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큐메니칼 관점에서 본 유세비우스의 역사서술방법론과 역사이해에 관한 연구

        김명배 숭실사학회 2009 숭실사학 Vol.23 No.-

        이 논문은 에큐메니칼 관점에서 유세비우스의 역사서술방법과 역사이해를 평가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논문은 두가지 방법을 취한다. 첫 번째 방법은 그의 작품인 교회사 연구하고, 그 작품 속에서 그의 역사이해를 관찰한다. 두 번째 방법은 에큐메니칼 역사방법론을 서술하고 에큐메니칼 관점에서 유세비우스의 역사서술방법과 역사이해를 평가한다. 유세비우스는 초대교회의 가장 중요한 역사가이며 종종 그의 교회사 의 중요성으로 “교회사의 아버지”로 언급된다. 이 작품은 예수그리스도에 의한 교회의 설립으로부터 콘스탄틴 황제까지의 교회의 역사를 다룬다. 이 작품 속에서 유세비우스는 여섯 개의 주제들 예를들면 사도적 전승, 교회사 속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들과 인물들, 이단의 발전, 유대인의 운명, 기독교인의 박해와 순교, 그리고 초대교회에서 성서의 본문과 정경의 역사 등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는 이 작품 속에서 첫째로 전체역사를 통해 관통하는 것은 신적 섭리와 은총이라고 생각하였으며, 둘째로 콘스탄틴의 도래가 이러한 진보의 절정이라고 믿었다. 한편 1981년 스위스의 바젤에서 개최된 국제교회사협의회는 에큐메니칼 교회사서술방법론에 관하여 토론하였다. 이 모임에서 교회사가들은 하나의 거룩한 보편적인 에큐메니칼 교회사 서술을 위한 과제를 제출하였다. 이 에큐메니칼 교회사 서술은 시간, 공간, 그리고 하나님의 전체백성의 보편성으로 특징지어질수 있다. 그리고 이 에큐메니칼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그룹 보고서들은 교회들의 다양성, 초대교회사에 대한 연구, 세속역사가들과의 대화가 필요하다는데 동의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에큐메니칼 관점에서 유세비우스의 역사서술방법과 역사이해를 평가하였다. 이 논문에 따르면, 유세비우스의 역사서술방법은 에큐메니칼 역사서술방법과 공통점과 차이점을 모두를 지니고 있다. 우선 공통점은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가 에큐메니칼 역사서술이 강조하는 초대교회사의 보고이며, 세속역사가들과의 대화를 시도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는 다양한 교회들의 역사를 담아내지 못하고 있으며, 민중들의 역사를 다루고 있지 않는다는 점에서 에큐메니칼 역사서술방법과 차이점을 지닌다. This paper is to estimate Eusebius’ historiography and understanding of history in An Ecumenical Perspective. To obtain this purpose, this paper takes two methods. The first method researches Eusebius’ historiography in his work, Ecclesiastical History and examines his understanding of history in it. The second method is to study the historiography of An Ecumenical Perspective and estimate Eusebius’ historiography and understanding of history in An Ecumenical Perspective. Eusebius is the most important historian of the early church and is often referred to as the “Father of Church History” because of the significance of his Ecclesiastical history. This work covers the story of the church from its establishment by Jesus Christ to the time of the Emperor Constantine. In this work, Eusebius identifies Six broad subjects: the successions of the apostles, the most important events and persons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the development of heresy, the fate of the Jews, the persecution and martyrdom of christians, and the history of the text and canon of Scripture in the early church. In this work. Eusebius has two ideals of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First, he thought that Permeating the entire history is the idea of divine Providence and grace. Second, he believed that the advent of Constantine was the culmination of this progression. Meanwhile, in 1981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church historians held in Basel, Switzerland discussed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historiography of An Ecumenical Perspective. At the meeting church historians presented the task for An Ecumenical history of the una sancta catholica. It must be characterized by catholicity in time, in space, and of the whole People of God. And also, in order to carry out the task of ecumenical church history, the reports of groups agreed that the diversity of churches, the study of early church history, the dialogue with Secular historians, and the presentation of the history of people are required. In view of this ecumenical historiography, this paper estimates Eusebius’ historiography and understanding of history. According to this paper, Eusebius’ historiography has the common grounds and differences with this ecumenical historiography. the common grounds is that Eusebius’ Ecclesiastical History has the sources of early church history and the dialogue with Secular historians. the differences is that Eusebius’ Ecclesiastical History has not the diversity of churches and the presentation of the history of people.

