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티션 함수의 크기가 무요소해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고찰

        홍원택 ( Won Tak Ho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5 유라시아연구 Vol.12 No.4

        기존의 유한 요소 연구에서는 근사하고자하는 함수의 변화가 크거나 불연속에 가까운 경우 이러한 변화를 해석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소의 숫자를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가며 근사의 적정성을 살펴보게 된다.본 연구에서는 기존방법과는 차별된 무요소 해석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간단한 포아송 모델문제를 활용하여 최적 파티션 함수의 크기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무요소해법을 이용하여 함수를 근사 할 때 파티션 함수의 최적 크기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파티션 함수의 최적크기는 무요소법을 이용하여 유로피안이나 아메리칸 옵션의 그릭을 살펴볼 때 유용하다. 무요소 해석을 위한 파티션 함수의 크기에 대한 최근의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파티션 함수가 완전히 겹치지 않고 일부 포개질 경우 더 정확히 문제를 풀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파티션함수의 크기가 극단적으로 커지는 경우에는 연구결과를 찾을 수 없었다. 새로운 모델링 기법인 무요소법의 경우 파티션 함수의 크기를 키울수록 방정식의해의 변화를 더 효율적으로 기술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으나 특별한 경우에는 기존연구 결과와 일부상반된 결과가 얻어짐을 확인 하였다. 즉, 기존 연구에서는 파티션 함수의 겹치는 영역이 작아져 파티션함수의 크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좋은 결과를 얻었으나 파티션 함수의 겹치는 영역이 극단적으로 작아지면 오히려 그 반대의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re is a tight link between the size of flat-top region and the gradient of the partition of unity function. Recent studies show that the condition number of the system can grow arbitrarily large with linear finite element shape functions as a partition of unity even though local approximation functions are linearly independent. As a result, a flat-top partition of unity function is introduced to avoid linear independence. The wide flat-top region in the partition of unity function has been known to ensure the linear independence of mesh-free basis functions. The wider the flat-top is, the smaller so better in the condition number. However, the wider flat-top partition of unity function could result in a large gradient of the partition of unity function as well as large condition number while having a strongly linear independent local basis functions. We demonstrate this phenomenon in a simple Poisson model problem when the flat-top region expands and starts to fill up the support of the partition of unity functions. For the particular problems we have considered, we find that there is an optimal size for the flat-top region in the support of partition of unity function.

      • KCI등재

        Flat-Rack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화물배상책임보험약관상의 갑판적 면책조항의 적용 여부

