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s Party Identification Responsible in Korea? An Explanation of Unstable Party Identification in Terms of Voters’ Evaluations

        신유섭 한국학술연구원 2012 Korea Observer Vol.43 No.2

        Party identification in Korea is characterized by frequent change. This situation raises the important question of whether unstable party identification can still be responsible. It remains to be determined whether such frequent changes are caused by voters’responsible consideration, taking the form of behaviors such as candidate evaluations, or simply a consequence of the unstable political party system. If party identification merely fluctuates with the unstable party system, then the role of party identification in political choices needs to be discounted. This article tests this point with panel data collected during a nine-month period around the seventeenth presidential election and shows that although Korean party identification is highly unstable, it also tends to be responsible and meaningful: Korean party identification varies according to voters’ various evaluations, even after controlling for ideology and past party identification. This tendency is more obvious among voters who are more educated, younger, and who live in large cities.

      • KCI등재

        정당일체감 형성요인 분석: 정강, 정당지도자 및 정당활동가

        한정훈 ( Jeong Hun Han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2 한국과 국제정치 Vol.28 No.3

        본 연구는 한국 유권자들의 정당일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특히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을 중심으로 각 정당이 제시하는 정치적 대안을 통해 유권자들이 정당일체감을 형성해가는지를 모색한다. 이를 위해 우선 지역별 정당일체감의 통시적 변화를 살펴보고, 정당일체감이 지역적 차별성에 종속되지 않고 출신지역 이외의 요인에 의해 형성될 가능성을 보인다. 다음으로, 한국 정당정치의 특성을 고려한 후 정당의 정책과 정강, 정당지도자 및 지역 정당활동가의 능력과 자질 등의 정당내적 요인이 정당일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경험적 가설을 제시한다. 제19대 총선 직후 실시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당지도자의 능력과 자질은 한국 유권자의 정당일체감 형성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지닌다. 둘째, 정당의 정책과 정강은 일정 정도 정당일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선거시기 유권자 동원을 위해 일시적으로 제시되는 선거이슈에 의해 그 독립적 영향력을 구별하기는 힘들다. 셋째, 지역 정당활동가는 한국 유권자의 정당일체감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whether party identification among Korean voters is developing as a new source of voter mobilization by political parties.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Saenuri Party and the Democratic United Party, it examines the role of internal party factors such as party platforms, party leaders and party activists on the development of party identification. In so doing, it first shows that Korean voters do not completely identify themselves with a specific party based on their regional attachment, which implies an independent development of partisanship from the traditional impact of regions on voter mobilization. Second, after analyzing a survey data, I find that the internal party factors to some degree ha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party identification. Specifically, Korean voters develop their party identification as they come to recognize much clearer difference between parties through the policy and the leadership alternatives. But the impact of the party activists on the development was shown to be negligible.

      • KCI등재

        정당의 명칭변경에 대한 한국 유권자의 인식과 정당일체감

        한정훈 ( Jeonghun Han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9 한국과 국제정치 Vol.35 No.2

        본 연구는 정당일체감이 한국 사회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정당의 명칭변경에 대한 유권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특히 정당일체감과 명칭변경 전후의 정당에 대한 유권자 인식 간의 내생성을 반복모형(recursive model)에 반영하고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2017년 대통령 선거 직전에 이루어진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한 분석결과는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정당일체감이 명칭변경 이전의 새정치민주연합과 더불어민주당을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정당으로 인식하는 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유권자의 정당일체감이 서구와 달리 특정 정당에 대해 일관되고 지속적인 평가를 위한 기제로 작용하지 않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또한 한국 정당들의 빈번한 명칭 변경이 정당일체감의 안정적 유지를 방해하는 부정적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함의한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impact of the party identification on how voters perceive party label change. In particular, it considers the potential endogeneity problem existing between the party identification and voters’ perception on party label change. Relying on a recursive bivariate probit model to deal with the endogeneity problem, it analyzes how the party identification to the Minju party affects the voters’ evaluation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 and the Minju party. Results show that party identification to the Minju par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voters’ perception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arties. This suggests that party identification in Korea might not be stable enough to develop a consistent understanding of political parties. It also implies that Korean political parties whose labels have been frequently changed over time might prevent the development of stable party identification among Korean voters.

      • KCI등재

        한국 유권자의 정치신뢰와 정당일체감

        윤종빈(Jong Bin Yoon),김윤실(Yoon Sil Kim),정회옥(Hoi Ok Jeong) 한국정당학회 2015 한국정당학회보 Vol.14 No.2

