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 활동의 포토 이벤트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종혁(Jong Hyuk Lee),이철한(Cheol Han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09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PR 실무자가 퍼블리시티를 위해서 활용하고 있는 사진에 대한 인식, 활용전략, 윤리적 인식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PR 실무자가 포토 이벤트를 수행함에 있어서 고려하는 뉴스가치의 전략적 사용방법, 포토 이벤트의 의사사건 유형 및 수행전략, 포토이벤트 활용 시의 윤리적 고려사항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PR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와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PR 실무자들은 홍보하려는 대상의 뉴스가치가 적을 경우 오히려 적극적으로 포토 이벤트를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사회공헌, CEO 홍보, 기업문화 활동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진이 효과적이라고 PR 실무자들은 판단하고 있었다. 포토 이벤트를 수행할 때 고려하는 내용적 요인으로는 인물과 제품이 있으며 인물의 경우에는 유명인, 전문모델, 소비자 등이 사용되고 제품인 경우에는 제품 자체를 사용한 경우와 제품을 상징하는 소품 또는 상징물을 이용한 상황연출로 나누어 전개되고 있었다. 포토 이벤트 사용전략으로는 상황연출, 제품과 소재의 과장 연출, 참여인물 연출, 완성된 사진의 왜곡 등으로 요약되었다. 포토 이벤트 활용 시 사용되는 뉴스가치 제고전략은 주로 연성뉴스의 성격 중에서는 흥미성과 단순 볼거리 창출전략이, 경성뉴스 중에서는 시의성 제고전략이 주로 채택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PR 실무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포토 이벤트의 활용에 대해서 실무적으로 관심이 높으나 이론적인 고찰이 없다는 점에 대한 간극을 메웠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 practitioners` perceptions of photography, strategies, and ethics towards photo event.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PR practitioners` news value promotion strategies, using methods of photography, and types of photo events during the execution of photo event.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 and case study method were adopted. Results show that PR practitioners use photo event aggressively when the news value were rather limited. Also, photo events were frequently adopted when they dealt with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ograms, CEO relations, and corporate culture communication programs. The factors that PR practitioners consider during their use of photo event are people and products. Celebrities, professional models, ordinary consumers were adopted; products themselves and image or properties were used during photo event execution. The frequently used strategies are exaggeration, manipulation, and fake-presentation. The news value strategies of photo event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oft and hard news. In case of soft news, human interest and eccentricity were adopted and in case of hard news, timeliness strategies was adopt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fill the gap between PR practitioners` interest in photo event and lack of academic approaches in photo event.

      • KCI등재

        한,미 지역일간지 1면 기사 콘텐츠의 구성방식 비교 분석: 기사의 유형, 구조, 내용 그리고 사진 및 인포그래픽 제시방법 등을 중심으로

        고영철 ( Young Churl Ko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한국의 5개 지역일간지(<강원도민일보>, <대전일보>, <제주일보>, <한라일보>, <제민일보>)와 미국의 3개 지역일간지(<The Spokesman- Review>, <The Lewiston Tribune>, <Moscow-Pullman Daily News>) 등 모 두 8개 신문 1면 기사를 대상으로 뉴스 콘텐츠 구성방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를 알아보기 위해 내면적 요소와 외형적 구성요소 등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첫째, 한.미 지역신문 1면 기사의 유형, 구성방식 그리고 기사내용 의 성격 등에 있어 신문들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한국신문들 1면에는 기사의 질적 수준이 낮다고 평가되는 스트레이트 뉴스와 속보성 정보전달 을 위해 개발된 역삼각형 기사 그리고 경성적 뉴스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둘째, 1 면 기사의 제시방법(사진, 표, 지도, 그래프, 삽화, 로그/심볼, 컷 등)을 분석한 결 과, 미국신문들은 한국신문들에 비해 사실을 과장하거나 오도할 수 있는 삽화, 표, 컷 등을 거의 사용하지 않은 대신 지면을 미화시키고 현장감을 생생히 전달할 수 있는 사진들을 2배 이상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신문들 1면의 인물사진은 한국사회가 여러 측면에서 다원화되고 민주화가 이루어져 있음에도 불 구하고 여전히 특정 계층과 성별-대통령을 비롯한 주요 공직자들과 남성-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음이 발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way of composing news contents on the front pages of local newspapers that are being published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ose newspapers looked into were <Jeju Ilbo>, <Halla Ilbo>, <Jemin Ilbo>, <Daejeon Ilbo> and <Kang Won Domin Iibo> from South Korea, and <The Spokesman-Review>, <The Lewiston Tribune> and <Moscow- Pullman Daily News> from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local newspapers from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types of news articles, the forms of news writing and the style of news story. The articles of front pages of Korean newspapers were standardized in the types of news articles and relied on the inverted pyramid form of news writing that was developed to report news much faster. Second, seeing the result of analyzing the way of presenting news articles such as photos, tables, maps, graphs, illustrations, log/symbols, and cut, etc., the US local newspapers restricted the use of illustrations, tables, and cut that might exaggerate or mislead the facts unlike the Korean local newspapers. Instead, the US local newspapers were utilizing photos that could appear better and delivering the scene realistically. On the other hand, certain groups of people and gender were still being used on the front page portraits of the Korean local newspapers, for example, key officials including the president and men although Korean society has diversified in many respects and been democratic.

