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화의 양면성과 새로운 정치의 가능성

        김정훈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5 동향과 전망 Vol.- No.94

        This paper situates individualization in a dual context: the individualization of sufferings and the rise of networked individualism. On the one hand, the individualization of suffering under neoliberalism produces the tendency for social fragmentation. But, on the other hand, it opens a new political avenue on which new online social capitals are articulated with strong political leadership. Therefore, individualization is an ambivalent process not only institutionally forcing individuals accountable for their own decision and life but also voluntarily forging collective political action in a networked circumstance. Based on the observation of new political chances, this paper challenges two influential interpretations of individualization process in South Korea: economic reductionism interpreting the problem of ‘sampo sedae’ as a mainly economic phenomenon without relevant consideration on identity change of young generations, and the “individualization without individualism” thesis ignoring the rise of subjective individualism in making one’s decision in recent history of South Korea 이 글은 한국사회는 저출산 문제, 세대갈등 등과 같은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고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관점, 즉 개인화의 관점이 필요하다는 시각에서 개인화 이론을 정리하고, 그것의 정치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론적인 글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벡, 기든스, 바우만에 의해주장되었던 개인화 이론을 웰먼, 카스텔 등에 의존하여 정보화 사회 혹은 네트워크 사회에 맞게 재구성하고, 개인화가 갖는 정치적 함의를 검토한다. 이 글은 기존의 개인화 이론이 개인주의에 관한 구체적인 정의가 없었음을 비판하고, 개인화를 ‘1960년대 발생한 주관적 개인주의, 즉 자기실현과 다양성에 대한 인정의가치가 주류화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개인화 과정은 한편으로 신자유주의와 접합되어 ‘고통의 개인화’와 이로 인한 사회의 파편화를 낳지만, 다른 한편으로 정체성 혁명이 낳은 주관적 개인주의와 결합하여 새로운 정치적 대안과새로운 사회통합의 가능성을 낳는다. 이 글은 이러한 개인화의 양면성을 인정하면서 개인화를 신자유주의와 일치시키기보다는 그것의 정치적 가능성에 주목한다. 네트워크된 개인주의와 주관적 개인주의의 접합으로 나타난 약한 유대는 사회 자본을 확대할 뿐 아니라 정치적 리더십과 같은 강한 유대와 결합하여 신자유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정치적 가능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한국의 개인화 과정은 ‘개인주의 없는 개인화’가 아니라 주관적 개인주의가 확대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한국은 신자유주의적 개인화에도 불구하고 노무현 현상에서 볼 수 있듯이 약한 유대와 강한 유대를 결합한 경험을갖고 있다는 점에서 개인화의 긍정적 계기를 발전시킬 수 있는 역사적 자원을 갖고 있다.

      • KCI등재

        A Critical Argument against the Thesis of “Individualization without Individualism”: Focusing on a Comparison between Germany’s Sonderweg and South Korea’s Special Path to Modernization

        홍찬숙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 Korea Journal Vol.57 No.2

        The Korean sociologist Chang Kyung-Sup coined the terms “compressed modernity” and “individualization without individualism” to describe the special path to modernisation in South Korea. The word “compressed” here denotes and emphasizes the contradictory coexistence of a collectivistic culture of familism and family formations that are simultaneously individualizing and varying. Because South Korean women have initiated the individualization of family forms, Chang and Song characterize them as “stranded individualizers under compressed modernity,” by which they mean that Korean women are culturally still collectivistic but at the same time appear individualistic in their (non-)marriage behaviour. This study argues against the theory of “compressed modernity” in Korea, according to which the individualization of families is nothing but a risk-averse variant of familism. Instead, this study argues that the real dynamic of individualization in Korea is found in the emergence of individualism and its vulnerability to institutions of familism. This study labels such a dynamic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 KCI등재

