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0년 민법개정안과현행 민법.상법.도산법.조세법의소멸시효 비교연구

        최성근(Seong-Keun Choi) 한국비교사법학회 2010 比較私法 Vol.17 No.3

        The passage of time sometimes makes a person have a right, and sometimes makes her or him lose a right. The latter is called “extinctive prescription”. After the expiry of the period of extinctive prescription to a certain debt, the debtor don't have to pay the debt. The draft bill of 2010 Civil Act Amendment gives a notice of large-scale change to the systems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 draft bill deals with 5 parts on prescription. They are the period of extinctive prescription including the initial date, interruption(renewal) and suspens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 effect of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acquisitive prescription, and the period for exercise of a right including the period of exclusion. The draft bill shortens the period of extinctive prescription to 5 years with subjective conditions from 10 years with objective conditions. The draft bill eliminates the provisions of short-term extinctive prescription in Civil Act. And the draft bill reduces the reasons for interruption(renewal) of extinctive prescription, and extends the reasons for suspension of it. This paper analyzes the systems of short-term extinctive prescription and interruption(renewal)ㆍsuspensionㆍpostponement of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in the draft bill of 2010 Civil Act Amendment and in other current acts such as Civil Act, Commercial Act,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Act,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Framework Act on Local Taxes, etc.. And it presents some opinions on the legislation and the construction to harmonize Civil Act and other current acts concerning extinctive prescription.

      • KCI등재

        시효원용권자의 범위 판단 기준에 대한 재고 -일본의 학설과 판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종희 사법발전재단 2021 사법 Vol.1 No.57

        Unlike Japan, the Korean Civil Act does not explicitly stipulate the invoca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and the scope of those who have the right to invoke prescription. Thus, determining the scope of holders of a right to invoke prescription is left to jurisprudence and theories, and thi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how to view the effect of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First, there is consensus between scholars and the Supreme Court that if the litigant receiving the benefit of extinctive prescription does not make any statement about extinctive prescription, the court can not recognize the extinction of rights due to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In determining the scope of holders of a right to invoke prescription, it is necessary to first determine whether the criterion of the person directly receiving the benefit of prescription is a standard for narrowing the scope of the person with the right of prescription or serving as a standard for expanding the scope of the person with the right of prescription. This is because the former is the deprivation of the right to invoca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whereas the latter is the acquisition of the right to invoca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so the degree of tolerance for the result will be different for the parties concerned. In my opinion,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effect of prescription as a relative extinction theory and, in principle, limit the right to invoke the right to the debtor and his or her successors. However, if it is necessary to avoid the evaluation contradi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debtor and to avoid the complexity of the legal relationships only when the extension of the right of invoca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is recognized, the right of invoca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to a third party. 우리 판례가 시효완성의 효과를 권리의 절대적 소멸로 보는지 상대적 소멸로 보는지와 무관하게 최소한 우리 판례는 시효원용권자의 범위를 무제한적으로 확장하고 있지 않다. 어느 범위까지 제한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일본에서의 논의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애당초 우리 판례가 시효에 의해 「직접이익을 얻는 자」에게만 원용권을 인정한 것(소위 ‘직접수익자설’) 또한 일본 판례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직접수익자설이 채무자 및 승계인 이외의 「제3자」에게도 점차 그 범위를 넓혀 원용을 인정하는 이상, 원용권자를 구분하는 기준으로서 기능을 한다고 보기 어렵다. 요컨대 직접수익자설은 예측가능성을 제시할 수 없는 기준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생각건대 원용권자의 범위를 정함에 있어 우선적으로 시효의 이익을 직접적으로 받는 자라는 기준은 원용권자의 범위를 축소하기 위한 기준인지 아니면 그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역할을 하는지를 먼저 정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왜냐하면 전자는 원용권의 박탈인 데 반하여 후자는 원용권의 취득이기 때문에 당사자 입장에서는 그 결과에 있어 관용할 수 있는 정도가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사견으로는 시효의 효과를 상대적 소멸설로 보고 원칙적으로 그 원용권자를 채무자 및 그 승계인으로 제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다만 예외적으로 그 원용권의 확장이 인정되어야만 채무자와의 관계에서 평가적 모순을 피하고 법률관계의 복잡성을 지양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제3자에게도 원용권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즉 원칙상 직접 상대방인 채무자 및 승계인이 시효의 원용권자가 되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형평에 맞지 않는 결과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원용권자를 제3자에게 인정해야 할 것이다. 「직접수익자는 권리가 시효에 의해 소멸하면 자신의 현상(권리)이 유지되는 이익을 가지는 자」이며 이러한 자에게는 「시효의 원용에 의해 의무를 면하는 자」로서의 지위가 인정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제3자가 소멸시효를 원용할 수 없다고 하면, 시효가 완성된 권리가 실행되어 그 제3자가 보유하고 있던 권리가 직접 상실되는 경우에 그 제3자를 ‘직접수익자’로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우리민법은 이미 그러한 제3자가 될 수 있는 자를 예정하고 있는데(예: 보증인), 그러한 규정이 없는 제3자에게는 유추를 통해 원용권을 인정할 수는 있으나(물상보증인, 저당부동산의 제3취득자, 사해행위취소소송에서의 피고인 수익자) 이익상황이 유사하지 않는 자(후순위담보권자, 채권자대위소송에서의 피고인 제3채무자)에게는 유추적용의 요건의 불충족에 의해 원용권이 인정되지 않을 것이다.