      • KCI등재

        카드뉴스의 서사전략과 이미지 내러티브

        강현구 ( Kang Hyun-ko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0

        카드뉴스는 이미지의 선호, 뉴스의 연성화, 모바일의 부상, SNS의 활성화 등 시대적 조류에 호응하여 앞으로도 가장 중요한 뉴미디어 뉴스이자 콘텐츠로 성장할 것이다. 카드뉴스의 성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 현재 가장 두드러진 성과와 대중적 기호를 보이는 카드뉴스의 실체와 경쟁력을 탐구할 필요가 있고, 현재 카드뉴스의 가능성을 가로막고 있는 결정적 한계를 넘어설 제언이 필요한 시점이다. 카드뉴스의 속성으로 자리잡은 정보, 재미, 감동의 세 축에서 감동을 선도점으로 재미와 정보를 아우르는 ‘열정에 기름붓기’와 정보를 선도점으로 재미와 감동을 아우르는 ‘스브스뉴스’의 서사전략과 아이코노텍스트적 특성을 탐구하였고, 아울러 다른 모든 카드뉴스를 포괄해 새로운 제언으로 이미지 시퀀스, 이미지 내러티브, 포토 스토리로서의 새로운 관점과 제작 및 리터러시 주안점과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열정에 기름붓기’는 감동을 바탕으로 동기부여 및 자기계발의 콘텐츠라는 선명하고 변별적인 콘텐츠관, 뉴스관으로 ‘공유와 확산’이라는 SNS의 속성을 꿰뚫어 최상의 성과를 보였다. ‘열정에 기름붓기’의 경쟁력의 원천이자 소구점은 ‘핍진성과 지연서사’, ‘육성적 진술’, ‘경구’, ‘발상의 전환’으로 규정할 수 있는데, 바로 이런 소구점들이 ‘열정에 기름 붓기’ 카드뉴스의 변별적이고 감동적인 호소력의 근원이 되고 있다. 삶의 역경과 극복의 드라마가 펼치는 핍진성과 지연서사, 한 인물의 육성적 진술이 주는 절절한 진솔성과 설득력의 힘, 촌철살인의 경구로 제시되는 삶의 지혜에 대한 통찰력이 보이는 경이로움, 삶과 세상의 이면을 들여다보는 착상의 신선함 등이 ‘열정에 기름붓기’의 이야기를 강렬하고 생동감 있게 그리고 절실하게 보이도록 만드는 비결과 힘이다. ‘스브스뉴스’는 ‘교양’, ‘감동’, ‘지식’의 세 축을 중심으로 카드뉴스, 뉴스를 제작한다는 뉴스제작관을 처음부터 매우 분명히 표방했는데, ‘교양’, ‘감동’, ‘지식’의 세 지향점은 비록 그 성격상 미묘한 차이가 있다 하더라도, 잘못된 통념에 대한 명쾌한 질타가 주는 신선한 충격성, 완결성 있고 경이로운 지식을 접한 지적 호기심의 고양된 발현, 감동의 숭고함과 절실함, 일상과 관련된 비밀과 신이함을 파헤치는 정보와 지식이 주는 지적 즐거움 등을 선사한다. 그만큼 흥미로움과 만족감을 주는 것이며, 공유와 확산의 욕구를 높이는 길이 된다. 지적 엄숙주의로부터의 자유로움, 친근하고 감성적인 어조, 일상적 소재의 중시, 관점의 다양성의 중시, 통념과 상식에 대한 철저한 반성적 사고, 오락과 재미에 대한 개방적 태도 등은 스브스뉴스 제작진의 한결같은 제작관이다. ‘지식’과 관련하여 스브스뉴스는 ‘지적 호기심과 비밀’이라는 서사전략을 구사하는데, 그 주제를 ‘특정 공간과 그 공간 속의 독특하고 신이한 사물이나 문화’란 관점에서 의문의 사실을 밝히는 즉, ‘의문의 사실제시’-‘비밀의 풀림’이라는 추리서사 구조로 다룬다. ‘뉴스는 교양이다’라는 뉴스제작관과 관련하여서는 세상의 모든 통념에 대해 그 이면과 속성을 비판적으로 들여다볼 필요가 있으며, 통념에 내재된 편견은 가장 경계해야 될 대상으로 비판한다. 특히 편견적 통념의 희생양이 된 한 인물의 인생 역정을 다루면, 서사의 입체감은 한결 뚜렷하게 되는데, 시련을 극복하고, 자신의 신념을 관철하는 새로운 길을 제시하는 기회의 장으로 열리며, 헌신적 희생, 비범한 지략, 불굴의 용기가 펼치는 영웅담이자 모험담이 펼쳐진다. 