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양도금지특약을 위반한 채권양도의 효력 - 대법원 2019. 12. 19. 선고 2016다24284 전원합의체 판결 -

        여미숙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4

        The Supreme Court’s en banc Decision ruled on the effect of the assignment against non-assignment agreement. The majority opinion advocated the so-called proprietary effect theory while the minority opinion advocated the so-called obligatory effect theory. Article 449(2) of the Civil Act provides that the assignability under Article 449(1) can be restricted by the contrary intention of the parties. The meaning of the wording of Article 449(2) is that the assignment against non-assignment agreement is null, however, to protect the safety of the transaction, the nullity cannot be claimed against a bona fide third party. The intention of the legislator in Article 466 of the Japanese Civil Act was the proprietary effect theory, and the laws of other countries referenced by the legislator were also the proprietary effect theory. Therefore, it must be said the legislator has adopted the proprietary effect theory. It can be said that improving the assignability is an international trend, but the minority opinion to follow the trend by changing the precedent is beyond the scope of the interpretation theory. Therefore, the majority opinion maintaining the precedent that took the proprietary effect theory is valid. The defendant approved the assignment by rejecting the plaintiff's claim for performance. The obligor's post-approval is the ratification of a provisional invalid act, and it has retroactive effect in accordance with the ratification of unauthorized representation. However, the right of a third party shall not be prejudiced thereby. On the issue of the requisite for setting up assignment against the obligor, the trustee in bankruptcy falls under a third party like the seizing creditor. Accordingly, the trustee in bankruptcy shall be regarded as a third party who is not prejudiced by the obligor’s post-approval. In this case, the assignment is invalid despite the defendant's approval, so the conclusion of the majority opinion that the assignor has the claim is right. However, it is not justified that the majority opinion did not judge the above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defendant's approval. 대상판결은 양도금지특약의 효력에 관하여 다수의견이 물권적 효력설을, 반대의견이 채권적 효력설을 취하고 있다. 제449조 제2항은 제1항의 채권의 양도성이 당사자의 의사표시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는 규정으로서 문언의 의미상 양도금지특약을 위반한 채권양도는 무효이고 다만 거래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선의의 제3자에게는 그 무효를 주장할 수 없다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입법자가 수용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일본민법 제466조에 관한 입법자의 의사가 물권적 효력설이었고, 당시 참고한 입법례도 물권적 효력설을 취한 것이었음을 볼 때 입법자는 물권적 효력설을 채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채권의 양도성을 제고하는 것이 국제적 흐름이라고 할 수 있으나 판례변경을 통해 채권적 효력설로 전환하여 그 흐름에 따르자는 반대의견은 해석론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판례인 물권적 효력설을 견지한 다수의견이 타당하다. 한편 피고는 채권이 양도되었음을 이유로 원고의 이행청구를 거절함으로써 채권양도를 승낙하고 있다. 채무자의 사후승낙은 유동적 무효행위의 추인이고, 이에 대하여는 무권대리행위의 추인에 관한 규정이 유추적용되어 소급효가 발생한다고 본다. 그러나 그 승낙이 제3자의 권리를 침해할 수는 없다. 파산관재인은 파산채권자 전체를 위해 포괄적 압류를 한 것과 마찬가지의 지위에 있으므로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에 있어서 압류채권자와 마찬가지로 제3자에 해당한다. 이러한 점에서 파산관재인은 채무자의 사후승낙에 의해 권리를 침해받지 않는 제3자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피고의 승낙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 채권양도는 무효이므로 양도인을 채권자로 본 다수의견의 결론은 타당하다. 그러나 다수의견이 채권양도가 양도금지특약을 위반하여 무효라는 것에서 곧바로 양도인이 채권자라고 판단하여 결론을 내렸을 뿐, 일반적인 경우와 달리 양도인이 채권양도의 무효를 주장함에 대하여 오히려 피고가 채권양도가 유효함을 주장함으로써 생기는 위와 같은 법적 쟁점에 대하여 판단하지 않은 것은 타당하지 않다.

