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진남북조 시대 ‘시각적 전환’으로 본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의 연꽃무늬

        權錫煥 한국중국산문학회 2023 중국산문연구집간 Vol.15 No.-

        This paper identified what kind of ideas and local cultures it has through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s lotus patterns. The lotus flower moved to the central plains through the Western Regions and Silk Road, and was used in various objects including Buddha statues, incense burners, Lotus design roofend tile(瓦當), and porcelain during the period of the Wei, Jin and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魏晉南北朝). In Wei, Jin and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魏晉南北朝 ),new plant patterns emerged from animals, figures, and Geometric pattern, and this was a kind of visual transformation. The lotus flower played a leading role in visual transformation. Lotus Patterns of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百濟金銅大香爐)is deeply related to Northern Dynasties(北朝)centered on The Northern Wei Dynasty(北魏). A phoenix (or blue bird) sits on a lotus flower in the mural of Mogao Caves(莫高窟) created in The Northern Wei Dynasty. In addition, in The Northern Wei Dynasty, a lotus flower and an incense burner were combined to create a LotusBurner. Lotus Patterns of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百濟金銅大香爐) promoted visual diffusion.It did not end with a single pattern, but combined with 25 animals and two characters to promote visual diffusion. Along with it, Baekje's representative Baekje lotus-patterned bricks, lotus goblin-patterned bricks, lotus cloud-patterned bricks, and Baekje Buddha statues were excavated from Gyuam-myeon Buyeo. They combine with animals, plants, clouds, and flames around the lotus flower to represent the unique aesthetic world of Baekje, which is fusion and has a great three-dimensional effect. Lotus Patterns of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became the essence of Baekje culture along with the Buddha statue of Baekje and the lotus pattern in Lotus design roofend tile(瓦當).

      • KCI등재

        미야자와 켄지의 동화와 법화경 -「십력의 금강석」,「목련 나무 」,「용과 시인」을 중심으로-

        박경연 ( Kyoung Yeon Park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3 No.2

