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체제 성립기 아동가요와 민족적 성격

        배인교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58 No.-

        This paper reveals the aspects of children's songs created during the founding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looks for ethnic feature used in music. The themes of children's songs during this period were "Respect and appreciation for Kim Il Sung," patriotism, praise of war heroes, and ethnic traditions and customs, along with encouraging learning. Also, there are many words in the lyrics of the song such as "Wonssu원쑤(enemy)," "Hero," "revolution," and "gun" and many songs have been written that advocate political propaganda. Next, the scales used for 74 children's songs ranged from four to seven, with the range of notes used in the songs ranged from 6 to 12 degrees. In order to find out the ethn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ongs created during this period, I looked at the musical scale, the melody and rhythm of 29 songs.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do-re-mi-sol-la" scale, and korean folk song mode in the three songs such as Menari-tori and Bankyung-tori. Along with this, long and short forms were often used in rhythmic shapes. This apparently led to the attempt to strengthen the ethnic character by adding the rhythm of long and short forms to the melody of Japanese chang-ga style and major scale. In the end, children's songs created in North Korea by the 1950s were not consistent with their direction and reality by reflecting a lot of political propaganda in their lyrics, along with lack of awareness of the folk songs of the creative groups, despite calls from Kim Il-sung and political leaders to strengthen their ethnic feature. 이 논문은 북한 체제 성립기에 창작된 아동가요의 양상을 밝히고 음악에서 사용된 민족적인 성격을 찾아본 글이다. 이 시기 아동가요의 주제는 학습 독려와 함께 “김일성원수에 대한 존경과 감사”와 애국주의, 영웅 칭송, 그리고 민족적 전통과 풍속 등이었다. 또한 노래의 가사에 “원쑤”, “영웅”, “혁명”, “총” 등의 단어가 많이 보이며, 정치적 프로파간다를 표방한 노래들이 많이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아동가요 74곡에 사용된 선율 구성음은 4음~7음까지 다양하였으며, 노래에 사용된 음역은 6도에서 12도까지 다양하였다. 이시기에 창작된 아동가요 중 민족적 특성을 찾아보기 위해 4~5음 사용 악곡 29곡을 중심으로 음계와 선법, 리듬꼴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체로 “도레미솔라” 음계에 “도”음으로 종지하는 선법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세 곡에서 메나리토리나 반경토리와 같은 민요 선법을 발견하였다. 이와 함께 리듬꼴에서 장-단형을 종종 사용하였는데 장조(major scale)의 선율형에 장-단의 리듬꼴을 더하여 민족적 성격을 강화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1950년대까지 북한에서 창작된 아동가요는 민족적 성격을 강화하라는 김일성과 정치지도층의 요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창작집단의 민요에 대한 인식 부족과 함께 가사에 정치적 프로파간다를 많이 반영함으로써 지향과 실제가 일치하지 못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推案及鞫案』 소재 讖謠 관련 자료 연구