        한국사회에서의 개인화 현상과 그 극복 방향 - J. S. Mill과 E. Durkheim의 인간관을 중심으로

        안태준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9

        In this study,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 de-social individualization of Korean society; I conducted a study on the human being’s views of Durkheim and Mil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ll and Durkheim's views of human nature emphasized the harmony of individual and society in general and was critical of the excess of individuality, but showed the opposite attitude in the direction for formation of sociality. Mill argued it was abnormal that individuals pursue only individuals’ own interests in the society, and Durkheim argued that individuals suffer from severe pain when individual desires are over-expressed. However, while Mill argued that individuals could form sociality through the innate human nature of human beings, Durkheim argued that social norms existed outside of human beings could form sociality of individuals. Second, I presented the direction to overcome the de-social individualiz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e-social individualiza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that the expansion of individuality seriously threatens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and strengthen the sociality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human being’s inner and the social norms.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에서의 개인화 현상과 그 극복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뒤르케임과 밀의 인간관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우선, 뒤르케임과 밀의 인간관 연구를 통해 개인과 사회의 관련성과 사회성 형성의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한국사회에서의 개인화 현상을 극복할 방향에 대해서 모색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밀과 뒤르케임의 인간관은 공통적으로 개인과 사회의 조화를 강조하고 개인성의 과잉에 대해 비판적이었지만, 사회성 형성의 방향에서는 정반대의 태도를 보였다. 밀은 개인들이 영리만을 추구하는 사회를 비정상적이라고 주장했고, 뒤르케임도 개인의 욕망이 과잉 표출되면 개인도 심한 고통에 시달린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밀은 인간 내면의 선천적인 인간 본성을 통해 사회성을 형성할 수 있다고 한 반면에, 뒤르케임은 인간 외부에 존재하는 사회 규범을 통해 사회성 형성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둘째, 한국사회에서의 개인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개인화의 문제점인 ‘탈사회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별성의 확장이 개인과 사회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고, 인간의 내면과 사회의 외적 규범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을 강화시켜 나가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 개인화의 ‘탈사회성’을 극복하기 위한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개인과 사회에 고통을 안겨주는 탈사회적 개인화의 극복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개인화 : 차이와 합의 생산의 접점

        김동규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8 코기토 Vol.- No.63

        This essay is the individualization that is Juergen Habermas’ main concept. In various articles, Habermas explains individualization. He considers the process of building self-identity as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with dependence upon the theory of development of moral consciousness. However, If we stop tracing his thought at this point, we can’t explain further how the individual subject, who can make life-world plentiful, is constituted and who gives existing social consensus a shock. For Habermas, individualized individual has the universal perspective and individual perspective at the same time. So, he is autonomy in moral aspect and existential in ethical-aesthetical aspect. On the one hand, he is the self who can make autonomically determination. he can reflect post-conventionally and critically. In this context, he can be free himself from oppressive traditions. On the other hand, he is the self who can realize himself existentially. he can express his individuality and he tries to take acknowledge from the other. In this context, he is the self realizing himself. Through this explanation, individualized individual gives the energy of change to existing social integration and conventional tradition. He expresses differences and he can make them justifying rationally. In doing so, He can produce social evolution. Sometimes, Habermas has been misunderstood as thinker, who emphasizes only the concept of consensus, by other theorists. But no difference is no consensus. Individualized individuals produces differences and they have an ability which can found them rationally. Differences can reach to a consensus or a consensus of discord. And differences can be keep back for the future solution. We can’t explain this without the individualization.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의 압축적 개인화와 젠더범주의 민주주의적 함의 - 1990년대를 중심으로

        홍찬숙 ( Hong Chan-sook ) 한국여성사학회 2012 여성과 역사 Vol.- No.17

        이 논문에서는 1990년대의 한국사회를 `압축적 개인화`가 진행되기 시작한 시대로 보았다. 여기서 `개인화`는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과 엘리자베트벡-게른스하임의 개념을 빌려왔다. 1960년대에 들어서 서구에서는 계급타협의 복지제도, 가부장적 핵가족, 그리고 이러한 제도들에 기초하여 개인과 국가가 매개되는 형태인 국민국가가 완성된다. 그리고 그러한 역사적 조건을 배경으로 개인화라는 새로운 근대성의 현상이 진행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 논문에서는 1990년대의 한국에서도 서구와는 매우 이질적인 양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정도로 계급타협의 복지제도와 근대적 국민국가 의식이 본궤도에 올랐으며 또 가부장적 핵가족이 중산층을 넘어 `보편화`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하여 정치적 민주화, 지역 중공업노조를 중심으로 한 노사교섭, 가족법 개정이 성공적으로 진행된 80년대를 넘어서면서 가족의 다양화와 계급의식의 약화, 시민의식의 도약 등 개인화 현상이 진행된 것으로 본다. 한국에서는 특히 생명·생활의 안전문제 뿐 아니라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개인화를 더 가속화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또한 1990년대에는 한국적 근대성의 특징인 부계혈통 중심의 집단주의에 도전하는 개인주의의 흐름이 형성되며, 그것은 `몸`과 `성`의 개인주의를 주장하는 여성의 시민권 요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고 본다. 그리하여 1990년대 여성운동의 의제를 중심으로 개인주의와 개인화가 동시에 압축되어 진행된 `압축적 개인화` 현상에 대해 설명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meaning of gender category in a process of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in Korea, which, I think, started in 1990s. I call this process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because it consists not only of a so called `reflexive` process of the second modernity. Due to a strong patrilineal kinship in Korea Individualism was very oppressed in modernization of Korea. It is often said that collectivism is the very characteristic of korean modernity which differs from western modernity. In this paper I argue that it was women that advocate individualism in Korea, so to say,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of Korea since 1987. So the notion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means individualization in the usual, so to say, `reflexive` meaning and the delayed appearance of modern individualism in Korea at the same time. For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I deal with the theory of individualization by Ulrich Beck and compare German society since 1960s and Korean society since 1990s. For the second half of the paper the focus is laid on the issues of women`s movement in 1990s. I summarize the issues by 2 categories, ie. sexuality and national civil rights. I argue that the civil rights of sexuality and body can also be the starting point of individualism in Korea.

