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외계층 영재의 지능과 자아존중감, 수학적 태도 및 과학적 태도의 관계

        송경애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소외계층 영재의 인지적 특성인 지능과 정의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수학적 태도 그리고 과학적 태도 등이 어떠한가, 그리고 이들 변인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써 대학 영재교육원에 다니는 소외계층의 초등 저학년 14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소외계층 영재의 지능은 백분위 85점 수준, 자아존중감 75.6%, 수학적 태도 73.3%, 과학적 태도 71.3% 등의 수준으로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지능의 수준별 자아존중감, 수학적 태도 및 과학적 태도의 차이는 없었으며, 지능과 자아존중감과 수학적·과학적 태도간의 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존중감과 수학적 태도(r=.448, p=.000), 과학적 태도(r=.522, p=.000)그리고 수학적 태도와 과학적 태도(r=.458, p=.000) 간에는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소외계층의 영재아들이 일반 영재아들보다는 낮으나 잠재적인 영재성은 상당히 높고, 정의적인 요인들 간 관계가 높아 이를 계발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의 제공이 일반아들 보다 더욱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measure intelligence (cognitive characteristics), self-esteem, mathematical attitudes, and scientific attitudes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147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who were enrolled to university-based gifted education centers were participants of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ntile scores of each variable were 85% for intelligence, 75.6% for self-esteem, 73.3% for mathematical attitudes, and 71.3% for mathematical attitud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ce and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i.e., self-esteem, mathematical attitudes, and scientific attitudes), whil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shown between self-esteem and mathematical attitudes (r=.448, p=.000), between self-esteem and scientific attitudes (r=.522, p=.000), and between mathematical attitudes and scientific attitudes (r=.448, p=.000). Th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the gifted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show lower levels compared to other gifted student groups, their potential level of giftedness is considerably high, which calls for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 systems designed for this population.

      • KCI등재후보

        유아의 과학적 질문에 기초한 과학활동이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세하(Se-Ha Kim),박선영(Seon-Young Park)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유아의 과학적 질문에 기초한 과학활동이 만 5세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을 대상으로 구성하여 총 10주간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처치 기간 동안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과학적 질문에 기초한 과학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생활주제에 따라 교사가 미리 계획하여 제공하는 과학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과학활동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처치 전과 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에게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와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과학적 질문에 기초한 과학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과학적 탐구능력의 총점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탐구능력의 구성요소별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예측하기, 관찰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과학적 태도의 총점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태도의 구성요소별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호기심, 자진성과 적극성, 객관성, 개방성, 비판성, 판단유보, 협동성, 끈기성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의 과학적 질문에 기초한 과학활동이 만 5세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based on preschool children’s scientific questions on the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attitudes of five-year-old children. In the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40 five-year-old children (the experiment group: 20; the comparison group: 20) for a total of ten weeks. During the period of experimental treatment, the experiment group engaged in science activities based on children’s scientific questions, whereas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science activities planned by the teacher according to the life topics in advance. Both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were tested on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attitudes before an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he research proces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experiment group that took part in science activities based on preschool children’s scientific questions ha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s in scientific process skills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 group made a significant increase in predicting, observing, measuring, and discussing scores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he experiment group that took part in science activities based on preschool children’s scientific questions ha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s in scientific attitudes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 made a significant increase in curiosity, spontaneity & active participation, objectiveness, openness, critical ability, suspending judgment, cooperation, and perseverance scores compared with the comparison group. Those findings show that science activities based on preschool children’s scientific questions are effective for improving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attitudes.

      • KCI등재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중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지은,강경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5

        이 연구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3학년의 ‘과학 기술과 인류 문명’ 단원을 토대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 자료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글쓰기 자료는미래 신문 만들기, 생물 다양성과 종자 은행, 색 변화 기술 등의 주제로 개발되었다. 이 연구의 연구 대상은 J시에소재한 A중학교 3학년 8개반 학생 180명이다. 7차시 동안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을 실시한 후 중학생들의 과학적태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과학적 태도 사전 사후검사 간 t-test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과학적 태도의하위 영역 모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에서 과학적 태도와 그 하위 영역인 개방성, 객관성, 계속성, 비판성, 신중성, 자진성, 정직성, 준비성, 협동성, 호기심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에서 일상생활과 관련된 과학 기술에 대한 내용을 탐구 주제로 설정하여 사고의 영역을 확장하고 자신의주장과 근거를 글로 표현하도록 한 점이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협동성이 다른과학적 태도 하위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은 모둠활동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과학적 태도를 기르기 위해 다양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자료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es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tific attitudes. To this end, based on the uni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Human Civilization' in the 3rd year of middle school, exploratory science writing class materials were developed and applied. Writing materials were developed on topics such as making future newspapers, biodiversity and seed banks, and color-changing technolog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 students from 8 classes in the 3rd year of A middle school located in J city. After conducting SWH during the 7 classes, the change in scientific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examin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test result between the scientific attitude pre-post test.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domains of scientific attitude. In this stud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cientific attitude and its subdomains, such as openness, objectivity, continuity, criticism, prudence, willingness, honesty, preparedness, cooperation, and curiosity. It is judged that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scientific attitudes. In particular, it is analyzed that scientific attitudes were positively affected by the fact that scientific technologies related to daily life were set as exploratory topics in the inquiry science writing class to expand the area of thinking and express their arguments and grounds in writing. In addition, it is presumed that cooperation was relatively lower than other sub-areas of scientific attitudes because group activities were limited.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SWH materials to cultivate learners' scientific attitudes.

