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자의 인(仁)사상과 효(孝)교육문화를 통한 인격·인성교육 방향(2)

        김익수 ( Kim Ik-s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20 韓國思想과 文化 Vol.102 No.-

        우리나라는 역사가 아주 유구하다. 환인천제는 9217여 년 전에 환국을 건국하였다. 이는 동북아에서 시원국이 된다. 기원전 5917년 10월 3일에 개천하였다. 이때에 개천자 건국이념과 교육이념을 홍익인간으로 확정하였다. 환웅은 올해가 개천한 10월3일이 개천절이다. 고조선을 세운 단군왕검시대에 고조선의 제후국이었던 춘추전국시대의 공자는 우리 고유상인 인사상과 효교육문화를 계승하여 세계적인 유교를 집성하였다. 그런데 우리 국민들의 인식이 효는 중국의 유교사상으로 으로 알고 있다. 다시 말을 하면 공자의 효사상으로 그 시원을 알고 있다. 그렇지 않고 우리나라라가 동북아에서 처음으로 환국(桓國)을 건국하였는데 하느님으로부터 효를 이어받았는데 이른바 “환인오훈(桓仁五訓)”이다. 그 중에서 세 번째 교훈인 효순(孝順)이다. “즉 부모에게 순종해야 한다”이다. 나머지 1훈, 2훈, 4훈, 5훈은 모두 인(仁)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인류교육의 보전(寶典)인 “환인 오훈” 약 만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그 논리나, 가치관으로 볼 때 현대의 관점으로 보아도 이의가 없다. 우리 겨레의 스승이며 성인이신 환국시대의 환인천제, 배달국의 개천자인 환웅천왕, 고조선을 세운 단군왕검을 일러 삼성조(三聖祖)라 한다. 이 거룩하고 위대한 어른들의 큰 가르침인 환인오훈, 환웅육훈, 팔조교의 효맥인 인효(仁孝)를 공자는 계승하여 유교를 집성하였다고 연구자는 주장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3 고유사상을 계승한 공자의 효사상의 핵심가치인 인(仁)사상과 효교육문화가 삼국시대의 고구려에 다시 되돌아왔다. 우리의 삼국시대는 논어와 효경을 통하여 공자의 인사상과 효교육문화를 통해 그 어느 나라보다도 인성교육 강국이었다. 그런데 조선조에 들어와서 임진, 병자양란을 겪고 일제의 침략으로 일제식민지교육을 받아야 했고 6·25전쟁으로 국력이 분열되었고, 근세에 이르면서 서세동점으로 인하여 비판없이 받아들인 서양의 진보주의 교육의 부식시험장으로 교육의 혼란의 야기와 그 초래는 가장 중요한 한국교육의 위기를 초래하고야 말았다. 이제 우리의 주요 국정과제는 교육의 문제이다. 교육은 국가미래의 흥망을 좌우한다. 우리는 일어버린 역사를 되찾아야 한다. 지난날 배달국의 홍익인간의 이념을 되살리고 우리 고유사상을 계승한 공자의 인효사상으로 다시 회복하여 교육 제 자리 찾기를 반드시 해야 한다. 이 일이 교육혁신성장의 길이다. 도덕종주국의 장자국이 본질을 망각하고 있으며 아예 실종되고 있다. 교육은 사람을 기르는 것이다. 인격을 기르고 인성을 길러야 한다. 어른들은 인격을 도야해야 하고 어린이부터 인성교육이 중요하고 청소년들은 인성교육을 중점적으로 교육해야 한다. 우리국민들은 정신이 많이 혼탁해졌다. 이를 회복하기 위하고, 조화로운 국가발전을 위하여 홍익인간의 교육이념을 오늘에 되살리고 인효를 중핵으로 교육을 교육으로 반드시 혁신할 것을 국가정책으로 삼아야 할 것을 강력히 건의한다. Korea has a long story. God of Heaven and Celestial Emperor set up Hwanguk 9217 years ago. This is the first country in Northeast Asia. Heaven was opened on October 3 5917 B.C. Hongik Ingan (Broad benefits for humanity) was decided as the founding principles and ideals of education of the persons who opened Heaven at this time. Hwanung . The National Foundation Day is October 3 that Heaven was opened this year. Confucius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which was the sovereign Princely States of Gojoseon in the age of Dangun Wanggeom composed world-wide Confucianism by inheriting the idea of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education and culture, our own ideas. By the way, our people have recognized and known that filial piety is Chinese Confucian ideas. That is to say, Korean filial piety originated from Confucian thought of filial piety. But Korea first set up Hwanguk (桓國) in Northeast Asia and inherited filial piety from God. it is so-called “Hwaninohun (God of Heaven's five lessons 桓仁五訓).” Among them, the third lesson is filial obedience (孝順), which you should obey your parents. The rest first, second, third, and fifth lessons belong to the idea of benevolence (仁). Ten thousand years later, there are no different opinions of logic and values from modern views in 'Hwaninohun', the precious book (寶典) of human education. God of Heaven and Celestial Emperor of the era of Hwanguk who is our people's teach and saint, Hwanwungcheonwang who opened the Korean country, and Dangun Wanggeom who founded Gojoseon are called Samseongjo (Three saints and ancestors 三聖祖). The researcher has argued that Confucius inherited and composed Confucianism with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仁孝), the pulse of Hwaninohun, Hwanwungyukhun, and Paljogyo, which are great teachings of holy and great saints. In this study, the idea of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education and culture, the core value of the idea of filial piety of Confucius who inherited our own three ideas, returned to Goguryeo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The Three Kingdoms of Korea was the personality education power more than ever through Confucius' idea of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education and culture. By the way, there were the Imjin War and Qing invasion of Joseon in the Joseon Dynasty, Japanese colonial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ivision of national power due to the Korean War, the mess of education in the Joseon Dynasty, and progressive education accepted without criticism due to Western powers advancing toward East Asia in modern times. So they resulted in the mess of education and it finally led to the crisis of Korean education which is most important. Now, our major government project is a problem of education. Education makes or break the future of the nation. We should return history lost. We must restore the idea of Hongik Ingan (Broad benefits for humanity) of the past Korean country and return the idea of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of Confucius who inherited our own ideas so that education can be in place. This is the way of innovative growth of education. The country that led suzerain states of morality forgets its substance and it was finally missing. Education raises people. You should cultivate personality and character. Adults should discipline themselves, teach children in the importance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educate teenagers focusing on it. Our people got to have a depraved mind. The researcher strongly suggests that people will return the educational idea of Hongik Ingan to recover this and develop our country harmoniously to today and make innovative education which focuses on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national policies.