      • KCI등재

        새로운 기독교사 방법론들의 대두: ‘세계기독교사’를 중심으로

        안교성 ( Kyo-seong Ahn ) 한국서양사연구회(구 서울대학교 서양사연구회) 2020 서양사연구 Vol.0 No.63

        Over the last century and well into this new century, one continues to witness the revolutionary transformation in historiography, and Christianity is no exception.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discourse of ‘World Christianity’, which recently emerged as the representative one among new historiographies in Christian history. With Andrew F. Walls being a mastermind, history in the ‘World Christianity’ perspective has grown as a confluence between diverse innovations in Christian historical studies: ecumenical history, world history of Christianity, polycentric history, and history of ‘World Christianity’ itself. These new ways of writing history were in general forged to reflect accurately a sea change in the worldwide churches: over the last century, the gravity of Christianity has moved to the Global South, which means that the Western church begins to be viewed as an indigenous church in the West, rather than the center of or the source of reference for the worldwide churches. The purposes of the history of ‘World Christianity’ are various: it seeks to address the lopsided history of the worldwide churches, which has been no more than a euro-centric history, with the history of the non-Western church being ignored or attached as a supplement; it triggers the interest of Western and non-Western scholars in the non-Western and worldwide history of Christianity; it boosters interdisciplinary works between Christian and secular historians; and it reinvigorates a number of Christian disciplines such as Christian history, missiology, evangelicalism, etc. Having grown mainly based on the Yale-Edinburgh Conference, a modest trans-Atlantic scholarly network among Christian historians and missiologists such as above-mentioned Andrew Walls, Lamin Sanneh, etc., the discourse of ‘World Christianity’ now begins to take root deeply as a widely recognized historiography in the worldwide churches. Its perspective fans out into the Western and non-Western churches, and appears to be gaining in popularity among scholars, although as a new discourse it leaves much to be desired. Non- Western scholars, however, gradually welcome the theory, thinking that they can have ownership in this study.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kyosahn@hanmail.net)

      • KCI등재

        라투레트와 백낙준의 교회사관: 그 상관성 연구 서설

        최재건 한국교회사학회 2015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1 No.-

        라투레트는 20세기의 가장 탁월한 교회사가 중 하나였다. 논저의 양적면에서는 150여권의 저서를 출간하여 누구의 추적도 불허했다. 예일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미국에서 선교가 중시되던 시기에 태어나고 경건한 가정에서 자라 그 영향으로 중국선교사가 되었다. 건강 때문에 선교사역에서 물러나 고향에서 치료 후 그는 학문의 세계에 들어갔다. 그의 학문적인 관심도 선교역사였다. 선교적인 염두에서 중국 일본등지의 역사 연구서를 펴내고 사학과에서는 동양사 교수로 자리 잡았다. 종교학과에서도 기독교를 선교사적 관점에서 교수했다. 신학교에서는 기독교확장사를 가르쳤다. 기독교는 초대 교회로부터 지금까지 계속 확장되어 왔다는 견해였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는 『기독교확장사』 7권과 『혁명시대의 기독교』 5권은 그의 대표적 저서이다. 그 외에도 우리에게 많이 알려진 저서로 『기독교회사』와 『중국기독교선교사』 등이 있다. 이러한 저서들을 통해서 그는 기독교역사는 계속 확장되어 왔다는 것을 증거하였다. 백낙준과 라투레트는 예일 대학교에서 사제 관계였다. 라투레트가 백낙준의 박사논문 지도교수였다. 백낙준은 라투레트의 교회사 방법론을 따랐다. 교회의 역사는 선교의 역사라고고 그의 저서 『한국개신교사』에서 스스로 밝혔다. 라투레트 페이퍼가 예일 신학대학원에 수집되어 있음으로 이를 활용할 것과 백낙준의 글들도 더 수집하여야 할 것이다. 한걸음 더 나아간 연구를 위해서이다. Kenneth Scott Latourette was one of the most famous Church Historian in the 20th century. Especially for the publication, he was the first one. He published about 150 volumes. In order to publish the books, he gave up marriage too. His renowned published books are A History of the Expansion of Christianity 7Vols., Christianity in Revolutionary Ages: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5Vols., A History of Christianity and A History of Christian Missions in China etc. He grew up Christian family.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re was strong influence of Moody’s revival movement and Student Volunteer Movement for Foreign Mission in American Church History to young students. He was also influenced it and became a missionary in China after he got Ph. D. degree from Yale University. But because of his ill health condition, he returned to his home town. After recover from the ill health, he became a scholar focus on mission history. His methodology of Church History was Christian Church has been expanded from the beginning so far. He insisted on this theory through his many books and articles. The relationship between K.S. Latourette and G. L Paik was professor and student at Yale Graduate School. Paik wrote his dissertation for Ph. D. on the History of Protestant Mission in Korea under the guidance of Prof. Latourette. Therefore when Paik published his dissertation at Union Christian College in Pengyang, he mentioned it. In order to further study, we have to collect Latourette’s papers which is in Special Collection Room in Yale Divinity School Library and also Paik’s, too.