      • KCI등재

        소멸시효이익의 포기

        태기정(Tae, ki-jung)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29 No.3

        민법 제184조 제1항에서는 소멸시효기간이 완성된 이후 소멸시효이익을 포기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고, 다수설과 판례는 채무를 승인한 경우 소멸시효이익을 포기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런데 대법원 2013. 2. 28.선고 2011다21556판결에서는 원고의 대여금청구에 대하여 피고가 1심에서 상계항변만 하였고, 항소심에서 주위적으로 소멸시효항변을, 예비적으로 상계항변을 하는 것으로 주장을 변경하였는데, 주위적 항변이 인정되어 예비적 상계항변이 판단되지 않은 경우 상계항변을 하는 과정에서 소멸시효가 문제된 원고의 채권을 인정하는 진술을 하는 것만으로는 소멸시효이익을 포기한 것으로 보지 않았다. 상계의 경우 일방의 의사표시로서 형성권의 행사로 해석되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고 판례이다. 그런데 형성권의 행사는 법률관계의 안정을 위해 조건부 의사표시를 허용하지 않음이 원칙이다. 그러나 대상판결과 같이 예비적 상계의사표시를 한 경우도 조건부 형성권행사가 허용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하는 것인가? 주위적 항변이 인정되면 예비적 항변을 하지 않는 것으로 주장한 경우도 소멸시효이익을 포기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인가? 이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대상판결은 어떤 판단을 하였는지와 그 타당성여부를 본 논문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소멸시효이익의 포기는 근본적으로 소멸시효완성의 효과가 절대적인지, 아니면 상대적 인지와도 관련이 있어 이에 대하여도 함께 검토하였고, 어느 견해를 택하는 것이 타당한 해석인지를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예비적 상계항변을 한 것만으로는 소멸시효이익의 포기에 해당하는 승인으로 볼 수 없다는 대상판결은 타당하고, 소멸시효완성의 효과는 상대적 소멸설을 취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이다. Article 162 of Korean Civil Code prescribes legal extinctive prescription, and Article 184 prescribes the right to give up the legal extinctive prescription profit. Generally, the acknowledgement is interpreted as a distinct recognition of an obligation for which the person making the admission is currently liable. Majority of academics and the Supreme Court consider the acknowledgement as a abandonment of legal extinctive prescription profit. However, the Supreme Court 2011da21556 case declares-in that case, plaintiff’s chose was already over legal extinctive prescription period, and defendant claimed, firstly legal extinctive prescription, preliminarily plea of set-offthat, ‘The first claim is accepted, and the preliminary claim’s statement of plaintiff’s chose is not a abandonment of legal extinctive prescription profit’. Basically, the set-off is a one-sided express and can’t be stipulated with any condition, because of legal stability. But, this theory should be applied to not accepted preliminary plea of set-off ? This article studied on this theme and check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acse. By the way, fundamentally, the abandonment of the extinction profit is related to effect of extinctive prescription. If the period of extinctive prescription passed, the chose becomes extinct absolutely or relatively between creditor and debtor? I studied this theme together. In conclusion, preliminary set-off claim’s statement of plaintiff’s chose cannot be abandonment of legal extinctive prescription profit, thus the case’s declaration is valid. And the effect of legal extinctive prescription is relative.

