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공학교육에서 성인지적 관점을 반영한 교수전략 개발에 대한 비판적 고찰

        조미경(Cho Mi Kyung),김세영(Kim S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최근 공학 분야에서 여성 인력 부족 및 여학생들의 공학계열 진로 기피 현상의 원인을 젠더에 대한 이해와 고려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것에서 찾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성인지적 관점에서 공학교육의 교수전략 개발을 비판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학교육에서 성인지적 관점의 의미와 이를 반영한 교수전략 개발에 관한 정책적 지원 현황과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비판적 고찰을 기반으로 하여 대학의 공학교육에서 성인지적 관점을 반영한 교수전략 개발에 있어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성인지적 관점 교육을 통해 인식 전환의 기회를 만들기, 둘째, 기존 남성 중심의 공학 문화를 변화시키기, 셋째, 젠더혁신을 통해 새로운 시각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기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지적 관점을 반영한 선행연구들을 총체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공학교육에서 성인지적 관점을 기반으로 교수전략 개발이 어떤 방향성을 지녀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찾았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대학 공학교육의 실천에 있어 성인지적 접근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Recently in engineering field, it is emphasized to develop the curriculum and teaching strategies reflecting gender awareness perspective to overcome the issue, assuming that the shortage of female engineers and the reason that women leave engineering are associated with the lack of gender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der awareness perspective in engineering education, considering gender and cultural diversity goals. The study suggests two perspectives of engineering education within gender awareness perspective; to enhance the qualities of female themselves and to strengthen the gender awareness competencies for all the members of engineering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ese approaches, three basic principles for developing teaching strategies were suggested; first,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paradigm shift through gender awareness perspective education, second, to change the male-centered engineering culture, and third, to reflect new perspectives and social needs through gendered innov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mmarized previous studies of teaching strategy based on gender awareness perspective and proposed the basic principles of teaching strategy development. Through the study, the education practice of gender awareness perspective wishes to be continued as a going concern in the engineering field.

      • KCI등재

        체육 분야 성(性)평등 연구 동향 분석: 사회학적 관점에서 바라보기

        최윤소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3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ritical analysis of research trends like gender equality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To this end, topic modeling was applied as a research analysis technique. The keywords of this study are ‘physical education,’ sports,‘ ’gender equality’ and ‘gender awareness’ and all the academic research data after starting the discussion about the topic in the field of domestic physical education were fixed as the target of analysis. The topic modeling results that applied the keyword were derived into 5 upper categories (efforts to improve sexual culture in sports, female activities in the field of sports, gender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sociocultural gender that begins from biological gender differences, changes in gender awareness due to external factors). The research findings implied that the first and second categories are not associated with the provision of institutional strategies although various research is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The third category suggested the necessity of discussing the enhancement of the sensibility of gender awareness in teachers and leaders who initiate communication with students on the front line of physical education at schools. The final two categories implied the need to actively discuss various forms of gender defined socially and culturally by diverging from the patterns of research focused on biological male and female adults. In addition, this study concluded by suggesting the need to expand the spectrum of gender awareness research to extend the scope of gender awareness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본 연구는 체육 분야 성(性)평등 연구 동향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픽모델링을 연구 분석 기법으로 활용하였으며, ‘체육’, ‘스포츠’, ‘성평등’, 그리고 ‘성인지’를 주요 키워드로 하여 국내 체육 분야에서 해당 주제로 논의가 시작된 이후 모든 학술연구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해당 키워드를 적용한 토픽모델링 결과는 총 5가지 상위범주(스포츠 성문화 개선을 위한 노력, 여성의 스포츠분야에서의 활동, 학교체육에서의 성, 생물학적 성차에서 비롯된 사회문화적 성, 외부요인에 의한 성인지 변화)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첫 번째와 두 번째 범주에서는 체육학계에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장치의 마련으로 연계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세 번째 범주는 학교체육 일선에서 학생들과 소통에 앞장서는 교사 및 지도자의 성인지 감수성 인식 제고를 위한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마지막 두 범주에서는 생물학적 성인 남성과 여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양상에서 벗어나 사회·문화적으로 정의되고 있는 다양한 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함과 더불어 체육 분야 성인지 범위 확장을 위해서는 성인지 연구 스펙트럼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며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 KCI등재