        김승우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6 No.-

        This paper sough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ophetic songs(讖謠) mentioned in Chuan and Gukan(推案及鞫案), interrogation and trial records of fel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rophetic song is generally defined as a folk song with a sense of criticism and a prospect of future work. These examples are also shown in Chuan and Gukan, but there are more cases that deviate from the definition of “voluntary songs among the peopl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treat them in the same way as ordinary prophetic songs, the act of arbitrarily distributing songs by individuals or groups with specific purposes can be an important discussion topic. In fact, the intention to use the prophetic song is based on a clear perception of its utility. By tracking what the reason for trying to utilize the prophetic songs was, it is possible to obtain a clue to retrospectively look back on the people’s view of prophetic songs. From this point of view, there are roughly three categories in the character of the prophetic songs in Chuan and Gukan. First, there is a case that aims to spread the prophetic song with blurred words to suggest the purpose or direction of rebellion. They also have intentions to distinguish friendly and enemy parties while enhancing the cohesiveness of their own. The second category is songs to inspire public opinion. These songs have the purpose of spreading the rhetoric and hypocrisy to stir the people’s mind and to lead public opinion to their advantage. Finally, there are songs that accuse unreasonable politics or raise lamentations about reality. The criticism of the people, which has been discussed as the most basic characteristic of the prophetic songs, can be clearly cited in this category. These songs tend to be spreading rapidly among the people much faster than other categories. Thus, in analyzing the prophetic song, it is necessary to examine not only the original character of the song as a natural manifestation of the people’s mind, but also the case of spreading the song to achieve some kind of intention. As can be seen in this paper, the latter, as well as the former, were phenomena that actually and frequently happen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conclusion, the multifaceted appearances associated with the prophetic song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both explaining the problems of power in literature and expanding the scope of literature research in the late Joseon period. 본고에서는 중죄인에 대한 조선후기의 심문 조서인 『推案及鞫案』에 수록된 참요 관련 자료의 분포를 정리하고, 이들을 세 가지 부류로 나누어 각각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참요는 세태에 대한 비판의식과 미래의 일에 대한 전망이 녹아 있는 민요라고 일반적으로 정의된다. 『추안급국안』에 소재한 참요 관련 자료에서도 이러한 사례들이 물론 나타나지만, ‘민중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불린 노래’라는 규정에서는 벗어나는 경우가 오히려 더 많다. 이들을 통상적 의미의 참요와 동궤에서 다루기는 어려우나, 특정 목적을 지닌 개인 또는 집단이 참요로 인식될 만한 노래들을 작위적으로 지어 유포하였다는 행위는 그것대로 중요한 논의거리가 될 수 있다. 참요를 활용하겠다는 의도란 참요의 효용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굳이 참요에 착목했던 이유가 무엇인지 추적함으로써 참요에 대한 당대인들의 시각을 역으로 되짚어 볼 수 있는 단서가 확보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추안급국안』에 소재한 참요 관련 자료의 성격을 대별해 보면 대략 세 가지 부류가 나타난다. 먼저 은어적 성격의 참요로서, 은어가 섞인 노래를 퍼뜨려 거사의 목적이나 방향을 암시하기 위한 목적을 띠는 부류이다. 거사를 일으키려는 당사자들 사이의 결속력을 높이는 한편 피아를 구분 짓기 위한 의도까지도 지니는 노래들이다. 두 번째 부류는 여론을 선동하기 위한 노래들이다. 이 경우에는 풍문 내지 낭설을 퍼뜨려 민심을 동요케 함으로써 시국을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이끌어 가려는 목적이 앞세워진다. 세 번째 부류는 세태의 불합리를 고발하거나 현실에 대한 울분을 토로하는 노래들이다. 참요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으로 논의되어 왔던 ‘민중의 비판 의식’이 간취될 수 있는 사례들이다. 이 부류는 특정한 목적을 지닌 노래가 아니기 때문에 노래 속 비판의식에 동조하는 백성들의 호응만 있다면 항간에 급속하게 전파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참요를 논의하는 데 있어서는 민심의 자연스러운 발로로서 참요가 지니고 있는 본래적 요건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모종의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 참요를 빙자하여 노래를 유포한 경우들에 대해서까지도 폭넓게 살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추안급국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전자는 물론 후자 역시도 조선후기에 참요를 둘러싸고 실제로 빈번하게 일어났던 현상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참요를 지어낸 경위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당대인들이 참요에 대해 지니고 있었던 인식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나 보이기도 하였다. 이렇듯 참요와 관련된 다단한 현상들은 문학 속 권력의 문제를 해명하는 데에도, 조선후기 문학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에도 모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후보