      • KCI등재

        預金債權의 消滅時效에 관한 小考

        李鴻烈(Hongryeol Lee) 한국비교사법학회 2011 比較私法 Vol.18 No.3

        Until now, legal character, starting point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and application of good faith rule as specific matters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which can arise from extinctive prescription were understood. Further, this study aims to suggest to matters which can arise from the extinctive prescription as followings. It is fully understood that applicat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can’t be denied as long as ownerships of funds are transferred to banks by deposit agreements and maintenance of dormant accounts which have not made any transactions is burdensome in banks’ positions as they require cumbersome processes such as arraignment of ledgers, keeping, interest calculations etc. But 5 to 10 years extinctive prescription is unreasonable in some respects and there is need to exclude applica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to deposits which were confirmed of balances by a special legislation and to establish about 20 years’ period of prescription in that general bank depositors who expect public confidence and definite custody of funds are presuming continuous existence of deposit relationships for a naturally reasonable time, especially a long time in some cases. And invoca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to deposit recapture claim should be allowed in case verification of legitimate extinction is difficult such as the existence itself of deposit credit repayment, matters related with reversion of credit and etc. Accordingly, purposes, roles and legitimacy for attaining in accordance with exercising period of deposit recapture claim were examined by classification and an attempt of reducing depositors who are unrighteously divested of the rights as far as possible is suggested even though the prescription system is for protecting debtors in principle by restricting adjustment by starting points and by the good faith principle as grounds for restricting extinctive prescription. In this context, the extinctive prescription system for deposit recapture rights of deposit credits should be strictly applied by the reasons that it can damage the balance of socioeconomic reward relationship which lies in the base of business relationships and cause conflicts with justice concepts and moral commonsense of general public. Banks are likely to be effective in a deposit maintenance policy by placing the provision that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depositary credit is excluded in bank policies of deposit agreements and depositary creditors might enter into deposit agreements and make deposits without any concern of extinctive prescription of deposits. But banks might reduce management costs of small accounts out of dormant accounts by establishing a clause that dormant accounts less than a certain amount can be applied of extinctive prescription in provisory clauses of bank policies.

      • KCI등재

        청구의 교환적 변경과 소멸시효의 중단

        황은규 민사판례연구회 2013 民事判例硏究 Vol.- No.35

        Trial claims have the interruption effect of extinctive prescription. According to Article 170, Section 1 of Civil Law, if the litigation is withdrawn, the interruption effect of extinctive prescription is extinctive. And a number of views and precedents state that the nature of exchanging alteration of a claim is a combination of the withdrawal of a previous claim and the addition of a new claim. According to that, when the exchanging alteration of a claim happens, the interruption effect of extinctive prescription occurred by a previous claim becomes extinctive, the interruption effect of extinctive prescription caused by a new claim occurs from the time of exchange. However, the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in this paper states that the interruption effect of extinctive prescription occurred by a previous claim isn't extinctive, although the exchanging alteration of a claim happens, in this case which a plaintiff exchanged action subrogation into a claim of transferee after he took over subrogated credit during action subrogation. So we may wonder whether this judgment is contradictory to the principle of law and precedents as mentioned earlier or not. But when the exchanging alteration of a claim happens, in the case which previous claim and new claim are within the material range, there may be exceptional necessity that Article 170, Section 1 of Civil Law does not apply and the interruption effect of extinctive prescription does not become extinctive, and also there may be same necessity in the case which previous and new claim are related with the human range like this case in light of equity compared with the case which is within the human range, so Article 169 of Civil Law can be applied directly. Therefore, this judgment is reasonable because this judgment states that in principle if a plaintiff exchanges a claim, previous claim is withdrawn and the interruption effect of extinctive prescription becomes extinctive, but in this case the interruption effect of extinctive prescription does not become extinctive by considering the intent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system and various reasons. And this judgment is convincing enough because precedents have stated that in some cases, starting point of computing extinctive prescription could be delayed, causes interrupting extinctive prescription could be widely recognized and the debtor's defense of extinctive prescription could be rejected by the principle of Trust and Good Faith for protecting the creditors who might lose the right due to extinctive prescription, so it would seem that this judgment is intended to protect the creditor for a similar reason, concerning the interruption effect extinc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재판상 청구에는 시효중단의 효력이 있는데, 민법 제170조 제1항에 의하면 소를 취하하면 재판상 청구로 인한 시효중단의 효력은 소멸한다. 그리고 다수 견해와 판례는 청구의 교환적 변경 성질을 신청구 추가와 구청구 취하의 결합으로 보는바, 이에 따르면 청구의 교환적 변경이 이루어지면 구청구에 따른 시효중단의 효력은 소멸하게 되고 신청구에 따른 시효중단 효력은 교환적 변경 시점부터 발생한다. 그런데 대상판결은 채권자대위소송 도중 피대위채권을 양수하여 양수금청구로 변경한 사안에서 청구의 교환적 변경이 이루어졌는데도 구청구로 인한 시효중단 효력이 소멸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는바, 이러한 판시는 위와 같은 법리 및 판례의 태도와 모순되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들 수 있다. 그러나 교환적 변경에서 구청구와 신청구가 시효중단 효력의 물적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민법 제170조 제1항의 적용을 배제하여 시효중단 효력이 소멸하지 않는다고 볼 예외적인 필요성도 있고, 대상판결의 사안과 같이 시효중단 효력의 인적범위와 관련된 경우에도 민법 제169조에 따른 시효중단 효력의 인적범위의 적용을 받을 수 있는 사안과의 형평에 비추어 예외를 인정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대상판결이 원칙적으로는 청구를 교환적으로 변경하면 구청구가 취하되고 구청구로 인한 소멸시효중단 효력은 소멸한다고 하면서도, 해당 사안에서는 시효제도의 취지와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구청구로 인한 소멸시효중단 효력이 소멸하지 않는다고 판시한 것은 타당하고, 이는 소멸시효로 인하여 권리를 상실하게 되는 권리자를 보호하기 위한 측면에서 소멸시효의 기산점을 늦추거나 소멸시효의 중단을 넓게 인정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소멸시효의 원용이 신의성실에 반한다고 하여 배척하기도 하는 일련의 판례의 연장선에서, 소멸시효중단 효력의 소멸과 관련하여 권리자에게 너그럽게 해석한 것으로도 볼 수 있어 충분히 수긍이 간다.