        A Discourse Analysis of Students’ Reflections in a Critical Literacy Picturebook Read-Aloud Class

        Kyoungmi Won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17 영미문학교육 Vol.21 No.1

        This study is based on a read-aloud class picture book focusing on achieving critical awareness. It was conducted over the course of one month at an elementary school in Korea and analyzed how sixth-grade students responded to texts which raised questions about multiple perspectives, gender roles, and the status of marginalized minorit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wenty sixth-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The read-aloud class was organized based on Four Resources Model of Reading and consisted of two sessions. During the first two-week session, students read a text on the basis of code-breaking and meaning-making practices, and during the second session that was conducted in the last two weeks, they read the texts through the prism of text-using and text-analyzing practices.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critical literacy instruction developed critical awareness in the students, the students’ discourses in their written reflections on the texts were analyzed using Fariclough’s Three-Dimensional Model of Discourse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ad-aloud critical literacy class enhanced students’ engagement with the texts by enabling them to question the issues that were in play. In addition, six out of the twenty students demonstrated their critical awareness in their reflections. They produced critical literacy-oriented discourses including perspective-challenging discourses that questioned the authors’ points of view, individual-difference discourses, and positive-discrimination discourses, rather than conventional, conservative discours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would serve elementory school instructors well to employ critical literacy practices in their reading classes. Howeve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in order to gain more information regarding the applicability of critical literacy instruction in the EFL context.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heir pedagogical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in detail in this paper.

      • KCI등재

        A Discourse Analysis of Students’ Reflections in a Critical Literacy Picturebook Read-Aloud Class

        원경미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17 영미문학교육 Vol.21 No.1

        This study is based on a read-aloud class picture book focusing on achieving critical awareness. It was conducted over the course of one month at an elementary school in Korea and analyzed how sixth-grade students responded to texts which raised questions about multiple perspectives, gender roles, and the status of marginalized minorit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wenty sixth-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The read-aloud class was organized based on Four Resources Model of Reading and consisted of two sessions. During the first two-week session, students read a text on the basis of code-breaking and meaning-making practices, and during the second session that was conducted in the last two weeks, they read the texts through the prism of text-using and text-analyzing practices.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critical literacy instruction developed critical awareness in the students, the students’ discourses in their written reflections on the texts were analyzed using Fariclough’s Three-Dimensional Model of Discourse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ad-aloud critical literacy class enhanced students’ engagement with the texts by enabling them to question the issues that were in play. In addition, six out of the twenty students demonstrated their critical awareness in their reflections. They produced critical literacy-oriented discourses including perspective-challenging discourses that questioned the authors’ points of view, individual-difference discourses, and positive-discrimination discourses, rather than conventional, conservative discours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would serve elementory school instructors well to employ critical literacy practices in their reading classes. Howeve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in order to gain more information regarding the applicability of critical literacy instruction in the EFL context.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heir pedagogical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in detail in this paper.

      • KCI등재

        젠더관점에서 본 기혼성인의 취업상태와 자살에 대한 연구

        이수비(Lee, Soo-Bi),송영매(Song, Yong-Mea),이현옥(Lee, Hyun-Ok),최윤주(Choi, Yoon-Joo)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1

