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얼굴 모양 맞춤 가설과 신체적 매력 맞춤 가설

        안신호,김준영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1

        Attractiveness similarity ratings and shape similarity ratings for the faces of actual and of random couples (produced from wedding pictures of Koreans) were analyzed. Both attractiveness similarity and shape similarity of actual coup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random couples. Differences in the attractiveness similarity between actual and random couples based on attractiveness ratings on single faces were not significant but the result patterns were consistent with Attractiveness Matching hypothesis. Differences in the shape similarity between actual and random couples based on categorization of single faces into one of seven categories (circle, oval,square, rectangle, diamond, triangle, and inverted triangle) were not significant, but the result patterns were also consistent with the Matching Principl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partial support for Similarity-Attraction or Assortative Mating hypothesis, especially for Mere-Exposure Effect explanation (Hinsz, 1989) or Imprinting explanation rather than Zajonc et al's (1987) Emotional Efference explanation. 신혼부부의 사진 20개로 제작한 실제 커플 얼굴 사진 20개와 무선 커플 얼굴 사진 20개를 제시하고 얼굴의 매력 유사성과 얼굴의 모양(형) 유사성을 평정받았다. 매력 유사성과 모양 유사성 모두 실제 커플에서 무선 커플보다 높았다. 실제 커플의 매력 유사성의 검증은 이미 사회심리학에서 확립된 것으로 볼 수 있는 이론의 재검증이지만 서양인보다 얼굴 특징 요소가 풍부하지 않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얼굴 사진도 유사성 연구에 재료로 사용가능함을 확인한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신혼부부 사진을 재료로 한 실험에서의 얼굴 모양 유사성 검증은 얼굴 모양의 유사성에 따른 동류 짝 결정(Assortative Mating) 혹은 “맞춤원리(Matching Priniple)”의 네 가지 이론들(Zajonc의 정서 원심성 이론, 단순노출 효과 이론, 각인이론, Bateson의 Optimal outbreeding 이론) 중 단순노출 효과와 각인이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커플의 매력 유사성과 모양 유사성을 커플 사진 판단 이외의 방법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두 실험이 추가로 시도되었다. 얼굴 사진을 하나씩 제시하고 매력 정도를 평정케 하여 그 자료에 기초한 실제 커플과 무선 커플의 매력 유사성을 비교한 분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예언과 일치하는 방향의 결과 양상을 보였다. 얼굴 사진을 하나씩 제시하고 각 얼굴이 일곱 범주(정사각형, 직사각형, 원, 타원, 다이아몬드 형, 삼각형, 역삼각형)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를 고르게 한 자료로부터 두 가지 얼굴 유사성 지표를 산출하여 실제 커플과 무선 커플을 비교한 결과 역시 통계적 유의수준에는 달하지 못하였지만 예언과 일치하는 방향의 결과 양상을 보였다. 각 이론을 검증하기 위한 후속 연구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삼각형의 닮음 조건에 기반한 특징점 정합

        박진욱(Jin Wook Park),김용탁(Yong Tak Kim),신도경(Do Kyung Shin),이종민(Jong Min Lee),박기태(Ki Tae Park),문영식(Young Shik Mo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0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8 No.12

        When feature points are matched in image processing, mismatches of the feature points may be caused by an error of feature descriptor. Thu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rue matched pairs from whole matched pai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atching method of feature points based on the condition of triangle similarity. To this end, the proposed method first utilizes the harris corner detector for detecting feature points and utilizes the zernike moment for describing the detected feature points. After calculating similarities of the described feature points, the described feature points are sorted in descending order of the similarity. Then, in order to effectively detect true matching pairs, the feature points with top three similarity out of the matching points are initially utilized. By using the three matched pairs, the proposed method makes two triangles composed of the three feature points as vectors. Accordingly, true matching pairs are distinguished by using the condition of triangle similarity of three feature points which iteratively selected in descending order of the similarity of feature point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calculate a precision, a recall and an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and an existing method. As experimental results,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is improved by 22%,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

      • KCI등재

        HummingBird: 향상된 스케일드앤워프트 매칭을 이용한 유사 음악 검색 시스템

        이혜환(Hyehwan Lee),심규석(Kyuseok Shim),박형민(Hyoungmin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34 No.5