      • KCI등재

        탐구중심 과학교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기예 ( Ki Ye Kim ),박은주 ( Eun Ju Park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탐구중심 과학교사교육이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교수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 학생 33명이며, 연구도구는 과학적 태도 검사도구(김명애, 2002)와 과학교수태도 검사도구(Cho, 1997)이다. 탐구중심 과학교사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사전, 사후, 추후에 각각 과학적 태도와 과학교수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자료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탐구중심 과학교사교육은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켰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태도를 향상시켰는데 특히 과학교수에 대한 흥미와 과학교육을 위한 준비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탐구중심의 과학교사교육은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교수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교수방법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quiry-based science method course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3 pre-serv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the scientific attitudes(Kim, 2002)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rating scales(Cho, 1997). To analyze the data mean, standard deviation, and repeated one-way ANOVA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were varied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d of inquiry-based science method course. Their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were changed and sustained. In conclusion, inquiry-based science method course was proved become an effective course to improv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ce teaching attitudes.

      • KCI등재

        상담 전문가의 과학적 태도에 관한 인식

        손고은(Goeun Son),이경인(Kyungin Lee),김명찬(Meungcha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4

        본 연구는 상담 전문가의 과학적 태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 발달 모델인 과학자-실무자 모델을 활용하여 과학과 실무의 통합된 방향으로 과학적 태도(scientific attitudes)를 제시하였으며, 과학적 태도는 상담자가 호기심을 가지고 비판적으로 자신의 상담에 대해 생각해보는 태도라고 볼 수 있다. 상담자가 과학적 태도를 가질 때 내담자의 현 상황에서 합리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우며, 깊이 있는 상담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9명의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그 의미를 해석하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22가지의 하위요소를 ‘상담자의 개방적 태도’, ‘상담자의 객관적 태도’, ‘상담자의 끈기 있는 태도’, ‘상담자의 창의적인 태도’, ‘상담자의 비판적인 태도’, ‘상담자의 합리적인 태도’의 6가지 상위요소로 유목화 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자들이 과학적 태도를 가짐으로써 내담자가 처한 문제를 현재 상황에서 가장 적절하고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며, 더욱 깊이 있는 상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상담 전문가의 길을 걷고 있는 초심상담자와 다양한 상다분야 종사자들에게 보다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가 되는 것에 의의를 둔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counseling experts on scientific attitudes. To this end, the scientist-practitioner model, a type of an expert development model, was used to present scientific attitudes in the unified direction of science and practice, and in here, the scientific attitude means an attitude of the counselor to critically think about their counseling with curiosity. When the counselor has the scientific attitude, it helps the counselor respond to the client’s current situation rationally and providein-depth counseling. In this study,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to collect, analyze and interpret the meaning of data through interviews with nine participants. As a result, the 22 sub-factors were classified into 6 higher categories of ‘open attitude of the counselor’,’objective attitude of the counselor’,’patient attitude of the counselor’,’creative attitude of the counselor’,’critical attitude of the counselor’ and’reasonable attitude of the counsel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counselors to have a scientific attitude so that they can handle the client’s problems most appropriately and wisely in the current situation, and to enable more in-depth counseling. Also,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results can provide data helpful to beginner counselors who are walking the path to become counseling experts and those working in various fields.

      • KCI등재후보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

        박종호 ( Jong Ho Park ),최여진 ( Yeo Jin Choi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 관계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과학영재로 선발된 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 61명과 일반학급 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자아존중감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Pearson 상관 분석을 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영재는 일반학생에 비해 과학적 태도가 높으며,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 중 끈기성을 제외한 호기심, 개방성, 비판성, 협동성, 자진성, 창의성 요소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초등과학영재는 일반학생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높으며,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소인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 모두 초등과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초등과학영재는 과학적 태도와 자아존중감 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일반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상관을 가진 요소들이 거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초등과학영재는 일반학생에 비해 과학적 태도와 자아존중감 모두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등과학영재는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와 자아존중감 하위 요소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일반학생에 비해 높은 자아존중감을 갖는 것이 영재의 특성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영재판별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tific attitude and self-esteem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 general elementar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general elementary students(132) and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61) who were identified as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by Gifted Center. The comparison was made by using a t-test to fin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cientific attitude and self-esteem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and was made by Pearson corre1ation analysis between scientific attitude and self-esteem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se results are as fallow: First,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have higher scientific attitude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and significantly high curiosity, open-mindedness, critical-mindedness, cooperation, voluntariness and creativity but not endurance among sub-field of scientific attitude. Second,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have higher self-esteem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and significantly higher overal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family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Third, there was significant corre1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cientific attitude for the scientifically elementary student. Finally, there wasn`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ientific attitude and self-esteem of general elementary student. Gifted elementary student is higher than general student on all scientific attitude and self-esteem.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su1:>-fields of scientific attitude and self-esteem.