      • KCI등재

        점유취득시효 완성자의 대상청구권

        여미숙 사법발전재단 2021 사법 Vol.1 No.55

        Although there is no provision on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in the Korean Civil Act, the majority theory and precedents understand that it is a general remedy of creditors in case of the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and the money earned from the debtor's sale of real estate is also a vicarious compensation. The Civil Act stipulates that a person who has completed acquisitive prescription by possession shall acquire the ownership by making registration. Precedents state that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completed person has the right to claim for registration against the owner at the time of the completion of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but not against the person who acquires the ownership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The theory on whether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completed person has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when the owner is unable to fulfill the obligation to transfer the registration depends on the view on the legal status of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completed person and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request registration. The fact that Article 245(1) of the Civil Act requires making registration for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completed person to acquire the ownership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clarify legal relations and promote the safety of transactions because the timing of the change in ownership may be unclear and disputes may arise if the ownership is acquired without making registration only by completing the acquisition prescription for real estate registered in the name of another person. Under the above provision,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completed person acquires the status to request the registration against the owner, and the right to claim for registration is referred to as a right to demand claims of creditor. Precedents admit tort liability when the owner disposes of the real estat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even though he/she knows the fact. The precedents and the theory in support thereof affirm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of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completed person only when he/she asserted the right or exercised the right to request registration before the owner's inability to perform, which is similar to the requirement for the recognition of tort liability. The disposition of the real estate by the owner who is obligated to transfer registration to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completed person results in the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This is not a problem of tort liability, but liability for default of obligation. It has no justifiable ground to limit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of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completed person according to the right to claim damages for tort which differs in nature and function. It is not logical to try to adjust the interests by limiting the responsibilities of the owner to a certain range while viewing the right to claim for registration as a right to demand claims of creditor. Even though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occupant to exercise the right to request registration immediatel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requesting this means not recognizing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It has an unfair result that the occupant who was able to acquire the ownership of the real estate cannot obtain the profit on its behalf. In particular, when the real estate is expropriated, the owner does not bear the liability for damages due to the inability to fulfill the registration obligation and obtains unexpected profits, which is contrary to the ideology of fairness.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is the return of the profits earned by the debtor in place of performance of obligations and there is no basis to consider that Article 245(1) excludes that the profits go to the creditor. The owner must return the profits obtained from the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to the acquisitive presc... 우리 민법에는 대상청구권에 관한 규정이 없으나 다수의 학설과 판례의 태도와 같이 이행불능의 일반적인 효과로서 대상청구권을 인정하고, 채무자가 목적물을 매도하여 얻은 매매대금에 대하여도 대상청구권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민법은 점유취득시효기간이 만료된 부동산의 점유자는 등기함으로써 소유권을 취득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판례에 따르면 시효완성자는 시효완성 당시의 소유자에 대하여 등기청구권을 가지나 시효완성 후에 새로이 소유권을 취득한 자에 대하여는 시효취득을 주장할 수 없다. 취득시효 완성 후 소유권이 이전되어 소유자가 등기의무를 이행할 수 없게 된 경우 시효완성자의 대상청구권을 인정할 것인지 여부에 관하여는 시효완성자의 법적 지위 및 시효완성자가 소유자에 대하여 가지는 등기청구권의 법적 성질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견해를 달리한다. 민법 제245조 제1항이 점유취득시효로 인한 소유권 취득에 등기를 요건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타인 명의로 등기된 부동산에 대하여도 점유취득시효를 인정하는 특수한 입법하에서 취득시효 완성으로 등기 없이 소유권을 취득하게 되는 경우 권리변동의 시기가 불분명하여 분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법률관계를 명확히 하고 거래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는바, 위 규정에 의할 때 시효완성자는 소유자에 대하여 시효완성으로 인한 등기를 청구할 수 있는 지위를 취득하고 그 등기청구권은 채권적 청구권이라고 할 것이다. 판례는 소유자가 취득시효 완성 후 그 사실을 알고도 부동산을 처분한 경우 불법행위책임을 인정하는데, 시효완성자의 대상청구권에 관한 판례와 이를 지지하는 학설은 시효완성자의 등기청구권을 채권적 청구권이라고 보면서도 시효완성자의 대상청구권에 관하여 위 불법행위 성립기준과 유사하게 시효완성자가 소유자의 이행불능 전에 권리를 주장하거나 등기청구권을 행사한 경우에 한하여 이를 인정한다. 그러나 취득시효 완성 후 소유자가 그 부동산을 처분하는 행위는 채무자인 소유자가 시효완성자에 대하여 부담하고 있는 채무를 스스로 이행불능에 빠뜨리는 것이어서 원칙적으로 불법행위가 아니라 채무불이행 문제가 되며, 일반 대상청구권과 달리 시효완성자의 대상청구권을 본질과 기능이 다른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에 맞추어 제한하는 것은 정당한 근거가 없으며, 시효완성자의 소유자에 대한 등기청구권을 채권적 청구권으로 보면서 소유자의 책임을 일정 범위로 제한하여 시효완성자와 소유자의 이익을 조정하려는 것은 논리가 일관되지 않는다. 또한 시효완성자가 시효완성 후 바로 등기청구권을 행사할 것을 기대하기 어려움에도 이를 요구하는 것은 사실상 대상청구권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 되어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었던 시효완성자가 이를 대신하는 이익은 얻을 수 없다는 불공평한 결과를 가져오며, 특히 소유자가 부동산을 처분한 경우가 아닌 부동산이 수용된 경우에는 소유자는 등기의무를 이행할 수 없게 된 데에 따른 손해배상책임도 부담하지 않으면서 예상하지 못한 이익을 얻는 부당한 결과가 생기게 되므로 시효완성자의 대상청구권의 요건을 제한하는 것은 공평의 이념에 반한다. 민법 제245조 제1항에 의하여 성립하는 소유자와 시효완성자 사이의 채권채무관계가 다른 법정채권채무관계와 달리 목적물의 ...

