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림교육 교원직무연수가 교사의 인지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 2020 산림교육 교원 직무연수 교육과정 효과성 평가 분석

        최선혜(Choi Seon Hye),하시연(Ha Si Yeo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산림교육을 위한 교사대상 직무연수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산림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은 2011년 교원의 산림교육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표준 커리큘럼이 개발되어 현재 2021년까지 시행 중이다. 2020 산림교육 직무연수 교육과정은 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숲과 자연환경에 대한 가치관 변화와 상생의 중요성 인식’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산림을 통한 미래 시민 양성을 목표로 한다. 교육과정은 산림복지 사업의 이해, 청소년 산림교육의 효과, 올바른 숲 트레킹, 곤충·수목 식별, 숲 생태놀이, 산림교육 체험, 안전한 숲 체험, 산림치유체험, 숲 밧줄놀이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은 2020년 7월에 4박 5일 일정으로 진행되었고, 총 95명의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산림교육을 통한 효과성은 문헌과 전문가 조사를 통해 개발된 교원 산림교육 직무연수 교육과정 효과성 평가를 위한 루브릭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직무연수 참여 전과 후를 비교하였을 때 교사들의 인지적(지식, 사고력)효과와 정서적 효과(흥미, 태도, 가치)가 유의미하였다(p<.001) 산림교육 직무연수 교육과정이 목적에 맞게 구성되어 있고, 교육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산림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하위요인별 수준별로 확인한 것과 산림교육 맞춤 효과성 도구를 이용하여 산림교육 효과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er Job Training Program curriculum for forest education. The Forest Education Job Training Program developed a standard curriculum in 2011 to strengthen teachers’ expertise in forest education, and i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until 2020. The contents of the forest education Job Training Curriculum aimed at ‘a change in the values of forest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win-win growth’. The curriculum consists of understanding forest welfare programs, effects of adolescent forest education, proper forest trekking, tree identification, forest ecology play, forest education experience, safe forest experience, forest healing experience, and forest rope play.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a schedule of 5 days and 4 nights. The effectiveness of forest education was investigated using a Rubric evaluation tool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forest education Job Training Curriculum developed through expert surveys. When examining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Job Training Program, teachers’ cognitive domain (knowledge and thinking skills) and emotional domain (interest, attitude, and value) are significantly effective (p<.001).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est education Job Training Curriculum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purpo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e forest education Job Training Program by level of each sub-factor and i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forest education by using the forest education customized effectiveness tool.