      • KCI등재후보

        중국의 가정문화와 효사상

        姜坤 한국효학회 2015 효학연구 Vol.0 No.22

        본고는 가정문화와 효사상의 관계 측면에서 전통적인 효사상의 모습과 현대적인 효사상의 의미 그리고 존재하는 문제점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중국 전통가정제도의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전통가정문화를 검토하였다. 다음 중국 전통 효사상과 중국 전통가정문화 속의 효사상을 깊이 분석해 보았다. 근대사회에 들어와 중국의 특수한 역사요인과 정책요인으로 인해 중국의 가정문화와 윤리사상이 많이 달라졌다. 본고는 이를 배경으로 현대가정문화 속의 효사상의 실상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전통가정문화와 전통적인 효사상을 재인식하는 것은 중국 현대적인 효사상 중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에 있어서 아주 바람직한 일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his paper, from the poi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ulture and filial ideas,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and existing problems in traditional filial ideas and modern filial ideas. First of all, the study examined the forming process of the Chinese traditional family system and then discussed about the Chinese traditional family culture based on the survey. Thereafter, it gives a thorough analysis on filial ideas included in Chinese traditional filial ideas and Chinese traditional family culture. Since the modern times, beacause of the special historical and political reasons, great changes have taken place in Chinese family culture and ethical thoughts. Grounded on that, this paper explores the real facts and situations of the filial ideas in Chinese modern family culture, and points out the existing problems in it. This paper also lays great emphasis on the re-recognition and restudy of the Chinese traditional family culture and traditional filial thoughts, which is really meaningful for the improvement on those problems in modern filial ideas.