        Chang Kyung Whan(張敬煥) 한국보험법학회 2009 보험법연구 Vol.3 No.2

        화물배상책임보험약관의 갑판적 면책조항은 "Freight Loaded in bulk on Deck is not Covered unless Freight Owner Consents."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 갑판적 면책조항이 flat-rack 컨테이너에 적입된 화물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는 지가 문제되고 있다. 부정설에 의하면, 이 면책조항의 "Freight Loaded in bulk"는 散積貨物(bulk cargo)을 뜻하고, flat-rack 컨테이너에 적입된 화물은 '컨테이너화된 화물'로서 산적화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므로 이 면책조항이 적용될 수 없다고 한다. 또 한 이 견해는, 이 면책조항은 그 적용대상을 명확하게 규정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작성자불이익의 원칙에 의해서도 적용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사견으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이 면책조항은 flat-rack 컨테이너에 적입된 화물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 갑판적 면책조항은, 갑판적에 의한 자연력에의 노출로 인하여 멸실ㆍ훼손의 위험이 (船倉積될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된 화물에 대해서는 보험보호를 배제한다는 취지이다. 육상보험의 경우에는 주관적 위험증가에 대해서 보험자가 그 사실을 안 날부터 1월내에 보험료의 증액을 청구하거나 계약을 해지할 수 있을 뿐, 당연히 면책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상법 제653조). 그러나 해상위험은 그 특성상 육상위험보다 엄격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고, 또한 화물배상책임보험은 해상보험으로서 전형적인 기업보험이므로 상법 제663조 단서에 의하여 보험계약자 등의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도 적용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상법 제653조를 이유로 이 갑판적 면책조항이 무효라고 할 수 없다. 둘째, 산적화물은 고체화물의 경우에는 대량의 균질물의 특성상 특별한 선박(벌크선)의 船倉에 적재되거나 액체화물의 경우에는 유조선의 탱크에 주입되는 화물로서 갑판적되는 화물이 아니다. 따라서 갑판적 면책조항의 "Freight Loaded in bulk"를 산적화물로 풀이하면, 갑판적되지도 않는 화물에 대해 갑판적 면책조항을 적용한다는 결과가 되어 이 면책조항이 있으나마나한 것이 된다. 이 면책조항이 의미를 지니기 위해서는, 위 문언은 '컨테이너화되지 않은 일반화물(break bulk cargo)'를 뜻하는 것으로 풀이해야 한다. 셋째, 일반화물이 flat-rack 컨테이너에 적입되어 갑판적되는 경우에는, 밀폐형 컨테이너(예컨대, dry 컨테이너)에 적입된 경우와는 달리, 그 화물은 벽이나 천장에 의한 보호를 받지 못하고 바람ㆍ비ㆍ햇빛ㆍ파도ㆍ급격한 온도변화 등의 자연력에 노출된다. 이 점에서 일반화물이 flat-rack 컨테이너에 적입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를 컨테이너화된 화물로 보기는 어렵고 컨테이너화되지 않은 화물로서 갑판적 면책조항의 적용대상이 된다고 생각된다. 넷째, 해상사업자인 해운업자나 복합운송주선업자라면, 갑판적 운송은 화물의 자연력에 대한 노출로 인하여 船倉積운송보다 화물의 멸실ㆍ훼손의 위험을 훨씬 더 증가시킨다는 점, 갑판적 면책조항을 보험약관에 두게 된 것은 이러한 갑판적 운송의 위험 때문이라는 점, 실제로 갑판적되는 화물은 산적화물이 아니라 일반화물이라는 점, 일반화물이 flat-rack 컨테이너에 적입되더라도 외부에 노출된다는 점 등은 당연히 알고 있거나 알 수 있는 사항들이다. 따라서 이들이라면, 일반화물이 flat-rack 컨테이너에 적입되어 갑판적되는 경우에도 갑판적 면책조항의 적용가능성을 예상할 수가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면책조항이 화물배상책임보험의 보험계약자인 해운업자나 복합운송주선업자에게 작성자불이익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할 정도로 불명확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One of the Terms & Conditions in Cargo Liability Insurance Policy stipulates, "Freight Loaded in bulk on Deck is not Covered unless Freight Owner Consents." The applicability of this deck cargo exclusion clause to the cargo loaded on flat-rack container is at issue. [Hereafter, "deck cargo exclusion clause" is referred to as "Deck Clause", "flat-rack container" as "FR container" and "cargo loaded on flat-rack container" as "FR container cargo"]. According to the negative opinion, the phrase "Freight Loaded in bulk" of Deck Clause means a 'bulk cargo', while FR container cargo is a 'containerized cargo' but not a bulk cargo, so that Deck Clause shall not apply to FR container cargo. It is also insisted that Deck Clause is not able to apply to insurants by the contra proferentem rule because it stipulates ambiguously its applicable extent. In my opinion, however, Deck Clause can apply to FR container cargo.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the purpose of Deck Clause to exclude the cargo, the risk of loss or damage to which is obviously increased owing to on-deck stowage, from the insurance protection. In non-marine insurance the insurer can increase premium or cancel contract within one month from the day of knowing the obvious risk increase induced by the insured, but he cannot be immediately exempted from his contractual liability owing to such a risk increase (Korean Commercial Code [hereafter, referred to as "KCC"], Section 653). It is however required to cope more strictly with marine risks, because of their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than with non-marine risks. Also, the principle of unilateral compulsory application of KCC, Part Ⅳ (Insurance) shall not apply to Cargo Liability Insurance because it is, as a sort of marine insurance, typically a business insurance (KCC, the Proviso of Section 663). Deck Clause shall not, therefore, be void in spite of the deviation from KCC, Section 653. Secondly, a bulk cargo is, as bulk homogeneous material, dropped or poured with a spout or a shovel bucket into a bulk carrier's hold (in case of dry bulk cargo) or a tanker's tank (in case of liquid bulk cargo). In other words, a bulk cargo is not loaded on deck. If the phrase "Freight Loaded in bulk" is, therefore, interpreted as a bulk cargo, then Deck Clause shall apply to such a cargo, as is not loaded on deck, so that it will become meaningless. In order that Deck Clause may be meaningful, the phrase should be interpreted as a 'non-containerized break bulk cargo'. Thirdly, when a break bulk cargo, with being loaded on FR container, is loaded on deck, it has no side and top protection, unlike in the case of being loaded in such an enclosed container as a dry container. And, as a result of that, the break bulk cargo is exposed to the elements such as wind, rain, sunshine, waves and sudden temperature change. In this respect, although a break bulk cargo is loaded on FR container, it should fall, like a non-containerized cargo, under the application of Deck Clause. Finally, ocean carriers or multimodal freight forwarders do or can know, as marine businessmen, the following facts: on-deck carriage increases the risks of loss or damage to cargo still more greatly than under-deck carriage, because of the exposure of cargo to the elements; Deck Clause is prepared against such a risk increase of on-deck carriage; what is loaded on deck, is not a bulk cargo but a break bulk cargo; a break bulk cargo is exposed to the elements when it is stowed on deck although it is loaded on FR container. These can, therefore, predict well enough the applicability of Deck Clause to the break bulk cargo loaded on FR container. If so, Deck Clause is not deemed so ambiguous for these, who enter into Cargo Liability Insurance contracts, as to apply the contra proferentem rule.