      • KCI우수등재

        시효소멸 인정과 원용의 관계

        석현수 한국민사법학회 2019 民事法學 Vol.88 No.-

        About the effect of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re is a conflict of opinion between the theory of conditional extinction and the theory of unconditional extinction. But there is consensus between scholars and the supreme court that if the litigant receiving the benefit of extinctive prescription does not make any statement about extinctive prescription, the court can not recognize the extinction of right due to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On the contrary, this paper argues that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ough the litigants benefiting from extinctive prescription do not make any statement about extinctive prescription, the courts can recognize the extinction of right due to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re are three kinds of the statements about extinctive prescription in litigation: ① the invoca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as exercising the right of formation, ② a factual statement that there was formative invocation, and ③ a legal statement that right have vanished due to prescription. This paper asserts that none of above ①, ② and ③ is the requirement for the court to recognize the extinction of right due to the completion of prescription. The fact that ① and ③ is not a requirement is related to the principal of pleading, and the fact that ② is not a requirement is relat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to choose theory of conditional extinction or theory of unconditional extinction. Taking the view of this paper based on the theory of unconditional extinction that ③ is not a requirement of the court's recognition of the extinction of right due to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it is possible to avoid the error of applying the principal of pleading to the legal statement, and there is an advantage to protect the litigant who lacks the legal knowledge. And unexpected trials that may arise from taking this view can be prevented by acknowledging the duty of the court to request elucidation. 소멸시효 완성의 효력에 관해 상대적 효력설과 절대적 소멸설이 대립하지만, 학설과 판례는 소송에서 시효의 이익을 받는 소송당사자가 소멸시효에 관한 진술을 전혀 하지 않는 경우 법원은 시효소멸의 법률효과를 인정할 수 없다는 결론 면에서는 일치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논문은, 시효의 이익을 받는 소송당사자가 소멸시효에 관한 진술을 전혀 하지 않아도 법원이 시효소멸의 법률효과를 인정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는 입장을 취한다. 소송에서의 소멸시효에 관한 진술에는 그 법적 성격 면에서 서로 구별되는 3가지가 있는데, ① 형성권 행사로서의 원용, ② 위 원용이 있었다는 내용의 사실상의 진술, 그리고 ③ 권리가 시효로 인해 소멸했다는 법률상의 진술이 그것이다. 본 논문은 위 ①, ②, ③의 진술은 모두 법원이 시효소멸을 인정하기 위한 요건이 아니라는 입장을 취하는데, 이 중 ①, ③이 요건이 아니라는 점은 절차법상의 변론주의와, ②가 요건이 아니라는 점은 실체법상 절대적 효력설과 상대적 효력설 중 어느 것을 택할 것인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변론주의는 법률상의 주장에는 적용되지 않으므로 ③은 소송상 시효소멸이 인정되기 위한 요건이 될 수 없다. ①은 절대적 소멸설에 의하면 그 개념조차 성립되지 않고, 상대적 소멸설에 의하더라도 법원이 법률효과를 인정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그 요건사실이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요건사실이 존재한다는 사실상의 주장이므로, 소송상 시효소멸 인정의 요건이 될 수 없다. ②는 상대적 소멸설에 따르면 법원의 시효소멸 인정의 요건이지만 절대적 소멸설에 의하면 위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다. 그런데 구체적 타당성 측면에서나 이론적 간명성 측면에서나 절대적 소멸설을 택하는 것이 낫기 때문에 형성적 원용 사실의 진술은 소송상 시효소멸 인정의 요건이 아니다. 절대적 소멸설에 기초하되 ③은 소송상 시효소멸 인정의 요건이 아니라고 보는 본 논문의 견해는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법률상 주장에 변론주의를 적용하는 오류를 피할 수 있고 구체적 타당성의 측면에서는 법률적 지식이 부족한 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견해를 취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예상 밖의 재판은 법원의 석명의무를 인정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 KCI등재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 -변론주의를 중심으로-