      • KCI등재

        역사신학의 과제와 종교개혁 교회사관

        임원택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3 역사신학 논총 Vol.43 No.-

        역사신학의 과제는 하나님 말씀인 성경을 올바르게 풀고 가르치는 것이다. 역사를 살필 때 중요한 것이 사관이다. 사관의 차이가 역사 해석의 차이를 낳기 때문이다. 교회사관은 교회관에 따라 결정된다. 교회사관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로마 가톨릭 교회사관, 신령파 교회사관, 종교개혁 교회사관. 로마 가톨릭 교회사관은 성육신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신비한 몸과 로마 가톨릭 교회를 동일시한다. 그 결과, 교회와 교회 전통이 절대시 되고, 성경 해석도 교회의 결정과 가르침에 종속된다. 신령파 교회사관은 교회와,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계시의 역사성의 상관관계를 영적으로 단절한다. 신령파 교회사관의 문제는 불가시적 교회라는 교회의 본질적 개념 안에서 교회의 역사성이 사라져버린다는 사실이다. 종교개혁사관은 가시적 교회와 불가시적 교회의 긴장 관계 속에서 교회사를 살핀다. 건전한 전통은 계시의 말씀인 성경에 근거해 분별하며, 주관적인 성경 이해를 피하기 위해 교회의 역사와 전통에 자문한다. 종교개혁 교회사관을 가지고 교회사를 연구한다면, 세계교회적 보편성과 지역적·민족적·역사적 특이성이 균형을 유지하도록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균형 잡힌 교회사관을 가지고 있으면, 오늘날 교회가 성경이 가르치는 교회상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점검하고 동시에 성경적 교회상을 실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교회사의 과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종교개혁 교회사관의 적용 실례로 다음과 같은 주제들에 대한 해석들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해석을 제시했다. 교회의 기초(마 16:16-19), 교회와 국가의 관계, 신약성경의 정경화 과정,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마 28:18-20). The task of historical theology is the right interpretation and teaching of Holy Scripture. In studying historical theology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view of history. For a different view of history results in a different interpretation of history. Views of church history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conceptions of the Church. There are three main forms of history of the Church: the Roman Catholic, the Enthusiastic, and the Reformed. The Roman Catholic conception of the Church identifies the mystical Body of Christ with the historically verifiable Roman Catholic Church. As a result, the Roman Catholic Church places absolute trust in their church and church tradition, and their interpretation of Holy Scripture is subject to the decision and teaching of their church.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Enthusiastic conception of the Church consists in its spiritualizing severa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historicity of the revelation in Jesus Christ. The basic significance and problem of this lies in the fact that the historicity of the Church disappears in the essential conception of an invisible Church. The Reformed conception of the Church assumes the antithesis between a visible and an invisible Church. The Reformed Church discerns between sound and unsound traditions by Holy Scripture, the revealed Word of God, and considers history and tradition to avoid arbitrary interpretations. A historical theologian with the Reformed conception of the Church should always give his or her mind to keeping the balance between ecumenicity and relevancy, in other words,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If we have a balanced and sound view of church history, we can achieve the task of historical theology, that is, to evaluate the Church of today how much it conforms to the teaching of Holy Scripture, and to help it take the right direction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of the Biblical Church. As examples of the interpretation of church history according to the Reformed conception of the Church, following subjects are considered: the foundation of the Church(Matthew 16:16-19), the relation between the Church and state, the process of canonization of the New Testament, and the great commission of Jesus Christ(Matthew 28:18-20).

