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n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 Definition, Measurement, and Factors Affecting It

        Lee, Hong Jik,Bae, Chunghyu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4 이화사회복지연구 Vol.5 No.-

        Recently, the rapid growth of the human service sector in the U.S. generates the need to develop its quality and accountability to gain a limited fund. Hence, the issue of effectivenes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human service sector. In response to this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organizational/ program effectiveness, to investigate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evaluation and measurement issues, an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This study reviewed approximately forty cases of theoretical or empirical research on effectiveness in organizations, especially human service organization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This study also included a few studies in other fields such as business and public management are included as they are relevant to the discussion of organizational and program effectiveness in social service sector.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many previous studies regarded program effectiveness as a sub-categor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s a result, they distinguished between program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two different levels. Secondly, various measures were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or organization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it was proved indirectly that developing valid and reliable measures in human service field is a difficult task. Thirdly, although diverse factors were repor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program/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actors related to human resource were most frequently indicated as key factors among th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research, competition, and communication among social work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needed to establish firm and universally accepted definitions and to develop valid and reliable methodologies to measure them. 1980년대 이래로 미국의 사회복지학계에서 '조직 및 프로그램 효과성'은 중요한 화두가 되어왔다. 이러한 효과성에 대한 관심은 정부의 복지지출 감소로 인해, 제한된 재원을 확보하는 일환으로 인간봉사 조직에게 요구되어지는 책무성과도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본 연구는 조직 및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주요 개념과 측정 방법, 그리고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명확히 하고자, 미국의 인간봉사 조직의 효과성에 관한 40여개의 연구문헌을 고찰하였다. 또한, 본고는 연구의 목적을 위해 인간 봉사 조직체뿐 아니라 일반기업체와 기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효과성 연구들도 부수적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효과성의 개념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효과성은 조직 효과성의 하위개념으로 이해되며, 서비스 성과와의 비교에 있어서, 성과는 프로그램의 결과와 영향력, 성취 등으로 표현되며, 효과성은 이러한 성과가 제시한 목표에 근접하는 정도로 제시되고 있다. 둘째, 효과성의 측정 방법에 있어서는 연구에 따라, 다양한 척도들이 이용되었는데, 이는 보편타당하고 신뢰할만한 척도의 개발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한다. 셋째,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다양한 요인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기관장의 가치, 지도력, 능력, 그리고 직원들의 인지능력과 행위 등과 같은 조직 구성원에 관련된 요인들이 주요한 효과성 결정요인으로 제시 되었다. 요컨대, 효과성에 대한 정의, 측정방법, 그리고 효과성 결정요인에 있어서,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대상 기관과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목표 등에 따라 다양하게 규정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사회복지학계에서 조직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를 통해, 보다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의 정립 및 측정방법 상에서의 체계화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 조직 및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주요개념 정의, 측정 방법, 주요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이홍직 ( Hong Jik Lee ),배정현 ( Chung Hyun Bae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4 이화사회복지연구 Vol.5 No.-

        1980년대 이래로 미국의 사회복지학계에서 '조직 및 프로그램 효과성'은 중요한 화두가 되어왔다. 이러한 효과성에 대한 관심은 정부의 복지지출 감소로 인해, 제한된 재원을 확보하는 일환으로 인간봉사 조직에게 요구되어지는 책무성과도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본 연구는 조직 및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주요 개념과 측정 방법, 그리고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명확히 하고자, 미국의 인간봉사 조직의 효과성에 관한 40여개의 연구문헌을 고찰하였다. 또한, 본고는 연구의 목적을 위해 인간봉사 조직체뿐 아니라 일반기업체와 기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효과성 연구들도 부수적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효과성의 개념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효과성은 조직 효과성의 하위개념으로 이해되며, 서비스 성과와의 비교에 있어서, 성과는 프로그램의 결과와 영향력, 성취 등으로 표현되며, 효과성은 이러한 성과가 제시한 목표에 근접하는 정도로 제시되고 있다. 둘째, 효과성의 측정 방법에 있어서는 연구에 따라, 다양한 척도들이 이용되었는데, 이는 보편타당하고 신뢰할만한 척도의 개발이 용이하지 않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한다. 셋째,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다양한 요인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기관장의 가치, 지도력, 능력, 그리고 직원들의 인지능력과 행위 등과 같은 조직 구성원에 관련된 요인들이 주요한 효과성 결정요인으로 제시 되었다. 요컨대, 효과성에 대한 정의, 측정방법, 그리고 효과성 결정요인에 있어서, 연구의 목적 및 연구 대상 기관과 프로그램이 지향하는 목표 등에 따라 다양하게 규정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사회복지학계에서 조직과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를 통해, 보다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의 정립 및 측정방법상에서의 체계화가 필요함을 주장한다. Recently, the rapid growth of the human service sector in the U.S. generates the need to develop its quality and accountability to gain a limited fund. Hence, the issue of effectivenes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human service sector. In response to this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to investigate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evaluation and measurement issues, an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program effectiveness. This study reviewed approximately forty cases of theoretical or empirical research on effectiveness in organizations, especially human service organization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This study also included a few studies in other fields such as business and public management are included as they are relevant to the discussion of organizational and program effectiveness in social service sector.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many previous studies regarded program effectiveness as a sub-categor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as a result, they distinguished between program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two different levels. Secondly, various measures were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program or organization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it was proved indirectly that developing valid and reliable measures in human service field is a difficult task. Thirdly, although diverse factors were repor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program/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actors related to human resource were most frequently indicated as key factors among th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ous research, competition, and communication among social work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needed to establish firm and universally accepted definitions and to develop valid and reliable methodologies to measure them.