        본 논문은 한국 유권자의 정당일체감의 규모와 변화, 형성 요인 등을 살펴본다. 특히 정당일체감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서 정치신뢰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유권자의 정치신뢰가 정당일체감의 유무 및 분포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어떤 유권자가 정당일체감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정당을 지지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정당일체감을 가진 유권자의 비율은 높다고 할 수 없지만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는 한국 유권자의 정당일체감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지속되고 있다는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권자의 정당일체감에 미치는 정치신뢰의 영향력도 비교적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유권자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통제한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정치신뢰가 높을수록 정당일체감을 가지며 특히 다른 정당보다도 여당인 새누리당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정치신뢰가 낮을수록 민주통합당을 포함한 야당을 지지하거나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파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유권자의 정치신뢰가 기존 정당 전반에 대한 태도와 연결되는 동시에 여당과 야당에 대한 지지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권자의 정치 불신이 여당에 대한 지지를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정치권 전반에 대한 불만족과 정당 약화를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party identification of Korean voters,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political trus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which voters have party identification and party support. This paper found that the number of voters who have the party identification has been increased in Korea. In addition, this paper tested the influence of political trust on the party identification. The regression analysis controlling for socio-economic factors of the voters showed that the higher the political trust is, the more voters have the party identification, especially tending to support the current ruling party. On the other hand, the voters who have lower political trust are more likely to support the opposition or be independents. Therefore, we may conclude that the political distrust of Korean voters undermines their support to the ruling party. It also brings about dissatisfaction with overall political community and weakens political party.

      • KCI등재

        미국인들의 정당일체감과 이슬람에 대한 태도

        정회옥(HoiOk Jeong),김윤실(YoonSil Kim),윤종빈(JongBin Yoon)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5 국제정치연구 Vol.18 No.2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anti-Muslim sentiments among Americans, focusing on the impact of party identification. Much research on Muslims have been devoted to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s, while the political aspect of Muslims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By analyzing the role of party identification in the formation of anti-Muslim sentiment, this research attempts to contribute to the previous literature.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s that Americans’ attitudes toward Muslims are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party identification, religion, economic situation, and personal relations with Muslims. Although the influence of party identification is found to be rather limited, the result shows that those who are identified with the Democratic Party are more likely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Islam, while respondents who are identified with the Republican Party or Independents do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 with anti-Muslim sentiments.

      • KCI등재

        독일정당제도의 균열이론적 고찰

        김종갑(Kim Jonggab) 21세기정치학회 2003 21세기 정치학회보 Vol.13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parties and party systems in Germany and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identification and the support potential of political parties, including the development aspect of the parties, between 1945 and today. The theoretical bases for this article includes the Cleavage Theory of S.M. Lipset and S. Lokkan. The assumptions being made are that political parties could extend its support potential as long as they maintain their ideological identification. The 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parties in Germany show, that most parties like the FDP(Free Democratic Party), PDS(Party of Democratic Socialism), Grüne(Federation 90/The Greens) and the ultraconservatives, have failed to extend their support potential, due to ideological hindrances and regional limits. In contrast to those parties the SPD(Social Democratic Party of Germany) and the CDU/CSU(Christian Democratic Union of Germany/Christian-Social Union) could become 'catch-all-parties', because they can gain the wide-ranged support from middle class and at the same time, preserve their ideological identification. For example: The SPD, the leftists, adopted the Godesberger program, which can change its image of a former 'worker party' and extend its support potentials toward the middle class. The CDU/CSU also gave efforts to obtain the support from middle class, both parties, however did not abandon their own support classes, leftists for SPD and rightists for CDU/CSU. Therefore, it demonstrates that the harmonizing of party identity and the enlargement of support potentials enables the stable development of parties and party structure. It is essential, that political parties approach different classes, within different party program, in order to guarantee a constant development.

      • KCI등재

        정당일체감이 원자력에너지 안전성과 확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

        권순환,이태동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2 韓國 政治 硏究 Vol.31 No.3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party identification on citizens’ perception of nuclear energy 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citizens’ perception depending on party identification regarding the nuclear energy that have been at the center of energy policy conflict in South Korea for the recent years by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for four years: 2010, 2014, 2016, and 2018.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party identification for Democratic Party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nuclear energy only in 2016, and other than that, it was found that party identification for a particular party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At the same time, the evaluation of the ruling party’s governmen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perception of nuclear energy. Specifically, the positive evaluation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nuclear energy, but the positive evaluation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that. These outcomes might reflect the reality of Korean politics, where party politics is not well-institutionalized and presidential politics are still dominant. Therefore, when we measure the citizens’ perception of energy, while measuring the effect of party identification, we should consider the how people think about the government’s performance. 본 연구는 2010년, 2014년, 2016년, 2018년 총 4개년의 한국종합사회조사자료(KGSS)를 사용하여 근래 한국 에너지 정책 갈등의 중심이었던 원자력에너지를대상으로 정당일체감에 따른 시민들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6 년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의 정당일체감이 원자력에너지 안전성에 대한 인식에 서로 다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새누리당 지지자는 원자력에너지가 안전하다는 인식을 보이는 반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는 안전성에 대해부정적인 인식을 보인다. 그리고 이명박과 박근혜 정부에 대한 국정운영평가에긍정적일수록 원자력에너지의 안전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다. 원자력에너지확대에 대한 인식의 경우, 2016년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이 원자력에너지 확대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박근혜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원자력에너지 확대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으로 영향을미치는 반면, 문재인 정부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원자력에너지 확대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정당일체감과 함께 대통령 국정운영평가가 원자력에너지의 안전성과 확대에 대한 인식에 상반된방향으로 반영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총선 투표선택과 정치지도자 요인