      • KCI등재

        구형 빔 패턴 형성을 위한 MDAS-DR 안테나에 대한 연구

        엄순영,윤재훈,전순익,김창주,Eom, Soon-Young,Yun, Je-Hoon,Jeon, Soon-Ick,Kim, Chang-Joo 한국전자파학회 2007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논문에서는 구형 빔 패턴을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새로운 MDAS-DR 안테나 구조를 제안하였다. 안테나 구조는 크게 스택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여기 소자, 다층 원형 도체 배열 소자들과 그 주위를 에워싸고 있는 유전체 링으로 구성된다. 다층 원형 도체 배열 구조는 스택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여기 소자에 의해 방사 전력을 공급 받아 그 주변의 유전체 링과의 전기적 상호 결합 작용에 의해 원거리에서 구형 빔 방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유전체 링 구조의 설계 변수는 다층 원형 도체 배열 구조의 설계 변수와 더불어 구형 빔 패턴 형성에 중요한 설계 변수들로서 구형 빔 안테나를 위해 12개의 다층 원형 도체 배열과 유전율이 2.05인 테프론 유전체가 사용되었다. 제안된 안테나 구조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10 GHz 대역$(9.6\sim10.4\;GHz)$에서 동작하는 안테 나를 설계하였으며, 시뮬레이션에는 삼차원 안테나 구조 해석에 적합한 상용 CST Microwave $Studio^{TM}$ 시뮬레이터가 사용되었다. 또한, 안테나 시제품을 제작한 후 무반사실 안테나 챔버에서 전기적 특성들을 측정하였다. 구형 빔 패턴 형성을 갖는 안테나 시제품의 측정 결과들은 시뮬레이션 결과들과 잘 일치하였으며, 측정 결과들로부터 MDAS-DR 안테나의 10 GHz에서의 측정 이득은 11.18 dBi이었으며, 최소한 8.0 % 대역 폭 내에서 약 $40^{\circ}$의 양호한 구형 빔 패턴을 형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a new MDAS-DR antenna structure designed to efficiently shape a flat-topped radiation pattern is proposed. The antenna structure is composed of a stacked micro-strip patch exciter and a multi-layered disk array structure(MDAS) surrounded by a dielectric ring. The MDAS, which was supplied by a stacked microstrip patch exciter with radiating power, can form a flat-topped radiation pattern in a far field by a mutual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dielectric ring. Therefore,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dielectric ring and the MDAS structure are important design parameters for shaping a flat-topped radiation pattern. The proposed antenna used twelve multi-layered disk array elements and a Teflon material with a dielectric constant of 2.05. An antenna operated at 10 GHz$(9.6\sim10.4\;GHz)$ was design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ntenna structure. The commercial simulator of CST Microwave $Studio^{TM}$, which was adapted to a 3-D antenna structure analysis, was used for the simulation. The antenna breadboard was also fabricated and its electrical performance was measured in an anechoic antenna chamber. The measured results of the antenna breadboard with a flat-topped radiation pattern were found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the simulated one. The MDAS-DR antenna gain measured at 10 GHz was 11.18 dBi, and the MDAS-DR antenna was capable of shaping a good flat-topped radiation pattern with a beam-width of about $40^{\circ}$, at least within a fractional bandwidth of 8.0 %.