        여미숙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37 No.1

        Since there is no direct provision in the Civil Code regarding the effect of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re has been a conflict of opinion between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and the relative extinction theory. The main legislations provide that a creditor’s right is not extinct but a debtor has the right to refuse the performance of debt when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completed. But a review of the Korean Civil Code shows that the legislator adopted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proposes that the right of the creditor is absolutely extinct when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completed, but since the Civil Procedure Law takes the principle of pleading the court does not consider the extinctive prescription as ex officio if the debtor who would benefit from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does not claim it. This is criticized by the relative extinction theory. According to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the extinctive prescription claim is ‘Einwendung’. Whether a right is extinct by extinctive prescription is a matter of fact, not a matter of law, so the principle of pleading is applied to it. Therefore, the court can decide only if the fact in issue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which is the start date and the elapse of the period, is asserted by the party. The claim of extinctive prescription is a statement on facts, so the rule that any party’s allegation is common to the other party is applied to it. Therefore, the court can decide even if the fact in issue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asserted by the plaintiff, not the defendant who would benefit from the extinctive prescription. However, even if the plaintiff, the creditor, asserts the date of payment as the cause of the claim it can not be regarded as the fact in issue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 defendant’s legal statement that the plaintiff’s right is extinct is not necessary, but since the extinctive prescription must be asserted concerning the extinction of the right it can not be said the plaintiff’s claim of the occurrence of the right is the claim of the extinction of the right. If the plaintiff’s claim of the date of payment is regarded as the claim of the start date of extinctive prescription as the relative extinction theory proposes, the judgment will be against the principle of pleading and not be justified in many cases in which the start date and period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matter. As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proposes, the party who would benefit from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must claim it at trial based on the principle of pleading. The effect of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taken by the Civil Code.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에 관하여 민법에 직접적인 규정이 없어 소멸시효의 완성으로 권리가 소멸한다는 절대적 소멸설과 소멸시효의 완성으로 당사자의 원용권이 생기고 원용권이 행사되어야 권리가 소멸한다는 상대적 소멸설이 대립되어 왔다. 주요 입법례는 소멸시효가 완성되면 권리가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채무자가 이행거절권을 갖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민법 제정과정을 보면 민법의 입법자는 절대적 소멸설을 취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절대적 소멸설은 소멸시효가 완성되면 권리는 당연히 소멸하나 민사소송법이 변론주의를 취하므로 소멸시효의 이익을 받을 자가 소멸시효의 완성으로 권리가 소멸하였음을 소송에서 주장하지 않으면 법원이 시효를 직권으로 고려하지 못한다는 것인데, 상대적 소멸설은 이를 비판한다. 절대적 소멸설에 의하면 소멸시효주장은 ‘Einwendung’에 해당한다. 소멸시효에 걸렸는지 여부는 법률문제가 아닌 사실문제로서 변론주의가 적용되므로 당사자의 주장을 통해 소멸시효의 주요사실, 즉 소멸시효의 기산점과 소멸시효기간 경과 사실이 소송에 현출되어야 법원이 이를 재판의 기초로 삼을 수 있다. 또한 소멸시효주장은 권리항변이 아닌 사실항변으로서 주장공통의 원칙이 적용되어 소멸시효의 주요사실이 어느 당사자에 의해서건 주장되기만 하면 되므로 소멸시효 이익을 받을 피고가 아니라 원고에 의해 주장되어도 법원이 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채권자인 원고가 청구원인사실로서 이행기의 도래를 주장하는 것이 소멸시효의 주요사실을 주장한 것으로 된다고는 볼 수 없다. 피고가 권리가 소멸하였다는 법률상 주장까지 할 필요는 없으나, 소멸시효는 권리의 소멸에 관하여 주장되어야 하므로 원고가 권리의 발생에 관하여 주장하였다고 하여 권리의 소멸에 관하여도 주장한 것이라고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상대적 소멸설의 주장처럼 원고의 권리의 발생에 관한 주장으로서 변론에 나타난 채권의 발생일 또는 이행기가 소멸시효의 주요사실로서 주장된 것으로 본다면 소멸시효의 기산점과 기간이 문제되는 다양한 소송에서 변론주의에 반하는 부당한 결론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절대적 소멸설이 소송에서 소멸시효 이익을 받을 자의 소멸시효주장이 필요하다고 하는 것은 변론주의에 근거한 것으로서 타당하고,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는 민법이 취하고 있는 절대적 소멸설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 KCI등재