        참요(讖謠)의 원의(原義)에 대한 고찰

        김승우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4 No.-

        The meaning of Korean prophetic songs(讖謠)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one is the primary and original meaning among the populace without concern of any historical events while the other is the secondary and ex post facto meaning added by the aristocracy after a certain occurrence usually related to a serious political matter. This paper is aimed at looking into the former - the primary meaning that has been paid less attention to. Several lyrics of Korean prophetic songs were translated and recorded in classical Chinese, but much more were transcribed with Chinese characters borrowed in both their sound and meaning. Therefore, I tried in this paper to confirm the literal significance of each prophetic song by exactly recomposing the original Korean vernacular lyric from its transcriptions or translations and to analyze what features of each song the aristocracy concentrated their attention on. Ayamayo, which has been told to imply the commonality’s prediction of their atrocious king Chunghye’s miserable death on his way to China, can be construed in fact as a short love song expressing the wrench of parting. Namsanyo seems to have had concern with the complaint of the people who were mobilized to build the protective walls of Seoul in the reign of King Taejo rather than with the forecast for influential politicians Jeong Dojeon and Nam Eun’s sudden downfall. Similarly, Sumukmukyo looks like a simple children’s song calling a hawk and mimicking its voice without any political outlooks. Considering its context,Makjwaripyeongyo can be interpreted as a song reflecting Korean common people’s constant desire for a hero of humble birth who is able to emancipate them from the state of slavery instead of their longing for a Chinese general Li Rusong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 Hallym University 참요(讖謠)의 원의(原義)에 대한 고찰 37Besides, Mangmadayo, Usodayo, Chapaljayo, and Hwarojangsayo also seems to have been mere brief folk songs irrelevant to any predictions. In conclusion, when studying the features of prophetic songs, we firstly need to examine their primary and original meaning because only after such a careful examina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asonably review the aristocracy’s interpretations of them. 참요의 의미는, 특정한 역사적 계기와는 관계없이 민중들 사이에서 떠돌던 때의 일차적.본래적 의미와 사건이 발생한 후 식자층에 의해 부여된 이차적.사후적 의미로 분리하여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종래의 연구에서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졌던 전자의 의미를 해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차자표기 또는 한역의 방식으로 전하는 노래들의 원 형태를 재구함으로써 그 본래 의미를 추정하고, 해당 노래의어떠한 특질이 식자들에 의해 참요적 성격으로 규정되었는지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충혜왕에 대한 백성들의 조롱과 저주가 묻어나는 작품으로 일컬어져 온 <아야마요>의 경우, 떠나는 이를 향한 서러운 마음과 하염없는 기약이 원래 가사의 뜻이라 풀이되며, 따라서 <가시리>.<서경별곡>류의 속요와 그 정조가 잇닿아 있다고 논의하였다. 정도전과 남은의 비극적 종말을 예언한 노래로 지목되어 온 <남산요>는 도성 축조에동원된 백성들의 세태비판요이었을 가능성이 높고, 중종의 등극을 선견하였다는 <수묵묵요> 역시 차자표기를 다시 풀어 보면 매를 부르면서 장난을 거는 단순한 유희요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명 제독 이여송의 도하를 예언한 노래로 해석된 <막좌리평요>의 경우, 아기장수설화와 연계되는 특징들이 문면에서 여럿 발견되는 만큼 본래는평민영웅의 출현을 염원한 노래이었으리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그밖에 <망마다요>,<우소다요>, <차팔자요>, <화로장사요> 등도 단순한 신세한탄이나 일상적 사건에 대한 푸념이 담긴 짤막한 노래이었을 것이다. 참요는 대개 백성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불리어 온 노래이자 미래에 대한 선견을나타내는 노래라는 두 가지 의의를 지니는 것으로 인식되지만, 그러한 시각이 언제나적확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때로 참요란 백성들의 노래이기보다는 그것에 의미를부여한 위정자들의 노래에 가깝기도 하고, 민의의 자연스러운 발현이기보다는 민의가* 한림대학교 / e-mail : nakimsw@hanmail.net 6 Journal of Korean Culture 24재해석되거나 과장 또는 훼절된 결과물일 수 있으며, 미래를 선견하기보다는 사건이발생된 이후의 시점에서 그 사건을 추인하는 성격의 노래로 파악해야 할 필요성도 존재한다는 것이다. 참요의 의미를 일차적.본래적 의미와 이차적.사후적 의미로 분리하여 다루어야한다는 본고의 당초 방침은 바로 이 같은 소견에 입각하여 설정된 것이거니와, 전자의의미, 즉 참요의 민요적 원의가 정교하게 분석되지 않고서는 참요의 생성이나 소통과직접 잇닿아 있는 후자의 의미 역시도 온전히 해명되기 어렵다는 점에 유념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는 바로 그러한 입론을 실제 작품에 적용해 보고자 한 한가지 시도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카프의 연극대중화론과 정치연극의 대중적 형식