      • KCI등재

        「한국교회사학회지」에 게재된 근, 현대 논문분석 및 평가: 사상사, 교단사, 교회일치운동 중심으로

        김태식 한국교회사학회 2020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5 No.-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근, 현대교회사에 해당하는 시기에 새로운 신학사 상체계가 수립되고 새로운 교회체제인 교파(교단)제도가 출현하게 되었다. 루터교, 성공회, 개혁교회, 침례교, 급진종교개혁세력등으로 대표되는 개신교는 저마다 교단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여러 신앙고백과 신학체계를 확립했고 교단의 운영체제인 감독정체, 장로정체, 회중정체등도 각 교파가 처한 여건과 상황속에서 발전시켜 나갔다. 한국교회사학회 창간이후, 지난 50년 동안 학회지에 실렸던 72편의 논문들은 각 교단 관련 신학과 교회정체, 그리고 일반적인 주제들(교회일치운동 포함)을 다루었다. 하지만 특정 주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했으며 이에 주제의 다양성 확보와 보다 다양한 교단참여와 적절한 성비 비율을 위한 대책이 시급해 보였다. After the 16th century reformation, the theologies and the new church policies (especially denominationalism) of each reformed group were established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Lutheran, Anglican, reformed, Baptist, and radical reformers established their denominational identities with various confessions or theological texts, and denominational policies such as those associated with Episcopalianism, Presbyterianism, and Congregationalisn. During the last 50 years, 72 articles were published in this journal. The topics of these articles included theology, church policy, and ecumenism. An effort to attain more denominational participation, relevant topics, and to welcome more female writers is needed.

      • KCI등재

        남북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의 선교역사

        전석재(Seok Jae Jeon)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4 No.-

        본 논문은 한국교회와 기독교인들이 남북통일을 향한 선교역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국교회는 에큐메니컬(ecumenical) 입장과 복음주의(evangelical)의 입장에서 북한선교와 통일을 다루었는데, 거기에는 차이가 있다. 복음주의 입장에서의 선교는 북한의 복음화에 집중하고, 반면에 에큐메니컬 입장은 하나님의 선교라는 관점에서 통일 자체를 선교라고 본다. 이런 두 진영의 차이에도 남북 간의 통일에 대한 문제는 선교신학적 차이를 넘어서서 민족적인 문제이며, 한국교회의 선교적인 책무이다. 본 논문은 통일에 대한 관점을 통전적인 시각으로 전개하였다. 선교적인 관점에서 남북통일 문제는 에큐메니컬 입장이나 복음주의 입장, 어느 한쪽의 입장에 치우치지 않고 총체적이고, 통전적인 관점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는 통일을 향한 선교신학적인 관점으로서 북한선교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를 다루었고, 통일에 대한 선교역사적인 관점을 설명하였다. 또한 남북 간의 통일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이해하면서 통일에 대한 한국교회와 기독교인의 입장에서 접근과 제언을 시도하면서 한국교회의 과제를 논의하였다. 현재 남한에서는 통일에 대한 논의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계속 논의되어왔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 선교적 관점에서 북한선교와 통일을 다루었다. 남북통일은 하나님께서 이 시대에 한국교회와 기독교인들에게 부여하신 주님의 명령이며, 사명이며, 중요한 과제이다. 남북통일을 이루어 가는 길은 샬롬의 평화를 성취하는 것이다. 또한 기독교인의 시각에서 남북통일은 북한의 복음화와 하나님의 정의를 실천 하는 길이며, 하나님의 선교를 이루는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in Korea churches and Christian. Korea Churches deal with Ecumenical stance and Evangelical position about Unification and North Korea Mission, so they have different perspectives. The mission of Evangelism concentrate on preaching of gospel, however ecumenical mission focus on its unification about North Korea Mission. We realize that between ecumenical and evangelical opinion in missional difference, we should be work north and south unification, because it is task of mission work. The South and North Korea is to accomplish national reconciliation and peaceful unification of true meaning. We have understanding these areas must be a prerequisite for North Korea missions. In this article on approach and principles of an effective mission strategy through understanding the history and status of North Korea missions, I would present a way to bring together concepts of North Korea mission which are to pursue with the evangelical and ecumenical perspectives of the South Korean church. Korea churches are an important mission task toward North Korea missions and Unification, not onl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Great Commission of Jesus Christ, but also achieve peace of shalom in North and South Korea. Above all we should understood that North Korea missions is the evangelization in North Korea and justice of God. Also, we should composed of mission of God in North and South Korea.