        ‘債權執行’에 있어서 消滅時效中斷事由에 관한 小考

        김성균,강병훈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7 法學論集 Vol.21 No.3

        소멸시효가 완성되면 그 효과로 권리가 소멸하나 진행하던 소멸시효는 일정한 사유가 존재하면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중단되어 시효의 대상이 된 권리는 존속하게 된다. 이처럼 소멸시효 완성 여부는 권리의 존부와 관련되어 있어 소송의 승패를 좌우하게 되는 매우 중요한 법률적 문제이다. 본고에서는 소멸시효 중단에 관한 사유 그 중에서도 ‘채권집행’이 소멸시효중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한다. 먼저 집행채무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채권이 압류된 경우에 이에 의한 집행채권의 소멸시효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집행채권이 압류에 의해 시효중단이 되는 경우 그 시효중단의 시기와 종기가 언제인지 여부가 쟁점이므로 이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나아가 압류가 취소되는 경우에 그것이 시효중단의 효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민법 제175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집행채권의 소멸시효가 중단되는 사유 가운데 ‘청구’ 그 중에서도 ‘최고’에 의해 시효가 중단되는지 여부는 특히 압류가 취소되는 경우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어 이에 대하여도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단순 최고가 아닌‘재판상 최고’로서의 효력을 인정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채권집행 절차에서 배당요구의 방법으로 참여한 채권자의 배당요구 채권이 압류 또는 최고에 의해 시효가 중단되는지 여부를 검토하였으며, 부동산 강제 집행에서 문제되는 채권신고가 소멸시효의 중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도 간단히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채권집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피압류채권의 소멸시효 중단의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A right is extinguished due to the effect if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is made but the ongoing extinctive prescription does no more proceed and the right still exists if there is a certain reason. Like this,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is a very important legal issue determining the outcome of a lawsuit because it is related to existence of a right. Among reasons for suspens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is study reviewed influence of ‘claim execution’ on suspens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First, it investigated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claim execution by attachment. Here, in the case of suspens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its time and expiration are the main issue and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the issue. Further, it conducted a review mainly on the article 175 of the Civil Law with respect to influence of attachment cancellation on suspens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Next, whether claim execution is suspended by a ‘notification’ out of ‘claims’, one of the reasons for suspens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becomes an important matter in the case of attachment cancellation and therefore, it also discussed the matter. Among reasons for suspens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it also analyzed issue of the suspension by a judicial notification out of ‘notifications’, one of the reasons for suspens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and reviewed whether credit of request for dividend by a creditor participating in claim execution procedures in a manner of request for dividend is suspended by an attachment or a notification, and it finally intended to analyze suspens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attached claim if credit execution is made.

