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쓰기 교육에서 상위인지 조정 전략의 지도 방법

        가은아 ( Eun A Ka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11 청람어문교육 Vol.44 No.-

        이 연구는 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상위인지 조정이 중요한 역할을 하나 현장에서 상위인지 조정 전략에 대한 지도가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쓰기에 관여하는 상위인지 조정의 역할을 밝히고 상위인지 조정 전략의 지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상위인지는 인지를 계획하고 점검하고 조절하는 메타 인지적 활동으로, 상위인지 지식과 상위인지 조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상위인지 점검과 상위인지 조절로 구성되어 있는 상위인지 조정이 쓰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위인지 조정은 역동적인 의미 구성을 가능하게 하며, 자기 주도적 쓰기를 유도하고, 쓰기 효능감 및 쓰기 동기 신장에 기여한다. 이 논문에서는 상위인지 조정 전략을 지도하기 위해 상위인지 조정의 구성 요인인 자기 점검과 자기 조절에 따른 지도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배경 지식 개발하기, 토의하기, 시범보이기, 기억하기, 지원하기, 독립적으로 수행하기의 각 단계에 따른 지도 방법도 제시하였다. 상위인지 조정 전략을 가르칠 때에는 학생의 주도적 역할을 강조하고, 인지 전략과 통합적으로 지도해야 하며, 실제적인 쓰기 수행을 통해 체득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들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role of meta-cognitive regulation about writing and suggest teaching methods for strategies for meta-cognitive regulation. Metacognition is the activity to plan, monitor and control cognition. It is composed of meta-cognitive knowledge and regulation. Meta-cognitive regulation plays the major role in writing. Specifically, meta-cognitive regulation make it possible for dynamic semantic construction. It also attracts student`s self-directed writing and contributes to the writing motivation improvement. This paper suggests the teaching method as the element of metacognitive regulation. It is composed of self-monitor and self-control. And it suggests the teaching method for Strategies for meta-cognitive regulation as a phased program. It is necessary for teaching strategies for meta-cognitive regulation to emphasize leading role for student, and be integrated with cognitive strategies, and be realized through the practical writing. The individual difference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온라인 사전학습을 적용한 공학 실험 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 능력 개선 사례 연구

        강문상 한국공학교육학회 2015 공학교육연구 Vol.18 No.5

        In the on-line pre-learning which is applied in this study, on line pre-learning, in-class, post-learning are circulated together in the same experiments. The on-line pre-learning has been tried to 136 students in A junior college in Seoul for 3 years. The effects of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increased by 0.42 point. The point after the self-regulated learning and before it is 3.24 and 3.66 respectively. Second, cognitive regulation, motivational regulation and behavioral regulation have also increased. Out of them, cognitive control has increased the most. Metacognitive strategy is higher than cognitive strategy. In conclu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on-line pre-learning is helpful to develop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it is also suitable to teaching-learning method for junior college.