      • KCI등재

        대면적 치료용 광원을 위한 능동형 Q-스위칭된 Nd:YAG 레이저의 효과적인 평두 (Flat-Top) 모드 발생

        이건희,권도환,최진혁,추한태,김규욱 한국물리학회 2018 새물리 Vol.68 No.4

        For large-area treatment of dermatologynevi of ota, pigments and melasma, an actively Q-switched Nd:YAG laser with two circular apertures in the cavity was developed. The developed laser was found to generate a more effective flat-top mode than the laser with a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mirror. At a Q-switching frequency of 1 Hz and a flash-lamp charging voltage of 1000 V, the output energy and the pulse width achieved using the flat-top mode Nd:YAG laser were 0.517 J and 7 ns, respectively; the maximum peak power was about 74 MW. 피부과 병변-모반, 색소 침착 등에 폭넓게 사용되는 대면적 치료용 광원을 위하여 포켈스 셀(Pockels cell)을 이용한 능동형 Q-스위칭된 1064 nm-Nd:YAG 레이저 공진기 내에 두 개의 원형 구경(circular aperture, CA)을 삽입하여 회절 광학 소자 (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거울을 이용한 방법보다 더 효과적인 평두 (flat-top) 모드를 발생시켰다. Q-스위칭 주파수 및 제논 섬등광 램프의 충전전압이 각각 1 Hz 및 1000 V 일 때, 평두 모드의 Q-스위칭된 Nd:YAG 레이저의 출력 에너지 및 펄스폭은 각각 0.517 J 및 7 ns로 측정되었고, 그때의 최대 첨두 출력은 약 74 MW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양한 재질에서의 flat-top 빔을 이용한 LIPSS 형성에 관한 연구

        최준하,최원석,신영관,조성학,최두선,Choi, Jun-Ha,Choi, Won-Suk,Shin, Young-Gwan,Cho, Sung-Hak,Choi, Doo-Sun 한국금형공학회 2021 한국금형공학회지 Vol.15 No.3

        In this study, laser-induced periodic surface structure (LIPSS) was fabricated on Ni, Si, and GaAs samples using a flat-top beam with a uniform energy distribution that was fabricated using a Gaussian femtosecond laser with a mechanical slit and tube lens. Unlike the Gaussian beam, the flat-top beam has a uniform beam profile, therefore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of the fabricated LIPSS have similar line periodicity. In addition, LIPSS was obtained not only in metals but also in metalloids and metals and metalloid compounds by using the narrow pulse width characteristic of a femtosecond laser.