      • KCI등재

        숲교육에 대한 수업나눔 사례연구: 행복숲모임 세 숲선생님을 중심으로

        권정희 한국교육인류학회 2017 교육인류학연구 Vol.20 No.4

        This study contains the theme of sharing forest education lessons. Lesson-sharing is an activity wherein forest teachers share videos of their teaching process and how it is shared with other teachers. It was attempted to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lesson-sharing that the forest teachers talked about while showing their lesson videos to their fellow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rest education lessons were recorded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lesson-sharing. The collected data was continuously analyz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was reconstruc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en understanding forest education class sharing, the aspects of lesson- sharing are understood as sharing, conflict, and compromise. Three forest education videos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teacher’s self-reflections identified three types of forest education aspects: farmer, fisher, and guide. The difference is that focusing on the integration of the body-head-mind as an orientation for forest education is different. Through lesson-sharing, the teachers are able to understand their forest education and extend their understanding. It is important for forest educators to understand concrete forest education better than before through forest education lesson-sharing. Looking at the details will help in understanding the current forest education, which will allow us to draw its futu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 basi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forest education. 이 연구는 숲교육 수업나눔이라는 주제를 담고 있다. 수업나눔은 숲선생님들의 자기 이해를 위해 숲교육 영상을 보고 함께 이야기를 나눈 활동이다. 숲선생님들이 자신의 수업영상을 동료교사와 함께 보면서 이야기를 나누었던 활동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목적을 위해 숲교육의 모습을 촬영하고, 수업나눔의 모습을 촬영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지속적으로 검토하며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재구성하면서 연구결과를 발견하게 되었으며,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을 통해 숲교육 연구에서의 의미를 기술하였다. 숲교육 수업나눔을 이해할 때, 수업나눔의 양상은 공유, 갈등, 절충으로 이해하였으며, 수업나눔에서 드러난 세 가지 숲교육의 공통점은 참가자를 존중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차이점은 몸-머리-가슴의 통합을 숲교육의 지향으로 바라볼 때 중점을 두는 것이 다른 것을 발견했다. 수업나눔의 결과 세 숲선생님이 생각하는 숲교육은 농부형 숲교육, 어부형 숲교육, 안내자형 숲교육으로 정리하였다. 수업나눔을 통해 숲선생님은 자신의 숲교육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동료 숲선생님의 숲교육을 함께 보면서 서로의 이해를 확장할 수 있었다. 숲교육 수업나눔을 통해 이전보다 숲교육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게 되는 것은 숲교육에 있어 중요하다. 실제를 자세히 바라보는 일은 지금의 숲교육을 이해하게 하며, 이를 통해 숲교육의 앞날을 그려볼 수 있다. 이 연구가 숲교육다운 숲교육을 모색하는 바탕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숲체험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명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necessity and demand for forest experience education of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ake cognizance, to survey the practice of forest experience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requisite and controversial issues raised in the process of forest experience education. The data analysis for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nd x²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all of the teachers, demonstrated a strong preference for the necessity of forest experience education. The survey of the practice of forest experience education proves that more teachers executed forest experience education. The survey on the practice of forest experience education proves that more than the average number of teachers implemented this type of education. The priority of their motive showed their concern for the necessity of forest experience education. And the reason of being on duty in the institutions offering such an educational opportunity proved to be the subsequent motive. In terms of teachers' cognitive level related to the reas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forest experience education, most common response was about children's emotional stability in nature. The ensuing one was about helping children think and explore freely, followed by the reason of a favorable influence up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intelligence and sensibility. Concerning the requisites for forest experience education, many respondents chose the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educational programs about forest experience education, the increase of training opportunities for forest experience education, the reinforcement education to change parental consciousness, and the kindergarten chief's and teachers' volition and beliefs in forest experience education.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가 인식하는 숲체험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숲체험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숲체험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요건 등 적용시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숲체험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교사 모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숲체험교육의 실태조사결과 숲체험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가 더 많았으며, 그 동기는 숲체험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을 느껴서, 숲체험교육을 하고 있는 기관에 근무하게 되어서 순으로 나타났다. 숲체험교육을 실시하는 이유에 대한 인식 정도를 보면 자연 속에서 정서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으므로, 자유롭게 탐구하고 생각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지능발달과 더불어 감성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순으로 나타났다. 숲체험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요건으로 숲체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숲체험교육에 대한 연수기회의 확대, 학부모의 인식전환을 위한 부모교육의 강화, 숲체험교육에 대한 원장 및 교사의 신념과 의지로 제시되었다.

      • KCI등재

        성인대상의 산림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연구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류연수,Ryu, Yeon Su 한국환경과학회 2020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policy for the promotion of forest education and establish a basis that can be applied to it, which considers citizens' opinions on forest educa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alysis of forest education policy, program development topped the list with 0.368 points, followed by the application of forest education experts, which scored 0.262 points. Cooperation as well as the supplementing and improvement of facilities yielded 0.238 and 0.132 points, respectively. Concerning the attention and recognition of forest education, only 8% of the respondents had low attention and 19% low or very low recognition; 75% said forest education was very important. Regarding program satisfaction, 76.5% were satisfied with the profitability of content and 77% agreed with the purpose consistency. In terms of the appropriateness of forest education, 79.2% and 81% were content with the period and method, respectively. Finally, 82.7% were satisfied with the participation program. This study aims to share basic data and promotion pla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policy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forest education focused on adults. Domestic forest education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led by Korea Forest Service. In the long term, local governments must participate in forest education policy positively despite limited budgets and human resour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data for forest education promotion plans. If the case studies of other local governments and preference analysis by age group are followed up, they will help ensure that forest education evolves through cooperation with people and organizations in the relevant zone.