      • KCI등재

        소멸시효 제도의 존재의의 및 소멸시효 중단사유로서의 승인에 대한 소고

        강인원 대한변호사협회 2018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78

        소멸시효 제도는 권리자가 그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그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상태가 지속된 경우 해당 권리를 소멸시키는 제도이다. 소멸시효는 소멸시효의 대상이 되는 권리가 소멸시효 기산점으로부터 각 권리에 적용되는 소멸시효기간이 경과하고 동 기간 중 시효의 중단이나 정지사유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 그 효력이 발생된다. 이처럼 소멸시효의 법률요건은 여러 요소가 결합되어 완성되기 때문에 제척기간과 달리 각 요건의 해석 및 적용에 있어서 각 사안별 구체적 타당성이 뒷받침되는 탄력적인 해석이 요청되는데, 이와 같은 유기적인 해석을 위해서는 소멸시효 제도의 존재이유에 대한 고찰이 필수적이다. 종래 소멸시효제도의 존재이유는 영속한 사실상태를 존중하여 사회질서의 안정을 꾀하고, 과거사실의 증명곤란으로부터 권리자를 구제하며, 권리행사의 태만에 대한 제재로서 권리 위에 잠자는 자를 보호하지 않는다는 데에 있다고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시효완성시 해당 권리를 절대적으로 소멸시키거나 적어도 권리행사를 저지할 수 있는 채무자의 항변권을 발생시키는 만큼, 진정한 권리자의 권리 보호라는 법의 이상과 다소 상치될 수밖에 없다. 이 점에서 소멸시효제도는 그 자체로 목적인 제도일 수 없으며 오히려 권리자의 권리불행사 상태가 일정기간 지속됨에 따라 새삼스럽게 그 권리행사를 인정하는 것은 사회질서를 깨뜨리거나 입증곤란이라는 문제점을 가져오는 등의 더 큰 사회적 손실을 피하기 위한 수단적 제도임을 인정해야 하고, 오히려 나날이 복잡 다변화하는 사회환경 하에서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한 사회적 합의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2013년 법무부 민법 개정시안이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를 상대적 소멸설에 입각하여 채무자의 시효원용권을 발생시킨다는 내용의 입법제안을 한 것은 소멸시효 제도의 수단적 성격을 인정함과 동시에 채무자의 항변권을 중시하는 타 입법례와의 균형을 고려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동 개정시안에 따라 소멸시효의 기산점이 주관적 체계로 변경됨에 따라 소멸시효의 법률요건 상호간 유기적인 해석의 필요성은 더욱 중요해졌는데, 이들 요건의 해석시에도 소멸시효 제도의 존재이유로서의 사회적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사회적 합의라는 관점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소멸시효의 유기적 해석에 있어서 특히 소멸시효의 중단, 정지사유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중 소멸시효의 중단사유로서의 채무의 승인은 채무자가 적극적으로 해당 권리의 존재를 인정하였기 때문에 소멸시효 제도를 통해 채무자를 보호할 이유가 없다는 사인간의 권리조정 측면이 강조된 사유이자, 한정된 사회자원의 효율적 배분이라는 관점에서도 채권자가 상당기간 권리를 행사하지 않았더라도 어느 시점에서 해당 권리의 존재를 채무자가 인정하였다면 이는 채권자나 채무자에게 권리 존재의 입증 기타 새로운 부담이 발생할 여지가 적다는 측면에서 정당화된다. 채무의 승인은 시효이익을 받을 당사자인 채무자가 소멸시효의 완성으로 권리를 상실하게 될 자 또는 그 대리인에 대하여 그 권리가 존재함을 인식하고 있다는 뜻을 표시함으로써 성립하며, 그 밖에 아무런 형식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채무의 일부 변제, 담보의 설정 및 제공, 기한... Extinctive Prescription is legal system whereby claimant lost its rights if he/she does not exercise its righ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nce a certain right is an object of extinctive prescription,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passed from the time as a starting point, and no interruption or suspens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n the legal effect arises. As seen as above, the legal effect of extinctive prescription can be completed after several legal causes combine, flexible interpretation is needed reflecting circumstances surrounding a specific case, contrasting statute of repose. At the same time we have to consider the basis of existence of extinctive prescription. In general, people raise the basis of existence of extinctive prescription as a pursue of society stabilization respecting situation remain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relief from burden of proof regarding past facts, no protection for claimant not exercising its right in due diligence. However, extinctive prescription is contrast in some sense to general legal purpose as protection of legal right, because once its legal effect is effective, claimant lost its right to pursue in legal system. So, extinctive prescription is not a purpose in itself, but its main role is for avoiding more problems arising from continuous recognition of rights. Instead of that, the basis of extinctive prescription is social consensus in order for efficient allocation of social resources. In that sense, the draft proposal to amendment of Korean Civil Act prepared by Ministry of justice in 2013 proposed invoking right of defendant as a consequence of extinctive prescription based on relative extinction theory. Especially, the draft also proposed the starting point of running out of extinctive prescription as the time claimant recognize its possibility of right exercising, so it became more important to interpret its legal causes considering its relevance.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is more important in application of interruption or suspens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and acknowledgment of obligation as interrup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is no need to protect defendant once the defendant acknowledge a legal right against himself/herself, and there is no lost of social resources to support proof of the legal right. We need no formal way to acknowledge obligations, if defendant aware that a certain legal right against the defendant and he express its awareness to claimant. So, partial repayment, providing a certain security, request for repayment deferral, enactment of special law, set off, assumption of a certain debt, assignment of a certain right, agreement of repayment deferral, deposit etc are some way of acknowledgment. Hereinafter we can interpret extinctive prescription in more flexible way to adjust protection of legal rights and avoiding unnecessary waste of limited social resources.