      • KCI등재

        프로그램의 운영변수와 외부환경이 프로그램 효과에 미치는 영향

        노혜련(Noh He-Len),김수영(Kim Soo-Young),김영란(Kim Young R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한국청소년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의 효과에 운영변수와 외부환경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에 참여한 서울 경기지역의 3개 초등학교와 13개 중학교의 총 1,039명의 학생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영변수와 관련해서는 참여자가 학년이 어릴수록, 진행자와 참여자 모두 간에 의사표현과 대화가 자유롭게 이루어지면 질수록, 그리고 학생들이 프로그램 진행 장소와 시간이 적절하다고 인식할수록, 프로그램 실행기간이 단기일 때 프로그램의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환경과 관련해서는 교사의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학급 내 학생들 간에 폭력이 적게 일어나면 날수록, 그리고 학교교칙이 공정하고 일관성 있게 적용될수록 프로그램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이 목표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내용뿐 아니라 프로그램 운영방식과 학교환경의 개선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준다. 운영변수 중에서는 진행자와 참여자 모두 간의 자유로운 의사표현의 수준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쳐 참여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외부환경과 관련해서는 학교분위기를 측정하는 3가지 변수가 모두 프로그램의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기 위해서는 학교의 분위기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접근이 수반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1,039 students from 3 elementary schools and 13 middle schools who participated in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 order to elucidate the effect of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program effectivenes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with respect to management factors, the ages of the participant, the degree of free communication among program providers and participants, the appropriateness of place and duration for program implementation, and the duration of the program significantly affected program effectiveness. More specifically, the more that students thought that the place in which the program was provided and the duration of the program were appropriate, the more they thought that program was effective. As for environmental factors, all three factors i.e. teacher's attitudes, levels of violence in class, and the degree of fairness and consistency in the application of school rule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program effectiveness. Thus, the more students thought that their teachers cared about them, the fewer incidents of violence occurred within their classes, and the more fair and consistent they perceived the school rules to be applied, the more they tended to perceive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Such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for a school violence program to be effective, as much attention should be paid to improving the ways in which program is provided and the school environment in general, as to the contents of the program. Of all factors, the degree of free communication among program providers and participants had the strongest effect on program effectiveness, revealing the importance of providing the program in a way that stud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and contribute to. In addition, the fact that all three variables measuring the school environment were found to affect program effectiveness implies that a systematic approach to changing the school atmosphere in a positive way should occur in order to maximize program effectiveness.

      • KCI등재

        공공부문 퇴직예정자 재취업지원서비스 프로그램의 교육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철도공사를 중심으로