스브스뉴스에서 감동의 드라마를 다룬 편들은 침몰하는 전쟁터에서 벌어진 기적 같은 평화 무드나 참혹한 개인사와 그 주변 선인의 상상하기 힘든 헌신성 등을 다루고 있는데, 이런 이야기들은 저명하거나 역사적인 사건과 인물이어서 익숙한 공감을 이끌면서도 한편으로 그 사건과 인물의 이면에 감추어진 각별하고 놀라운 사연을 드러내고 있어 신선감과 흥미로움을 가져온다. 그만큼 제작진이 보이는 기획의 힘을 느끼게 한다. 카드뉴스가 레거시 미디어로부터 이어지는 ‘뉴스’, ‘기사’의 통념의 한 축에 여전히 매여 있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취재, 보도할 주제나 대상에 대한 ‘뉴스’, ‘기사’의 전달에 있어 한 편의 카드뉴스에 담긴 텍스트의 연속성, 완결성에 보다 경도되어 치중하고 있다는 점을 반성적 시각으로 돌아보아야 한다. 비록 텍스트의 내용에 부합하는 명료하고 인상적인 이미지를 제시하는 노력을 기울이지만, 휴대폰과 같은 디지털 매체를 통한 감상이라는 환경하에서 초단위로 스와이프 하며 넘어가는 수용 환경을 고려하면 이미지의 중요성, 이미지 시퀀스, 이미지 내러티브의 중요성을 훨씬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카드뉴스의 모든 장마다, 스프레드마다 펼쳐지는 이미지의 완결성 있는 미학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출발하여 인물사진의 경우는 텍스트가 그려내기 어려운 강렬한 인상의 구축, 감각적인 정서적 환기력, 공포와 슬픔 같은 극적 정서의 표출, 내면의 깊이를 통찰력 있게 드러내기, 포커스, 역동적 움직임, 구도, 프레임 속 공간 등에 관한 치열한 고민과 창조적 상상력, 그리고 그것을 재현할 기법에 대한 탐구 등을 필요로 한다. 동시에 공간사진의 경우도 현재 카드뉴스에서 빈번하게 보이는 속도감과 공간감이 절실하게 부각되지 않는 사진 이미지, 사물성만이 드러나 정서적 환기력이 미흡한 이미지, 내용과의 상응성이 부족한 정태적인 공간 이미지, 별다른 암시점이나 조응성이 부족한 사진 이미지 등에 대한 철저한 반성적 시각이 필요하다. 텍스트에 제시된 특정 아이템이나 화두에 문자 그대로 즉물적으로 대응하는 공간과 사물 이미지를 기계적으로 제시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자칫 제작진의 관심이 소재적 차원에 머무른다는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카드뉴스가 가진 이미지 중심의 속성, 휴대폰과 같은 미디어 기기에서의 스와이프 감상 형태, 뉴스의 연성화 추세 등에 비추어 일련의 이미지를 통한 이야기 전달이라는 이미지 시퀀스, 이미지 내러티브, 포토 스토리로서의 속성은 철저한 반성적 시각과 새로운 제작 및 리터러시 상의 방법론이 절실히 필요한 부분이다. 일련의 연결된 이미지로 이야기를 만드는 이미지 시퀀스, 이미지 내러티브에 대한 치밀한 고려는 리듬과 페이싱(적절한 순간이 닥치기 전까지 가장 중요한 장면을 아껴두는 호흡)에 대한 배려에서부터, 설정 숏의 절묘함, 대비 숏의 활용, 인과 관계 설명의 명료함, 색의 기조 설정, 색조의 적절성, 페이스의 유려한 흐름, 키 샷의 적절성 등으로 확연하게 드러나는데, 이럴 경우에야 그런 이미지 시퀀스, 이미지 내러티브를 가진 카드뉴스가 재미있고, 인상적이며, 이야기를 명료하게 전달하는 힘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카드뉴스는 이제 이미지 시퀀스, 이미지 내러티브, 포토 스토리 측면에서의 경쟁력을 생각할 때인 것이다. 