      • KCI등재

        독해 부진 고등학생의 자기조절 읽기 전략 사용 양상

        오유리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문교육 Vol.27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reading strategies based on reading levels and analyzed how self-regulated reading strategies are us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readers who are struggling with reading. A total of 215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mong them, three students with insufficient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were focus interviewed. The resul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regulated reading strategies among 'higher, mid, and lower' reading levels. In particular, for self-effica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the 'higher, mid, and lower' groups. In addition,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rehearsal and elaboration’,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between the 'higher' and 'lower' groups mainly. The interview revealed that the students struggling with reading comprehension had very low self-efficacy and tended to avoid difficult reading tasks. Nevertheless, they showed strong motivation when it comes to understanding difficult content with topics that interested them. In addition, through the interview,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udent, such as the type of readers who refused to understand anything as they were not self-motivated and the type of readers who could not reach reading goals due to lack of meta-cognition or agency strategies could be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obtain the implications of the instruction for self-regulated reading strategy and research plan. 본 연구는 독해 수준에 따른 자기조절 읽기 전략의 차이를 살피고, 독해 부진 독자를 심층 인터뷰함으로써 이들의 자기조절 읽기 전략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는 남녀 고등학생 총 215명이 참여하였으며 독해 부진 학생 3명을 대상으로 초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독해 수준 ‘상․중․하’ 집단 간에 유의미한 자기조절 읽기 전략의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자기 효능감의 경우 ‘상․중․하’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 외에 시연 및 정교화, 메타인지 전략은 주로 ‘상’ 집단과 ‘하’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초점 학생 인터뷰 결과 독해 부진 학생들은 자기 효능감이 매우 낮았으며, 어려운 읽기 과제는 회피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에게 흥미 있거나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서는 어려운 내용도 이해하고자 하는 강한 동기를 드러내었다는 점은 특징적인 부분이었다. 또한 메타인지 전략을 사용함에 있어 동기가 부여되지 않아 어떠한 내용도 이해하려하지 않는 독자 유형, 메타인지 전략이 부재하거나 수행 전략이 부족하여 이해에 목표에 도달하지 못하는 독자 유형 등 부진 학생 개인별로 특징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독해 부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조절 읽기 전략의 지도와 연구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상위인지 읽기 전략의 국어 교과서 수용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백혜선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문교육 Vol.24 No.-

        이 연구는 국어 교과서가 상위인지 읽기 전략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중학교 3학년 14종 검정 교과서 중 관련 성취기준을 반영한 대단원 혹은 소단원을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교과서를 개방 코딩 후, 분석 기준별로 14종의 교과서를 횡적 교차 분석하여 특징과 문제점을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상위인지 읽기 전략 지도에서 중요한 읽기 목적을 설정하기 위해 메타 텍스트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교과서에 제시된 설명 텍스트가 읽기 과정에 따른 읽기 전략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상위인지 읽기 전략의 가장 중요한 읽기 점검과 조절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였다. 상위인지 읽기 전략을 연습하기 위한 자료 텍스트 유형을 다양화하고 읽기 과정에 대한 점검과 조정을 학습할 수 있는 활동 텍스트가 필요하다. 상위인지 읽기 전략을 가르치기 위해 효과적인 상위인지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 내용과 학습활동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seeks to examine how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are reflec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o this end, this study has analyzed the major or minor units reflec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authorized textbooks for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textbooks were open-coded based on analysis criteria, and 14 types of textbooks were horizontally cross-tabulated, followed by categorization of their characteristics and issues. As a result, it has been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utilize meta - text to set important reading purpose for teaching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The explanatory text presented in the textbooks focused on the reading strategy according to the reading process. There is a need for an activity text with which the reading process can be monitored and regulated and diversifying data text for practicing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is needed as well. To teach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there must be research on effective metacogni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hich should be followed by a comprehensive construction of textbook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후보