      • KCI등재

        수업나눔 사례분석을 통한 숲교육의 의미탐구

        권정희 한국환경교육학회 2017 環境 敎育 Vol.30 No.4

        Due to urbanization, many people in South Korea have become disconnected from nature.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forest education in Korea by taking qualitative approache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explored the meaning of forest education from four different perspectives: (1) education about forests, (2) education in forests, (3) education for forests, and (4) education by forests. It was found that forests c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relational ontology. Furthermore, ten elements of forest education were identified: forest teacher, participant, program, time, space, forest situation, natural object, interaction, teaching materials, and external situation. In addition, there are four characteristics: on-site education, sensory education, safety-adventure and improvisati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in forest education demonstrated seven aspects: observation, expression, explanation, play, searching, picking, and making. It’s most distinctive aspect, though, was the break with the traditional anthropocentric perspective, providing participants with a novel experience. Forest education was also classified according to subject, philosophy, time, and location. Each category was further sub-classified into: teacher- or child-centered education, for subject; for philosophy, epistemological or ontological education; either one-time or long-term forest education, for time; and finally, for space, in-class or outdoors. 이 연구는 수업나눔 사례분석을 통해 숲교육의 의미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숲교육에서 교육은 존재의 성장에 관심을 갖고, 환경교육은 자신의 환경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수업나눔 사례분석을 통해 숲교육의 의미로 탐구된 것은 숲에 대한(about) 교육과 숲에서의(in) 교육, 숲을 위한(for) 교육, 숲에 의한(by) 교육의 모습이었다. 숲은 관계론적 존재론을 전제로 이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숲교육의 개념은 인간과 자연의 공생, 공존을 내포한다고 할 수 있다. 숲교육의 열 가지 요소로 숲선생님과 참가자, 프로그램, 시간, 공간, 숲의 상황, 자연물, 상호작용, 교재․교구, 외부상황이 구분되었다. 숲교육의 성격으로는 현장성, 감각교육, 안전과 모험, 즉흥성의 네 가지 성격이 발견되었다. 숲교육 교수학습방법으로는 관찰과 표현, 설명, 놀이, 탐색, 줍기, 만들기의 일곱 가지가 구분되었다. 숲교육은 인간중심적인 관점을 벗어나는 것과 신기함을 경험함으로 능동적 수동성으로 태도가 변화되는 특징을 가졌다. 숲교육을 이해할 때 주체와 철학, 시간, 공간에 따라 네 가지 차원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주체에 따라서는 숲선생님 중심 숲교육과 아이중심 숲교육, 철학에 따라서는 인식론적 숲교육과 존재론적 숲교육, 시간에 따라서는 일회성 숲교육과 지속적 숲교육, 공간에 따라서는 교실 안 숲교육과 교실 밖 숲교육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가 숲교육의 방향 탐색에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 내 산림교육 내용분석 및 유형화 연구

        최선혜 ( Seon Hye Choi ),하시연 ( Si Yeon Ha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4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교과서 및 교육과정에서 ‘산림교육’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교육과정 내 산림교육 내용의 유형을 나누어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산림교육 교육과정의 영역으로 분석하여 교육과정과 산림교육의 성취 간의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학교 교육과정과 산림교육 간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향후 교과과정과 연계한 산림교육을 자유학기제, 고교학점제에 적용시켜 산림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학교 내에서 산림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전 교과의 목표와 성취기준 및 교과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과서 내 산림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도구, 감성, 지식 이해, 가치 인식, 실천영역으로 유형화하였다. 다섯가지 유형으로 초등학교 교과서를 교과 내용을 분석한 현황은 다음과 같다. 산림교육 영역 중 지식 영역은 모든 학년, 모든 과목에 포함되어 있었다. 직접적으로 산림교육 관련 지식을 전달하는 지식 영역이 교육과정 안에 고루 편재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산림교육 지식 영역이 다양한 교과 내용과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과 내용에 포함된 산림교육 유형이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저학년에서는 산림교육의 도구·감성 영역 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고학년이 될수록 지식·가치 의식의 영역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산림교육 수준 또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년별로 필요한 수준의 산림교육이 교육과정에 적절하게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과 내 성취기준을 분석하였을 때, 교과 성취기준에 산림교육 영역의 핵심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에 산림환경 영역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학교에서 산림교육을 하고자 하는 교사나 아동을 대상으로 산림교육을 진행하는 산림교육전문가가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산림교육을 진행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을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과정 내 산림교육 관련 내용 현황을 파악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t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on ‘Forest Education’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is designed to determine the status of forest education related content in the curriculum. The types of forest education in textbooks were divided into analysis. In addition, the standards of achievement of the curriculum were analyzed into the areas of forest education curriculum to determin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achievement of forest education. This study shows that, first, the field of knowledge in forest education was included in all subjects and grades except mathematics. It noted that the curriculum includes areas of knowledge that directly convey knowledge related to forest education. This showed that the forest education knowledge area is linked to various courses. Second, the types of forest education included in the curriculum appe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age. In the lower grades, there was the most information on the tools and sensibilities of forest education, and in the higher grades, the more knowledge and value-related areas were addressed. As the school year increases, so do forest education levels. Third, when analyzing the achievement criteria in the curriculum, the curriculum achievement criteria included key points in forest education. Thus, this study confirmed the link between the curriculum and forest education.

