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특성을 고려한 프레임 우선순위 기반 적응적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이좌형(Joahyoung Lee),임동선(Dongsun Lim),임화정(Hwajung Lim),정인범(Inbum Jung)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4 No.6

        최근 컴퓨터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보급으로 유선환경에서뿐만 아니라 무선환경에서도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 중에 스트리밍 미디어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유선환경뿐만 아니라 무선 환경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스트리밍 미디어는 다른 데이타들에 비해 크기가 매우 크고 높은 네트워크 대역폭과 많은 컴퓨팅 자원을 필요로 한다.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낮은 대역폭과 적은 컴퓨팅 자원을 가지는 이동단말기를 통해 이용할 경우 사용자 환경에 맞게 특화된 서비스가 아니라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할 것이다. 특히 이동단말기에서는 배터리를 통한 제한된 에너지 환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트리밍 미디어의 재생을 끝까지 보장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에너지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스트리밍을 조절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 시에 배터리 특성을 반영하는 배터리 모델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잔류시간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완전한 상영시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전송되는 프레임의 수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프레임별 전송 우선순위 정책을 연구하였다. 제안하는 기법은 적은 컴퓨팅 자원을 사용하면서 배터리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스트리밍을 조절하므로 사용자들에게 완전한 상영시간을 보장한다. With the advance and proliferation of computer and wireless network technology, it is common to access to network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using mobile device. The ratio of using the streaming media out of many applications through the network is increasing not only in the wired network but also in the wireless network. The streaming media is much bigger than other contents and requires more network bandwidth to communicate and more computing resources to process. However the mobile devices have relatively poor computing resource and low network bandwidth. If the streaming media service is provided for mobile devices without any consideration about the network bandwidth and computing power, it is difficult for the client to get the service of high quality. Since especially mobile devices are supported with very limited energy capacity from the battery, the streaming media service should be adjusted to the varying energy state of mobile devices to ensure the complete playback of streaming media.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o guarantee the complete playback time of the streaming media for the mobile clients by dynamically controlling transmitted frame rate to the client according to the estimated available time of mobile device using battery model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battery. Since the proposed method controls the number of frames transmitting to the client according to the energy state of the mobile device, the complete playback time is guaranteed to mobile clients.

      • KCI등재

        이동단말기를 위한 에너지 인식 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이좌형(Lee Joahyoung),김학수(Kim Harksoo),정인범(Jung Inbum)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34 No.5

        최근 컴퓨터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보급으로 유선환경에서뿐만 아니라 무선환경에서도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 중에 스트리밍 미디어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유선환경뿐만 아니라 무선환경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스트리밍 미디어는 다른 데이타들에 비해 크기가 매우 크고 높은 네트워크 대역폭과 많은 컴퓨팅 자원을 필요로 한다.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낮은 대역폭과 적은 컴퓨팅 자원을 가지는 이동단말기를 통해 이용할 경우 사용자 환경에 맞게 특화된 서비스가 아니라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할 것이다. 특히 이동단말기에서는 배터리를 통한 제한된 에너지 환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트리밍 미디어의 재생을 끝까지 보장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에너지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스트리밍을 조절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단말기를 위하여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시에 이동단말기의 에너지 상태에 따라 전송되는 프레임의 수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DFRC기법을 연구하였다. 제안하는 기법은 적은 컴퓨팅 자원을 사용하면서 동적으로 스트리밍을 조절하므로 사용자들에게 완전한 재생시간을 보장한다. With proliferation of computer and wireless network technology, it is common to access Internet through wireless network using mobile device. Ratio of using streaming media out of many applications through Internet is increasing not only in wired network but also in wireless network. Streaming media is much bigger than other contents and requires more network bandwidth and more computing resources. However mobile devices have relatively poor computing resource and low network bandwidth. If media streaming service is provided for mobile devices without any consideration about network bandwidth and computing power, it is hard for the client to get high quality service. Since mobile device is supported with very limited energy from the battery, media streaming should be adjusted to varying energy state of mobile device in realtime to ensure complete playback of streaming media. In this paper, we propose DFRC to provide high quality service to mobile client through wireless network by controlling the number of frames transmitted to client based on computing resource and energy state of mobile device.