        이민영 한국극예술학회 2010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31

        This article discusses the KAPF's controversy of theatre-popularization around the audience in the 1930's. Specially, it treats the theatre-popularization discourse that suggested by Km Gijin, Sin Gosong and Min Byeonghwi who they were radical socialist art-theorists. First, their new discourse was based on Kim Gijin's comments about connection with the literature and the audience (or reader). The discourse was a part of their exploration to popularize the hard proletarian theatre which lost the lower class audience. They attended popular amateur theatricals base on local and traditional folk song like 'Arirang'. In addition, such trying was founded upon the culture of the era and the ground. These concernments about the traditional popular theatre came from trying to intimate with the lower class audience who likes a variety show which deals with conventional and vulgar taste. The result of practical action for agitprop, they proposed hybridized performance style that mixed several performances of different types such play, dance, song, comic talk, magic and so on. Moreover, they also proposed political Revue and Sprechchor. However, most of important thing used musical elements to make a form of new propaganda theatre. Therefore, the form of proletarian theatre was changed not visual theatre but listening theatre. In other words, KAPF's controversy of theatre-popularization discussed to organize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To organize the public or the labor for the struggle of classes, the theorists insisted to use performative and popular elements in popular theatre. The important were the matter of preference and using it for stimulate the emotion of the audienc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discourse about theatre-popularization eventually was that narrow the distance between audience and political propaganda theatre. 이 글은 1930년대 예술대중화론에서 발견되는 ‘관객’의 문제를 중심으로 김기진, 신고송, 민병휘 등이 ‘연극대중화’ 논의를 어떻게 진행시켜 나갔는가를 살핀다. 특히 그들이 프로예술의 관객을 어떻게 구획했으며, 그 관객을 아지․프로하기 위해 어떠한 공연 방식을 고민했는가를 고찰한다. 예술대중화론을 제기했던 김기진은 노동자․농민 관객을 다시 상층과 하층으로 구분하고 ‘하층의 관객’에게 다가갈 수 있는 작품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한 작품은 반드시 하층에 속한 노동자․농민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형식이어야 한다. 여기서 김기진은 1920년대 중반부터 지방을 중심으로 활성화 되고 있었던 ‘소인극’ 활동에 주목한다. 김기진을 위시해, 신고송, 민병휘 등은 소인극의 대중적 요소를 프로연극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자고 주장한다. 특히 하층 관객에게 익숙한 전통 민요를 가극으로 개사, 개작하는 것이 그 실천 방안으로 제시된다. 이러한 논의는 합법적 극장 공연이라는 카프 연극부의 강경 노선에 의해 소외되었던 관객에게 보다 가까이 다가가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다. 그리고 보다 실천적인 연극적 형식에 대한 논의가 민병휘의 정치적 레뷰, 신고송의 슈프레히콜에서 이루어진다. 민요의 가극화 및 레뷰, 슈프레히콜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연극 형식들은 기존의 전통적인 연극의 형식에서 벗어나 있다. 즉 장르 혼종적인 공연 방식이라든지, ‘보는 연극’이 아닌 음악적 요소를 강조한 ‘듣는 연극’의 형식을 띠고 있다. 즉 이들의 예술대중화론은 정치연극이 프로파간다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대중적 형식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 논의였던 것이다. 1930년대 진행되었던 카프의 연극대중화론은 정치연극으로서 프로연극이 성공하기 위한 전략으로 관객의 취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당대 흥행하던 ‘대중극’의 공연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자고 주장했으며, 그 핵심에 음악을 이용한 프로파간다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민요, 원시와 전통의 경계: 일제 사진엽서 소재 민요의 경우

