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legal ground for opening the SDGs’ related statistics. UN SDGs is a international norm which applies both developing & developed countries. Therefore, UN SDGs implementation is a task not only to North but also to South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mework Act on Sustainable Development Act」 &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Framework Act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 「Inter-Korean Exchange & Cooperation Act」. In SDGs’ implementation, South & North Korea should make effort to improve each law and strengthen the cooperation in relation to this law. It will be meaningful to lay the foundation for peaceful unification of South & North Korea. In this process, we should see 1) South-North Korea cooperation law and 2)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law comprehensively.

      • Transformation of Industrial Parks in the Direction of Providing of the Purposes Achieve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Melnychenko, Anatolii,Shevchuk, Nataliia,Babiy, Irina,Blyznyuk, Tetyana,Akimova, Olena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Network S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and netw Vol.22 No.1

        The presented research is devoted to the problems of achieving the goals of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parks and their transformation into eco-industrial parks. The importance of the functioning of industrial parks and their transformation into eco-industrial ones in the direction of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s substantiated.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parks and their transformation through the coordination of dynamic development process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 due to the peculiarities of their functioning aimed at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ensure the achievement of sustainable spatial development. Transformation of industrial parks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tax revenues of local budgets, increasing employment in the regions, raising public awareness of the need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efficient production, increasing the balance and harmony of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development, modernization of territorial communities and regional enterprises resources and increase entrepreneurial initiative, rational use of available resources, intensifica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cluding innovation. The authors' scientific achievements are the substantiation of the principles of functioning of industrial park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are based on a systematic approach and provide for the transformation into eco-industrial parks.

      • KCI등재

        中国的国际开发合作特性研究 -以可持续发展目标为中心-

        윤진,이권호 한중사회과학학회 2022 한중사회과학연구 Vol.20 No.3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hin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fter the SDGs are put forward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inciples and strategies. That is, under the framework of the eight principles of Chin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rough the “five links” policy of South-South cooperation and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China, as an emerging donor country, is actively connecting with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striving to achieve the SDGs goals. After more than 70 years, Chin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has continued to develop according to changes in its own economy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Although China is not an OECD DAC country, the nature of it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OECD DAC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s international cooperative development principles, it has similarities with the OECD DAC country principles and is worth learning from. In today’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t is necessary for OECD DAC countries and emerging donor countries to work together to realize the SDGs. Since the UN SDGs were proposed in 2015, China has responded positively and issued a series of policy documents. China’s South-South cooperation and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re consistent with the concepts, goals and priorities of the SDGs, and the mutual connection will help Chin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be better carried out. The “five links” policy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has a high degree of overlap with the SDGs goals. The successful docking of the two is of great significance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the SDGs, strengthen the means of implementation, and revive the global partnership for sustainable development. 本文从中国的国际开发合作原则、策略方面分析SDGs提出后的中国的国际开发合作特 性。即在中国国际开发合作八原则的框架下, 通过南南合作与一带一路倡议的 “五通”政策, 作为新兴援助国的中国正在积极与联合国的可持续发展目标所对接, 努力实现SDGs目标。 中国的国际开发合作历经70余年, 根据自身经济和国际环境的变化不断发展。虽然中国不 是OECD DAC国家, 但其国际开发合作的本质与OECD DAC国家并无太大差别。从中国的国 际合作开发原则上看, 与OECD DAC国家原则有共同点也有值得借鉴之处。在当今国际开发 合作事业中, 需要OECD DAC国家和新兴援助国携手合作才能共同实现SDGs。 自2015年联合国SDGs提出后, 中国积极响应, 并出台了一系列的政策文件。中国的南南合 作和一带一路倡议与SDGs的理念、目标、重点相一致, 相互对接有助于中国的国际开发合作 更好的进行。而一带一路倡议的 “五通”政策更是与SDGs目标有着高度的重合。两者的成功 对接对实现SDGs的最终目标加强执行手段、重振可持续发展全球伙伴关系具有重要意义。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