      • KCI등재

        가치갈등과 합의 그리고 해방 : 하버마스의 논변윤리(Diskursethik)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동규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2 No.-

        이 글은 하버마스의 논변윤리와 개인화 개념의 상관관계를 조명함으로써, 그의 논변윤리학이 갖는 의의를 부각시키고 있다. 실제로 실천적 논변활동을 촉발하는 주체의 상태에 대한 하버마스의 언급이 개인화 개념과 관련하여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버마스는 정작 논변윤리학관련 저서에서는 논변을 촉발하는 주체의 특성에 대해 직접 언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는 다른 저서에서 주장된 개인화 개념을 통해 논변윤리에 참여하는 개인의 특성을 파악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필자는 개인화된 개인이 가치갈등을 생산하고, 동시에 이를 해결하는 주체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그리고 갈등해결의 절차적 방법으로서 하버마스가 논변윤리학을 고안했음을 논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논변윤리학은 가치다원주의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한 중요한 기제로 부각될 것이다. 하버마스에게 개인화된 개인은 합의된 전통적 가치에 갈등을 유발하는 개인, 실천적 논변에 참여함으로써 이를 의사소통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개인, 논변윤리의 원칙과 보편화원칙을 합리적으로 수용하여 이를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 책임감 있는 개인이다. 그는 보편적인 관점과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특수한 관점을 모두 반영할 수 있는데, 특히 그의 비판적 관점이 실천적 논변으로 이어질 때 지속적으로 갈등과 차이가 생산될 뿐만 아니라, 그만큼 사회적 연대에 활력이 생기며, 가치의 다양성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사회적으로 풀어야할 새로운 문제들이 많이 생기는 것만큼, 논변윤리학적으로 풀어야할 문제들도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이 바로 논변윤리학이 여전히 유효한 이유이다. 따라서 하버마스에게 논변윤리학은 도덕적 가치갈등을 유발한 기존의 불합리한 것들을 합리화하고 이 과정에서 기존의 관습이나 전통에 의해 억압된 것들도 풀어낼 수 있는 일종의 해방적 실천의 도구로서 도입된 장치라 할 수 있다. This essay presents interconnection between discourseethics and individualization that are Juergen Habermas' main concept. In various articles, Habermas explains his concepts, that is, discourseethics and individualization. But he nerver explains how individualized individuals participate in practical discourses and how they relate to discourseethics. I think the very meaning of discourseethics will be redeemed only when interconnection between discourseethics and individualization must have been explained. Because only the concept of individualization can inspire the sensibility of difference into discourseethics. For Habermas, individualized individual has the universal perspective and individual perspective at the same time. So, he is autonomy in moral aspect and existential in ethical-aesthetical aspect. On the one hand, he is the self who can make autonomically determination. he can reflect post-conventionally and critically. In this context, he can be free himself from oppressive traditions. On the other hand, he is the self who can realize himself existentially. he can express his individuality and he tries to take acknowledge from the other. In this context, he is the self realizing himself. This kind of self gives rise to value-conflict in our moral and ethical life. In doing so, he gives the energy of change to existing social integration and conventional tradition. He expresses differences and he can make them justifying rationally. In order to do this, according to Habermas, he must participate in practical discourses and follow the discourseethical procedure that involves the principle of discourseethics and the principle of universalization. Sometimes, Habermas has been misunderstood as thinker, who emphasizes only the concept of consensus, by other theorists. But no difference is no consensus. individualized individuals produce differences and they have an ability which can found them rationally. Differences can reach to a consensus or a consensus of discord. and Differences can be keep back for the future solution of differences that are questionable now and here. The very individualized individuals can perform this kind of practices in participating practical discourses and following the principle of discourseethics and the principle of universalization. Thus This kind of approach is only possible when we investigate interconnection between discourseethics and individualization.