        이혜경,최윤희,김용래 감사연구원 2022 감사논집 Vol.- No.38

        This study is about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reemployment support service program for the public sector retirees for the creation of middle-aged and social roles in the public sector in the aging society.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Korai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rospective retirees who completed the reemployment support service of Korail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fter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life design program and the satisfaction of career design program among reemployment support service program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at is, an indirect effect. Second, if only one course of life design or career design program is designed and operated, the overall educational effectiveness decreased by more than 40%. Third, life design program was significant in career design program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understanding and satisfying career desig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urriculum and maximize educational effectiveness when designing reemployment support service program for prospective retiree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operate life design programs and career design programs in a balanced manner. Second, as life design program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sign program satisfaction, the life design program can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can be maximized when opera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reemployment support service for retirees is analyzed by empirical analysi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ystem has been stabilized and presented a direction for being reborn as an effective program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고령화시대에 공공부문 중장년 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역할을 위해 공공부문 퇴직예정자 재취업지원서비스 프로그램의 교육효과성에 대하여 한국철도공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철도공사 재취업지원서비스를 이수한 퇴직예정자이며 설문조사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취업지원서비스 프로그램 중 생애설계 프로그램 만족도와 진로설계 프로그램 만족도는 교육과정 이해도와 교육효과성 간 매개효과 즉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애설계 또는 진로설계 프로그램 어느 하나 과정만 설계하여 운영할 경우 개별 프로그램 만족도 감소로 전체 교육효과성은 4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애설계 프로그램은 진로설계 프로그램에 유의하였고 진로설계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만족하는 데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퇴직예정자를 위한 재취업지원서비스 프로그램 설계시교육과정 이해도를 높이고 교육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생애설계 프로그램과 진로설계 프로그램을 균형적으로 구성하여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생애설계 프로그램 만족도가 진로설계 프로그램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에 따라 재취업지원서비스 프로그램 설계시 생애설계 프로그램을 교육과정에 포함시켜 운영시 교육효과성은 극대화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이제 막 걸음마 단계에 있는 퇴직예정자 재취업지원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효과성을 실증 분석함으로써 향후 이 제도가 안정화되고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으로 거듭나는데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교정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인식 조사: 교정 실무자와 외부 상담자를 대상으로

        조윤오 한국교정학회 2013 矯正硏究 Vol.- No.61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level of perception of correctional program effectiveness in order to measure the integrity and quality of the correctional programs among correctional practitioners in South Korea. It is crucial to examine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correctional programs by utilizing correctional program assessment inventory. The current study has modified three different instruments of South Australia University Inventory for assessing correctional programs, Pennsylvania Correctional Department tool for evaluating correctional programs, and Ohio State youth correctional programs assessment tool. The assessment questionnaire that current study had employed involved identifying seven categories such as (1)program setting environment, (2)specialty of staff, (3)the level of systematic organization, (4)strategy of enhancing effectiveness, (5)individualization, (6)evaluation, and (7)other items that are associated with program curricula. Futhermore, this study included numerous correctional programs that are related with vocational training, academic education, counselling, reasoning and rehabilitation, behavioral treatment, and faith-based correctional programs. This study conducted survey toward 515 correctional staffs and 491 volunteers who were in charge of implementing and monitoring correctional programs in prison facilities. As a process evaluation for the correctional programs, the current study used 43 questions which are based on seven key categories. The descriptive statistics demonstrated that overall satisfactory scores for the seven categories are beyond the middle in terms of five scale measurements. However, the result showed that the two factors of individualization and evaluation are more likely to have lower score among the seven effectiveness categories. Process evaluation in assessing correctional programs is a vital part to a successful program compared to outcome evaluation which are focused on simple recidivism rates. The two parts of process evaluation should be fundamental components assessed prior to a program being implemented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rrectional programs. Further policy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본 연구는 교정 실무자 및 외부 상담자들을 상대로 교정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재범률을 기준으로 한 결과평가(outcome evaluation)도 의미 있는 평가 전략이지만, 실제 교정활동을 운영하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정프로그램 인식 조사는 교정프로그램의 절차와 운영을 알아보는 중요한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 방법에 속한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곱 가지 기본범주(환경여건, 전문성, 체계성, 효과성기법, 개별화, 평가여부, 기타 항목)를 가지고 실무자 1,006명이 생각하는 교정프로그램의 효과성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 응답 대상자로 515명의 교화상담 업무 교정공무원과 491명의 외부 상담자들이 포함되었다. 총 43문항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각 문항에 대해 “그렇다”와 “보통이다”라는 답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보면, 개별화 항목과 평가여부 항목에서 “보통이다”라는 중립적 답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즉, 환경여건과 전문성, 체계성, 효과성기법에서는 긍정적인 태도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별화와 평가여부 항목에서는 상대적으로 중립적 답변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효과성 인식이 부족한 개별화와 평가 부분을 집중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고, 향후 과학적인 효과성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교정 실무자들이 만족할만한 교정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광고와 프로그램 일치도에 따른 호스트셀링 광고의 효과 분석