      • KCI등재

        국어 교과에서 한문고전의 수록 변천과 교육적 함의 — 제2차, 2009개정 고전 과목에 수록된 유학사상을 중심으로 —

        최창헌 한국한문고전학회 2017 漢文古典硏究 Vol.35 No.1

        The study examines the change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which is considered to Confucian ideas.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traditional Confucian ideas experienced the ups and downs of severance and succession. Confucian ideas was not included from the 3r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2009 revised curriculum, for approximately 36 years. The reason for this is the establishment of the Chinese character in the 3rd curriculum, the orientation of Korean national culture, the change of Confucian values in East Asia, an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values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in Korea. Then again, there will be a reason why Confucian ideas is includ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of the Korean, which has passed 36 years. It was the result of industrialization, which predisposes economic growth. Society has faced inhumane social problems. At this point, the restoration of humanity to tackle inhumane social issues seems to be a pressing task in institutional education. The change in educational values is also a reflection of the education of education and pragmatism. The Confucian ideas contained in the classic textbooks in 2009 differ from those contained in the second classical textbook. In the second textbook, the teachings of Confucianism are aimed at fostering moral self-discovery based on ‘filial piety’. In 2009, the focus was placed on interpreting or evaluating Confucian ideas based on ‘human nature’. In 2015, "Classics" were also selected as optional courses for 2015 revised courses to be applied to high school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pplies to high schools beginning in 2018. In 2015, ‘classic reading’ was selected as an elective course. In our society, the heritage of tradition in our society is directly related to the modernization of Confucian idea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ctual practice of Confucian ideas in ‘Now-Here’ presented by the 2009 revised classical textbook will be a clue to the modernization of Confucian ideas. 본 연구는 국어 교과에서 한문고전인 유학사상의 수록 변천과 교육적 함의를 고찰한 논문이다. 국어 교과에서 전통의 유학사상은 단절과 계승의 부침을 겪었다. 유학사상은 제3차 국어과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대략 36년간 수록되지 않았다. 본고에서 그 원인을 제3차 교육과정부터 한문 교과의 성립, 한국적인 민족문화의 지향, 대외적으로 동아시아에서 유학 가치의 변화, 그리고 우리나라의 산업화 과정에서 서구 가치의 도입 등을 꼽았다. 그렇다면 유학사상이 36년의 시간이 흐른 2009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다시 수록된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것은 경제 성장을 제1목표로 질주하던 산업화 과정의 결과, 우리 사회에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반인륜적인 사회 문제가 대두된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 시점에서 반인륜적인 여러 사회 문제를 해결할 인간성의 회복은 제도권 교육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로 보인다. 이러한 교육가치의 변화는 과학주의와 실용주의 일변도에 대한 교육의 자기반성이기도 하다. 2009개정 고전 교과서에 수록된 유학사상은 제2차 고전 교과서에 수록된 것과는 다른 면모를 보인다. 제2차에서는 유학에서 가르치는 ‘효’ 사상을 바탕으로 도덕적 자기 수양에 목표를 두고 있다면, 2009개정에서는 ‘인간의 본성(仁義禮智)’을 중심으로 유학사상을 재해석하거나 평가하여 적용하는 데에 방점을 찍고 있다. 2018년부터 고등학교에 적용될 2015개정 교육과정에도 ‘고전읽기’가 선택 과목으로 설정되었다. 우리 사회에서 전통의 계승이라는 테제는 유학 사상의 현대화와 직결되는 문제이다. 다시 말해서 유학이 현대인들에게 정신적, 철학적 반성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사상으로 한 축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2009개정 고전 교과서가 보여준 ‘지금-여기’에서 유학사상 적용의 실제는 유학의 현대화에 대한 하나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언시 민평의 생애와 유학사상