      • KCI등재

        울리히 벡의 개인개념과 한국사회

        이하준(Ha-Jun Lee) 사회와철학연구회 2014 사회와 철학 Vol.0 No.28

        이 논문은 ‘한국사회와 개인’의 문제를 벡의 ‘개인화 논제’을 원용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사회이론 영역에서 벡의 이론들을 준용해 한국사회의 개별문제를 다룬 연구 성과물은 종종 찾아 볼 수 있다. 그런데 철학의 영역에서 벡의 비판적 사회이론이나 개별 주제에 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거나 그의 이론적 성과에 입각해 한국사회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시도하는 연구물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 벡의 ‘개인화 논제’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의 개인개념을 규명하고 그의 논제가 ‘한국사회에서 개인’의 문제를 밝혀내는 데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으며 어떤 이론적 한계를 갖는지 가늠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첫째, 아도르노의 개인이 종말에 관한 벡의 비판이 제한적 타당성만을 갖는 다는 것을 논증한다. 둘째, 근대적 개인과 위험사회에서 개인에 대한 벡의 이론적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셋째, 개인화의 논제를 재구성하고 개인화의 양의성과 개인의 위기를 규명한다. 넷째, 초위험 사회로서 한국의 압축적 개인화의 양상과 성격을 벡의 논점과 비교 검토 한다. 다섯째, 한국사회에서 진정한 개인화와 개인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meaning of Korean society and Individual through the theory of individualization by Ulrich Beck. In the field of social theory, there are some researches which are applied to individual problems of Korean society. However, it is hard to find researches connected with philosophy or philosophical reflection on Korean society through Beck’s theory. From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I will prove how much analysing of his theory of individualization can contribute to inquiry of individual in our society and show what its limits are. The main poi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 argue that Beck’s criticism on Adorno’s thesis on the end of individual is restrictive valid. Second, I review that Beck’s theoretical position on modern individual and individual in risk society. Third, I reconstruct the theory of individualization and prove ambivalence of individualization and crisis of individual. Fourth, I cross check the issue between the whol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of Korea as a ‘High-Risk Society’ and Beck’s aspects. Last, I search the possibility of true individualization and individual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A Study of the ethics of Reinhold Niebuhr focusing on his thought of individuality

        ( Shinhyung Seong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9 기독교사회윤리 Vol.18 No.-

        라인홀드 니버는 일반적으로 사회 윤리의 정초자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니버의 인간관을 중심으로 그 인간관이 윤리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니버는 어거스틴의 전통에서 인간을 이해하고 있으며 그러한 인간 이해는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대해서 철저히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간 이해를 바탕으로 니버는 인간의 개인화에 중심을 둔 윤리 형성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개인화 되어가는 과정은 인간의 본성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의 자유와 가능성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개인화가 출발하게 되며,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의 윤리의 초석인 사랑의 윤리를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니버가 관심을 가지는 것은 인간의 창조성과 하나님의 이미지를 가진 존재로 창조되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비록 인간은 죄로 인해서 한계적인 존재이지만, 동시에 자신을 계속 발견해가고 초월자 하나님을 만나는 과정에서 자기초월을 이루어 가는 존재입니다. 이러한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자기 초월을 이루어 가는 과정을 니버는 “개인화 (Individualization)”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개인화 과정이 윤리의 중요 주제로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한 자기 초월의 과정은 신적인 사랑인 아가페를 통해서 구체화되며, 사람간의 상호 사랑 (에로스) 역시 사랑의 진정성의 측면에서 사회 윤리를 이루어가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비록 인간의 죄 때문에, 사람에게는 그 한계가 분명하지만, 그 한계를 극복해가면서 개인화 과정을 통해서 정의와 분배, 그리고 사랑을 이루어가는 것을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논문에서는 니버가 이해한 인간관과 그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화“가 어떻게 니버의 윤리 사상을 어떻게 전개시키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Reinhold Niebuhr is generally renowned as the establisher or the exponent of social ethics throughout the world. This research is, on the contrary, arguing how he develops his concepts of individualization in terms of ethics as it is focusing on the anthropological thoughts of Niebuhr. Niebuhr completely analyzes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that human beings individualize themselves as creaturely beings who contain the image of God based upon the neo-Augustinian theology. Thus, Niebuhr develops his ethical thoughts concentrating on the concept of “individualization.”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begins from the understanding of human finiteness and freedom which are one of the main ideas of human nature. This individualizing process is the basis of the ethics of agape (divine love) that is the foundation of Niebuhr`s ethics for society. Humanity`s acknowledgement of society and love is the fundamental way of individualization, especially since both loves of self-giving and forgiving are the main origination of individualization of the self which formulates morality not only human relations but also the individuals relation to God. Only this love makes people meet others and have a relationship in community. Sometimes, the community supports individuals to fulfill their individuality; however, it frequently frustrates their desire to attain individuality because the individual`s morality conflicts with the communal order or morality. This situation is the place of Christian realism in Niebuhr. Love, equality, and justice are the main basis of Christian realism, that is, Christian realism tells us the harmony of equality and justice based on love as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ethics. In short, this research paper delves into how individualization unfolds one of the main thoughts of the ethics of Reinhold Niebuhr.