결국 정리하면 우리는 현재 제작, 유포되는 카드뉴스가 텍스트의 서사적 구성 즉 맥락적 연결성에 좀 더 치중하여, 이미지마다의 정서적, 그래픽적 완성도나 이미지 시퀀스, 이미지 내러티브로서의 관점은 매우 미흡하다는 사실을 더욱 절실한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 텍스트의 인물, 사물, 사건에 즉물적으로 대응하는 소재적 차원 관점에서의 이미지 제시가 빈번하여 보조 자료로서의 기능에 머무른다거나, 이미지 본연의 생래적 특성과 매력에 대한 무관심, 아이코노 텍스트에서의 텍스트와 이미지의 상응성에 대한 고민의 부족 등과 함께 ‘리듬과 페이싱’, ‘구도, 색조, 조명처리 등의 그래픽적 요소의 맥락성과 리듬’, ‘설정 숏, 키 숏, 마무리 숏 등의 이미지 내러티브 상의 숏의 완성도’ 등이 현저히 미흡하기 때문이다. 카드뉴스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는 이런 관점을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는데, 실제로 카드뉴스의 제작 및 감상의 현장에서 이런 관점 자체가 중요하게 논의되거나 활용된 경험이 없기 때문이다. Card News is well - matched with new media circumstances. Softness news, SNS upsweep, Swipe appreciation method etc. In that respect, 'Pouring oil on enthusiasm'and SUBUSU NEWS are the superior card news. And image narrative, image sequence, photostory on considering card news create a story with a series of images. 'Pouring oil on enthusiasm' is motivation and self-improvement contents. The key point of narrative strategies are verisimilitudity, voice statement, epigram, shift a viewpoint. Making the ordeal story naturally, to secure probability on dramatic turn, empathize with the truth of life,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of ideas. The goal of SUBUSU NEWS are seeking knowledge, lessons, and inspiration. Using intellectual curiosity and secrets, focusing on reflection on conventional wisdom and prejudice, using heroic stories and adventure stories, focusing on overcoming the ordeal with indomitable will and dedication to others in a story dealing with emotions. Card News create a story with a series of images. So, image narrative, image sequence, photostory are important. Graphical and emotional integrity of the image is important. At the same time, consider the image narrative, image sequence, photostory as well. Rhythm and Pacing, setup shot, key shot, composition of hue and contrast, consideration of Iconotext etc. This point of view is important in the production of card news.