        미야자와 겐지의 동화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그 하나로서 종교성을 들 수있다. 켄지의 종교를 이해함으로써 그의 동화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고 보고 본 논문에서는 그의 작품을 통해 켄지와 법화경과의 만남에 의한 켄지의 의식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동화를 통해 본 종교적인 감성을 기반으로 켄지의 상상력은 그의 종교적 세계관과 작품관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켄지의 법화경과의 만남이나 법화경의 실천을 작품 속 에서 볼 수 있다. 켄지의 동화 「십력의 금강석」, 「목련 나무」, 「용과 시인」을 중심으로 작품 속의 불성, 법화경, 대중 구제의 방편으로 해석하고 고찰한다. 켄지의 세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불성, 법화경과의 관련성 연구를 통해서 정확한 근거를 제시하여 독자의 궁금증을 충족하기에는 불충분하다. 그러나 인간의 감성 또한 문학과 종교의 연구라면 작가의 사고, 그의 일생을 보여주는 작품을 감상하고 더 나아가 작가의 내면에 다가설 수 있다. 작가가 가지고 있는 불성, 종교적 측면에 대하여 필자는 위의 세 작품을 통해 고찰하였다. 사람은 누구나 불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불성은 법화경과의 만남으로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부처의 가르침인 법화경과의 만남은 대중 구제 수단으로 볼 수 있다. 법화경을 주요 경전으로 삼고 있는 일련종에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을 부처가 사는 세상으로 본다. 따라서 현실 세계를 정토의 세계로 만들기 위해 경전을 통하여 대중에게 포교하고자 했다. 이러한 포교와 가르침을 켄지는 자신의 작품을 통해 전하고자 하였다. 켄지는 자신의 동화가 대중 구제의 매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한 작가라고 할 수 있다. 본문에서 소개한 동화를 통하여 법화경을 일반 대중에게 전하고자 하는 켄지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켄지는 작품을 통해 간접적인 포교 활동을 행하였고 또한 위의 작품은 법화경의 가르침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 이라는 점에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법화경은 다른 경전과 달리 상징적인 표현이 많은 문학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고 있는 경전이다. 이는 줄거리를 가진 문학의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징적 표현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독자에게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여 자신만의 해석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 법화경의 특성은 켄지의 동화의 특성과도 부합하는 요소가 된다. 이러한 요소가 법화경을 상징하는 공통점을 가진 동화로 선택된 위의 세 작품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불성, 법화경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그 관련성을 3가지로 정리해 보면 작품 중에 등장하는 법화경의 사상 속 물아일체, 자타일체의 사상이다. 그리고 「십력의 금강석」 의 금강석, 「목련 나무 」의 목련나무, 「용과 시인」으로 용이 읊은 시를 통해 존재하는 모든 것에는 불성이 존재하고 그 불성은 법화경을 통해 실현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법화경을 의미하는 상징적인 매체가 나온다. 「십력의 금강석 」에서는 이슬, 「목련 나무」에서는 각자(覺者)의 善, 「용과 시인」에서는 붉은 구슬로 표현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세 가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켄지의세 작품을 고찰하였다.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enji Miyazawa`s fairy tales is religiosity. With a view to having a better grasp of his fairy tales through understanding Kenji`s religion,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consciousness brought out by his encounter with the Sutra of the Lotus. Kenji`s imagination based on his religious sensibility as reflected in his fairy tales influenced his view on the world and his works. His encounter with The Sutra of the Lotus or his practice of this scripture can be examined in his 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Buddhahood and ways of relieving the public in the Sutra of the Lotus as reflected in his fairy tales such as 『Ten Powers of the Diamond』, 『Magnolia』 and 『The Dragon and the Poet』. A study of the relevance of the Buddhahood and the Lotus of Sutra to his three works has provided enough evidence to satisfy readers` curiosity. Nevertheless, as human sensibility is also a study of literature and religion, we can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ner workings of Kenji`s mind upon examining his works that reflect his thoughts and life. This study examines those three works mentioned abov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uddhahood and religion. Everyone has Buddhahood, which can be realized upon her encounter with the Lotus Sutra. As such, an encounter with the Lotus of Sutra, teachings of the Buddha, can be seen as a means of relieving the public. NichirenSyoshu, whose major scripture is the Lotus Sutra, sees the world we live in as the one where the Buddha also lives. It tries to propagate its teachings to the public through this scripture. Kenji wants to propagate its teachings through his works. Kenji can be regarded as an author who does his best in his role of the medium of relieving the public through his fairy tales. The three works mentioned above reveal Kenji`s intention of introducing the Lotus Sutra to the general public. He is indirectly doing the missionary work through his fairy tales. The above-mentioned three works are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they symbolically express the teachings of the Lotus Sutra. Unlikeother many scriptures, Lotus Sutra is full of symbolic expressions and is considered to have much literary values. It has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having a story as well as plentiful symbols. It also allows readers to imagine and enables them to arrive at their own interpretations.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Lotus Sutra accord with those of Kenji`s fairy tales. Through the three works chosen on the basis of the commonalities with what the Lotus Sutra symbolizes,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ahood in people and the Lotus Sutra. The relatednes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is the idea of being oneself in unison with the others and the things, expounded in the Lotus Sutra, is present in these works. Second, the diamond of the 『Ten Powers of the Diamond』, the magnolia in 『The Magnolia』 and the poems the dragon recites in 『the Dragon and the Poet』signify that the Buddhahood is present everywhere and it can be realized through the Lotus Sutra. Finally, there are symbols of the Lotus Sutra in these works-the dew in 『Ten Powers of the Diamond』, each line used in depicting the magnolia In 『Magnolia』, and the red bead in 『The Dragon and the Poet』. This paper examines the three works of Kenji in terms of these three connections.