      • KCI등재

        산림교육의 로컬거버넌스적 접근과 유형 구분에 관한 연구

        김동석,윤화영 한국거버넌스학회 2014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1 No.3

        This study examines the adoption of the local governance approach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forest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class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in the various types of forest education governanc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central operating body and to present the classification of local government types responsi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forest education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irst, forest education governance was classified into 4 types, specifically, the dual type of local government-private sector, the contacting type of local government-private sector, the cooperative type of local government-private sector and the private sector-led type, based on the central operating body of the local government that carries out and operates forest educa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in terms of the body that is responsible for forest education, finance, educational services, polic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nd partnership. Next, the types of local government for implementing and applying forest education were classified based on three criteria, specifically, the extent of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and financial security, the extent of holding forest education resources, and the activity levels of the forest education service provider. Local governments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forest education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8 types: type 1 (excellent forest education type), type 2 (the type that complements NGO activity), type 3 (the type that complements resources), type 4 (the local government-led type), type 5 (the type that complements interests of the local government), type 6 (the central government support type with excellent resources), type 7 (the central government support type with excellent NGO activity), and type 8 (the central government-led and regional linkage typ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산림교육의 활성화와 효율적 실행을 위해 로컬거버넌스 측면에서 접근하였으며, 로컬거버넌스 구축·운용의 핵심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지방정부-민간과의 관계정립을 위하여 조직운영 주체를 중심으로 산림교육거버넌스 유형을 구분하였다. 또한 지역별 특성에 적합한 산림교육 실행을 위하여 산림교육 관련 법·제도, 자원의 보유, 민간의 활동수준을 기준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제시하였다. 먼저 산림교육거버넌스의 유형을 산림교육을 실행·운영하는 조직운영 주체를 기준으로 지방정부-민간 이원형, 지방정부-민간 위탁형, 지방정부-민간 협력형, 민간 주도형의 4가지로 구분하였으며, 산림교육 실행조직 주체, 재정공급, 교육서비스 공급, 정책개발 및 운영, 파트너십의 측면에서 각각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산림교육 실행·적용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유형은 법·제도적 지원과 재정확보 정도, 산림교육자원 보유정도, 산림교육서비스 공급주체 활동수준의 3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유형Ⅰ(산림교육 우수형), 유형Ⅱ(NGO활동 보완형), 유형Ⅲ(자원 보완형), 유형Ⅳ(지자체 주도형), 유형Ⅴ(지자체 관심 보완형), 유형Ⅵ(중앙정부지원형_자원우수), 유형Ⅶ(중앙정부지원형_NGO활동 우수), 유형Ⅷ(중앙정부 주도 및 지역 연계형)의 8가지로 구분하고 각각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산림교육을 위한 민·관·학 행위주체 역할에 관한 연구

        김동석,윤화영 교육종합연구원 2014 교육종합연구 Vol.12 No.1

        This study conducted a Delphi survey and AHP analysis to identify the roles of Private sector-Government-Academia agents and to list in detail the different aspects of forest education. These are crucial factors i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governance of the forest education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Delphi analysis, 16 roles of Private sector-Government-Academia agents and 40 detailed items pertaining to the forest education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comparative importance, the main agents in order of priority are as follows: ① the central government (25.2%), ② forest education NGOs (17.3%), ③ local governments (11.8%), ④ teacher’s association (11.7%), ⑤ local schools (10.9%), ⑥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8.6%), ⑦ parent groups (6.3%), and ⑧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related to forestry in the region (6.1%). The detailed role of agents categorized by the private sector, government, and academia are as follows: ① private sector: develop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programs suitable for the location, accumulation of field experiences and re-education, fostering forest education participants and its mediator role with trainees, understanding and agreeing with the importance and need for forest education (parent groups); ② government: establishment of mid-long term strategies and plans for forest education, and installation of organizations responsible for forest education, support for activities—educational space for forest education within the region and forest, administrative cooperation between private organizations and local governments; ③ academia: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in forest education, forest education research including effectiveness of forest education and policy suggestions for local forest education.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의 숲유아교육 실천 모색에 관한 연구

