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인터넷 서점에 관한 연구

        류팡(Liu, Fang),김주(Kim, Joo) 한국출판학회 2019 한국출판학연구 Vol.45 No.1

        본 연구는 중국 인터넷 서점의 특성과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최근 중국은 인터넷과 전자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서 인터넷을 통한 상품판매가 다양해지면서 인터넷 서점을 이용률이 높아지고 있다. 독자들의 인터넷 서점을 통한 도서구매율이 높아지는 이유는 ‘이용의 편리함’, ‘빠른 구매 속도’, ‘낮은 판매 가격’ 등 일련의 인터넷 서점이 갖는 장점 때문이다. 본 연구가 얻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서점은 매년 시장 규모와 판매 실적이 배로 성장함으로써 중국 출판문화활성화의 동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둘째, 중국 인터넷 서점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판매도서 분야는 아동도서, 사회과학서 및 문학서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서점 활성화를 위해서는 인터넷서점 운영자는 ‘전통적인 사고 경영에서 탈피해 새로운 수익모델의 구축’, ‘인터넷서점 마케팅 모델 구축’, ‘브랜드 이미지의 체계화 및 안정적인 판매 시스템을 개발‘, ‘저작권 보호 전략’ 등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The study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Chinese Internet bookstores. Recently, Internet bookstores have become more popular in China as the sale of goods via the Internet has diversifie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electronic information technology. The reason why readers buy books through Internet bookstores is because of the advantages of a series of Internet bookstores such as ‘easy to use’, ‘fast buying speed’, and ‘low selling pr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net book stores are becoming a driver of China’s publishing culture, with their market size and sales doubling every year. Second, the sales and books of Chinese Internet book stores were listed in order of children’s books, social science books, and literature. Third, in order to revitalize Internet bookstores, Internet book seller operators will have to prepare ‘build a new revenue model from traditional thinking management’, ‘build up a marketing model for Internet bookstores’, ‘systematic and stable sales of brand images’ and ‘strategies for copyright protection’.

      • 인터넷 서점의 웹 접근성 평가

        양승철,서창교 경북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07 經商論集 Vol.34 No.2

        웹 접근성이란 모든 사람이 어떠한 제약 조건 하에서 웹 사이트를 이용하게 되더라도 전문적 능력에 관계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자상거래의 대표적 성공 비즈니스 모델인 인터넷 서점들이 웹 접근성 준수 기준에 근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측정 및 분석하였다. 랭키닷컴에서 제공하는 상위 20개 국내 인터넷 서점의 웹접근성을 WCAG 1.0의 우선순위 1을 기준으로 Bobby™와 KADO-WAH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HTML Markup Validation Check Services를 이용한 HTML 문법검사도 같이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국내 인터넷서점의 경우, 이양규(2005)의 국내 주요 웹사이트의 접근성에 비해 다소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낮은 편이며, 외국의 인터넷 서점과 비교한 결과도 대체로 웹접근성 지침의 준수정도가 미흡하여 웹 접근성에 대한 일반인의 낮은 인식수준을 반영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the web accessibility of major Internet bookstores in Korea. To test web accessibility, a sample of twenty internet bookstores was selected through rankey.com services. Six international bookstores were also chosen for comparison. The analysis of web accessibility was carried out usmg Bobby ™ and KADO-WAH test tool. In addition, the HTML grammar of the websites was also tested using the HTML Markup Validation Check Servi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With respect to Korean internet bookstores, the mean value of errors and warnings of priority 1 of WCAG was found to be 1.65 and 8.95 respectively. 2) After analyzing markup validation tests, it is found that every internet bookstore has errors. The samples were split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business model, namely pure on-line bookstores and on-Ioff-line bookstores. Pure on-line bookstores had more grammar errors than on-Ioff-line internet bookstores. We found that the websites were not confirming to the standard HTML grammar and hence the universality and accessibility of the web sites are not guaranteed yet.