      • KCI등재

        한국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 대한불교천태종

        고병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大韓佛敎天台宗)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法華係 敎團). And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summarized the features seen in the dharma lineage(法脈),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heontae Order and religions for Lotus-Sutra. I hop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Specifically, according to Chapter 2, faith in Lotus-Sutra(法華信仰) became popular with the translation of “Lotus-Sutra” in China and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Goryeo Dynasty, faith in Lotus-Sutra was popular in a collective form that can be called the denominational levels, but this form of belief dis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faith in Lotus-Sutra continued as before, but as Japanese Buddhist denominations concentrated on overseas missions, the collective form of the faith was reborn in Joseon. Then, after liberation in 1945, Buddhists who had been influenced by Japanese Buddhism began to create denominations in Korea. In Chapter 3, it was revealed that the features of the history, dharma lineage, major thoughts, and rituals of the Cheontae Order are mostly aimed at faith in Lotus-Sutra. These features refer to the Guinsa Community's rebuilding of Cheontae Order, the connection between Zhiyi(智顗)-Uicheon(義天)-Sangwol(上月) and founder(宗祖)-establisher(開創祖)-rebuilder(重創祖) as Josa Masters(祖師), and the Cheontae studies that systematically organized thoughts in Lotus-Sutra(法華思想). In addition, the ritual features mean the practice of belief in the Bodhisattva of Avalokitesvara(觀音信仰), the continuous recitation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觀音呪誦), and the belief in Josa Master(祖師信仰). According to Chapter 4, there are difference and points of sharing among religions for Lotus-Sutra and between the Chentae Order and them. The Che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them, even if the practice is different. However, considering the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oughts in Lotus-Sutra and Tientai doctirines and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the Chentae Order has different part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Finally, we can see two aspects of the Cheontae Order in the viewpoint of religions for Lotus-Sutra. Firstly, the Cheontae Order shares the intention of realizing thoughts in Lotus-Sutra with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This feature has persisted since the entering the quietude of Sangwol in 1974. Next, the Cheontae Order differs from other religions for Lotus-Sutra in the practice for the realization of thoughts in Lotus-Sutra. 이 연구의 목적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법화계 교단의 성립과정을 고찰한 후에 천태종단의 법맥, 사상, 의례 등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천태종단이 법화계 교단들과 어떤 지점을 공유하고, 어떤 지점에서 차이를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가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을 이해하는 데에 다소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구체적으로, 제2장에서는 중국에서 『법화경』이 번역되고 법화신앙이 유행하면서 한국에 전래되어 이어지다가 조선시대에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사라진 과정, 일제강점기에 종래의 법화신앙이 지속되었지만 일본 법화계 교단들이 유입되어 다시 종파 차원의 법화신앙이 생겨난 상황, 그리고 해방 이후 법화계 교단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조선인들이 ‘종파 불교’를 경험했고, 이 경험이 해방 이후에 종파 불교 현상으로 이어졌다는 점, 아울러 1960년대에 천태종단이 등장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천태종단의 역사, 법맥, 주요 사상, 의례 등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대체로 법화사상을 지향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특징들로는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종의 중창을 표명했다는 점, 천태지의-의천-상월을 종조-개창조-중창조의 구도로 연결했다는 점, 『법화경』을 중심으로 발전시킨 천태교학을 지향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의례적 특징으로 관음신앙의 실천, 관음주송의 특화, 조사신앙의 반영 등을 지적하였다. 이 특징들은 구인사공동체가 관음신앙 중심의 법화사상을 천태교학을 통해 접근하는 과정에서 점차 형성된 것으로, 법화사상의 구현을 향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법화계 교단들 내의 공유 지점과 차이를 살핀 후, 천태종단과 다른 법화계 교단들 사이에 있는 공유 지점과 차이를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천태종단이, 법맥․소의경전․종지․관음신앙과 조사신앙 등 그 방식은 다르지만,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사상적 차이와 함께, 일본 불교의 영향력 측면에서 천태종단이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고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법화계 교단의 시선에서 천태종단의 두 가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법화사상의 구현이라는 부분을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공유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부분은 구인사공동체가 ‘천태지의-의천-상월’이라는 법맥을 설정하고, 점차 여러 신앙 형태를 관음신앙 중심으로 집약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공유 지점은 1974년 상월의 입적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다. 다음으로, 천태종단이 법화사상의 구현을 위한 방식에서 다른 법화계 교단들과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사상적 차원에서 법화사상과 천태교학의 범주를 대비해 그 차이를 규명하는 것은 향후 과제이다.