      • KCI등재

        일본 개정민법상 소멸시효기간 및 기산점

        김병선(Kim, Byung Sun)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論叢 Vol.48 No.-

        일본 개정민법상 소멸시효 기간과 기산점에 관한 규율의 특징과 의미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채권의 소멸시효에 있어서 원칙적인 시효기간과 기산점 채권의 소멸시효에 있어서 원칙적인 시효기간에 관하여, 주관적 기산점으로부터의 단기와 객관적 기산점으로부터의 장기로 이루어지는 이중기간구성을 취하고 직업별 단기소멸시효를 폐지하여 소멸시효기간을 단순화한 것은, 채권자보호와 채무자보호의 균형을 이루고 근래 시효법의 국제적 동향에도 부합하는 타당한 입장이라고 생각한다. 시효기간의 단순화 · 통일화를 도모함에 있어, 변제자 보호의 관점과 변제를 받지 못한 채권자 보호의 관점 모두를 고려하여 주관적 기산점에 의한 단기의 소멸시효기간을 5년으로 하였다. 주관적 기산점의 표현은,「채권발생의 원인」은 채권자의 인식의 대상이 명확하지 않고, 채권은 특정인(채무자)에 대하여 특정의 급부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므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것…을 안 때』에는 채무자를 아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것을 안 때』라는 하였다. 장기의 소멸시효기간을 10년으로 하는 것은 특히 이론이 없었는데, 객관적 기산점을 권리행사에 법률상의 장해가 없게 때라고 할 것인가 또는 권리행사를 실제로 기대할 수 있는 때라고 할 것인가를 둘러싸고는 의론이 있지만, 일단 개정민법 제166조 제1항의「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라는 규율을 유지함으로써 후자를 해석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직업별 단기소멸시효는 폐지되었는데, 단기소멸시효의 적용을 받는 채권인가 아닌가의 판단이 곤란하고, 거기 열거된 채권과 그 밖의 채권의 시효기간 차이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또한 상사소멸시효를 규정한 상법 제522조는, 민법 제167조 제1항과의 적용관계가 불명확하고 상법 제522조의 적용을 받는 채권과 받지 않는 채권의 시효기간 차이를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이유로 삭제되었다. (2)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종래 민법 제724조 후단의 20년을 제척기간이라고 하였던 판례에 대한 학설의 비판을 받아들여 그 기간제한이 소멸시효임을 명확하게 하였다. 제724조를 삭제하고 일반의 채권의 소멸시효에 있어서 원칙적인 시효기간과 기산점과 통합하는 것도 논의되었으나, 그것은 향후 과제로 하고 이번 개정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그리하여 손해배상청구권에 관해서는 채무불이행과 불법행위에서 시효기간의 규율이 다르게 되었다. (3) 생명 · 신체의 침해에 의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생명 · 신체의 침해는 중요한 법익침해이므로 그 보호의 필요성을 감안하고 또 외국법의 동향을 반영하여 특칙을 마련하였다. This article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rules regarding the period of extinctive prescription and the starting point under the revised civil law in Japan. Regarding the extinctive prescription period of bonds, a dual period structure consisting of a short-term from the subjective starting point and a long-term from the objective starting point was taken. The short-term extinctive prescription for each occupation was abolished to simplify the extinctive prescription period. This balances creditor protection and debtor protection and is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trend of the prescription law. In pursuing the simplification and unification of the prescription period, the short-term extinctive prescription period was set to 5 years, taking into account both the viewpoint of protecting the reimbursed person and the viewpoint of protecting the creditors who did not receive reimbursement. Regarding the objective starting point of the long-term extinctive prescription period, by maintaining “the time when the right can be exercised” in Article 166 (1) of the Civil Code before the amendment, it was possible to maintain the theory of interpretation that “when the exercise of the right can actually be expected”. The short-term extinctive prescription for each occupation was abolished.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bond is subject to the short-term expiration prescription, and the difference in the period of prescription between the bonds and other bonds could not be reasonably explained. In addition, Article 522 of the Commercial Act, which stipulates the extinctive prescription under the commercial law, was also deleted. This is because the application relationship with Article 167 (1) of the Civil Act is unclear, and it is difficult to reasonably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cription periods of the bonds subject to Article 522 of the Commercial Act and other bonds. By accepting the criticism of the theory of the precedent that the latter part of Article 724 of the Civil Code was the exclusion period, it is clarified that the period limit is extinctive prescription. The deletion of Article 724 and the integrat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period and the starting point of bonds were also discussed, but that was not covered in this amendment. Since the infringement of life and body is an important infringement of legal interests, special rules wer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need for protection and reflecting the trends of foreign l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