      • KCI등재

        Evolution Properties of a Partially Coherent Flat-topped Vortex Hollow Beam Propagating in Uniaxial Crystals Orthogonal to the Optical Axis

        Dajun Liu,Guiqiu Wang,Xixian Luo,Hongming Yin,Yaochuan Wang 한국광학회 2016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20 No.6

        The analytical expressions for a partially coherent flat-topped vortex hollow beam propagating in uniaxialcrystals orthogonal to the optical axis are derived, and the intensity and coherent vortex properties ofpartially coherent flat-topped vortex hollow beam propagation in uniaxial crystals orthogonal to the opticalaxis are analyzed by numerical examples. The influence of beam order parameter N, topological chargeM, the coherence length and the ratio of refractive indices ne/no of uniaxial crystals on the normalizedintensity distribution and coherent vortex of a partially coherent flat-topped vortex hollow beam propagatingin uniaxial crystals are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구형 방사 패턴을 갖는 평면 배열 안테나 설계에 대한 연구

        엄순영,표철식,전순익,김창주,Eom Soon-Young,Pyo Cheol-Sig,Jeon Soon-Ick,Kim Chang-Joo 한국전자파학회 2004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5 No.9

        In this paper, the design, fabrication and experiment on a planar array antenna with a flat-topped radiation pattern for a mobile base station antenna were described. The current distribution of an antenna aperture, which is easily realizable in a feeding network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of sin(x)/x was optimized for shaping a desired flat-topped radiation pattern. The planar array antenna designed in this paper has a rectangular lattice and is composed of array elements of 16${\times}$8. Each radiating element, which is a microstrip element fed coaxially, has a linear vertical polarization and the feed network which use a Wilkinson power divider and a 180$^{\circ}$ ring hybrid coupler as a base element is designed. The flat-topped radiation pattern with 90$^{\circ}$ is shaped by 16 array elements with the element spacing of 0.55 λ$_{ο}$ in the azimuth plane, and the normal radiation pattern with 10$^{\circ}$ is shaped by 8 array elements with the element spacing of 0.65 λ$_{ο}$ in the elevation plane. Also, the planar array antenna is symmetrically divided into four parts. It consists of one hundred-twenty-eight radiating elements, thirty-two 1-4 column dividers, low 1-8 row dividers and one 1-4 input power divider. In order to verify electrical performances of the planar way antenna proposed in this paper, the experimental breadboard operated in tile band of 1.92~2.17 GHz(IMT2000 band) was fabricated, and its experimental results were a good agreement with simulation ones.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로 활용하기 위한 구형 빔 패턴을 갖는 평면 배열 안테나 설계 및 제작 그리고 실험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원하는 구형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종래에 많이 사용하던 sin(x)/x 전류 분포를 사용하지 않고 급전 회로망의 설계 제작이 용이한 진폭과 위상 성분의 전류 분포로 최적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하는 평면 배열 안테나는 직사각형 격자 배열 구조를 가지며, 16${\times}$8 배열 소자로 구성된다. 각 방사 소자는 선형 수직 편파와 동축 여기 구조를 갖는 단일 마이크로스트립 소자이며, 월킨슨 전력 분배기와 180$^{\circ}$ 링 하이브리드 결합기를 기본 소자로 하는 급전 회로망이 설계된다. 평면 배열 안테나는 방위각 방향으로 는 0.55 λ$_{ο}$의 소자 간격을 갖는 16 배열 소자에 의해 90$^{\circ}$ 구형 빔 패턴을 형성하고, 양각 방향으로는 0.65 λ$_{ο}$의 소자 간격을 갖는 8 배열 소자에 의해 $10^{\circ}$의 일반적인 정형 빔 패턴을 형성한다. 또한, 16${\times}$8 배열 안테나는 좌우 상하 대칭적으로 네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128개의 방사 소자, 32개의 1-4 행 분배기, 4개의 1-8 열 분배기 그리고 1개의 1-4 입력 전력 분배기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평면 배열 안테나 구조의 전기적인 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1.92~2.17 GHz(IMT2000 대역)에서 동작하는 평면 배열 안테나 실험 시제품을 제작하였으며, 실험 측정 성능들은 시뮬레이션 성능들과 매우 유사함을 보여 주었다.