        민황기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2 No.-

        This paper is a study on Eonsi Minpyeong's life and Confucianism ideas. Eonsi was renowned as a Confucian scholar who learned the right principles as a cultural family member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倭亂) and the Manchu war (胡亂) of the mid-Joseon period and practiced filial piety and filial behavior. Eonsi is a person of pure and gentle nature, faithful to his parents, loyal to his country, and devoted himself to learning to observe etiquette. He showed special interest and affection for family education by observing memorial ceremonies for parents and ancestors, as well as by establishing a sense of vows and posthumous deeds. His life was a Confucian scholar who practiced filial piety in poverty, and he loved humans and respected life. Eonsi sees learning as the basis of character cultivation, and says that if you work hard on your own every day by using your power in the study of sages, it will not be far from sages, and uses ‘sincerity’ (誠) and ‘devotion’ (敬) as important indicators of human discipline as things to act throughout your life. In addition, he was influenced by the Confucian foundation of his grand children's family studies and the artistic style of Sagye Kim Jang-saeng, and took the lead in practicing it by carrying out the principles based on his studies. As a child of a person, Eonsi emphasized filial piety as a service to his parents, and when his parents live and die, he wears a funeral suit, and when he finishes his parents'mourning, he holds a memorial service for his parents. His filial piety can be said to be a manifestation of the human rights spirit that loves people. Therefore, his sincere love was demonstrated without regret, from parents and brothers to family, neighbors, servants and beasts. Even today, we should engrave the value of the noble Confucian life and filial piety of Eonsi in a desirable direction. 이 논문은 언시 민평의 생애와 유학사상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언시는 조선 중기 왜란과 호란의 환란시대에 유가의 문화적 가통으로 유학자로서의 올바른 도리를 익히며 지극한 효심과 효행을 실천한 처사로서 명망이 높았던 인물이다. 언시는 청명하고 온화한 천성의 성품으로 부모에 효도하고 나라에 충성하며 학문에 뜻을 두어 예법을 잘 지켰다. 그는 부모와 조상에 대한 추모 의례의 준수는 물론봉선의식과 유훈을 지어 가정교육에도 각별한 관심과 애정을 나타냈다. 그의 일생은 청빈한 가운데 효충을 실천한 유학자로 인간을 사랑하고 생명을 존중하는 인륜적 삶이었다. 언시는 학문을 인격 함양의 토대로 보고 성현의 학문에 힘을 써서 날마다 스스로노력한다면 성현과 거리가 멀지 않을 것이라고 피력하며, ‘성’과 ‘경’을 평생 동안 행동해야 할 일로 인간 수양의 중요한 지표로 삼고 있다. 또한 그는 대대손손 가학의유학적 기반과 사계 김장생의 예학적 기풍에 영향을 받았고, 그의 학문에 기초한 예론을 펼치며 그 실천에 누구보다도 앞장섰다. 언시는 사람의 자식으로서 부모를 섬기는 것으로, 부모가 살아서는 봉양하고 돌아가시면 상복을 입으며 부모의 상을 마치면 부모의 제사를 지내는 것이라고 효행을중요시했다. 그의 효행은 사람을 사랑하는 인권정신의 발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극진한 사랑은 가깝게는 부모와 형제로부터 일가와 이웃 사람과 노복 및 짐승에이르기까지도 유감없이 발휘되었던 것이다. 언시의 고결한 유학적 삶과 효행의 가치는 오늘날에도 우리가 다시금 바람직한 방향으로 새겨봐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조병화 시에 나타난 유학적 상상력 연구