      • KCI등재

        수당과 명청시대 연꽃문양을 활용한 카펫디자인 개발연구

        언우(Yan, Yu),엄경희(Eom, Kyoung H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4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use of lotus patterns became even more widespread, characterized by richer and more dynamic forms.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ts utilization became even more extensive, and the patterns became more diverse and dynamic. Starting in the early period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the lotus motif was used in bronze decorations. With the spread of Buddhism during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e lotus became an essential decorative element in Buddhist culture, imbuing it with new values and meaning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ivotal transitions in lotus motif development during the Sui, Tang, Ming, and Qing Dynasties. The aim is to preserve and advance traditional motifs, facilitating their continuous innovation in contemporary contexts. Simultaneously, the study aim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motifs in modern decorative design. The research focuses on the flourishing development of lotus motifs during the Sui and Tang Dynasties and the Ming and Qing Dynasties, specifically exploring two lotus patterns: the ‘Bo Sang Lotus’ and the ‘Twigs Lotu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a theoretical review centered on reference literature and an analysis of lotus patterns during the Sui, Tang, Ming, and Qing Dynasties through internet sources.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s carpet manufacturing methods and presents visualizations of carpet designs using Procreate and Photoshop. The development of carpet designs incorporating lotus motifs from the Sui and Tang Dynasties and the Ming and Qing Dynastie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or Sui and Tang Dynasties, it is the “Elegance of Lotus,” reflecting the ‘Bo Sang Lotus’ pattern. Nylon was used and the ‘Bo Sang Lotus’ pattern was expressed through a symmetrical and arranged combination, portraying fully bloomed lotuses at the center, unfolding towards the edges to reveal complexity and splendor. Moreover, it is the “Blooming Lotus.” Drawing inspiration from the traditional ‘Bo Sang Lotus’ decoration, the design incorporated a symmetrical, balanced arrangement with overlapping lotuses, visualized into intricate patterns, creating a serene and tranquil ambiance. In the case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firstly, it is the “World of Lotus, incorporating the ‘Twigs Lotus’ pattern. The design abstractly expresses lotus shapes by referencing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Twigs Lotus’ pattern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continuous floral branches emphasize the eternal symbolism of the nation. Secondly, it is the “Twisting Jeonji Lotus.” The twisted vines serve as a key element connecting lotuses, abstractly portraying undulating lotus branches. Symbolizing the unity and continuous growth of life, the design expresses a unique ethnic meaning. Hence, traditional lotus motifs from the Sui and Tang Dynasties and the Ming and Qing Dynasties in China possess rich symbolic and aesthetic values. They not only carry forward the essence of traditional culture but also inject profound cultural implications and creativity into modern society. The study anticipates that these motifs will serve as valuable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carpet design.

      • KCI등재

        한국 법화계 불교종단의 역사와 성격

        민순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5

        Contemporary Korean Lotus-Sutra Buddhist order is defined as the name of Buddhist orders whose names include ‘Lotus’ or whose main sutra is Lotus-Sutra. I chooses Korea Buddhism (Hankuk-Bulgyo) Beop Hwa Order, Korea Buddhism (Daehan- Bulgyo) Beop Hwa Order, Korea Buddhism Il Seung Order, Korea Buddhism Bul Ip Order and Korea Buddhism Guan Eum Order. They have been recognized to have common history in their early times in proceeding studies. I am concerned with the history of their schisms and the present state of the each order. They have the common features, especially of their early times, in that they attach importance to the idea of ‘All the people are possible to be Buddha’(一佛乘), the repeated recitation of the title of Lotus-Sutra, the statue of Buddha with his hands clasped in prayer, and the daily sincere prayer. The repeated recitation of the title of Lotus-Sutra has been thought to have been influenced from Japanese Lotus-Sutra Buddhism by many scholars. It may be true, but at the same time Korean Lotus-Sutra Buddhist orders have consciously endeavored to overcome the Japanese influences and to excavate and cultivate the Korean traditional Lotus-Sutra belief.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has many Buddhist orders and thus seems to restore the condition of Order-Buddhism of the pre-modern times. But the situation of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like that may be the result of the official systems and the official laws made by the state authority. Or it may be the result of the conflict with other countries’ cultures. The important is that the old new orders should grow up in the people of this country as the new old tradition. So the probable growth of the Korean Lotus-Sutra Buddhist orders deserves watching. 현재 한국불교에서 ‘법화계 불교종단’이란 ‘법화’라는 이름을 종단명칭에 사용하거나 『법화경』을 소의경전으로 하는 종단 일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넓은 범위에서 상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중 본고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공통되게 동일한 연혁을 공유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던 한국불교법화종, 대한불교법화종, 일승종, 불입종, 관음종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 사이의 분종의 역사와 각 종단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들은 대체로 『법화경』의 회삼귀일 및 일불승 사상의 중시,『법화경』 제목 봉창의 강조, 합장불의 불단 안치, 기도의 생활화 경향 등을 초창기의 공통된 특징으로 지닌다. 이 중 제목 봉창의 강조에 대해서는 다분히 일본 법화계 종단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는 시각이 존재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종단들이 가꿔 온 전통에 대한 인식과 미래에 대한 비전들은 이들이 일본 법화종단으로부터의 영향을 어느 정도 인지하면서도 동시에 그로부터 벗어나야 된다는 깊은 자의식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현대 한국불교는 새로운 종파불교의 부활인 것처럼 보이는 측면이 있다. 하지만 어쩌면 그것은 종교 내적인 원인에 의하기보다는 국가권력에 의해 추동된 제도와 법령으로부터 동인된 것일지도 모른다. 한편 현대의 새로운 종파 중 일부는 오롯이 한국의 종교문화 전통에서 자생하였다기보다 상당 부분 근대성 또는 외래문화와의 길항 관계 속에서 탄생의 당위를 얻은 것일지도 모른다. 중요한 것은 어떠한 모멘텀에 의하여 어떤 경위로 시작되었던 간에, 그 익숙한듯 새로운 종단들이 이 땅의 민중 속에 어떻게 뿌리 내리며 성장해 가는가 하는 것이다. 그리 길지 않은 역사 속에서 전통을 가꾸어 가고자 하는 한국 법화계 불교종단의 오래된 미래는 지켜볼 가치가 있다.