      • KCI등재후보

        구형 빔 패턴 형성을 위한 다층 이차원 원형 도체 배열을 갖는 새로운 방사 구조에 대한 연구

        엄순영,스코벨레프,전순익,최재익,박한규 한국전자파학회 2002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3 No.7

        본 논문에서는 구형 빔 패턴 형성을 위한 다층 이차원 원형 도체 배열을 갖는 새로운 방사 구조를 제안하였다. 새로운 방사 구조는 방사 원형 도파관 위에 유한하게 적층된 원형 도체 배열 소자들이 무한적, 주기적 평면 배열 구조를 갖는다. 이론적 해석은 rigid full-wave 해석 방법으로 배열 구조의 각 영역에서의 전자장에 대한 모드 전개식과 원형 도체상의 전류에 대한 모드 전개식에 바탕을 두고 상세히 수행되었으며, 함수의 직교성, 모드 정합 방법, 경계조건 그리고 Galerkin 방법을 사용하여 선형 대수 방정식 시스템을 유도하였다. 또한, Gauss 소거법을 사용하여 배열 특성 계산에 필요한 미지의 진폭 계수들을 얻었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Ka대역에서 $\pm$20$^{\circ}$의 빔 폭을 갖는 구형 빔 패턴 형성을 위한 배열 설계에 사용되었으며, 일반적인 응용을 위해 파장으로 정규화된 최적화 설계 변수들을 제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험 결과들을 서로 비교하기 위해, 대칭적으로 19개의 방사 소자를 갖는 Ka 대역 실험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방사 원형 도파관 개구면 위에 적층된 원형 도체 배열 구조는 얇은 필름상에 이온-빔 증착 방법을 사용하여 구현되었다. 계산된 단위소자 패턴들과 시제품의 측정된 단위소자 패턴들은 빔 스캔 범위 내에서 거의 일치함을 보여주었으며, 사이드 로브 레벨과 그레이팅 로브 레벨에 대한 결과 분석도 이루어졌다 또한, 정 방향에서 다층 원형 도체 구조에 의해 생길 수 있는 blindness 현상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제작된 시제품의 입력 VSWR은 1.14 보다 작았으며, 29.0 GHz, 29.5 GHz 그리고 30 GHz에서 측정된 이득은 각각 10.2 dB, 10.0 dB 그리고 10.7 dB 였다. 실험 및 시뮬레이션 결과들은 제안된 다층 원형 도체 배열 구조가 효율적인 구형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능성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holesterol을 제거한 cheese의 제조에서 최적조건은 균질압력 1200psi(70kg$cm^2$), 균질온도 $70^{\circ}$, $\beta$-cyclodextrin 첨가량 2%였으며, 이때 우유의 cholesterol의 제거율이 86.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Cholesterol을 제거한 cheese들의 수율은 모두 12.53%(control 10.54%) 이상으로 균질 처리가 cheese의 수율을 18.88%이상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지방 함량 23.80%인 control 치즈의 cholesterol 함량은 81.47mg/100g이었고, 균질압력 1200psi(91kg/$cm^2$)에 $\beta$-cyclodextrin 2%를 첨가한 cheese에서는 cholesterol 함량이 20.15mg/100g으로 cholesterol 제거율이 75.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Meltability는 균질압력 1200psi(91kg/$cm^2$)에 $\beta$-cyclodextrin 1과 2%로 처리한 치즈에서 2.25cm(control 3.34cm)로 가장 낮았으며, 균질압력이 증가할수록 meltability가 감소하여 치즈의 품질을 저하시켰다. 5. Control 치즈의 stretchability는 30cm 이상 늘어나 가장 양호한 수치인 5점을 나타낸 반면, cholesterol을 제거한 cheese에서는 5~10cm 사이를 나타내어 2점으로 stretchability가 저하된 것을 볼 수 있었다. 6. Oiling off는 균질압력 1200psi(91kg/$cm^2$)에 $\beta$-cyclodextrin 1과 2%로 처리한 치즈에서 In this paper, a new radiating structure with a multi-layered two-dimensional metallic disk array was proposed for shaping the flat-topped element pattern. It is an infinite periodic planar array structure with metallic disks finitely stacked above the radiating circular waveguide apertures. The theoretical analysis was in detail performed using rigid full-wave analysis, and was based on modal representations for the fields in the partial regions of the array structure and for the currents on the metallic disks. The final system of linear algebraic equations was derived using the orthogonal property of vector wave functions, mode-matching method, boundary conditions and Galerkin's method, and also their unknown modal coefficients needed for calculation of the array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by Gauss elimination method. The application of the algorithm was demonstrated in an array design for shaping the flat-topped element patterns of $\pm$20$^{\circ}$ beam width in Ka-band. The optimal design parameters normalized by a wavelength for general applications are presented, which are obtained through optimization process on the basis of simulation and design experience. A Ka-band experimental breadboard with symmetric nineteen elements was fabricated to compare simulation results with experimental results. The metallic disks array structure stacked above the radiating circular waveguide apertures was realized using ion-beam deposition method on thin polymer films. It was shown that the calculated and measured element patterns of the breadboard were in very close agreement within the beam scanning range. The result analysis for side lobe and grating lobe was done, and also a blindness phenomenon was discussed, which may cause by multi-layered metallic disk structure at the broadside. Input VSWR of the breadboard was less than 1.14, and its gains measured at 29.0 GHz. 29.5 GHz and 30 GHz were 10.2 dB, 10.0 dB and 10.7 dB,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and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ulti-layered metallic disk array structure could shape the efficient flat-topped element pattern.