        이경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4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form the direction of further developments in early-childhood education in forest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st kindergartens a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ors’ perceptions of early-childhood education in forests and its applicability to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explored. Five individuals concerned with early-childhood education in forests were interviewed, and the summary of the interview is as follows: the purpose of forest schools and kindergartens was to (1) help children develop values to understand and respect human beings and nature by experiencing and critically analyzing interpersonal and human-nature relationships, and (2) develop values that encourage sustainable development practices. The curriculum of the early-childhood education in forests tended to be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objectives of green growth education. This is closely related to early-childhood education in forests that takes a comprehensive approach toward advocat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childhood, not only from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but also from economic and social viewpoints. Thus, it clearly defines itself as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oreover, early-childhood education in forests aimed at interdisciplinary instruction, self-initiated direct experience, student-centered methods based on active communication, etc. For goals related to cultivating competencies, forest schools and kindergartens were similar to the approach adopted by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at it emphasizes knowledge acquisition and application, skill development, and personality and all round development, as the fundamental types of learning. 이 연구는 숲유아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숲유아교육 관계자들의 인식을 통해서 살펴보고,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숲유아교육 실천 가능성을 모색해 봄으로써 숲유아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숲유아교육 관계자 5명을 대상으로 한 면담 결과 첫째, 숲유아교육의 목적은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경험하고 비판함으로써 인간과 자연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가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지향하는 가치를 담고 있었다. 둘째, 숲유아교육과정은 녹색성장교육의 개념을 담고 있는 누리과정을 기초로 하는 경향성이 있는데, 녹색성장교육은 지속가능발전교육임을 분명히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연관성이 짙다. 셋째, 숲유아교육은 간학문적 통합, 자기 주도적 직접체험, 능동적 의사소통의 교수-학습방법 등을 지향하고 있었는데, 이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역량을 기르는 교육으로서 알기 위한 학습, 행동하기 위한 학습, 함께 살기 위한 학습, 존재하기 위한 학습 등을 근본적인 학습유형으로 삼고 있는 것과 유사하였다.

      • KCI등재후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유아 숲교육의 의미

        허수향 ( Heo Soohyang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0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유아 숲교육의 의미를 고찰하여 한국 유아교육에서 숲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정리하였다. 숲교육은 자연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바탕으로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돕는 교육으로 자연물을 놀잇감과 교구로 활용하고 숲 자체를 유아교육기관으로 삼아 진행된다. 즉 유아에게 있어 최고의 교사가 자연이고, 유아가 자연과 마음껏 교감하고 놀이하는 그 자체가 배움이고, 삶이고, 교육이다. 유아의 숲놀이는 유아의 신체발달, 사회성발달. 정서발달, 인지발달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생명존중사상, 예술적 경험, 언어능력, 창의성발달 등 전인적 교육이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전세계를 뒤덮은 코로나19는 학교현장의 변화를 가져왔다. 비대면 교육, 학습자 중심 교육, 생태학적 관점의 교육으로 특징을 정리할 수 있는데 이러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특징은 유아숲교육의 가치와 맞닿아있다. 유아 숲교육의 가치인 생명과 자연존중 사상이 국가 수준의 유아교육 과정인 2019 개정 누리과정 목표에 자연과 인간에 대한 배려와 존중이 명시되어 있고 야외인숲놀이를 통한 거리두기, 유아중심 자유놀이를 통해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현하고 있다. 따라서 유아 숲교육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적절한 유아교육임을 고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forest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in the post-Corona era and outlin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forest education in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est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helps children develop their whole body based on harmonious relations with nature, and is conducted using nature as a play and teaching tool, and using the forest itself as an institu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best teacher for infants is nature, and it is learning, life, and education for infants to communicate and play with nature to their fullest. The forest play of infants is the physical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of infants. It is an education that improves emotional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and provides universal education such as life-respecting thoughts, artistic experiences, language skills, and creativity development. The Corona19, which covered the world,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school scene. Non-face-to-face education,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which are characteristic of education in the post-corona age with the value of early childhood forest education. The value of forest education for infants, life and respect for nature, are specifi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goal, which is a state-level infant education course, and learners-oriented education is realized through outdoor forest play and infant-centered free play.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forest education for infants was appropriate for the post-corona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