        최현식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49 No.-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meaning and value of Joseon folksongs in picture postcards of Japanese Colonial Era. Scholars who worked for the government and group of singers of the time thought that the merits of Joseon folksongs are being honest, simple, realistic about life, non-technical, and wild. These, however, were based on stagnation of ideas, dependence, formalism and effeminacy. Keeping this in mind, this study illuminated cultural politics shown in picture postcards of ‘Arirang’ and various postcards of ‘Joseon folksongs’. In case of ‘Arirang’, different versions circulated such as the version that used both Korean and Japanese, the version translated in Japanese, and the version written in Japanese. In case there remained Joseon language and the symbols of ‘Arirang’, there were clear trace and nowness of ‘things that are Joseon-style’. The version translated in Japanese by Kim, So-Woon and others, was introduced to Japan as a version that reduced obscenity and vulgarity. However, the version that seems to have been written by a Japanese writer intensified the sexual desire of women(geisha). In many cases, various ‘Joseon folksongs’ were translated in Japanese or they appear in texts that have similar contents and emotions. ‘Joseon folksong’ that was translated by Kim, So-Woon shows a good depiction of the realistic, unique Joseon life and emotion. Japanese narrator, however, tend to take the approach of comparing ‘things that are Joseon-style’ which remain to be premodern and ‘things that are Japan-style’ which are advanced in civilization. Lastly, picture postcards where Japanese narrator talks about life, culture, and nature of Joseon show two tendencies. One is composed of images and songs that show the universal understanding and sympathy about Joseon culture, and the other is made up of images and songs that fixate decadence and vulgarity of Joseon by pushing sexuality to the extreme. From this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Joseon folksongs’ that were accepted and modified by Japan served as not only pleasures and entertainment but the major target of colonial cultural rule to differentiate and sequence the Japanese Empire and Joseon. 이 글은 일제시대 사진엽서에 실린 ‘조선민요’의 의미와 가치를 밝히기 위해 작성된다. 당시 일제의 관변학자와 가단(歌壇)은 ‘조선민요’의 장점을 솔직함과 소박함, 생활의 실감, 무기교, 야생성 등에서 찾았다. 그러나 이것은 조선의 단점들, 이를테면 사상의 정체성(停滯性)과 종속성, 형식주의와 문약성 등을 전제로 한 것이다. 이 사실에 유의하면서, <아리랑> 사진엽서와 각종 ‘조선민요’ 엽서의 문화정치학을 새로 밝혔다. <아리랑>의 경우, 조선어․일본어 병합본, 일역본, 일본어 창작본이 함께 유통되었다. 조선어와 ‘아리랑’의 기표가 살아있는 경우, ‘조선적인 것’의 흔적과 현재성이 역력했다. 다음으로 김소운 중심의 일역본은 <아리랑>에 보이는 외설성과 통속성을 순화하는 방식으로 일본에 소개되었다. 하지만 일본 화자의 창작으로 보이는 <아리랑>은 오히려 여성(기생)의 성적 욕망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다양한 ‘조선민요’들은 일본어로 번역되거나, 일본 화자에 의해 유사한 내용과 정서를 갖춘 텍스트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김소운 번역의 ‘조선민요’는 조선인 고유의 생활의 실감이나 내면정서를 비교적 잘 드러낸다. 하지만 일본 화자는 전근대에 머물러 있는 ‘조선적인 것’과 문명화에 앞선 ‘일본적인 것’을 대비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마지막으로 일본 화자가 조선의 생활과 문화, 자연을 노래하는 사진엽서들은 두 가지 경향을 보인다. 하나는 조선문화에 대한 보편적 이해와 공감을 보여주는 이미지와 노래로 구성된 것, 다른 하나는 섹슈얼리티의 극단화하는 방법을 통해 조선문화의 퇴폐성과 통속성을 고착시키는 이미지와 노래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의 분석을 고려하면, 일제에 의해 수용되고 개조된 ‘조선민요’는 오락과 유흥의 쾌미를 넘어, 일제와 조선을 차별화․서열화하기 위한 식민주의적 문화 통치의 주요 대상이었음이 잘 드러난다.