      • KCI등재

        편광 상이 고리 구조 내 복합 파장판 조합을 이용한 평탄 대역 다파장 스펙트럼의 연속적인 파장 조정에 관한 연구

        한진실(Jinsil Han),이용욱(Yong Wook L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21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35 No.4

        In this paper, we propose a flat-top band birefringence filter capable of continuously controlling the wavelength with a combination of waveplates using polarization-diversity loop structure(PDLS). The proposed filter consists of polarization beam splitter(PBS), two polarization-maintaining fibers(PMF) of the same length, two half-wave plates(HWP), and two quarter-wave plates(QWP). Based on the filter transmittance derived through Jones calculus, we found a combination of orientation angles of the four waveplates which could induce an extra phase difference φ from 0° to 360° in the flat-top band transmittance function. Then the calculated transmission spectrum was derived from the eight sets of orientation angles combination of waveplates selected to add φ from 0° to 315° at intervals of 45°. In conclusion, we constructed the multiwavelength filter and verified the theoretical prediction experimentally by implementing a flat-top transmission spectrum.

      • KCI등재

        Design of Tunable Flat-top Bandpass Filter Based on Two Long-period Fiber Gratings and Core Mode Blocker

        배진호,배준계,이상배 한국광학회 2011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15 No.2

        We propose a tunable flat-top bandpass filter to pass light in a customized wavelength band by using long-period fiber gratings (LPFG) structure. The LPFG structure is composed of a core mode blocker in between two LPFGs. The bandpass spectrum of the proposed structure is obtained in overlapped wavelength band of two LPFGs operating on the same modes. To analyze the properties, we introduce a mathematical matrix model for the structure. We theoretically demonstrate flexibility of the flat-top bandpass filter with various bandwid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