        이상호 ( Sang Ho Le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1 No.-

        이 연구는 조병화 시에 나타난 유학사상의 핵심인 ‘仁’에 관한 시적 표현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조병화 시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시어는 ‘어머니’이다. 그런 만큼 그에게 어머니는 시심의 원천이다. 그의 어머니에 대한 절실한 마음은 두 가지 의미로 풀이된다. 첫째, 개인적 차원에서는 자신을 낳아준 근원이라는 혈육 인식의 결과인 효심의 발로이다. 둘째, 포괄적으로 보면 그것은 현대인들이 물질문명에 압도되어 점점 사랑이 고갈됨으로써 멸망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음을 깊이 성찰한 결과, 그 구원의 길로서 인류가 모성 같은 ‘인’, 즉 박애정신을 회복하는 일이 절대로 필요하다는 인식의 시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유학사상에 따르면 ‘인’은 인간의 천부적인 본성이다. 조병화는 이러한 인을 통해 비극적 세계의 구원 가능성을 확신하였다. 그래서 그는 돈에 가려져서 사랑이 고갈되는 현대사회를 뼈저리게 성찰하면서도 결코 사랑의 빛은 꺼지지 않으리라는 낙관적 전망을 가졌다. 다만 혼탁한 사회에서 사람들이 제 본성을 자각하고 그것이 사회로 구현되는 수행 과정이 요구되는데, 그의 시는 바로 그 계기를 촉발하는 의미를 갖는다. 즉 그는 시를 통한 대중적 감화의 방법으로 ‘인’의 사회적 실천을 도모하고 인류가 함께 자유라는 목적지에 이르는 길을 열고자 했다. 따라서 조병화의 시 쓰기는 자기동일성을 실현하기 위해 애쓴 예술적 행위이면서 그 사회적 확장을 꿈꾸는 철학적 성찰이요, 종교적 이념으로도 승화될 수 있다고 하겠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poetic characteristic of Jo, Byunghwa`s poem through ‘benevolence(仁, love)’, the core of Confucian ideas, by targeting his poem, The point of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The poetic word which most frequently appeared in Jo, Byunghwa`s poem was ‘mother’. For him, mother was the source of his poetic turn of mind. His earnest mind about mother could be interpreted in two ways. Personal meaning is the expression of filial love by deeply recognizing the point that she is the source which gave birth to him. Another is, the poetic expression of introspection that love is facing the crisis of fall by being exhausted since the modern people are overwhelmed by material civilization, and the recognition that the recovery of ‘benevolence’ just as motherhood, is definitely necessary as a way of salvation. He was convinced of the possibility of tragic human salvation, since the consciousness of love is an innate human nature, which cannot become extinct. Therefore, while bitterly introspecting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love is exhausted by being covered with money, he had the optimistic prospect that the light of love will be never extinguished. However, people are required to have the process of execution that people become aware of their nature in corrupt world and realize that in the society, his poem has the significance to touch off the opportunity. That is, he intended to promote social practice of ‘benevolence’ and open a way to freedom together with human race with the method of the influence of the public through the poem. In conclusion, Jo, Byunghwa`s poem writing could be sublimated to the artistic deed which endeavored to realize self-identity, also, philosophical introspection dreaming of its social expansion, as well as religious idea.

      • 부모의 효(孝)교육이 청소년 교육문화에 미치는 영향(3) - 전통적인 효문화와 현대적 효문화의 수용 정황을 중심으로 -

        김황기 ( Kim Hwang-ki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8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32 No.-

        근세에 이르면서 우리나라는 서구사상이 범람하고 산업화되어 과학화, 정보화 시대로 급격히 변화하면서 우리의 생활은 아주 편리해지고 진보된 점이있다. 그러나 우리의 효문화에 대한 인식과 가치관이 아주 희박해져가고 있다. 이는 이 시대에 필요한 올바른 가치관이야말로 우리의 조상 대대로 뿌리 깊게 이어져온 전통적인 ‘효’문화 사상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국적인 효문화의 뿌리에서 비롯된 것으로, 유교, 불교, 기독교를 모두 포함한 통교적(通敎的)인 것이고, 수 천 년 전의 역사로부터 현대에까지 이르는 통시적(通時的)인 가치관이라고 할 수 있다. 효는 부모님에 대한 공경과 형제사이의 우애와 가족 간의 화목이며 나아가서는 타인에 대한 배려와 사랑인데, 특히 우리의 전통적인 효 문화의 실종은 인성 교육의 상실로 연계되어 청소년 비행이 매년 증가하고 흉폭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근본적으로 효행교육의 부실로 인하여 가정이 해체되고 독거 노인이 늘고 노인 자살률이 OECD회원국 중에서 1위라는 불명예는 우리의 가정교육과 학교교육 그리고 사회 교육이 소임을 다하지 못하고 국가의 교육정책이 부실하기 때문이다. 날로 심각해지는 청소년 비행문제를 해결하는 방안 중의 하나는 가정에서부터 이루어지는 부모 교육과 학교교육으로 연계하고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뿌리인 효사상과 인성교육을 중점적으로 시행하고 사회교육에서도 교육의 근본을 망각한 윤리와 도덕이 사라진 병든 우리사회를 치유하고 전도된 가치관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성장에 맞는 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국가정책으로 효문화 교육을 실행하여야 한다고 본다. 따라서 효문화와 효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케 하고 새로운 인성교육관을 재정립하는 일이 어떤 국가정책보다도 시급하다고 본다. 이일의 성취를 위하여 전통적인 효 문화와 효행 교육의 효율적 시행을 위해서 우리의 전통문화인 효 교육과 인성교육을 현대와 조화시켜 가정과 학교와 사회 윤리를 재정립하는데 이를 바탕으로 한 방안이 반드시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요컨대 본연구의 목적은 가정, 학교, 사회가 일관되는 효교육으로 청소년 교육에 절대로 도움이 되게 하는 올바른 효문화 교육을 위하여 가정, 학교, 사회로 일관되게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을 국가정책으로 연계시켜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한다. As we move into the modern era, rapid changes have occurred through industrialization, scientification and informatization as Western ideas have flooded into Korea, while our lives have become very convenient and advanced. However, our perception and values regarding the filial piety culture are diminishing. The upright values necessary for this age can be found in the traditional cultural ideology of ‘filial piety’ that is deeply rooted in the Korean ancestry. Rooted in the Korean filial piety culture, it is a diachronic value that spans from several thousand years ago to the modern era, and it is embraced by all religions, includ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Christianity. Filial piety is the respect for parents, affection between siblings, harmony between the family, and furthermore, consideration and love for others. The disappearance of our traditional culture of filial piety is linked to the loss of character education, causing juvenile delinquency to increase and aggravate each year. This phenomenon is fundamentally a result of poor filial conduct education, which causes broken families, increase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the dishonour of the highest suicide rate of the elderly in OECD countries. This is because of the failure of domestic upbringing, schoo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and poor national education policies. One of the best ways to solve teenager issues that are worsening each day is to link parental education at home with school education, and to emphasize character education and the ideology of filial piety, which is the root of schoo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To restore the reversed values and to heal this sick society, where the foundations of education have been forgotten and the morals and ethics have disappeared, social education must develop filial piety education programs suitable for the growth of teenagers, and to implement filial piety cultural education as a national policy. Therefore, more than any other national policy, it is of upmost urgency to have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ilial piety culture and filial piety education, and to reestablish a new paradigm of character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goal, we must draw up measures to reorganize ethics in the home, school and society by balancing traditional filial piety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raditional filial piety culture and filial conduc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ongly argue that filial piety education should be consistent in the home, school and society for correct filial piety culture education that is absolutely beneficial to teenage education, and that schoo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should be linked by national policy.