      • KCI등재

        스포츠 포토저널리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조선일보에 실린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뉴스사진을 중심으로-

        이소라 ( So Ra Lee ),양종훈 ( Jong Hoon Yang ) 한국사진학회 2015 AURA Vol.0 No.35

        Sports is an important subject of photojournalism. News photo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era of images. In particular, sports is the special field because we can get information form sports news pictures without text. Nevertheless, the existing studies on sports photojournalism has been used as a secondary means to prove the ideology of Ne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the sports photojournalism itself. Research question is “How sports photos are published in newspaper?”- constituted three subconcept : format, content and description. I analyzed all of Sochi Olympic news photos(270) published in ChosunIlbo which is the largest newspaper in Korea. In the format, the average picture size was 10370.026㎟ and photos printed in color was 90.7%. Eye-level and medium shot were used a lot. This paper proved that sports is important subject of photojournalism. Photos printed in ChosunIlbo were mostly related with games. However, 17% pictures were like ID photos as a ‘wallpaper’. We can only know who they are through the photos. Athletes wearing sportswear were common in news photos. Only a few athletes had frequently appeared in the pictures. This means that newspapers were interested in the one of photojournalism values - prominence - too much. Players in the photos usually showed positive and passionate expression, which are easily transmitted to the reader. Angle, shots and characters were not various except the facial expression. In other words, sport is a visual target. However sports pictures in the newspapers were not taken variously.

      • KCI등재

        장애인에 관한 신문사진의 특성 연구 : 조선일보·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Focusing on the chosunllbo and the Hankyere

        양종훈,김금녀 한국사진학회 2005 AURA Vol.0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Newspaper's photos are representing a handicapped person through content analysis.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 of the handicapped person photos on two newspapers, the Chosunllbo and the Hankyere, from March, 2003 to June, 2004. Through content analysis, the quantity and space of Newspaper photos, the related photos of Newspaper stories and photos, subjects of photos and the categories of the Handicapped person were checked. A total of 238 newspaper photo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 of contents and subjects of photos between the Chosunllbo and the Hankyere. More specifical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a success and praiseworthy stories photos in the Chosunllbo are more many than in the Hankyere, on the other hand, the demonstration and rights of the handicapped person's photos were more many than in the Chosunllbo. And the Hankyere was to emphasize policy issues of the handicapped person over personal images. Finally, both the Chosunllbo and the Hankyere were more likely to rely on emotional appeals. But the Hankyere relied less on emotional appeals than in the Chosunllbo. This study is focused on content analysis of the handicapped person photos But this study has a many limitations not enough to analyze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ttribution of newspaper's photos. Thus I wish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rough deep case studies.

      • KCI등재

        뉴스사진의 시각문법 구조 분석 -2009년-2018년 세계보도사진 올해의 작품을 중심으로-

        왕뢰,신인식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9 조형미디어학 Vol.22 No.2

        Having developed for more than one century, news photography has been constantly updating the human visual experience of the objective world and their mode of receiving information. How visual symbols in photographic works convey their own value and social value has become the focus of the photography and the press circles. As a worldwide press photo competition, it is benchmarking to study on its World Press Photos of the Year. Therefore, the relevant annual award-winning works over the past decade are taken as the research object in the paper. Based on the theory of Visual Grammar, combined with the visual elements of news photography works, the paper conducts an analysis of the image, scene, angle, tone, layout and other visual elements in news photography works from three perspectives, namely representational meaning, interactive meaning and compositional meaning.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in terms of the “representational meaning”,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news theme of World Press Photo shows the information direction of “war, violence, terror and humanity”. The "Interactive meaning" manifests participation, communication, appealing and arousing the power of communication. The "compositional meaning" presents a concise, conservative and traditional form of composition, which interprets the professional and globalized social value of World Press Photo news from the overall perspective. Therefore, it is of certain theoretical value to propose the analytical framework of news photography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of Visual Grammar. At the same time, it is also of certain practical significance to the promotion of news communication. 뉴스사진 촬영은 백여 년의 시간을 거치며 발전을 하면서 객관적 세계에 대한 인류의 시각적 체험과 정보에 대한 수용 방식을 꾸준히 변화시켜 왔다. 사진 촬영 작품에서 직관적인 시각 기호는 어떠한 방식으로 자신의 가치와 사회적 의미를 전달하느냐는 것은 사진 촬영 학계와 뉴스 학계가 주목하는 주요 논점이 되었다. 세계보도사진전은 세계 뉴스 촬영 대회인 만큼 이러한 논점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수상 작품에 대한 연구는 매우 의미가 있는 일이다. 그러므로 본고는 최근 10년 동안의 올해의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시각문법을 이론적 기초로 하여 뉴스사진 작품의 시각적 구성 요소를 결합시킨 다음에 재현적 의미, 상호작용적 의미, 구성적 의미 등 세 가지 관점으로 뉴스사진 작품에서의 이미지, 관측거리, 각도, 톤, 구조 등 다양한 시각적 요소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현적 의미'에 있어서 세계보도사진전의 뉴스 주제의 발전 추세는 전쟁, 폭력, 공포, 인성 등의 정보적 지향을 나타내었다. '상호작용적 의미'에 있어서는 참여, 교류, 호소, 교류의 힘에 대한 환기 등을 나타내었다. '구성적 의미'는 세련되고 보수적이며 전통적인 도면 구성 특징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세계보도사진의 전문성과 글로벌화 된 사회적 가치를 전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문법 이론을 배경으로 뉴스사진 작품의 분석 구조를 제시하는 것은 충분한 이론적 가치를 지니며 동시에 신문 및 뉴스 방송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매우 현실적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기업의 포토이벤트 뉴스가치에 대한 사진기자의 윤리적 인식 형성에 관한 연구 - 신문 경제면 보도사진을 중심으로 -