      • KCI등재

        학습주기를 적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미숙 ( Mi Sook Choi ),안지영 ( Ji Young Ah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주기를 적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G시의 Y, U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0명이었다. 실험집단은 학습주기를 적용한 과학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과학활동을 실시하였다.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t-검증을 통해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주기를 적용한 과학활동은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특히 ‘과학적 탐구능력’의 하위 요소인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의미 있는 향상이 있었다. 또한 ‘과학적 태도’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자진성과 적극성’, ‘객관성’, ‘개방성’, ‘비판성’, ‘판단유보’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의미 있는 향상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learning- cycle program of science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The subjects were 40 children of five year old from the annexed kindergarten to Y elementary school and U elementary school in G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learning-cycle program of science activities and the control group was given general science activities.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test`` and ``The scientific attitude test`` were used for the collection of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outdid the control group in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Especial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diction``, ``observation``, ``classification``, ``measurement`` and ``discussion`` of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the ``curiosity``, ``willing ness and positiveness``, ``objectivity``, ``openness``, ``criticism``, ``judgement reservation`` of scientific attitude. Thes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science activities applying the learning cycle can be utiliz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improve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 KCI등재후보

        구체물을 활용한 물리적 지식 탐구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애진(Ae-Jin Lee),유연옥(Younoak Yu)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0 교육발전 Vol.40 No.2

        본 연구는 구체물을 활용한 물리적 지식 탐구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 P유치원의 만 5세 유아 3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6명을 임의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은 8주간 24회에 걸쳐 구체물을 활용한 물리적 지식 탐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누리과정의 일반적인 교육활동을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고, 공분산분석과 빈도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과학적 탐구능력 점수와 과학적 태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유용한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ysical knowledge inquiry program with manipulative on the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2 5-year-old children at P kindergarten, 16 children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general scientific activity on the Nuri curriculum during a span of 24 times for 8 weeks. Quant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NCOVA which was applied for the data collected from a scientific inquiry ability test and a scientific attitude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had higher total score and frequency levels of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t is suggested that young children’s physical knowledge inquiry program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can have both positive and useful effects on improving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 KCI등재후보

        창의적 실험구성을 통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혜,이희정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창의적 실험구성을 통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2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고 두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의적 실험구성을 통한 과학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이 밝혀졌는데 과학적 문제해결력의 모든 구성요소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향상되었음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창의적 실험구성을 통한 과학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태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기심, 자진성과 적극성, 솔직성, 객관성, 개방성, 비판성, 판단유보, 끈기성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협동성에서는 평균에서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창의적 실험구성을 통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소양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eative construction activity of scientific experiment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and scientific attitude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12 week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children from the two groups were assessed by the scale of scientific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reative construction activity of scientific experiment wa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Second, the creative construction activity of scientific experiment wa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Those results showed that inquiry-based science learning experiences are significant for the young children’s scientific literacy improvement.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초등학교 4학년 자유탐구 활동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 효과 분석

        이국환 ( Kook Hwan Lee ),김효남 ( Hyo Nam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자유탐구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이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시에 있는 두 초등학교, S초등학교 4학년 2개 반과 J초등학교 4학년 2개 반을 각각 실험반 2개 반과 통제반 2개 반으로 구성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반 학생들에게는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를 활용한 자유탐구를 8주간 실시하였고 통제반 학생들에게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일반적인 자유탐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유탐구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일반적인 자유탐구의 수행 보다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과학 탐구 능력 하위 요소에서도 기초 탐구 능력과 통합 탐구 능력 모두에서 효과를 보였다. 이는 자유탐구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를 활용하는 것이 과학 탐구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유탐구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은 교육 과정에 제시된 일반적인 자유탐구의 수행 보다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 중 개방성, 협동성, 자진성에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사후면담 결과와 같이 학생들은 자유탐구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가 주제를 정하는 방법, 자유 탐구를 하는 방법, 결과를 작성하는 방법 등에 도움을 주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므로 다른 학년에도 적용하여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grade 4 open inquiry activities on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scientific attitud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th grade students, two experimental groups and two control groups,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K district. The pre and post test were conducted on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scientific attitudes to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open inquiry with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for 8 weeks, meanwhile the control group conducted general open inquiry suggest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i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open inquiry in improving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specifically in the areas of basic process skills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is effective in improving science inquiry abilities. Second, the use of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is more effective than the general open inquiry in improving students` scientific attitudes. Especially, open-mindedness, cooperation, and voluntariness in the areas of scientific attitudes were improved. Third, students acknowledged that the use of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is effective in the way of choosing topics, conducting open inquiries, writing results, etc as shown in post interview results. Therefore, it is needed to apply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to other grades since the use of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i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scientific at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