        하이퍼텍스트 학습환경에서 학습전략, 메타인지, 작동기억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오선아,진화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하이퍼텍스트 학습환경에서 학습전략과 메타인지, 작동기억이 청취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이들 중 어떤 변인이 성취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지 검토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92명을 텍스트 전략집단, 하이퍼텍스트 전략집단 등 두 개의 실험집단과 각각의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피험자의 인지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텍스트를 핵심내용으로 제시하는 학습전략을 사용하고, 비교집단에는 학습전략을 사용하지 않았다. 실험결과, 텍스트 전략집단과 하이퍼텍스트 전략집단의 성취도는 예상했던 대로 각각 비교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인지 수준에 따른 성취도는 메타인지적 규제 상위집단의 성취도가 하위집단보다 높았으나, 메타인지적 지식 수준에 따른 성취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작동기억 수준에 따른 성취도는 중앙집행장치 용량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높았으나, 언어적 작동기억, 시·공간적 작동기억 용량 상위집단의 성취도는 기대와는 달리 하위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습전략, 메타인지, 작동기억 중에서는 메타인지적 규제와 작동기억의 중앙집행장치가 하이퍼텍스트 학습 성취도를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의로 밝혀졌다. 이 연구결과는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은 메타인지와 작동기억을 고려해서 외적 인지부하를 줄여 정합성을 높여야 하며, 적절한 스키마 형성 인지부하를 증가시켜 주는 교수설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ing strategies, mtaccgnitim, warkng rzlemcny on achievement in the hypertext leaming enviromt and also to review what the m t influential variables is in the hyptext learning. The subjects were 92 sixth @;I-c.rders. They were assigned to either experimtntal groups (text-strategy group, hypertext-strategy group) and control groups (text-strategy control group, hypertext-strategy control group). The expehmtal groups performed a learning strategy to recluce cognitive load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s did not make use of a learning strateg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expected, the experimental groups significantly outformed the control groups. The high metacognitive regulation group achieved hgk scores than its low counteppart. However, there appeared to be no significant diffemms on the level of mtaccgnitive knowledge. As the level of workmg memory span, the central executive span affected achievemnt. However, the phonological loop and visuo-spatial working mmemory span didn't significantly affect achievement. The results of study demostrate that metacognitive regulation and centml executive are influential variables that can be used to help achievement in hyperkxt The finrhngs suggest that metacognition and workmg m e memor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hypatext instrudional design in order to reduce exhnmus cognitive load and haease germane cognitive load

      • KCI등재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분석 -자기 조절 학습 전략의 관점에서-

        이경윤 ( Kyung Yoon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2

        본 연구는 자기 조절 학습의 측면에서 사회과 디지털교과서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 연구를 통해 기존의 웹기반 학습에서 자기 조절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어떤 전략들을 사용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자기 조절 학습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전략들의 타당성을 확보한 후, 분석 준거를 마련하였다. 이를 토대로 현재 구현되어 있는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 전략의 Rehearsal tools와 Elaboration tools는 비교적 잘 구현되어 있었지만 Organization tools는 보완이 필요하였다. 둘째, 메타 인지 전략의 Assessment tools는 단원평가, 형성평가의 형태로 나타났지만 Goal setting tools와 Reflection tools는 구현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동기 전략의 Help seeking tools는 형식적인 도움을 제공하는데 그쳤고, Feedback tools는 지나치게 단편적이고 일률적인 피드백만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Communication tools 역시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가 추후 자기 조절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의 개선에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 from self-regulated learning point of view. I reviewed the theory about self-regulated learning and identified thre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 suggest 9 tools which can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in social digital textbook. My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rehearsal tools and elaboration tools were implemented whereas organization tools were not. Second, assessment tools were implemented but goal setting tools and reflection tools were not. Third, help seeking tools, feedback tools and communication tools were implemented but these tools did not actually stimulate learning motivation. I hope that these results could contribute for designing social digital textbook which supports self-regulated learning.