        Database community focuses on the similar music retrieval systems for music database when a humming query is given. One of the approaches is converting the midi data to time series, building their indices and performing the similarity search on them. Queries based on humming can be transformed to time series by using the known pitch detection algorithms. The recently suggested algorithm, scaled and warped matching, is based on dynamic time warping and uniform scaling. This paper proposes Humming BIRD(Humming Based sImilaR miDi music retrieval system) using sliding window and center-aligned scaled and warped matching. Center-aligned scaled and warped matching is a mixed distance measure of center-aligned uniform scaling and time warping. The newly proposed measure gives tighter lower bound than previous ones which results in reduced search space.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e superiority of this algorithm comparing the pruning power while it returns the same results. 허밍을 통한 유사 검색 질의가 주어질 때 효과적으로 음악 데이타베이스를 검색하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음악 데이타베이스와 허밍 질의를 시계열 데이타로 변환하여 시계열 데이타의 유사 검색과 관련하여 제안되어 왔던 여러 가지 거리 척도(distance measure)나 인덱싱 기법등을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질의를 처리하려는 시도가 계속 되고 있다. 허밍 질의의 특성을 고려하여 균일 스케일링(Uniform Scaling)과 동적 프로그래밍을 사용한 타임 워핑(Dynamic Time Warping)을 함께 고려한 스케일드 앤 워프트 매칭(Scaled and Warped Matching) 거리를 사용하여 효과적인 유사 검색을 하는 방법은 가장 최근 제시된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허밍을 통한 유사 검색 시스템인 Humming BIRD(Humming Based sImilaR miDi music retrieval system)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슬라이딩 윈도우를 사용하여 음악의 임의의 부분에 대한 허밍 질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해 이전의 균일 스케일링을 변형하여 중심을 일치시킨(center-aligned) 균일 스케일링을 제안하고 이와 타임 워핑을 결합한 형태의 스케일드 앤워프트 매칭을 제안하였다. 이 거리의 좀 더 타이트한 하한을 계산하는 하계 함수를 사용하여 탐색 공간(search space)을 효과적으로 줄여 더 빠르고 효과적인 유사 검색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개선된 스케일드 앤 워프트 매칭이 이전에 비해 같은 검색 결과를 얻으면서도 효과적으로 검색함을 탐색 공간을 줄이는 가지치기 성능을 비교함으로써 보였다.

      • KCI우수등재

        집합 기반 유사 시퀀스 매칭의 성능 향상을 위한 최적화 방법

        임효상,이주원 한국정보과학회 2018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5 No.4

        The set-based similar sequence matching method involves searching for data set sequences that are similar to a query set sequence. In the method, the similarity between two sets is represented as the size of intersection between them. However, there is a critical performances issue for calculating intersection size if the number of sets is large. In the past, authors of the present work proposed a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et-based similar sequence matching using simple index structu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ptimization method for more efficient running of set-based similar sequence matching. Our method is based on pruning that excludes unnecessary calculation. Through experiments, we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reduces the execution time by about 20%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집합 유사 시퀀스 매칭 방법은 교집합 기반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질의 집합 시퀀스와 유사한 데이터 집합 시퀀스를 찾는다. 그러나 수많은 집합 간의 교집합 크기를 계산하는데 수행 시간이 오래 걸리는 성능상의 문제가 있다. 본 논문의 저자들은 간단한 집합 인덱스 구조를 사용한 성능 향상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본 논문은 불필요한 연산을 제외하는 프루닝(pruning) 기반 최적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기존 방법보다 효율적으로 집합 기반 유사 시퀀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성능 평가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 방법에 비해 약 20% 정도의 수행 시간 감소가 있음을 보인다.

      • KCI등재

        Scene Mapping-based Video Registration Using Frame Similarity Measurement and Feature Tracking

        Yeonseung Choo,Jinbeum Jang,Joonki Paik 대한전자공학회 2019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 Computing Vol.8 No.6

        Video registration is a technique that obtains pairs of frames showing the same scene to synchronize two videos. This paper presents a video registration algorithm based on scene mapping using frame similarity measurement and feature point tracking.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four steps: i) frame-to-frame matching based on similarity measurement to set the start frame, ii) feature tracking using feature points of the start frame to obtain a candidate matching scene, iii) end-frame matching for scene mapping, and iv) synchronization of two videos using a linear equation. In the proposed algorithm, frame-to-frame matching is performed using traditional feature detection and matching. Additionally, the proposed algorithm measures the similarity between frames to register videos with the most similar structural information. Feature point tracking is performed to track and collect similar structures in a candidate scene. We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synchronize frames from registered videos for some experiments. Therefore,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applied to various areas.

      • 시계열 매칭 기반의 윤곽선 이미지 매칭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범수,문양세,김진호 강원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08 정보통신논문지 Vol.12 No.-

        In this paper we exploit time-series matching for boundary image matching. The motivation is based on that images can be converted to time-series. Thus, we implement a boundary image matching system using time-series matching techniques. We use an index-based matching method that efficiently performs boundary image matching. We implement our boundary matching system as a client-server model.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index-based method outperforms the sequential scan by one to three orders of magnitude. Our system is practically implemented for image matching through the appropriate techniques in the time-series domain, and we thus believe that our approach can be widely used in image matching areas.