        최서윤(Seo Yoon Cho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91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그램과 광고의 일치도에 따른 호스트셀링 광고 효과를 측정하려는 데 있다. 기존의 호스트셀링 광고 효과를 연구한 논문에서 호스트셀링 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프로그램-광고의 일치도가 많이 언급되었다. 이러한 프로그램 맥락효과에 근거한 프로그램-광고의 일치도는 감정적 일치, 포맷상 일치 등 다양하게 이해될 수 있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일치도 부분을 다양하게 접근한 논문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치도를 프로그램과 광고가 유발하는 감정적 일치와 프로그램과 광고 속 캐릭터의 일치로 나누어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프로그램과 광고의 감정적 일치에 따른 광고 효과의 차이는 프로그램이 유발하는 감정이 부정적인 상황일 때만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램과 광고의 캐릭터 일치에 따른 효과의 차이도 프로그램이 유발 감정이 부정적인 상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즉, 프로그램-광고의 캐릭터 일치도는 프로그 램이 유발하는 감정과 상호작용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의 부정적인 감정이 긍정적인 감정보다 더 전이가 쉽다는 기존 연구를 뒷받침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host-selling advertising. Program-ad congruency have been mentioned as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host-selling advertising effects. This study focused on how congruency of program-ad induced mood and program-ad character similarity affect the effectiveness host-selling advertising. The results showed that effect of program-ad mood congruency appeared only in the negative mood situation. Also, the effect of program-ad character similarity was more prevalent in the negative mood situation. In other words, program-ad character similarity and program-ad mood congruency have an interaction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host-selling advertising.

      • KCI등재

        중도입국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서울시를 중심으로

        김혜련,오준협,금재덕 한국공공관리학회 2022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6 No.2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that impac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upporting for immigrant teem and aims at suggesting policy recommend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nd 151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ullness of program contents ha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program effectiveness. Second, the accessibility and the feedback level of program have partially related with the program effectiveness. Third, when the immigrant teen trust people who are in their everyday basis more, the effectiveness of some programs has rose as also. Fourth, if the immigrant teen think that his or her ability of Korean Language is high, they negatively recognise the effectiveness of some programs. Therefore, the program supporting for immigrant teen should be more systematically designed and executed. Also, the program has to provide them with more opportunity to participate and with the differentiated level of service according to their Korean Language ability for some programs.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정책개선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도입국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 수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151개의 표본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양적・질적 충실성은 프로그램 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프로그램 운영 특성, 접근성, 그리고 피드백은 부분적으로 프로그램 효과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도입국 청소년들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문화교류 서비스와 같은 프로그램 효과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도입국 청소년이 본인의 한국어 능력 수준이 높다고 생각할수록 한국어교실과 문화교류서비스 등 일부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중도입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 유형의 프로그램들은 체계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고, 중도입국 청소년들에게 홍보활동 및 참여기회를 확대하는 등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일부 프로그램의 경우 한국어 수준에 맞게 차별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를 위한 자기성장프로그램 적용효과

        최대훈 ( Choi Dea Hun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유아교사의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검사 및 예비실험, 사전협의 및 사전검사, 프로그램적용, 사후검사 순으로 프로그램 적용 절차를 거쳤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I시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이며 10주간 총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사전과 사후에 자아존중감, 조직유효성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결과, 두 집단 간 사전검사의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프로그램 실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후점수에 대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 검증을 통해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자기성장 프로그램은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자기성장 프로그램은 유아교사의 조직유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self-growth program for early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carried out such program applying procedures as preliminary test, preliminary experiment, prior consultation and pre-test, program application and post-test. Study subjects were 40 early-childhood teachers (an experiment group, n=20; a control group, n=20) who were working in I City, Jeollabuk-do, and they carried out the program in 10 sessions during 10 weeks. In order to look into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tests of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program. Pre-test showed that both groups were homogeneous since their averag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the program,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scores of post-test of both groups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looked into via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growth program for early-childhood teachers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of early-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Second, the self-growth program for early-childhood teachers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of early-childhood teacher’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KCI우수등재

        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진(Lee, Jin),임선아(Lim, Sun Ah)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3