      • KCI등재

        The Effect of Vinegar Fermentation on the Nutritional Quality of Lotus Flower Fermented Product

        Mikyung Nam,Maynanda Brigita Chrysta,Eun-Suk Lee,최원식 한국산업융합학회 2019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22 No.1

        All the parts of lotus, including the seed, rhizome, leaf, stalk, petal, anther, pericarp, and fruit receptacle,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system as a health beneficial supplement. However the most usually used from lotus plant is only the root. Therefore in this study, it will be discussed more the utilization of other parts of the lotus, namely the flower of lotus. The petals and stamens of lotus actually are also rich in bioactive components such as flavonoids and alkaloids, are used in the treatment of tissue inflammation, cancer, skin disease, and also for us as antidotes. One of the biotechnological process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nutritional content, sensory, and also antioxidant activities is fermentation process. The final product desired from the fermentation process in this study is vinegar. The microbial strain powder used is Uinkin fermented powder with three variations of fermentation. The variations given in this study were initial sugar 32%, 24%, and 14% with the same fermentation temperature, 35oC for 3 months. The results obtained showed that the pH value and sugar content of products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were decreasing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with total polyphenol content of 283.7 ± 97.6 mg / 100 g QAE,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3.3 ± 0.0 mg / 100 g QAE. Fo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the fermentation product also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with ORAC activity of the product showed a high activity of 20.7 ± 0.4 1 μM TE. Therefore, fermentation process can be the one of method for improving the product. The efficiency of lotus flower vinegar fermentation can be reached with an initial sugar condition of 25% (sample B). All the parts of lotus, including the seed, rhizome, leaf, stalk, petal, anther, pericarp, and fruit receptacle,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system as a health beneficial supplement. However the most usually used from lotus plant is only the root. Therefore in this study, it will be discussed more the utilization of other parts of the lotus, namely the flower of lotus. The petals and stamens of lotus actually are also rich in bioactive components such as flavonoids and alkaloids, are used in the treatment of tissue inflammation, cancer, skin disease, and also for us as antidotes. One of the biotechnological process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nutritional content, sensory, and also antioxidant activities is fermentation process. The final product desired from the fermentation process in this study is vinegar. The microbial strain powder used is Uinkin fermented powder with three variations of fermentation. The variations given in this study were initial sugar 32%, 24%, and 14% with the same fermentation temperature, 35oC for 3 months. The results obtained showed that the pH value and sugar content of products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were decreasing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with total polyphenol content of 283.7 ± 97.6 mg / 100 g QAE,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3.3 ± 0.0 mg / 100 g QAE. Fo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the fermentation product also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with ORAC activity of the product showed a high activity of 20.7 ± 0.4 1 μM TE. Therefore, fermentation process can be the one of method for improving the product. The efficiency of lotus flower vinegar fermentation can be reached with an initial sugar condition of 25% (sample B).