        조영호(Youngho Cho) 한국언론법학회 2020 언론과 법 Vol.19 No.3

        본 연구는 신문의 경제면에 게재되는 기업의 포토이벤트를 취재하는 사진기자들이 선택하는 뉴스가치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인식의 문제를 심층인터뷰를 통해 탐색해 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기업의 포토이벤트를 취재하는 사진기자들은 뉴스가치의 판단준거로 규범적 뉴스가치와 실용적 뉴스가치를 혼용하고 있었으며, 기업의 광고성 PR성 보도사진을 취재하는 과정에서 양가적 태도와 딜레마적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파악했다. 현장의 사진기자들은 경제면에 게재되는 PR보도사진이 광고와 보도사진의 교환이라는 인식이 높을수록 규범적 뉴스가치를 적용하며 딜레마적 태도를 보였으며, 반대로 인식이 낮을수록 실용적 뉴스가치를 적용하며 기업의 호의보도를 적극적으로 취재하는 양가적 태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뉴스가치의 조정과 타협의 과정으로 이어졌으며, 호의보도는 보도사진의 객관성이라는 명제와 충돌하면서 사진기자들에게 가치와 인식의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e the news value selected by photojournalists who report on corporate photo events published on the business news section of newspaper. And also examine the issue of ethical perception formed in the commercial news production mechanism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r the purpose of this exploration, this study took a hard look at the perceptions of photojournalists who cover corporate photo events news by focusing the concepts of ambivalence and dilemma. As a result, this study came to ascertain the phenomenon of the forms of two conflicting news values and it is revealed as ambivalent attitudes and dilemma attitudes from photojournalists. In detail, photojournalists who tacitly agreed with covering corporate events photos showed ambivalent attitudes. However photojournalists who applied events photos as a behavior of the exchange of favorable news coverage showed dilemma attitudes. This findings provides an significant opportunity to contemplate the role and function of photojournalism, and to imply that the perception of photojournalists who meet with an ethical issues by two conflicting news values in the commercial news production mechanism.