      • KCI등재

        퇴계(退溪)의 재잔제가(再傳弟子) 방호(方壺) 조준도(趙遵道)의 충효사상

        이성혜 ( Lee Seong-hea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퇴계학논총 Vol.34 No.-

        方壺 趙遵道(1576-1665)는 퇴계의 문인인 惟一齋 金彦璣의 문인이며, 寒岡鄭逑 · 旅軒 張顯光 · 愚伏 鄭經世의 문하에 나아가 학문했다. 뿐만 아니라 퇴계 학통을 이어받은 예안 士友들과 상종하면서 삼년간 학문을 강론하기도 했던 퇴계의 再傳弟子이다. 그의 학문적 성과는 5권 2책의 『方壺先生文集』으로 정리되어 있다. 조준도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이어지는 조선중기 격동의 시기에 의병활동을 했던 인물이다. 또한 그는 風樹堂(뒤에 方壺亭으로 불림)으로 상징되는 효자이기도 하다. 그의 忠孝思想은 조선조가 취했던 儒家의 핵심사상으로, 조준도는 조선조 선비들이 취해야 할 모범적인 삶을 살았다고 하겠다. 다만 그가 남긴 『방호선생문집』에는 학술적 내용을 담고 있는 시와 산문이 거의 없다보니 퇴계의 再傳弟子로서 학문사상을 고찰하는데 다소의 어려움이 따른다. 하지만 그의 충효사상은 현재의 우리를 알기 위해, 또한 후손을 위해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교훈삼기 위한 좋은 가르침을 준다. 그런 점에서 조준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은 무척 아쉬운점이다. 본고를 시작으로 앞으로 조준도에 대해 다양한 시각에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angho Cho Joon-do(方壺 趙遵道, 1576-1665) was initially a disciple of Kim Eon-ki(金彦璣) who had been taught by Toegye. Later, Bangho made scholastic careers under the academic influences of Jeong Gu, Jang Hyeon-gwang and Jeong Gyeong-se. For three years, moreover, he made academic assertions or discussions as he communicated and interacted with scholars in Yean who were successors of Toegye’s scholarship. In this sense, Bangho may be regarded as Jaejeonzeja(再傳弟子) of Toegye, which usually means an indirect, secondary disciple. His scholastic achievements are comprehensively found in the collection of his literature, or 『Bangho Seonsaeng Munjip(方壺先生文集)』 that is comprised of 5 volumes and 2 books. By the way, Cho Joon-do served in a righteous civilian army during the mid Joseon period when there were a lot of national turbulences ranging from the Imjinwaeran to the Byeongjahoran. He was also a man devoted to filial piety, which is implied by Pungsudang(風樹堂, later renamed as Banghojeong方壺亭). Bangho’s idea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became a core part of Confucian ideas on which the Joseon dynasty stood itself. This suggests his life was so exemplary that scholars of Joseon needed to follow. However, 『Bangho Seonsaeng Munjip』 includes very few verses or proses that are academic in nature. For this reason, it is a little difficult to identify and examine scholastic ideas that he developed as Jaejeonjeza of Toegye. Cho Joon-do’s idea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re, nevertheless, still deserved to be educated because the ideas provide lessons that are needed for us to know about who we are and how we should live for the future generation. Thus, it’s so unfortunate that there’s has been no substantial research concerning Bangho. This study would, hopefully, be the starting point of further research about him in different perspectives.