      • KCI등재

        한국에서 마르틴 부처(Martin Bucer)에 대한 연구사

        최윤배 ( Choi Yoon-bae ) 한국조직신학회 2018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1 No.-

        종교개혁500주년을 맞이했지만 마르틴 부처는 다른 종교개혁자들에 비해 국내 · 외적으로 여전히 “잊혀진 종교개혁자”임에 틀림없다. 그는 그의 조국 독일에 있는 자신의 고향 도시인 스트라스부르(Strasbourg; Straßburg)에서 약 25년간(1523.5~1549.8) 종교개혁 운동과 목회사역을 한 “스트라스부르의 종교개혁자”로서 스트라스부르교회의 감독이 되어, 스트라스부르의 종교개혁을 선봉에서 이끈 최고의 지도자였고, “개혁교회의 원조(元祖)”로도 불린다. 그는 스트라스부르에서 주도적인 지도력을 행사했을 뿐만 아니라 유럽 전역과 다양한 기독교파들과 특히 칼뱅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특히 교회연합과 교회일치(ecumenical)를 위해 큰 노력과 공헌을 하였다. 1999년 3월 30일에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마르틴 부처에 관한 최초의 논문은 최윤배의 “부처와 깔뱅에게서 성령과 그리스도의 삼중직”과 2007년 황대우의 편저 『삶, 나아닌 남을 위하여: 마르틴 부써의 기독교윤리』 이래, 상당수와 저서와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국내 마르틴 부처연구 및 발전을 위해 매우 고무적인 현상은 마르틴 부처 비전문가들도 마르틴 부처에 대한 관심을 갖고 소논문, 서평, 신문기고문 등을 통해 마르틴 부처와 관련된 글을 상당히 쓰고 있다는 사실이다. 가령, 2003년 2월에 허정갑은 “마르틴 부처(1491-1551)와 스트라스 부르크 예전”을 썼고, 2003년 9월에 정장복은 예배 · 예전과 관련된 논문에서 마르틴 부처에 대해 상당 부분을 할애하였다. 2004년에 박경수는 “마르틴 부처와 요한 칼뱅: 교회일치의 옹호가들”이라는 주제로 발표하였고 그리고 최근에 김인주는 목회자로서 「한국기독공보」에 두 차례나 마르틴 부처의 생애와 목회사상을 소개했다. 마르틴 부처의 전문가들과 마르틴 부처의 제1차 자료 번역서의 확보와 마르틴 부처에 대해 관심 있는 신학자들과 목회자들과 평신도들과 교회의 노력과 기도와 후원이 있는 한, 네덜란드에서 1996년부터 그리고 국내에서 1999년부터 연구자에 의해 전문적으로 시작된 한국교회의 마르틴 부처에 대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발전해서 완전히 “잊혀진 종교개혁자 마르틴 부처”가 잘 “알려진 종교개혁자 마르틴 부처”로 거듭나게 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search-history of Martin Bucer((Butzer)(1491-1551) in Korea. Although the 500th anniversary of the Reformation was commemorated last year, Martin Bucer could be a “forgotten Reformer” even now, compared to other Reformers. He became the director of the Strasbourg(Straßburg) Church as “Reformer of Strasbourg” who worked for about 25 years(1523-1549) in his home town of Strasbourg in Germany. He was the best leader who led the Reformation in the forefront and was also called the “originator of the Reformed Church.” He played a leading role in Strasbourg. He influenced the whole of Europe and various camps of Reformation, especially John Calvin. The first treatise on Martin Bucer in Korea, Yoon Bae Choi’s “the Holy Spirit and Christ’s tripple office in Bucer and Calvin,” has been published in a Korean journal on March 30, 1999. Since then a number of theses and academic papers have published. The growing interest in Martin Bucer is very encouraging for the study of Reformation theology in Korea. Even the non-professional persons of Martin Bucer have an interest in him and write articles, a short essay, a book review and a newspaper article over Martin Bucer. For example, in 2004, Kyung-Su Park presented the theme, “Martin Bucer and John Calvin: Advocates of Church Unity.” And recently, Kim In Ju introduced the life and ministry of Martin Bucer twice in a weekly magazine. We expect that Martin Bucer as “forgotten Reformer” would surely become a well-known “Reformer”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Engendering Christian Mission in Asia : Understanding Women's Works in the History of Mission