      • KCI등재

        국내 인터넷 서점의 건강 분야 분류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최예진,정연경 한국정보관리학회 2013 정보관리학회지 Vol.30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and compare current state of subject directories of the health field in eight internet bookstores in domestic and abroa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KDC and DDC, using names of subdivisions within the health field of internet bookstore. Also, user interviews to find their information needs about the health field in internet bookstore were conducted. And then, based up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a design principle and a new classification for the health field of internet bookstores. With evaluations of the experts from the field, a final classification schedule (1 class, 11 division, 60 subdivision, and 16 section) was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a foundation of classifying health resources efficiently in internet bookstores and other web sites. 본 연구는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의 개선방안으로 이를 위해 국내․외 8곳의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현황을 비교분석하고, KDC, DDC의 해당 주제 분류항목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의 이용에 대한 이용자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원칙을 수립하고, 인터넷 서점의 건강분야 분류체계 설계안을 개발한 후, 실무자와 전문가 평가를 받아서 건강이란 대분류 아래 11개의 중분류 항목과 60개의 소분류 항목, 16개의 세분류 항목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터넷 서점은 물론 웹상에서 건강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류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모바일 앱의 시각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가영(Lee, Ga Young),김재현(Kim, Jae Hy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1

        현대사회 디지털기기의 발전으로 모바일 시장은 많은 변화와 함께 스마트 단말시대를 열었다. 불과 몇 년 사이에 모바일 기기가 대중화되어 현대인들은 앱(app)을 통해 생활정보를 얻기도 하고 여러 가지 다양한 문화활동뿐만 아니라 서비스나, 상품을 사고 파는 전자상거래 또한 활발하게 이용하고 있다. 이처럼 현대 시대의 흐름에 맞춰 국내 대표 인터넷 서점 기업들은 늘어나는 스마트폰 사용자들을 타겟으로 앱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물리적인 공간을 이용하지 않고도 수많은 도서들을 효과적으로 유통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디지털 시대에서 바쁘게 살아가는 소비자들 또한 오프라인 서점을 찾아가 도서를 구매하기보다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 언제든지 앱을 통해 출판물의 정보를 확인하고 주문해 받아볼 수 있게 되었다. 이런 인터넷 서점앱을 통한 거래는 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효율적으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하지만 이러한 인터넷 서점의 앱들은 형식적인 도서 정보 전달과 일반적인 고객서비스만 제공하고 있어 인터넷 서점만의 성격을 고려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서점 앱의 편의성과 사용성을 높이는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시각적 인터페이스의 개념과 요소를 파악하고 현재 출시되어 있는 인터넷 서점 앱 디자인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더 나아가 앱의 사용자 중심 시각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인터넷 서점 앱의 사용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한다. Today an era of smart terminals has begun with a lot of changes in the mobile market, due to the progress of digital devices. In just a few years, mobile devices have become so popular that people get living information, do a variety of cultural activities, and actively take advantage of e-commerce through mobile apps. In line with this trend, major Internet bookstores have started launching apps targeting increasing smartphone users. As a result bookstores have been able to effectively distribute a number of books without the use of physical space, and consumers, who are living busy in the digital age, have also been able to effectively get information about and order books through apps beyond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rather than through the visit to offline bookstores. These transactions through the bookstore app are effective means of saving time and cost for both businesses and consumers. However, the current bookstore Apps have problems that deliver only perfunctory book information and average customer service without customized services by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bookst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raising the usability of the bookstore app by identifying the concepts and elements of the visual interface which accounts for a large portion to raise the convenience and usability of the bookstore Apps, looking for ways to improve the design of Apps currently on the market, and further by suggesting the direction of user-centric visual interface design.