      • KCI등재

        A Study of the ethics of Reinhold Niebuhr focusing on his thought of individuality

        성신형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9 기독교사회윤리 Vol.18 No.-

        Reinhold Niebuhr is generally renowned as the establisher or the exponent of social ethics throughout the world. This research is, on the contrary, arguing how he develops his concepts of individualization in terms of ethics as it is focusing on the anthropological thoughts of Niebuhr. Niebuhr completely analyzes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that human beings individualize themselves as creaturely beings who contain the image of God based upon the neo-Augustinian theology. Thus, Niebuhr develops his ethical thoughts concentrating on the concept of “individualization.”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begins from the understanding of human finiteness and freedom which are one of the main ideas of human nature. This individualizing process is the basis of the ethics of agape (divine love) that is the foundation of Niebuhr’s ethics for society. Humanity’s acknowledgement of society and love is the fundamental way of individualization, especially since both loves of self-giving and forgiving are the main origination of individualization of the self which formulates morality not only human relations but also the individuals relation to God. Only this love makes people meet others and have a relationship in community. Sometimes, the community supports individuals to fulfill their individuality; however, it frequently frustrates their desire to attain individuality because the individual’s morality conflicts with the communal order or morality. This situation is the place of Christian realism in Niebuhr. Love, equality, and justice are the main basis of Christian realism, that is, Christian realism tells us the harmony of equality and justice based on love as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ethics. In short, this research paper delves into how individualization unfolds one of the main thoughts of the ethics of Reinhold Niebuhr. 라인홀드 니버는 일반적으로 사회 윤리의 정초자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니버의 인간관을 중심으로 그 인간관이 윤리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니버는 어거스틴의 전통에서 인간을 이해하고 있으며 그러한 인간 이해는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대해서 철저히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간 이해를 바탕으로 니버는 인간의 개인화에 중심을 둔 윤리 형성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개인화 되어가는 과정은 인간의 본성 이해를 바탕으로 인간의 자유와 가능성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개인화가 출발하게 되며,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의 윤리의 초석인 사랑의 윤리를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니버가 관심을 가지는 것은 인간의 창조성과 하나님의 이미지를 가진 존재로 창조되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비록 인간은 죄로 인해서 한계적인 존재이지만, 동시에 자신을 계속 발견해가고 초월자 하나님을 만나는 과정에서 자기초월을 이루어 가는 존재입니다. 이러한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자기 초월을 이루어 가는 과정을 니버는 “개인화 (Individualization)”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개인화 과정이 윤리의 중요 주제로서, 하나님과의 관계를 통한 자기 초월의 과정은 신적인 사랑인 아가페를 통해서 구체화되며, 사람간의 상호 사랑 (에로스) 역시 사랑의 진정성의 측면에서 사회 윤리를 이루어가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비록 인간의 죄 때문에, 사람에게는 그 한계가 분명하지만, 그 한계를 극복해가면서 개인화 과정을 통해서 정의와 분배, 그리고 사랑을 이루어가는 것을 니버의 기독교 현실주의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논문에서는 니버가 이해한 인간관과 그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화“가 어떻게 니버의 윤리 사상을 어떻게 전개시키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 KCI등재