      • Genetic Stereo Matching Algorithm with Locally Adaptive Chromosomes

        Han, Kyu-Phil,Lee, Ky-Soo 金烏工科大學校 2000 論文集 Vol.21 No.-

        A new stereo matching scheme using a genetic algorithm is presented to improve the depth reconstruction method of stereo vision systems. Genetic algorithms are efficient search methods based on principles of population genetics, i.e. mating, chromosome crossover, gene mutation, and natural selection. The proposed approach considers the matching environment as an optimization problem and finds the optimal solution by using an evolutionary strategy. Accordingly, genetic operators are adapted for the circumstances of stereo matching: 1) an individual is a disparity set. 2) a chromosome has a 2D structure for handling image signals efficiently, and 3) a fitness function is composed of certain constraints which are commonly used in stereo matching. Since the fitness function consists of intensity similarity and disparity smoothness, the matching and relaxation processes ar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in each generation. In order to acquire a disparity map consistent with the image appearance, a region of the input image, divided by zero-crossing points, is extracted and used in the determination of the chromosome shape. As a result, all chromosomes contain the external image form, and the disparity output coincides with the input image without any modification of the matching algorithm. In addition, an informed gene generation based on intensity difference is applied to reduce the searching space of the genetic operations.

      • KCI등재

        의미적 유사성의 효과적 탐지를 위한 데이터 전처리 연구

        강하리(Hari Kang),정두원(Doowon Jeong),이상진(Sangjin Lee) 한국정보보호학회 2015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5 No.3

        디지털 포렌식 분야가 직면한 과제 중 하나는 대량의 데이터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처리할 것인가이다. 디지털 객체간의 유사성을 빠르게 식별하기 위해 신뢰성 있는 다양한 근사 매칭 알고리즘이 계속하여 제시되어왔다. 하지만 알고리즘만으로 문자열의 의미적 유사성을 식별하면 많은 오탐을 보여 오히려 그 실효성을 끌어내리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사 매칭 대상의 전처리 과정을 추가하여, 알고리즘 자체의 신뢰성은 유지하면서 유사도 탐지 정확성을 더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적 유사성을 식별하고자 eml과 hwp 세트를 가지고 sdhash로 실험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한다. One of the challenges of the digital forensics is how to handle certain amounts of data efficiently. Although reliable and various approximate matching algorithms have been presented to quickly identify similarities between digital objects, its practical effectiveness to identify the semantic similarity is low because of frequent false positives. To solve this problem, we suggest adding a pre-processing of the approximate matching target dataset to increase matching accuracy while maintaining the reliability of the approximate matching algorith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we experimented with two datasets of eml and hwp using sdhash in order to identify the semantic similarity.

      • Location Template Matching (LTM) 방법에 사용되는 유사성 척도들의 비교 연구

        신기홍(Kihong Shin)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 한국소음진동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4

        The location template matching (LTM) method is a technique of identifying an impact location on a structure, and requires a certain measure of similarity between two time signals. In general,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widely used as the measure of similarity, while the group delay based method is recently propo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impact localization. Another possible measure is the frequency response assurance criterion (FRAC), though this has not been applied yet. In this paper, these three different measures of similarity are examined comparatively by using experimental data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these measures of similarity. The comparative study shows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FRAC give almost the same information while the group delay based method gives the shape oriented information that is best suitable for the location template matching method.

      • KCI등재

        단조 증가 데이터 도메인에서의 효율적인 집합 유사 시퀀스 매칭을 위한 색인 구조

        황우성,임효상 한국정보과학회 2021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7 No.1

        The set-based similar sequence matching method using the monotonically increasing property utilizes the property that elements included in the data domain are continuously added over time without removing. By using the monotonically increasing property, the existing method reduces the computation cost for intersection which takes large proportion of the cost for the set-based similar sequence matching. However, for utilization of the monotonically increasing property,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creation time of given sets satisfies a specific condition, which causes the performance degradation in the process of checking all the stored sets one by one.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the domain time inverse index structure that indexes sets by the creation time of set. Using the proposed index structure, we can fastly find only the sets that satisfies the specific time condition,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using the monotonically increasing property. Through experiments, the proposed set-based similar sequence matching using the domain time inverse index structure shows the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the reduction in processing time by about 6 to 15 times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단조 증가 성질을 활용한 집합 유사 시퀀스 매칭 방법은 데이터 도메인이 포함하는 원소들이 사라지지 않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추가되는 성질을 활용한다. 단조 증가 성질을 활용하면 집합 유사 시퀀스 매칭에서 큰 비용을 차지하는 교집합 계산량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성질의 활용을 위해, 주어진 집합의 생성 시점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해야 하므로, 저장된 모든 집합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성능 저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집합 생성 시점을 이용하여 집합들을 색인할 수 있는 도메인 시간 역색인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색인 구조를 사용하면, 특정 시점 조건을 만족하는 집합만을 빠르게 찾아서 단조 증가 성질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성능평가 결과, 제안하는 색인 구조를 적용한 집합 유사 시퀀스 매칭 방법은 기존 방법보다 약 6배에서 15배의 수행 시간 단축을 통한 성능 향상을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