      • KCI등재

        서역에서의 법화신앙 전개

        한지연(Han, Jee-yeon)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1 No.-

        대승의 신앙형태 가운데 특히 법화신앙은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광범위한 지역에서 성립ㆍ발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법화신앙이라 함은 기본적으로 『법화경』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 신앙형태를 말한다. 그런데 초기 불교전파 및 문화적 변용과정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는 것이 곧 법화신앙일 것이다. 『법화경』내에서 묘사되어지는 상당부분이 이곳 석굴 내부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신앙형태를 가늠해볼 수 있는 부분들이 존재하므로 이를 바탕으로 천산남로 상의 법화신앙을 고찰한다. 또한 지금까지 흔히 미록계 경전을 바탕으로 얘기되고 있는 도솔왕생의 문제를 『법화경』에 입각한 미록신앙과의 연관성 문제로 재해석하는 것을 시도해본다. 그리고 이 같은 초기 법화신앙이 지역과 시기 별로 어떤 변화를 가지는가에 대해 문화적 형상화에 입각해 살펴본다. 미륵보살 도상화에서 시대가 흐를수록 점차 이불병좌상이 출현하게 되고, 더불어 경변상도가 나타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현상은 중국 내부로 들어오면서 나타나는 양상이므로 변화양상을 통해 신앙형태의 발전상을 보며, 이를 통해 신앙체계의 견고성을 더해 나아기는 초기 불교전파 및 당시 교류 상황을 짚어본다. 또한 전파경로 가운데 중국 내륙으로 들어오는 바로 직전 관문인 돈황 등의 지역에서 드러나는 법화신앙을 함께 다룬다. 천산남로에서 보여지는 법화신앙은 교류의 측면에서 접근되어져야만 이해되는 부분이 상당수이다. 이에 대한 비교지역을 현 감숙성 지역으로 한정하며 시기 역시 중국 역사 전개에 있어 수당시대 이전까지로 한정한다. 이로써 전파초기의 신앙형태를 법화신앙에 초점을 맞추어 어떤 변화과정을 거치는지 살펴봄으로써 동아시아 불교의 변용과정의 단면을 유추해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Of the types of faith in Mahāyāna Buddhism, the faith in the Lotus-Sutra is assumed to have been established and developed in wide area from quite early time. The faith in the Lotus-Sutra here basically refers to the type of faith formulated based on the contents of Lotus-Sutra. During the spread of early Buddhism and the appropriation of culture, the faith in Lotus-Sutra appeared most frequently. As considerable parts described in the Lotus-Sutra have been discovered inside the cave and some of them provide clues to estimate the types of faith over time, the paper tries to examine the faith in the Lotus-Sutra on the southern route of Silk Road. The paper will also attempt to reinterpret the issue of reincarnation in paradise, which has been discussed around Sütras about Maitreyanātha, with regard to the Maitreyanātha in Lotus Sūtra. In addition, the paper will also examine how the faith in Lotus-Sutra changed over time, by region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 Over time, the image of two Buddhas sitting side by side appears gradually from the iconography of Maitreyanātha Bodhisattva and the image of seeing each other as well. As it appeared during the process of penetrating into China, how it changed will show us the state of development in types of faith. Through this we will investigate the spread of early Buddhism and state of exchange of the time. In addition, among various routes through which early Buddhism were spread, we will deal with the faith in Lotus-Sutra found in areas such as Tunhuang, a gateway to inner China. Most of the faith in Lotus-Sutra discovered in the sourthern route of the Silk Road can only be understood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exchange. We will limit the comparison to the area of Gansusheng and to the period preceding Sui and T’ang dynasty.

      • KCI등재

        연꽃의 식물학적 특성과 심청전 다시 읽기

        신현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5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5 No.-

        심청의 효를 이야기한 고소설 『심청전』은 학교 교육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교육 용 재료이다. 이 고소설에는 불교의 상징인 연꽃이 등장하는데, 연꽃을 통해 심청은 과거의 삶과 연꽃 이후 삶의 극단적 대비를 이룬다. 이 연꽃에 대해 많은 연구에 이 루어졌으나, 식물로서 연꽃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며, 특히 연꽃의 생리학적 특성을 근거로 『심청전』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는 식물학이라는 관점에서 심청전 내용을 분석하여 ① 심청이 들어간 꽃은 연꽃 인가, ② 연꽃 속으로 심청이가 들어갈 수 있는가, ③ 연꽃은 언제 피는가, ④ 연꽃 속에서 심청은 어떻게 살 수 있었는가, ⑤ 심청은 연꽃에서 어떻게 나왔다 들어가기 를 반복했는가, 그리고 ⑥ 연이 바다에서 살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람의 상상력으로 만들어진 설화를 과학적 합리성으로 분석하여, 과학이라는 관점에서 심청전을 다시 읽어 보고자 했다. 연꽃의 크기로 볼 때 심청이 연꽃 속으로 들어 가는 것은 불가능하며, 연꽃 속에서 심청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먹거리는 없었을 것 이며, 연이 바다에서 살 수는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심청전』에서 설명 하는 연꽃의 개화 시기와 개화 과정은 과학적으로 입증될 수 있으며, 연꽃이 주야운 동을 함으로 심청이 연꽃 속에서 나왔다 다시 들어갈 수는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는 고소설을 환상으로만 풀어내는 것보다는 과학이라는 잣대를 통해 조 상들의 합리적 관찰 결과로서 풀어낼 수도 있음을 보여준 사례로 파악되었다. Korean old novel 『Simcheongjeon』based on the filial piety has been used as the text in elementary schools. In this novel, sacred lotus(Nelumbo nucifera), the symbol of Buddhism, is included, and the heroine Simcheong give up the youth life and become the holy adult using the flower of sacred lotus. Although several researches were accomplished, the research on the identity of sacred lotus based on plant physiological aspect and its application to 『Simcheongjeon』 was not conducted. This paper intends to reinterpret the korean old novel 『Simcheongjeon』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physiological characters of sacred lotus, examining from following questions; 1) whether the budding flower is sacred lotus, 2) whether Simcheong enter the budding flower, 3) when did the petals of sacred lotus open, 4) how did Simcheong live within the budding flower, 5) how did Simcheong keep going out and in of the sacred lotus, and finally 6) whether the sacred lotus is living on the seawater. As the results, some aspects were confirmed as fiction, included Simcheong’s entrance into and living within the sacred lotus, and the possibility of the living of sacred lotus upon the seawater. However, the flowering time and nyctinastic movement of sacred lotus are botanically true. These non-fiction should be understood as not the fantasy but the observation results about the sacred lotus by the writers or citizens.