      • KCI등재

        『이해룡전』의 효이념과 그 탈인간화 경향

        신태수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6 No.-

        Yihaeryongjeon is a novel about filial behavior, dealing with the idea of filial duty and real issues. Since the novel reveals the real issues and idea of filial duty through space, it is inevitable to focus on the progress of space in it. The space moves in the process of "family → country village → royal court" in the novel. One may assume that the status of subject of filial behavior will vary according to the spaces, but it is not the case. The idea of filial duty shows a cumulative trend in reaction to the real issues or melts many different forms into one by penetrating through the entirety of forms. At the core of those forms is "dehumanization." The creative method of dehumanization grants two features to the subject of filial behavior: it either makes one act recklessly, getting on the paradigm of "filial behavior-reward," or continue to "discard humanity"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lineage. As a result, a romantic equation is established that if one is a devoted son, he will not be human and vice versa. Given that romanticity emerges in the "superiority of ideology about reality" and "the traditional discourse on filial behavior accepted and utilized by the author," it is interpreted that the idea of romantic equation holds hands with romance to cover up the reality. 『이해룡전』은 효이념과 현실문제를 다룬 효행소설이다. 현실문제와 효이념이 공간을 통해 드러나므로, 공간의 추이를 주목해지 않으면 안 된다. 공간은 ‘가정 → 향촌 → 조정’의 과정을 보인다. 어느 공간이냐에 따라 효행 주체의 위상이 달라질 듯하나, 그렇지는 않다. 효이념이 현실문제에 대응하여 누적적 경향을 보이거나 형상 전체를 꿰뚫거나 하면서 여러 형상을 하나로 녹여낸다. 그 형상의 핵심은 ‘탈인간화’이다. 탈인간화 창작방법은 효행 주체에게 두 가지 특징을 부여한다. ‘효행-포상’ 패러다임에 편승하여 저돌적 행동을 하도록 한다는 점과 문벌의식에 입각하여 ‘인간성 버리기’를 계속하도록 한다는 점이 그것이다. 그 결과, 효자이면 인간이 아니고 인간이면 효자가 아니라는 낭만적 등식이 성립한다. ‘현실에 대한 이념의 우위’와 ‘작자가 수용하고 활용한 전통적 효행 담론’에서 낭만성이 나타난다고 볼 때, 낭만적 등식이란 이념이 현실을 덮기 위해 낭만과 손을 잡았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 KCI등재후보

        유아 효 교육을 위한 『지장경』 탐색

        김은경 ( Kim Eun-ky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韓國思想과 文化 Vol.93 No.-