      • 인터넷 서점의 할인경쟁 및 수익성에 관한 연구

        김지표 서울産業大學校 2005 논문집 Vol.54 No.1

        Internet bookstores are one of the first shopping malls appeared in Internet and the symbolic entity representing the e-commerce. Nowadays, e-commerce is prevalent and it is not unusual any more to see customers place an order at home on Internet. The Internet bookstore, however, struggles to attract customers and increase market shares as the book market enters upon recession. The price discount, currently a very controversial issue in the publishing industry, is the powerful weapon Internet bookstores heavily depend on in the competitive market.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price discount conditions among Internet bookstore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fixed price regulation and the extent of competition of Internet bookstores. The profitability of Internet bookstores is also investigated so as to evaluate the current price discount race.

      • KCI등재

        한국 인터넷서점 분류체계 연구 - 카테고리와 도서 분류를 중심으로 -

        곽철완 한국문헌정보학회 201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7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ategories of online bookstores and to propose improvements. For the study, the category conformity was compared among eight Korean online bookstores selected; the book classification on the categories was compared from them. The results show that the category conformity was high among online bookstores, but the book classification on the categories was different on the bookstores. ISBN contents classification codes for books might not help to classify the books on the categories. Thus, the study proposes a new publication category for the book classification on categories of online bookstor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인터넷서점들의 카테고리 및 판매도서의 분류의 특징을 조사 및 분석하여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의 8개 인터넷서점을 선정하여 각 서점의 1차 카테고리 명칭의 일치 여부와, 판매도서의 카테고리 분류를 상호 비교하였다. 카테고리 비교를 위해서 일치도 변인, 카테고리 분류 비교를 위해서 분류 일치성 변인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인터넷서점의 카테고리 일치도는 상당히 높았지만, 카테고리 분류는 판매도서에 따라 인터넷서점 간 차이가 많았다. 일부 인터넷서점에서 활용하고 있는 ISBN 내용분류기호는 판매도서의 카테고리 분류에 효과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개선방안으로 서점에 판매도서 분류에 활용할 수 있는 출판물 카테고리 개발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독자의 on-line 및 off-line 서점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한주리,김인영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社會科學硏究 Vol.35 No.2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aders' uses and gratification after using the on-line and off-line bookstores. Through this study we wanted to think about the objective evaluation on the on-line and off-line bookstores and the improvement of its own services. Results showed that customers were satisfied with the security system of the online bookstore as well as personal services such as transferring renewed information directly via e-mail. Whereas, the gratification on the price discount was lower than their expected uses motive. As for the offline bookstores, readers were happy in that they could review the contents of the books and save the time. As a conclus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was examined from the uses and gratification point of view.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본 연구는 소비자 입장에서 온라인 서점과 오프라인 서점을 어떠한 이유에서 이용하고, 어떤 점에서 만족도를 느끼는지를 이용과 충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독자입장에서 온라인 서점과 오프라인 서점의 이용동기 요인 및 만족도 요인을 각각 파악함으로써 온-오프프라인 서점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더불어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온라인 서점의 보안 시스템, 최신 정보의 개인서비스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반면 가격 할인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오프라인 서점의 경우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내용을 볼 수 있다는 데서 장점을 가진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부분에서는 이용과 충족 관점에서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실무적 의미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덧붙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후보

        독자의 on-Line 및 off-Line 서점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한주리 ( Ju Lie Han ),김인영 ( In Yung Kim ) 慶熙大學校 社會科學硏究院 2009 社會科學硏究 Vol.35 No.2