      • 藥泉 南九萬의 文學論 硏究

        김영주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3

        본 논문은 小論系 文學理論의 史的 展開를 파악하는 연구의 일단으로 그 대표자인 藥泉 南九萬(1629∼1711)의 文學理論을 고찰하였다. 藥泉 南九萬은 조선 최초의 陽明學 수용자로 거론되는 南彦經이 從高祖이며, 그의 집안과 절친한 張維나 崔鳴吉 一門 역시 양명적 학풍을 추구하였다. 또한 처남인 朴世堂의 주자학에 대한 비판적 경향과 老莊學에 대한 경도를 참고할 때, 그의 학문 경향이 당시의 일반 사대부들과는 뚜렷한 차이점을 가질 것으로 이해된다. 이점은 그가 관리로 재직할 때, 政務의 처리에서 民生의 安定과 實用을 거듭 강조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고대사에 대해 民族主義的이면서도 考證的인 입장에서 연구하여 17세기 이전의 학자들의 연구경향과 차이를 나타내면서 조선후기의 실학적 연구경향에 접맥되는 면모를 나타냈다. 약천은 부친인 南一星에게 주로 학문을 전수받고, 李明漢과 尹宣擧등에게 수학하였다. 교유 인물로는 朴世堂·朴世采, 李敏敍·李敏迪 형제, 李世華, 尹拯, 吳道一·柳尙運, 尹趾完 등이 있다. 특이한 것은 약천의 교우관계가 인척간을 중심으로 한 경우가 많다는 점인데 이는 학연과 혈연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黨脈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의 대표 제자로 거론되는 崔錫鼎·崔奎瑞·朴泰輔·李世龜 역시 少論의 대표적 인물임을 볼 때 조선후기 문학이론의 추이를 파악하는 데 있어 '黨脈'라는 정치적 요소를 배제할 수 없음은 분명해 보인다. 약천은 시대에 따른 文章의 변화를 비판적으로 직시하여, 후대의 문장이 摹擬와 거짓된 修飾을 일삼는 것을 비판하였다. 또한 그는 '文'의 개념을 '道의 體現'으로 간주하는 전통적 견해에서 벗어나 '文藝'의 차원으로 확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修身·經術 등의 목적의 달성에 있어 이러한 文과 道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道文相須論'을 전개하였다. 약천은 '自得之妙' 즉 '創新'을 중시하였다. 이를 위해 典範의 설정과 오랜 기간에 걸친 精審한 學習, 靈感과 直觀的 理解가 어우러진 순간의 '自得'을 강조하였다. 약천은 法古와 創新에 있어서 개인적 취향에 따른 極端的 追求를 지양하여 折衷的 태도를 취하기를 주장하였다. 그렇지만 法古와 創新의 관계에 대해 因果論的으로 파악하는 한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道文의 관계에 대한 당대의 보편적 인식에 비추어 볼 때, 그의 의식은 상당히 전진적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약천은 鄭斗卿·金得臣 등이 일반적인 學唐의 풍조를 탈피하여 漢魏盛唐詩를 모범삼아 『詩經』을 典範삼고 漢魏古詩와 樂府詩의 가치를 발견하여 적극적으로 창작에 반영한 점을 높이 평가하였다. 약천은 性情의 자연스런 표출, 國政經營의 補益, 個人 情緖의 眞率한 표현으로서 文의 가치를 인정하여 전통적인 溫柔敦厚의 詩敎와 『詩經』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였다. 그 결과로 古體詩와 歌行體, 樂府 등에 관심을 기울임과 아울러 우리의 民謠와 時調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하였다. 忠君·歎老·愛情·別離·婦女怨慕·田家閑居 등 다양한 제재의 時調와 民謠를 漢譯한 「飜方曲」을 통하여 이 시기의 일부 사대부들의 문학작품에 엿보이는 저층문화 이해의 시도 즉, 인간의 普遍的 情緖에 대한 관심을 확인시켜주었다. 이러한 경향을 추동하게 한 것은 壬丙 兩亂에 보여준 기층 민중의 역량과 17세기 이후의 復古的 文風의 영향으로 인한 고대 문학의 가치 再考, 朋黨政治의 영향 등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 藥泉 南九萬의 學問思想과 文學論이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의 문단에 나타나는 변화 양상을 적극적으로 수용·발전시켜 이후에 나타나는 朝鮮風의 文學創作의 始原으로서 그 일익을 담당했다고 할 수 있겠다. Yhak-cheon(藥泉) Nam Ghu-mann(南九萬, 1629∼1711)'s ancestor, Nam Yoen-geyong(南彦經) is the first scholar who accommodate 'a phiolsophy of Wang Yang-ming(陽明學)' in the Choson dynasty. He is very friendly with Jhang you(張維) and Choi Myeong-geel(崔鳴吉) family. They also pursue 'a phiolsophy of Wang Yang-ming(陽明學)'. His wife's brother, Park Se-dang(朴世堂) criticises the useless of the doctrines of Chu-tzu(朱子學) and seeks Taoism's learning(老莊學). In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we regard his learning tendency as differing from other scholars in the same age. This feature was confirmed by the emphasis on a practical effect and utility toward works. He studies ancient korean history from