      • KCI등재

        보도사진 표현층위의 조형범주 분석

        김은정(Kim, Un Cho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2

        보도사진은 의도를 가진 시각적 표현형식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매체이다. 보도사진 연구는 언어적, 시각적인 측면의 상관성, 카메라를 통한 기계적 약호분석, 의미구조 및 해석, 독자의 반응 및 태도변용, 왜곡, 이데올로기, 정치관련 및 선거보도, 보도윤리 및 사회적 책임, 신문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등으로 다양하게 행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와는 다른 방향성을 가지고자 하였으며, 보도사진은 내용 전달을 목적으로 하므로 큰 영역에서 언어범주에 포함되며, 보도사진의 조형 요소 또한 언어의 규칙 속에 잠재되어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사진 표현면의 구조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위험’주제 재난 보도사진으로 범위를 제한하였으며, 플로슈의 조형기호 분석에 기대어 분석틀을 설계하였고, 이를 통해 문법적 차원에서 이미지 분석을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1,193건의 ‘위험’주제 보도사진을 대상으로 사진이미지 분석에 경험이 있는 디자인학 박사1인, 박사과정3인, 석사 1인이 교차하여 공동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 연구자가 설계한 분석틀에 의한 조형범주(위상범주, 색채범주, 형태범주)분석의 가능성을 검증하였고, 각 범주마다 분석의 시각요소가 다양하게 추출되었다. The news photos are the media that have an intention with a visual expressive formation. The studies of the news photos are done in various ways targeting linguistic, correlation in the visual aspects, mechanical code analysis through cameras, structure and interpretation of meaning, response and attitude change of readers, distortion, ideology, politics related and election report, news ethics and social responsibilities, and the entire newspapers. Therefore, this study purposes to have different direction than the previous studies as attempting to have a structural analysis of expressional aspects of photos by assuming that the news photos are included in the range of language if seen widely as it purposes to transfer contents, and the formative elements of news photos may be hidden under the linguistic rules. The range was limited to the disastrous news photos with a topic of ‘danger’, and the analysis frame was designed based on the analysis of Floch`s Visual Semio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ages in grammatical aspects through such. The study was processed for 1,193 ‘danger’ news photos with an analysis method done by 1 PhD, 3 in the doctoral course, and 1 with master degree in Design who has experiences in photo image analysis to cross analyze together. The result of the study proved the possibility of the plastic art"s range (topological range, color range, formative range) analysis, and each range extracted various visual elements of the analysis.

      • KCI등재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뉴스 사진이 수용자의 뉴스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김정규 한국소통학회 2015 한국소통학보 Vol.26 No.-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기업의 위기관리는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중요한 이슈로 간주되고 있다. 이 연구는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의 전략과 뉴스 사진 간의 관계를 고찰하여 보다 효율적인 홍보성 위기관리 메시지 제작에 공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일반 공중은 위기를 맞은 조직의 수용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방어 전략보다 높은 수준의 뉴스 메시 지 진실성, 신뢰성, 적절성을 보인다고 평가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주효과는 뉴스 사진의 형 태(대변인 vs. 피해자 사진)에 따라 매개되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뉴스 메시지에 대한 공중 의 평가는 수용 커뮤니케이션과 피해자의 사진이 혼합되어 사용될 때 가장 높은 수준의 호의 적 평가를 보였으나, 반대로 가장 낮은 효과는 방어 커뮤니케이션과 피해자의 사진이 혼합된 조건에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홍보 실무자가 위기관리 메시지의 효과 극대화를 위해서 는 뉴스 사진 선택도 신중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In contemporary media environment, crisis of a corporation is vital issue which would decide their radical recession in terms of financial and reputation.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and news photo on public’s evaluation about PR messages of the crisis corporation. Notable findings are following: public evaluated acceptance strategy as crisis communication message showed higher level of truth, trust, and appropriateness than denial crisis response. Moreover the effect of the communication strategy was moderated by news photo type significantly. Specifically, public’s evaluation on crisis communication message marked highest for the combination between acceptance strategy and a victim news photo, in the other hands combining between defensive strategy and a victim photo showed lowest evaluation level. More theoretical rationale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인터넷신문의 특성과 보도사진 사용에 관한 연구 -신문사 홈페이지 분석을 중심으로-

        안시준 ( Si Joon An ) 한국사진학회 2012 AURA Vol.0 No.26

        The news photography which is used to newspaper medium basically the photo for a medium be undergoes the influence which is a directness to change of medium because. By the change of the namely media currently the newspaper photo is being put to request of reform. The namely digital communication technique develops, creating and consuming of news from this paper printed matter moves is quickly with the digital network namely internet. Smartphone participating which from 2009 is supplied specially with high speed is really dazzling. As for such environmental change the newspaper photo as for under photographing is becoming the biggest threat to the photographer. From the newspaper publishing company the cameraman who majored the photo hires does not do any more. Also becomes larger day by day and the newspaper publishing company true meaning portion by the photo specialist with effect of the internet newspaper is decreasing. The photographer pursues consequently to change of such environment in order to grope the direction which will do. Examined the direction which through Internet Homepage analysis of the newspaper publishing company the pro report photographer will aim speci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