        본 연구는 수십 년간 축적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논문들을 통합하여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약 20년 동안 수행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실증 연구논문들을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1997년부터 2019년 8월까지 수행된 194개 연구물로부터 836개의 효과크기를 CM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 자녀 각각에 부모교육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모교육프로그램은 부모들의 부모역할만족에, 자녀의 자존감에 가장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범주별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분석한 결과, 출판유형에서는 학술지의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고, 연구대상에서는 다문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또한 프로그램 유형 중 PET에서 가장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16회기 이상일 때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의 효과성을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여‘부모교육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효과성, 즉, 교육 대상과 프로그램의 특성, 프로그램의 결과적 특성에 따른 효과성을 다각적이고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적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추후부모교육프로그램의 구안 및 운영에, 그리고 부모교육프로그램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by synthesizing research papers that have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accumulated over the decades, the research papers that reported the empirical results of domestic parent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for about 20 years were verified through meta-analysis. Specifically, 836 effect sizes from 194 studies conducted from 1997 to August 2019 were analyzed by applying a random effect model using the CMA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more than medium. Second, after examining the effec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on each parent and child, it was found that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had the greatest effect on parents satisfaction as well as their children s self-esteem.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size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by category, the effect size of academic journals was large in the type of publication, and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parents was the largest in the study. It also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in PET among the program types, and the effect size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large when it was more than 16 sessions. This study is of discriminatory significance in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parents systematically analyzed their effectiveness through meta-analysis and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 i.e., the education particip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and the resulting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in various and specific way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and for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 여가 웰니스관광 프로그램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윤기선(Yun, Gi-Seon) 한국여가복지학회 2020 여가복지경영연구(여가복지) Vol.1 No.1

        본 연구는 충청남도 충주, 경상남도 산청 등에서 웰니스 클러스터를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지역에 참가한 대상자를 토대로 2019년 10월 01일 ~ 2019년 12월 30일까지 웰니스관광 클러스터 프로그램에 참가했던 이용자 30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웰니관광 프로그램의 생활관리, 신체관리, 뷰티관리가 자연치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웰니스관광 프로그램의 생활관리, 신체관리, 뷰티관리가 건강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웰니스관광 프로그램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연치유의 매개효과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매개효과검증 결과는 총효과는 .319, 직접효과는 .242, 간접효과는 .048로 분석되었다. 이에 웰니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보다는 자연치유 효과 때문에 관광객의 만족도는 .048만큼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자연치유 효과를 살리는 것이 웰니스관광 프로그램과 자연치유 효과를 얻기 위해 자연치유상품을 프로그램으로 더 활성화 하는 것이 건강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wellness tourism program on the natural healing effect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region operating the program by constructing wellness clusters in Chungju, Chungcheongnam-do, and Sancheong, Gyeongsangnam-do, October 01, 2019 ~ December 12, 2019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06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Wellness Tourism Cluster Program until the 30th of the month. First,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by one-way ANOVA. Life management affects the number of participants, companions, and natural healing products, body management affects gender, place of residence, number of participants, natural healing products, beauty management affects gender, education, and natural healing products. , The mind and body effect affects gender and natural healing products, and the dietary effect affects the number of participation and companions, and the handwriting effect affects the number of participation and natural healing products, and satisfaction refers to gender and natural healing products.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Seco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cause and effect between variables. It was analyzed that life management, body management, and beauty management of the well-nine tourism program have an effect on the mind and body effect among natural healing effects. It was analyzed that the wellness tourism program s life management, body management, and beauty management influenced the dietary effect among natural healing effects. It was analyzed that health management, body management, and beauty management of the wellness tourism program affect health satisfaction. Participate in programs for occupational disease management, diet improvement, leisure and sports healing, toxin removal and detoxification healing, stress management through lifestyle management, or physical fitness management, chronic disease management, herbal treatment, health checkups, and overall natural healing for management Tourists who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the purpose of spa treatment, massage, anti-aging, diet, or cosmetic use for beauty management, are satisfied with maintaining normal temperature, have a good night s sleep, are satisfied with stress healing, and have blood circulation It was analyz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improvement. It was analyzed that the physical management of the wellness tourism program influences the intention to reuse.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life management and beauty manage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use intention. Therefore, for management, touris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physical fitness management, chronic disease management, herbal treatment, health checkup, and overall natural healing, intend to reuse for wellness tourism, intend to reuse for wellness cluster program, and natural healing products. Would recommend to reuse, family, friends. The natural healing effect was analyzed to affect health satisfaction. Therefore, stress, fear, trauma, depression are relieved, digestive function, comfortable to see stools, weight loss, blood pressure is lowered, flexibility of the arms, flexibility of the waist is improved, weight is reduced, and muscle pain is reduced. It was analyzed that tourists with are satisfied with maintaining normal temperature, satisfied with getting a good night s sleep, satisfied with stress healing, and improved blood circ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