      • KCI등재후보

        후삼국시대 중원지역의 연화문수막새 검토

        최정혜 한국기와학회 2022 한국기와학보 Vol.5 No.-

        본 연구는 후삼국시대 또는 후삼국기로 불리는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전반대의 남한강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중원지역 연화문수막새를 검토한 것이다. 연화문은 삼국시대부터 조선 초기까지 기와의 주요문양으로 시문되었으며, 지역적인 특징과 시기적인 변화를 잘 반영하는 기와가 연화문수막새이다. 후삼국시대 전야라고 할 수 있는 통일신라후기의 중원지역 연화문수막새는 경주와 유사하게 연판과 같은 형태의 간판이 시문되는 연화문수막새와 연판 형태가 하트형인 연화문수막새가 주로 확인된다. 후삼국시대의 중원지역은 궁예와 왕건의 지배영역에 속하였던 곳으로 고구려계 연화문수막새가 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어 왔으나, 최근 연구 성과에 의하면 고구려‧백제‧신라의 전통(양식)을 계승한 연화문수막새가 모두 확인된다. 이러한 현상과 배경에는 재지의 역사적 맥락이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후삼국시대의 지배계층이나 지방 세력이 표방했던 정치적인 영향력보다는 재지의 역사적 배경(특성)과 장인 계층의 활동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고려 초기 중원지역은 고구려계와 통일신라계 연화문수막새가 병존하지만, 고구려계보다 통일신라계가 수량도 많고 문양형태도 다양하다. 고려 초기에 고구려계 연화문수막새가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배경과 원인은 태조 왕건의 고구려 계승 정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고구려 양식을 계승한 연화문수막새가 평양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tus-flower-pattern ornamental roof-end tiles found in the Jungwon region centered on the Namhangang River Basin from the late 9th to early 10th centuries, which is called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or the Second Three Kingdoms Period. The lotus flower pattern was engraved as the main pattern of roof tile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lotus-flower-pattern ornamental roof-end tiles well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ver time. Lotus-flower-pattern ornamental roof-end tiles found in the Jungwon region of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which can be called theeve of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are mainly identified as lotus flower pattern ornamental roof-end tiles with intervals engraved in the same shape as the lotus pattern similar to those found in Gyeongju and lotus flower pattern ornamental roof-end tiles with a heart-shaped lotus print. It has been presumed that the lotus-flower-pattern ornamental roof-end tiles derived from Goguryeo were mainly used in theJungwon region because it was under the control of Gungye and Wang Geon during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but a recent study confirmed all lotus-flower-pattern ornamental roof-end tiles that continued the traditions (style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were fou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location seems to have played a role in this phenomenon and background. In other words, it is judged to be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location and the activities of the artisan class rather than the political influence claimed by the ruling class or local powers in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The lotus-flower-pattern ornamental roof-end tiles of Goguryeo and Unified Silla styles coexisted in the Jungwon region of the early Goryeo period, but specimens in the Unified Silla style have beenexcavated in larger numbers than those in the Goguryeo style and display a variety of patterns. It is estimated that the background and cause of the continued use of the lotus-flower-pattern ornamental roof-end tiles ofGoguryeostyle in the early Goryeo period are related to the Goguryeosuccession policy established by King Taejo Wang Geon, and in the same contex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whylotus-flower-pattern ornamental roof-end tiles that inherited the Goguryeo style have been excavated mainly in Pyongyang.