        본 연구는 유아 효 교육에 있어 『지장경』을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이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먼저 『지장경』에 나타난 효와 관련 된 내용을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들에서 ‘보편화 가능한 효 윤리체계’로 제시된 순종, 친애, 존속, 대리의 4가지 준거를 사용하여 『지장경』의 효 내용을 탐색하고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지장경』에 나타난 효와 관련된 내용은 ‘선지식’에 대한 내용과 지장보살의 전생담 중 ‘바라문의 딸’, ‘광목이라는 여인’ 두 이야기, 그리고 ‘49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언급한 내용을 추출할 수 있었다. 추출한 내용은 앞서 제시한 4가지 준거를 적용하여 살펴보았는데, 먼저 ‘선지식’에 대한 내용은 순종의 효가 중심이었고, 지장보살의 전생담 중 ‘바라문의 딸’과 ‘광목이라는 여인’ 두 이야기에서는 순종, 친애, 존속, 대리의 효가 모두 나타났다. ‘49재의 필요성과 중요성’의 내용에서는 순종, 친애, 존속의 효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유아 효 교육에 있어 『지장경』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밖에 『지장경』의 내용을 탐색하는데 적용한 4가지 효 윤리체계는 상호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과 ‘효’는 인성교육의 기초가 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지장경』을 활용한 유아 ‘효’교육 연구에서는 4가지 효 윤리체계가 고루 적용될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효 교육을 통해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연구해 보고자 한다. Aiming to utilize 『Jijanggyeong』 for the education of filial piety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explores the contents related to filial piety shown in 『Jijanggyeong』 as a basic research. For this, with the use of four standards such as obedience, love, persistiveness, and substitution suggested as 'the generalizable ethical system of filial piety' by the relevant preceding researches, the contents of filial piety of 『Jijanggyeong』 were explored, an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utilization was examin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ing the contents related to filial piety shown in 『Jijanggyeong』, the contents about 'a Buddhist priest of high virtue', two stories about 'Brahman's daughter' and 'a woman called Gwangmok' of Ksitigarbha Bodhisattva's past life story, and the contents mentioning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49-jae(Buddhist ritual ceremony)' could be extracted. The extracted contents were examined by applying the above four standards. First, the contents about 'a Buddhist priest of high virtue' focused on the filial piety of obedience. Out of Ksitigarbha Bodhisattva's past life story, the two stories about 'Brahman's daughter' and 'a woman called Gwangmok' evenly showed the filial piety of obedience, love, and persistiveness. The contents of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49-jae' included the filial piety of all the obedience, love, persistiveness, and substitution. This fact verifies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Jijanggyeong』 for the modern education of filial piety. Also, the four ethical system of filial piety applied for the exploration of the contents of 『Jijanggyeong』 was organically related to each other, and the 'filial piety' would be the basis of character education. Therefore, the future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filial piety' for young children by using 『Jijanggyeon g』 aims to suggest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could evenly apply the four ethical system of filial piety, and also to study the measures for cultivating the correct character through the education of filial piety.

      • KCI등재

        우즈베키스탄의 가족문화와 효 사상

        아지조바피루자 ( Azizova Firuza ),박지인 ( Park Jii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이 연구는 우즈베키스탄의 가족문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전통풍습 속에서 나타나는 효 사상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효 사상의 분석을 위하여 먼저 보편화 가능성의 효 윤리체계에 따라 주요 구성요소인 순종, 친애, 존속, 대리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후 우즈베키스탄의 가족문화 및 가정교육에서 네 가지 주요 요소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즈베키스탄 가족문화에서는 연장자에 대한 순종의 효, 부모의 축복이 신의 축복과 연결되는 대리의 효, 그리고 부모에 대한 지속적인 보살핌이라는 존속이라는 효의 요소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효 문화는 우즈벡 민족의 특징 중에 하나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산업화로 인하여 고유의 전통과 가족적 가치가 해체됨에도 불구하고 우즈벡 민족에게 전통예식들은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가족마다 가지고 있는 이러한 전통은 우즈벡 문화의 정신적 기반에 있어서 고유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mily cultures of Uzbekistan and tried to examine the filial ideas in traditional customs. For the objective and systematic analysis of the filial ideas, first of all we start from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obedience, friendship, persistence, and agency, which are major components of the hyo system of generalizing possibility. Then we analyze how the four main elements of family culture and family education in Uzbekistan appeared. As a result, the family culture of Uzbekistan shows elements of the filial piety to the elderly, the blessing of parents which is associating with the blessing of God, and the continuing care of their parents. It was found that it exists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zbek people. In spite of the deconstruction of traditional traditions and family values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traditional ceremonies still have significant sense for Uzbek people. And these family traditions constitute one unique and the biggest part of the spiritual foundation of Uzbek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