      • KCI등재

        극장은 사라질 것인가? 미디어 융합의 가능성과 한계 - 방송, OTT, 유튜브, 다운로드와 극장에서의 영화

        김삼력 한국영상학회 202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9 No.6

        이 연구는 영화가 새로운 미디어들의 등장에 따라 다른 미디어들과 융합될 가능성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 고 그 배경에는 극장이 소멸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자의 관심이 있다. 그동안 영화는 극장에서 상영된다는 것을 전제로 제작되 고 극장에서 먼저 유통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 방송의 다변화는 물론 최신의 스트리밍 서비스 등 뉴미디어의 등장에 따라 미 디어 융합은 물론 극장의 존폐가 논의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미디어가 가진 특징과 영화와의 관계, 융합을 위 한 움직임과 한계, 앞으로의 가능성에 관해 연구했다. 부가적으로는 융합과 관련된 미디어 수용자와 수용환경, 팬더믹이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역시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제작 매체나 저장장치의 통합과 다른 미디어의 자체 제작 영화, 극장 상영 시도 등 융합의 징후가 있었다, 반면에 현재까지는 각 매체가 가진 특성과 수용환경의 차이, 콘텐츠에 대한 기대와 이용 방식, 소재나 표현의 선택 등의 문제로 그 한계점이 드러나기도 했다. 그럼에도 극장보다 스트리밍이 익숙하고 짧은 영상에 적응된 세대의 출현이나 가정용 모니터 사이즈의 확장은 융합을 가능하게 하거나 극장의 몰락을 가속화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물론 이러한 미래에 대한 가능성은 팬더믹의 극복 이후에도 스트리밍 시장이 지속해서 성장할 수 있는지를 전제로 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films may converge with other media with the emergence of new media. In addition, the interest of the researcher about whether cinemas will disappear is also part of the motivation of this study. Thus far, films have been produced on the premise that they will be screened and initially distributed in cinemas. However, with the emergence of new media such as the latest streaming services as well as the diversification of conventional broadcasting, the existence of cinemas and that of media convergence are topics of debate. Thu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dia form and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with films, the movement for convergence and its limitations, and future possibilities are examined. Additionally, the media audience and acceptance environment related to convergence and the impacts of the pandemic a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signs of convergence have appeared, such as the integration of production media or storage devices and the independent production of films by other types of media and attempts to screen them in cinemas. In contrast, thus far, limitations also have been revealed due to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and reception environments of each media form, expectations and usage methods with regard to the contents, and selection issues focusing on materials and expressions. Nevertheless, the emergence of generations who are more used to streaming and short videos than to cinemas and the growth of the typical sizes of home display devices imply that convergence is possible or that the collapse of cinemas has accelerated. Of course, the possibility of such a future depends on the continued growth of the streaming market, even after the end of the pandemic.

      • KCI등재

        클러스터 VOD 서버에서 선호도 기반 세그먼트 버퍼 대체 기법

        서동만(Dongmahn Seo),이좌형(Joahyoung Lee),방철석(Cheolseok Bang),임동선(Dongsun Lim),정인범(Inbum Jung),김윤(Yo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3 No.11·12

        대규모 사용자들에게 QoS가 보장되는 스트리밍 미디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한정된 서버의 자원을 스트리밍 미디어의 특징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연구를 필요하게 한다. 서버의 자원들 중 메모리는 디스크로부터 읽어 들인 미디어 데이타의 버퍼공간으로 활용되며 버퍼의 히트율은 서버의 성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접속되는 사용자들의 증가에 따라서 히트율이 높은 기존의 버퍼들조차도 새롭게 읽어 들인 미디어 데이타들로 대체되므로 서버의 성능확장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서는 스트리밍 미디어의 특징인 대규모 데이타들에 대한 읽기 연속성과 편중된 사용자 선호도가 반영된 버퍼 대체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사용자들에게 스트리밍 미디어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클러스터 기반 VOD 서버에서 스트리밍 미디어의 특징을 활용하는 선호도 기반 세그먼트 버퍼 대체 알고리즘을 연구한다. 제안되는 기법은 사용자들의 선호도에 기반을 둔 시간적 국부성과 미디어 데이타의 순차적 읽기 특성인 공간적 국부성을 버퍼 대체 알고리즘에 반영하므로 기존의 버퍼 대체 알고리즘보다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에서 향상된 버퍼 히트율을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는 향상된 버퍼 히트율이 클러스터 기반 VOD 서버의 성능 확장성을 개선시킴을 구현된 클러스터 형 VOD 시스템을 통하여 입증한다. To support the QoS streams for large scale clients, the internal resources of VOD servers should be utili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ing media service. Among the various resources in the server, the main memory is used for the buffer space to the media data loaded from the disks and the buffer hit ratio has a great impact upon the server performance. However, if the buffer data with high hit ratio are replaced for the new media data as a result of the number of clients and the required movie titles are increased, the negative impact on the scalability of server performance is occurred. To address this problem, the buffer replacement policy considers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ing media such as the sequential access to large volume data and the highly disproportionate preference to specific movies. In this paper, the preference-based segment buffer replacement policy is proposed in the cluster-based VOD server to explo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ing media. Since the proposed method reflects both the temporal locality by the clients' preference and the spatial locality by the sequential access to media data, the buffer hit ratio would be improved as compared to the existing buffer replacement policy. The enhanced buffer hit ratio causes the fact that the performance scalability of the cluster-based VOD server is linearly improved as the number of cluster nodes is increased.