        WONG Wai Ching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003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AJWS) Vol.9 No.2

        Despite the selfless and devoted service of women, their continuous contributions to the Church and its mission, have been largely neglected and many of their efforts unacknowledged. In the modern history of mission, we find that women in Asia understand their tasks in mission very differently. In fact, they undertook action for the "mission of God" in everything they did in terms of their social involvement or service, mostly via their participation in the struggle for a new society. In actual practice, they reinterpreted Christian mission as a co-mission of humans and God in seeking and communicating the divine truth, and taking on the shared responsibility of working for peace and justice. The understanding of "mission" in the actual day-to-day practices and in people's living and sharing together as people in relation has grounded Christianity in the concrete needs of women in Asia. Placing this understanding within the debate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mission's concept in the history of ecumenism, one might say that women have displayed an integrative "worldly" approach to it.

      • KCI등재

        세계관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 선교: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비교 연구

        김만태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3 영산신학저널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n a virtuous direction of the 21st century Christian mission by pursuing the true meaning, scope, and practice of missions through a comparative exploration of Ecumenical, Evangelical, and Pentecostal missions, the three major mission mov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view. The author uses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The Ecumenical mission is based on the worldview that regards this world as a significant object and stage for salvation and missions, seeking to improve human societies by using natural means and changing social structure, whereas the 19th century mission was, by and large, the other world-focused. The Evangelical mission retains the other world oriented worldview of the 19th century; yet, eventually affirming Christian social responsibility to be a crucial assignment in missions. On the other hand, it gives priority to evangelism over social responsibility and encourages social service rather than social actions. The Pentecostal mission is in line with the Evangelical mission in view of its emphasis on evangelism and salvation into the other world. However,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Evangelical, for it seeks to meet physical, material, and practical needs through the supernatural work of God, underlining human welfare in this world. The result of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is world is in the deep concern of God and, subsequently, salvation of souls, human life in this world, and the transformation of this world are all the significant realms of missions. The direction and practice of the 21st Christian mission needs to underscore both of the other world and this world; the eternal future and the present time; supernatural causes and natural/social causes; spiritual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본 논문의 목적은 개신교 세계 선교의 주요 흐름인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선교를 세계관이라는 관점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선교의 진정한 의미와 범위 및 실천을 조명함으로써 세계 기독교 선교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 조사 방법은 문헌 연구이다. 에큐메니컬주의 선교는 19세기의 저 세상을 지향하는 세계관과는 달리 이 세상을 중시하는 세계관에 기초하여 이 세상을 구원과 선교의 주요 대상이자 무대로 보면서 선교 실천에 있어서는 사회적 구조를 변혁하는 자연적 수단을 강조하였다. 복음주의 선교는 19세기의 저 세상 지향적인 세계관을 계승하였고 사회적 차원에 있어서는 사회봉사를 위주로 한 사회적 책임을 선교의 중요한 요소로 인정하면서 대다수의 복음주의자들은 복음 전도가 사회적 책임보다 우선한다는 입장을 취했다. 오순절주의 선교는 복음 전도를 강조하며 저 세상 지향적인 점에서 19세기의 선교 및 20세기의 복음주의 선교와 연속성을 가지지만, 초자연적인 역사를 통한 신체의 치유, 물질적・현실적 필요의 충족을 추구함으로써 이 세상에서의 안녕을 기독교 신앙의 중요한 측면으로 간주했다. 본 논문은 에큐메니컬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주의 선교에 대한 비교 통찰을 통해 저 세상과 이 세상 모두 하나님의 관심 속에 있으며 개인의 영혼 구원과 이 세상에서의 삶, 세상의 변화가 모두 선교의 중요한 차원임을 밝힌다. 21세기에 저 세상과 이 세상, 미래의 영원한 시간과 현재의 시간, 초자연적 원인과 자연적・사회적 원인, 영적 활동과 사회적 활동을 모두 중요하게 보는 총체적인 시각과 선교가 필요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