      • KCI등재

        학술적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상위인지 전략

        김남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3

        In this paper a proposal for “self-read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academic writing is suggested. There are more important hierarchical strategies involved in strategies for meta-cognitive regulation, and a plan to improve the quality level of the academic thinking by utilizing them intensively is proposed. In order to discover the upper level strategies in strategies for meta- cognitive regulation, we analyzed the purpose of the teaching professor, the type of the class, and the purpose of the subject in the text data and the interview. We found the importance of the strategy involved in “the depth and breadth of the theme” and “the systematic nature of the structure.” In addition, we observed the actual student sentences produced in the university class. There is a hierarchy strategies for meta-cognitive regulation involved in writing process, and it is necessary for the learners to actively use the strategies placed in the upper level, and to be able to secure the major literacy. Second, the purpose of the revision is to embody the meaning of acquire an meta-cognitive regulation that can generate better works.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the strategies for meta-cognitive through “self reading” is the process of improve the quality level of the major literacy. 이 논문의 목적은 학술적글쓰기의 질적 개선을 위한 자기글 읽기에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화하면 글쓰기에 관여하는 상위인지조정 전략들 중에는 보다 중요한 위계의 전략이 있으며 이를 집중 활용함으로써 사고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상위인지조정 전략들 중 높은 위계에 놓인 것을 발견하기 위하여 담당 교수의 수업 목적과 수업 유형, 과제 목적을 텍스트 자료 및 인터뷰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주제의 깊이, 넓이’, ‘구조의 체계성’에 관여하는 전략의 중요성을 발견하였다. 또 대학 수업에서 생산된 실제 학생글을 대상으로 높은 위계의 상위인지조정 전략이 어떤 방식의 질적 개선을 이끌 수 있는지를 구체화하였다. 이 논의가 기존 논의와 차별되는 지점은 두 가지다. 첫째, 글쓰기 생산에 관여하는 상위인지 전략들 사이의 위계가 존재하며 학습자들이 상위 위계에 놓인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전공 문식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현장의 자료로 이끌어 냈다는 점이다. 둘째는 수정의 목적이 대상 글 자체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아니라 보다 훌륭한 글을 생산할 수 있는 사고 전략을 익히는 데 있다는 말의 의미를 구체화하였다는 점이다. 글을 생산하고 토론하고 수정하는 과정 내내 지속되는 ‘자기글 읽기’를 통해 높은 위계의 상위인지조정 전략을 내재화하는 과정이 전공 문식성의 수준을 높이는 과정인 것이다.

      • KCI등재

        The Effects of Digital Textbooks on College EFL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유지연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17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20 No.4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digital English textbooks on college EFL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To this end, 27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recruited to undertake an intensive English program.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regulated learning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digital textbooks, while the control group used print-based textbooks in English class. The students underwent eight different treatments based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pproach. The study found that compared to the pre-intervention phase, both student groups—those who used the digital textbooks and those who used the paper textbooks— demonstrated increase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use. This result confirms that when a self-regulated learning approach is applied to learning English, it helps to improve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Furthermore, the study found an improvement in metacognitive strategy use in both groups, unlike the other two strategy types (cognitive strategies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Last, regarding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the digital textbook group showed a change in the monitoring activities, while the paper textbook group demonstrated a change in the planning and regulating activities.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 in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textbooks, especially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The Effects of Digital Textbooks on College EFL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 Jiyeon Ryu )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17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Learning Vol.20 No.4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digital English textbooks on college EFL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To this end, 27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recruited to undertake an intensive English program.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regulated learning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digital textbooks, while the control group used print-based textbooks in English class. The students underwent eight different treatments based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pproach. The study found that compared to the pre-intervention phase, both student groups―those who used the digital textbooks and those who used the paper textbooks― demonstrated increase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use. This result confirms that when a self-regulated learning approach is applied to learning English, it helps to improve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Furthermore, the study found an improvement in metacognitive strategy use in both groups, unlike the other two strategy types (cognitive strategies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Last, regarding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the digital textbook group showed a change in the monitoring activities, while the paper textbook group demonstrated a change in the planning and regulating activities.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 in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textbooks, especially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듣기 전략 효과에 대한 연구

        장민정(MinJung J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에서는 제2언어 듣기의 성공적 요인 중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는 전략 사용이 학문 목적 듣기상황에서도 유의미하게 나타나는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에 제2언어 듣기 선행 연구에서 효과가 있다고 밝혀진 강의 수강 전의 한국어 듣기 능력, 메타인지 전략, 자기조절학습 능력, 하향식 전략 사용, 상향식 전략 사용 등이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메타인지 전략, 하향식 전략은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나, 자기조절학습 능력과 상향식 전략을 상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덜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trategy use, which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second language listening success, is also significant in academic listening. Therefor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how Korean listening ability, metacognitive strategie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use of top-down strategies, and use of bottom-up strategies, which have been found to be effective in previous research on second language listening, affec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The results showed that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top-down strategies had significant effects, bu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bottom-up strategies had relatively less significant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