      • KCI등재

        高句麗 瓦當의 毁棄와 그 象徵的 意味

        백종오(Baek, Jong-Oh) 한국고대사학회 2012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6

        이 글에서는 고구려 와당의 훼기와 그 상징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훼기와당의 출토사례와 훼기 방법 그리고 불교 교리를 통한 와당 훼기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 훼기와당이 출토되는 유적은 고분?성곽?사찰 등으로, 이들 유적의 입지는 강이나 하천 등에 가까운 수변유적들에 해당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들 훼기와당의 문양은 복선연화문, 단판연화문, 조합연화문, 복합연화문 등 4종류에서 나타나며, 화판수를 보면 복선연화문은 6엽과 8엽, 단판연화문은 6엽과 9엽에서만 확인되고 있다. 복선연화문 단계 이후로는 용면문과 인동문으로 훼기습속이 확대되는 점도 주목된다. 그리고 훼기와당은 적석총에서 먼저 출현하여 이후 성곽이나 사찰 등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와당의 주연부 훼기는 연화문와당 단계부터 확인되며 이것은 불교 교리인 輪廻思想 즉 四劫(成劫, 住劫, 壞劫, 空劫)과 관계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주연을 훼손하는 행위는 태양과 광명, 윤회를 상징하기 때문에, 지붕에 사용하지 않고 재활용할 때는 주연의 훼손행위를 거쳐 물과 관련되는 유구에 埋納 또는 投棄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여기에는 중국 남북조시대에 크게 유행한 三劫思想을 설명한 俱舍論은 佛敎思想으로 와당의 문양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결국 輪廻를 구성하는 三劫 또는 四劫이 도상학적으로 표현된 것이 瓦當의 文樣이며 이는 佛敎學的으로나 美術史學的으로 중요한 의미를 품고 있다. 이에 앞으로 와당에 대한 연구는 건축부재로써만이 아닌, 상징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다각적인 접근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In order to verify the damage to roof-end tiles (瓦當) of Goguryeo Kingdom(高句麗) and its symbolic mean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ses of damaged roofend tiles(毁棄瓦當) that were excavated, the damaging method, and the meaning of damage to roof-end tiles in terms of the doctrines of Buddhism. First of all, the relics in which the damaged roof-end tiles were found are tombs, fortresses, and temples. The location of those relics is near to river or streams, which is noteworthy characteristic. The patterns of those damaged roof-end tiles consist of 4 kinds ? “double-line lotus pattern(輻線蓮花文)”, “single-petal lotus pattern(單瓣蓮花文)”, “mixed lotus pattern(組合蓮花文)” in which various patterns are mixed into a single lotus pattern, and “combined lotus pattern(複合蓮花文)” in which more than two patterns are combined. As for the numbers of petals, both of double-line lotuspattern and single petal lotus-pattern were found in the lotus pattern having 6 petals or 8 petals. It is also notable that the custom of intentional damage was applied expanding to dragon-face pattern(龍面文) and honeysuckle-pattern(忍冬文) since the phase of the double-line lotus-pattern. The damaged roof-end tiles were first found in stone-pile tomb, which were spread to fortresses and temples. The roof-end tiles of which edge part was damaged were found in the stage of roof-end tiles having lotus pattern. In that sense, it wa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doctrine of Buddhism - the eternal recurrence(輪廻), that is, the Four KalpasI(四劫): formation and completion of the world (成劫), existing or abiding (住劫), destruction (懷劫) and annihilation (空劫). In particular, since the activity to damage the edge part intentionally symbolizes sun, light, and eternal recurrence, when the roof tiles were not used for a roof and reused, they were buried or dumped with the relics which were related to water, after damaging the edge part of the roof-end tile. It was suspected that the Kosa Theory (俱舍論) explaining Thoughts of Three Kalpas (三劫思想), which was greatly popular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in China as a doctrine of Buddhism, would have some influence on the patterns of roof-end tiles. In conclusion, the patterns of roof-end tiles are iconic representation of the doctrines of Four Kalpas or Three Kapas consisting of eternal recurrence and they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science of Buddhism and/or art history. Multilateral approach is required for further studies of roof-end tiles in the future for comprehending symbolic significance, not as auxiliary materials related to co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