        본 연구는 소비자 입장에서 온라인 서점과 오프라인 서점을 어떠한 이유에서 이용하고, 어떤 점에서 만족도를 느끼는지를 이용과 충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독자입장에서 온라인 서점과 오프라인 서점의 이용동기 요인 및 만족도 요인을 각각 파악함으로써 온-오프프라인 서점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더불어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온라인 서점의 보안 시스템, 최신 정보의 개인서비스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반면 가격 할인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오프라인 서점의 경우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내용을 볼 수 있다는 데서 장점을 가진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부분에서는 이용과 충족 관점에서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실무적 의미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덧붙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aders' uses and gratification after using the on-line and off-line bookstores. Through this study we wanted to think about the objective evaluation on the on-line and off-line bookstores and the improvement of its own services. Results showed that customers were satisfied with the security system of the online bookstore as well as personal services such as transferring renewed information directly via e-mail. Whereas, the gratification on the price discount was lower than their expected uses motive. As for the offline bookstores, readers were happy in that they could review the contents of the books and save the time. As a conclus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was examined from the uses and gratification point of view.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 KCI등재

        탐색과 디스커버리 기능 평가 연구 - 공공도서관 OPAC과 인터넷 서점을 중심으로 -

        한승희 한국문헌정보학회 201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0 No.1

        Discovery is an emerging concept to enhance the search capabilities of library resources with the 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 This paper defined the Discovery feature based on the information search behavior, and then derived the elements that make up its function. After that, the 11 regional representatives libraries’ OPACs and 3 Internet bookstores are evaluated and compared against Search & Discovery capabilities. As a result, the Internet bookstores were superior to the libraries’ OPACs for all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Discovery functions.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public libraries OPACs are still concentrating on known item search, and it is hard for the users to meet a serendipity which is gained through the Discovery functions. 디스커버리는 차세대 도서관 목록과 더불어 도서관 자원의 탐색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대두된 개념이다. 이 논문에서는 정보탐색행태 관점에서 디스커버리 기능을 정의하고, 그 기능을 구성하는 요소를 도출한 후, 공공도서관을 대표하는 11개의 지역대표도서관의 온라인 목록과 3개의 인터넷 서점을 대상으로 탐색과 디스커버리 기능을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평가 결과, 디스커버리를 구성하는 모든 기능에서 인터넷 서점이 도서관 온라인 목록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공도서관 온라인 목록은 여전히 알고 있는 자료 탐색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용자는 디스커버리 기능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우연한 발견의 기회를 갖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그림책 『까마귀 소년』에 대한 한국, 미국, 일본 인터넷 서점 독자서평 내용분석

        권혜진(Kwon, Hyeji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8 육아지원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그림책 『까마귀 소년』에 대한 한국, 미국, 일본 인터넷 서점에서 나타난 독자서평의 경향과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미국, 일본 인터넷 서점에 나타난 508편의 독자서평을 수집하였고, 이에 대한 내용분석(빈도분석, 질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까마귀 소년』에 대한 인터넷 서점 독자서평은 연도별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미국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서평내용 범주 중에서는 문학적 요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 미국, 일본이 공통적인 양상을 보였다. 둘째, 독자서평 내용은 ‘감동과 인간가치를 담은 우수한 메시지’, ‘사회현상과 등장인물을 바라보는 시각’, ‘등장인물 삶과 감정이입’, ‘작가 삶과 작품이력 소개’, ‘화려하고 독특한 색채, 무섭고 음울한 분위기의 그림’, ‘문화이해와 교육의 수단’의 범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그림책을 통한 타문화와 보편적 가치에 대한 비평적 관점 형성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and contents of the book reviews of readers that appeared from internet bookstores in Korea, USA, and Japan. For this, 508 book reviews were collected from Korea, USA, and Japan internet bookstores, and content analysis (frequency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aders’ reviews from internet bookstores showed the gradual increase to all three countries, and the highest frequency was shown in the USA. Among the content categories of reviews, the literary factor showed the highest, which was common in Korea, USA, and Japan. Second, the readers’ reviews of Crow Boy were classified into categories including ‘an excellent message containing impression and human values’, ‘views of social phenomena and the characters of the book’, ‘empathy for the characters’, ‘introductions to the life of a writer and to his work’, ‘fancy and unique color, gloomy and scary pictures’, and ‘a means of understanding culture and education’. These results imply the need for critical perspective on other cultures and universal values through picture 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