      • KCI등재

        정치의 미디어화와 정부

        이규정(Gyu Jeong Lee) 한국정치학회 2013 한국정치학회보 Vol.47 No.5

        미디어의 정치에 대한 영향력은 어느 정도이며, 어떠한 방식으로 측정이 가능한가? 이 논문은 미디어와 정치의 상호관계를‘정치의 미디어화’(mediatization)라는 개념을 통하여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미디어의 권력화 정도를 정책결정과정에서 양자의 전략적 선택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정치의 미디어화’는 전통적 정치 제도들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미디어가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과정과 담론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정치 행위자들이 미디어의 논리를 내면화하는 일련의 현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적 조건의 제약 속에서 정책결정과정에서 정부와 주류신문의 전략적 선택의 결과는 미디어의 역할이 매우 크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즉 노무현 정부 시기 추진된 한미 FTA 정책과‘4대 개혁 입법’정책을 살펴보면, 집권 후반기 정부 지지도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추진한 한미 FTA 정책은 시민사회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주류신문의 정부 정책에 대한 협력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추진되었다. 반면 대통령 탄핵의 영향으로 여대야소라는 조건에도 불구하고 주류신문이 정부 정책에 대립한 국가보안법 폐지는 실패하였으며, 언론관계법, 과거사법, 사학법은 정부 정책의 상당한 변화가 나타났다. This research theoretically explains the correlation between media and politics with concept of the mediatization, empirically analyses the degree of empowerment of media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by the strategic choice of media and government. The mediatization means that traditional political institutions are weakened because the media dominates political communication process and political actors internalizes the logic of media. In this structural constraint, the role of media are bigger than government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of strategic process between government and main stream newspaper. In process of Korea-U.S. FTA policy and “Four Reform Legislation” policy at Roh Moo-Hyun government, Korea-U.S. FTA policy successfully proceeded with cooperation of the main stream newspaper in spite of low approval rating for the government and strong resistance of civil society. But the abolition of the National Security Law failed and the Media Act, Truth and Reconciliation Act, and Private School Act changed first intention in spite of abolition of divided government, because the main stream newspaper chose the opposition strategy.

      • KCI등재

        모바일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위한, 의사난수생성기와 순열 기법을 결합한 효율적인 암호화 기법

        한정규(JungKyu Han),조유근(YooKun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4 No.11·12

        In Digital Right Management, symmetric cipher is used for content encryption to reduce encryption cost,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is usually used to multimedia encryption under desktop environment because of its reasonable security level and computation cost. But mobile handheld device often uses slow speed processor and operates under battery-powered environment. Therefore it requires low computation cost and low energy consumption. This paper proposes new stream cipher scheme which combines pseudo random number generator(PRNG) and dynamically generated permutations. Proposed scheme activates PRNG and generates original key streams. Then it generates extended key streams by applying permutation to original sequence. These extended key streams are XORed with plaintext and generate ciphertext. Proposed scheme reduces the usage of PRNG. Therefore this scheme is fast and consumes less energy in comparison with normal stream cipher. Especially, this scheme shows great speed up (almost 2 times) than normal stream cipher scheme in random access.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법은 계산비용의 경감을 목적으로 컨텐츠 암호화를 위해 대칭 키 암호화 기법을 채택하였으며 데스크탑 환경에서는 강한 보안성과 적절한 암호화 속도를 가지는 AES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낮은 성능의 프로세서와 제한된 전력환경에서 동작하는 모바일 기기에서는 더욱 낮은 계산 비용 실현과 에너지 소모 경감을 요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효율적인 스트림 암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의사 난수 생성기를 사용하여 원본 키 스트림을 생성한 다음 이에 동적 생성한 순열을 적용하여 확장 키 스트림을 생성한다. 확장 키 스트림을 평문과 논리합하여 암호문을 생성한다. 순열을 이용하여 키 스트림 생성에 사용되는 의사 난수 생성기의 사용 횟수를 줄였기 때문에 일반 스트림 암호화 기법에 비해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암/복호화 속도가 빠르며 에너지 소모를 줄였다. 특히 제안 기법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임의 접근 시 일반 스트림 암호화 기법에 비해 약 2배의 속도향상을 보인다.