        이현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4 의정연구 Vol.20 No.1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19대 총선결과 분석을 두고 논의되어온 행위자 요인, 특히 정치지도자 요인이 투표행태에 미치는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밝혀보는 것이다. 정당일체감과 지도자 평가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새누리당 지지자는 새누리당보다는 박근혜에 대한 평가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민주당 지지자는 정당선호도와 문재인 선호도가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새누리당의 경우 무당파층에서 지역구와 비례대표 선거 둘 다 박근혜에 대한 선호도와 새누리당에 대한 투표와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고, 이러한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무당파층의 경우에는 정치지도자에 대한 평가가 투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새누리당 투표자의 경우에 더욱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다. 다변인 분석을 통하여 지역구 선거와 비례대표 선거 공히 정치지도자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민주당보다는 새누리당 투표에 박근혜 평가 요인이 더욱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result of the 19th general election, focused on the relevance between party leader evaluations 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voters with empirical assessment. With regard to party identification and party leader evaluations, Saenuri Party advocates think more highly of their party leader, Park Geun-hye, than the party. Mean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y preference and leader popularity from Democratic Party advocates. Nonpartisan voters who vote for Saenuri party have a strong incentive to take leader evaluations into account in both local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ions, which can be proven with statistics. The analysis of Democratic Party election results also shows a correlation between leader evaluations and nonpartisan voting behavior. Likewise, in non-partisan elections, party leader evalu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vote choice, particularly in nonpartisan voters who vote for Saenuri Party. Using multivariate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 that party leader evaluations have considerable influence on local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ions outcome. In the 19th general election, votes for Saenuri Party are more affected by leader evaluations than ones for Democratic Party.

      • KCI우수등재

        Asian Americans’ Partisan Direction as a Function of Support for Group Interest and Group Consciousness

        Taeeun Min(민태은)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6

        본 논문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미국인들의 정치선택에 주요한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정당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기법을 통해, 이민자관련 정책들에 대한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지지도로 측정된 집단이익지지와 공화당과 민주당 각각의 동원이 그들의 정당일체감 방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또한,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집단의식이 그들의 집단이익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검토한다. 그리고 그 집단의식이 간접적으로 그들의 정당선호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도 함께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이익지지와 정당의 동원이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어떤 정당을 지지하느냐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이민자로서 집단이익을 지지할수록 민주당을 지지하며, 공화당의 동원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정당일체감 방향을 공화당쪽으로 기울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집단의식의 구성요소인 아시아인으로서 정체성이 집단이익지지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집단의식이 아시아계 미국인들의 특정 정당선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what determines partisan direction among Asian Americans in the U.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 test if policy preference summarized as support for group interest, and party mobilization affect the direction of Asian Americans’ party identification. I also test the indirect impact of Asian American group consciousness on their partisan direction and its direct impact on their support for group interest. I find that both support for group interest and mobilization are significant factors for deciding the direction of Asian Americans’ party identification. Specifically, my findings suggest that Asian Americans who support their group interest, measured by immigrant-related policy preference, are more likely to be Democrats. Furthermore, my evidence indicates that the Republican Party mobilization directs Asian Americans to lean towards Republicans. In addition, my empirical results show that ethnic identification as Asian or Asian American, one component of group consciousness, affects Asian Americans’support for group interest. This finding implies that group consciousness indirectly affects the direction of Asian Americans’ party identification.

      • KCI등재

        사회집단의 정당 지지 특성에 관한 연구: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율(2017년~2022년)을 중심으로

        전용주,남승오 한국의정연구회 2023 의정논총 Vol.18 No.2

        Which political parties various social groups support in democratic countries in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political science.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party support of social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Korean. Research questions to address this topic are as follows. First, which political party does the social groups categoriz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pport and what is its strength of support? Second, which social group changes its support for political parties? Does the change of support take place between political parties, or does it support the preferred party at some times and flow into the nonpartisan class at other times? Third, which social group's change in support affects the rise and fall of each political party's approval rating? The analysis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party approval rating of the two major parties, the Democratic Party of Korea and the People Power Party. This study utilized a total of 233 opinion polls conducted by Gallup Korea every week from May 2017 to May 2022 민주주의 국가에서 다양한 사회집단이 어느 정당을 지지하는가는 중요한 주제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된 사회집단들이 가지는 정당 지지의방향성과 강도를 경험적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했다. 이 주제를 다루기 위한 연구 질문은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사회집단은 어느 정당을 지지하며 그 강도는 어떠한가? 둘째, 어떤 사회집단이 지지 정당을 변경하는가? 그 지지의 변경은 정당 간에 이루어지는가 아니면 어떤 시기에는 선호 정당을 지지했다가 다른 시기에는 무당층으로 유입되는 특성을 보이는가? 셋째, 어떤 사회집단의 지지율 변화가 각 정당의 지지율 상승과 하락에 영향을 주는가? 이 연구의 분석 대상은 양대 정당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정당지지율이다. 연구의 대상 시기는 2017년 5월부터 2022년 5월까지이며, 이 시기 한국갤럽이매주 수행한 총 233회의 여론조사 결과를 활용해 실증적 분석을 수행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