a historical research and national standpoint. In the result, his studying tendency differs from the scholars in the 17th century and was connected to 'a realistic school(實學派)' of the latter part of the choson dynasty. Yhak-cheon(藥泉) studies from his father, Nam Yil-seong(南一星), Lee Myeong-han(李明漢), Yhun Seon-geo(尹宣擧), and etc. He makes friends with Park Se-dang(朴世堂)·Lee Min-seo(李敏敍)·Lee Min-jeok(李敏迪)·Liu Sang-Yeun(柳尙運)·Oh Doe-yil(吳道一)·Yeun geong(尹拯), and etc.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his making friends is that it made up with an academic clique(學派), a political party(黨派). The executive of his disciples are Choi Seok-jeong(崔錫鼎)·Choi Gue-seo(崔奎瑞)·Park Tae-bo(朴泰輔), who were the executive of 'So-ron(少論)'. So, 'a political party(黨派)' and 'academic clique(學派)' are the essential element in the study of the literary theory of the latter term in Choson dynasty. Yhak-cheon(藥泉) looks straight at the change of the sentence following the age, criticizes the tendency of the imitation and the rhetorical flourish of those days. Through the reexplicating of 'Mun(文)', he suggests 'the necessity of Doe(道) and Mun(文)', 'Doe-mun-sang-suh-ron(道文相須論)'. In writing a creative work, he makes much of 'Jha-deok-jee-myo(自得之妙)', 'Chang-sin(創新)'. For this, ha emphasises on the selection of the literary model, the complete practice, the action of the inspiration and the intuitional comprehending. Between 'Beob-goh(法古)' and 'Chang-sin(創新)', he sublates the excess studying of one of them, and insists having the negotiational attitude. But in the relationship of them, grasping the point with the law of causality is his limit. Yhak-cheon(藥泉) admires Jeong Due-geyong(鄭斗卿) and Kim Deok-shin(金得臣), the reason why is that they follow the example of the poem of 'Han(漢)'·'Wee(魏)'·'Seong-dang(盛唐)'·'Song(宋)', finds out the worth of 'a Ahk-buh(樂府詩)' and reflects on the creative work. Yhak-cheon(藥泉) admits the worth of 'Mun(文)' for the reason of the natural expression of 'Seong-jeong(性情)' and the aid for the affairs of state. He emphasises on the 'Ohn-you-don-hue(溫柔敦厚)', and newly recognize teachings of 『Shi-goyong(詩經)』. In the result, he was concerned about a 'Go-che-si(古體詩)' and 'a Ahk-bhu(樂府)'. And he has an afresh understanding of a korean folk song(民謠) and a shi-jo(時調). Through the various theme, loyalty and love of people(忠君愛民), seperation(別離), women's reproaching and longing(婦女之怨慕), a sigh over an old(歎老), and etc. He shows his attitude for the culture of the masses, the interest about human universal emotion. It is made up of the masses's capacity which was showed in the Yim-beong-yang-nan(壬丙兩亂), recognizing anew of the worth of an ancient literature, a clique gonverment by the influence of reactionism in the 17th century. In conclusion, Yhak-cheon(藥泉)'s learning and literary theory was meaned as having a part of the source of a creative work of 'the mode for choson(朝鮮風)' in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