      • KCI등재

        우선순위화 기반 적응형 전송 기능을 가진 MPEG-4 스트리밍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박상훈,장혜영,권영우,김종원,유웅식,권오형 한국통신학회 200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9 No.8A

        최선형 서비스를 지향하는 인터넷에서 양질의 미디어 스트리밍을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네트워크 대역폭에 적응할 수 있는 스트리밍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패킷들의 중요도에 기반 한 적응형 전송 기능을 가진 MPEG-4 스트리밍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 시스템은 기초 스트림 제공자, 동기계층, DMIF 계층 등의 기본 MPEG-4 시스템 구성요소들과 데이터 우선순위화에 따른 FEC 제어 기반 적응형 전송 모듈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동기 계층 패킷들은 객체 단위에 기반하여 우선순위화되어 전송모듈로 전달되며 신뢰적 전송을 위해 FEC 부호화된다. FEC 조합은 수신측 피드백 정보에 따라 동적으로 조절되며 대역폭 제한에 맞추어 중요도가 떨어지는 패킷들을 폐기한다. 에뮬레이션기반 테스트베드에서의 실험 결과는 제안 시스템이 네트워크 대역폭 변동의 영향을 줄이고 스트리밍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To provide high-quality media streaming service over the best-effort Internet, a streaming methodology is required to response to the dynamic fluctuation of underlying networks. In this paper, we implement the MPEG-4 streaming system with adaptive transport based on priorities of media packets. The implemented system is composed of the common MPEG-4 streaming components such as elementary stream provider, sync and DMIF layer, and adaptive transport module including data prioritization and FEC control. More specifically, the prioritized sync layer packets (based on object level) are delivered to the transport module and then are encoded by an adaptive FEC encoder to help reliable transport. The FEC combination is dynamically adjusted by the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receiver. In addition, low priority packets are selectively dropped to meet the limitation of available bandwidth. The experimental results over the emulation-based testbed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mitigate the impact of network fluctuation and thus improve the quality of streaming.

      • THE IMPACT OF PLATFORM CHANGE ON LIVE STREAMING PERSONAL MEDIA

        Jeong, Seri,Lee, Yoo-jin,Park, Seung-ho 한국디자인학회 2015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5 No.10

        Starting from how the live-internet-broadcasting system accommodates different platforms, this research will analyze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internet broadcasting’s mass popularity by taking closer look at an example: the MBC channel’s ‘My Little Television’. Using Lasswell’s SMCRE communication model as a standard for analysis, this research will examine the impact of media platform transition on the live streaming personal med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Live streaming personal media is at an experimental stage of broadcasting media that is yet to fully satisfy the consumer needs. Live streaming personal media has to evolve in formats that utilize social networking service platforms in order to provide more choices for users to participate and co-create.

      • A Development of the Online Audio Streaming Recorder for blind Learner

        Settachai Chaisanit,Surachai Suksakulchai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9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8

        Blind face some problems and difficulties such as chances to learn, practice, and communicate as same as normal persons do, so they are in the worst situation than they should be. This is because experts and media are not enough or even lack. As a result, there is a need to develop instrument for creating instruction media to blind learner. Thus,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develop and to evaluate an innovative online audio streaming recorder system for creating instruction media. This system was an audio streaming media technology over Internet. It can interact with users as well as record speech for creating instruction media such as e-audio books. The program demonstrated and reflected content extraction of books and streaming audio for creating instruction media to blind learner. The system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needs, lacks, and problems analysis of Thai blind students. Then this program was tried explain testing before it was evaluated by five experts. The Index of item Objective Congruence (IOC) is .82. The program was corrected and improved before trial with a target group. The target group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9 high school blind students. Subjects were selected by simple random sampling. This paper describes some approaches to provide an audio service over the Internet, discusses problems, experiences and presents an outlook for an audio streaming service for blind learner in the future. Finally, the assessments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are presented.

      •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파일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이민석,송진석 대한임베디드공학회 2006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Vol.1 No.2

        There are many file systems in various operating systems. Those are usually designed for server environments, where the common cases are usually ‘multiple active users’, ‘great many small files’ And they assume a big main memory to be used as buffer cache. So the existing file systems are not suitable for resource hungry embedded systems that process multimedia data streams.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new file system which efficiently stores and retrieves multimedia data steams. The proposed file system has a very simple disk layout, which guarantees a quick disk initialization and file system recovery. And we introduced a new indexing-scheme, called the time-based indexing scheme, with the file system. With the indexing scheme, the file system maintains the relation between time and the location for all the multimedia streams. The scheme is useful in searching and playing the compressed multimedia streams by locating exact frame position with given time, resulting in reduction of CPU processing and power consumption. The proposed file system and its APIs utilizing the time-based indexing schemes were implemented firstly on a Linux environment, though it is operating system independent.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n a real DVR system, which measured the execution time of multi-threaded reading and writing, we found the proposed file system is maximum 38.7% faster than EXT2 fil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