        ‘21세기형 공동체 가족’ 모델의 모색과 지원방안

        심영희(Shim, Young-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1 아시아여성연구 Vol.50 No.2

        이 글에서는 1) 한국 사회의 가족/친밀성 관련 갈등의 실태는 어떠한지 진단하고, 2) 가족/친밀성 갈등은 왜 발생하는지 구조적 원인을 밝히며, 3)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가족 내 젠더갈등을 해소하는 사회통합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벡(U. Beck)과 벡-게른스하임(E. Beck-Gernsheim)의 2차 근대성 이론과 개인화 이론에 입각하여 이런 가족/친밀성 갈등이 발생하는 역사적, 구조적 맥락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21세기형 공동체 가족’ 모델을 제시한 후 이를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밀성 영역의 갈등 실태와 관련하여 결혼의 감소, 이혼의 증가, 출산율의 저하 등에서 갈등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태도와 의식의 문화적-담론적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이는 결혼이나 출산에 대한 태도가 변했기 때문이라기보다 여건이 되지 않아서 일어나는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족/친밀성 영역 갈등의 구조적 원인과 관련하여 벡과 벡-게른스하임의 2차 근대성 이론과 개인화 이론에 따라 한국사회를 분석한 결과 이러한 갈등의 원인은 급속한 산업화와 세계화의 영향으로 ‘개인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개인화는 서구와 달리 ‘개인주의 없는 개인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화의 결과 한국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가족을 ‘21세기형 공동체 가족’으로 개념화하고 특징을 제시하였다. ‘21세기형 공동체 가족’의 특징은 서구의 ‘가족 이후의 가족’과는 다르게 개인화와 가족지향성이 동시에 발견되며 평등한 부부관계와 일-가족 양립의 과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친밀성 영역의 사회통합을 위해서 ‘21세기형 공동체 가족’의 지원방안을 제도적 차원과 문화적 동기화의 차원에서 제안하였다. 평등한 부부관계를 위한 제도적 방안으로서는 친족법을 혼인법으로 바꾸는 것을 제안하였고, 일-가족 양립과 관련해서는 가족친화적 기업모델의 개발, 일-가족 양립 모델 개발, 보살핌노동의 사회화 등을 제안하였다. 문화적 동기화 차원의 지원방안으로서는 소통을 통한 평등이념의 개발, 성별분업 이데올로기의 타파, 기업의 사회적 책임윤리 확산, 보살핌노동의 사회화 담론 확산 등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is aimed to do the following: 1) to diagnose the present state of the family/intimacy-related conflict in Korean society, 2) to reveal the structural backgrounds of these family/intimacy-related conflict, and 3) based on these analyses to suggest measures of social integration to resolve the gender conflict within the family. More specifically, this article is to utilize the second modernity and individualization theory of Beck, analyze the historical structural context in which the family/intimacy-related conflict occurs, and suggest a community family model of the 21st century and measures to support it.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present state of family/intimacy-related conflicts, they were noticeable in the decrease of marriage, increase of divorce, decrease of fertility rate, etc.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structural-objective dimension. However, it was also noticeable that in terms of the cultural-discursive dimension, it was not due to the change of the attitude toward the marriage and fertility, but because the conditions for marriage or birth were not available. Second, as to the structural background of the family/intimacy-related conflict, the author, applying the second modernity and individualization theory of Beck, could claim that the background of this conflict is due to the "individualization" pushed by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However, the individualization in Korean society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ern Europe and could be characterized as "individualization without individualism." Third, the author conceptualized the new family which emerge with the individualization in Korea as "community family model of the 21st century" and tried to provide its characteristics. The "community family model of the 21st century" is, characterized by the coexistence of individual-orientation and family-orient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post-familial family." It has to fulfill the task of equality of the husband and wife as well as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Fourth, for the social integration in the family/intimacy area, that is, for the "community family model of the 21st century", the author suggested support measures in terms of institutional and cultural motivational dimension. For the institutional measures, the author suggested the change of family law into marriage law for equal spouse relationship, and development of the family-friendly enterprise model, socialization of care work for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As support measures for cultural motivation, the author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the idea of equality through communication, the throwaway of gender division of labor, diffusion of the social ethics of the enterprises, and the discourse of socialization of care work,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