        지난 10여 년간 OECD의 회원국 중 한국 자살률은 지속적으로 최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자살추이와 양상은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며 급증하였으며, 지속적으로 남성의 자살률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두 위기 직후 남성이 여성에 비해 자살률이 현저하게 높았으며 배우자가 있는 남성의 자살자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살에 있어 생물학적 남녀의 특성을 벗어나 사회문화적 요인으로써 성 역할 인식 즉, 젠더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혼성인의 성별에 따라 취업상태와 성역할 인식 및 우울,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검증하였다. 2012년 국종합사회조사(Korea General Social Survey: KGSS)를 활용하여 2012년 KGSS 자료에서 65세 이하 기혼상태인 성인 남녀 629명(남자 368명, 여자 26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취업상태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에서 기혼성인의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기혼 남성의 경우 취업상태는 자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성 역할 인식을 통하여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평균소득은 우울을 통해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졌다. 반면 여성은 주요변수 중 우울이 자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업이 남성의 자살위험을 증가시킨다는 단편적인 해석에 비해 ‘성 역할 인식’을 고려함으로써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설명을 할 수 있다. 즉, 내재된 성 역할 인식은 실직한 후 보다 강하게 발현되고 이는 남성이 생계부양자로서 노동을 해야 한다는 부담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다수의 젠더연구에서 ‘남성생계부양’에 입각한 전통적인 ‘성 역할 인식’이 여성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초점을 둔 논의가 대다수이지만, 남성에게도 역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측면을 고려해볼 수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향후 우리나라의 자살예방에 대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자면, 정신건강 차원에서의 우울에 대한 개입 이 외 실업상태와 같은 고위험 상황과 성 역할 인식과 같은 사회문화적인 요인 등에 대한 개입도 필요하다. South Korea"s suicide rate remained the highest among the OECD member countries for the past ten years. Particularly, the suicide trends and patterns in Korea have rapidly increased over the foreign exchange crisis in 1997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nd the suicide rate of males was consistently high. In particular, i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s and the number of male suicides having a spouse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us, this study is intended to discuss suicide in terms of the awareness of gender roles as a socio-cultural factor, i.e.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rather than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les and females. Therefore, the path affecting the employment status, awareness of gender roles, depression, and suicide depending on the gender of married adults was verifi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629 married adults aged under 65 (368 males and 261 females).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t patterns in the impact of employment status on suicide and its path depending on the gender of married adults. In the case of the married males, although employment status did not directly affect suicide, it appeared to affect suicide through the awareness of gender roles. In addition, the average monthly income appeared to affect suicide through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for females, depression out of the main variables appeared to affect suicide directly.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by considering the "awareness of gender roles" rather than the fragmentary association that unemployment increases the risk of male suicide. In other words,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awareness of inherent gender roles may be expressed more strongly after being unemployed, acting as a burden that males should work as a breadwinner. Although the majority of discussions in multiple gender studies have focused on the negative impact that the traditional "awareness of gender roles" based on "male breadwinning" has on females, its negative impact on males could also be considered. To seek political measures to prevent suicide in Korea in the future in this context, the intervention in the high-risk situations such as unemployment status and socio-cultural factors such as the awareness of gender roles as well as the intervention in depression in terms of mental health is necessary.

      • KCI등재
      • KCI등재

        젠더주류화에 대한 페루 공무원들의 인식에 대한 연구

        정상희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2 국제정치연구 Vol.25 No.4

        본 연구에서 페루 여성취약계층부(Ministerio de la Mujer y Poblaciones Vulnerables, MIMP)에서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고위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젠더 이슈와 젠더주류화에 대한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젠더주류화는 정책의 수립, 예산의 편성, 정책의 집행, 모니터링과 평가 등 모든 정책의 실행단계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정책결정자의 정치적인 의지와 관련되고있다. 본 연구는 정치적, 관리적 역할을 담당하는 고위직 공무원들의 인식조사를 위해 39개항목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페루에서 젠더와 관련된 제도적인 체계는 구축되어 있으나 정책집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현실 상황에 대한 고려를 통해 정책 과정에서의 단계별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페루 공무원들은 일반적인 젠더 이슈와정책의 집행을 위한 단계별 과정에 대해 인식의 정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적인 젠더 이슈보다 젠더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 과정과 관련된 각각의 단계에 대해 높은 인식의 정도를 보였다. 그러나 정책의 실행으로 직접 연계되는 정책의 수립과 예산의 편성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페루에서 정책집행을 효과적으로추진하기 위해 발생하는 실질적인 어려움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정책의 실행을 위해 어떠한 정책단계에서 인식의 정도가 부족한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