      • KCI등재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 -변론주의를 중심으로-

        여미숙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학논총 Vol.37 No.1

        Since there is no direct provision in the Civil Code regarding the effect of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re has been a conflict of opinion between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and the relative extinction theory. The main legislations provide that a creditor’s right is not extinct but a debtor has the right to refuse the performance of debt when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completed. But a review of the Korean Civil Code shows that the legislator adopted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proposes that the right of the creditor is absolutely extinct when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completed, but since the Civil Procedure Law takes the principle of pleading the court does not consider the extinctive prescription as ex officio if the debtor who would benefit from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does not claim it. This is criticized by the relative extinction theory. According to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the extinctive prescription claim is ‘Einwendung’. Whether a right is extinct by extinctive prescription is a matter of fact, not a matter of law, so the principle of pleading is applied to it. Therefore, the court can decide only if the fact in issue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which is the start date and the elapse of the period, is asserted by the party. The claim of extinctive prescription is a statement on facts, so the rule that any party’s allegation is common to the other party is applied to it. Therefore, the court can decide even if the fact in issue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asserted by the plaintiff, not the defendant who would benefit from the extinctive prescription. However, even if the plaintiff, the creditor, asserts the date of payment as the cause of the claim it can not be regarded as the fact in issue of extinctive prescription. The defendant’s legal statement that the plaintiff’s right is extinct is not necessary, but since the extinctive prescription must be asserted concerning the extinction of the right it can not be said the plaintiff’s claim of the occurrence of the right is the claim of the extinction of the right. If the plaintiff’s claim of the date of payment is regarded as the claim of the start date of extinctive prescription as the relative extinction theory proposes, the judgment will be against the principle of pleading and not be justified in many cases in which the start date and period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matter. As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proposes, the party who would benefit from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must claim it at trial based on the principle of pleading. The effect of the complet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bsolute extinction theory taken by the Civil Code.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에 관하여 민법에 직접적인 규정이 없어 소멸시효의 완성으로 권리가 소멸한다는 절대적 소멸설과 소멸시효의 완성으로 당사자의 원용권이 생기고 원용권이 행사되어야 권리가 소멸한다는 상대적 소멸설이 대립되어 왔다. 주요 입법례는 소멸시효가 완성되면 권리가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채무자가 이행거절권을 갖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민법 제정과정을 보면 민법의 입법자는 절대적 소멸설을 취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절대적 소멸설은 소멸시효가 완성되면 권리는 당연히 소멸하나 민사소송법이 변론주의를 취하므로 소멸시효의 이익을 받을 자가 소멸시효의 완성으로 권리가 소멸하였음을 소송에서 주장하지 않으면 법원이 시효를 직권으로 고려하지 못한다는 것인데, 상대적 소멸설은 이를 비판한다. 절대적 소멸설에 의하면 소멸시효주장은 ‘Einwendung’에 해당한다. 소멸시효에 걸렸는지 여부는 법률문제가 아닌 사실문제로서 변론주의가 적용되므로 당사자의 주장을 통해 소멸시효의 주요사실, 즉 소멸시효의 기산점과 소멸시효기간 경과 사실이 소송에 현출되어야 법원이 이를 재판의 기초로 삼을 수 있다. 또한 소멸시효주장은 권리항변이 아닌 사실항변으로서 주장공통의 원칙이 적용되어 소멸시효의 주요사실이 어느 당사자에 의해서건 주장되기만 하면 되므로 소멸시효 이익을 받을 피고가 아니라 원고에 의해 주장되어도 법원이 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채권자인 원고가 청구원인사실로서 이행기의 도래를 주장하는 것이 소멸시효의 주요사실을 주장한 것으로 된다고는 볼 수 없다. 피고가 권리가 소멸하였다는 법률상 주장까지 할 필요는 없으나, 소멸시효는 권리의 소멸에 관하여 주장되어야 하므로 원고가 권리의 발생에 관하여 주장하였다고 하여 권리의 소멸에 관하여도 주장한 것이라고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상대적 소멸설의 주장처럼 원고의 권리의 발생에 관한 주장으로서 변론에 나타난 채권의 발생일 또는 이행기가 소멸시효의 주요사실로서 주장된 것으로 본다면 소멸시효의 기산점과 기간이 문제되는 다양한 소송에서 변론주의에 반하는 부당한 결론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절대적 소멸설이 소송에서 소멸시효 이익을 받을 자의 소멸시효주장이 필요하다고 하는 것은 변론주의에 근거한 것으로서 타당하고,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는 민법이 취하고 있는 절대적 소멸설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 KCI등재

        2000년대 民事판례의 傾向과 흐름(民事訴訟法)

        여미숙 민사판례연구회 2011 民事判例硏究 Vol.- No.33

        The Civil Procedure Act was wholly amended by Act No. 6626, Jan. 26, 2002, which entered into force beginning on the Jul. 1, 2002. Based on the 40 years of experience of managing the former system, the Amendment was made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the people, the law consumer, by making the legal remedy more effective and less cumbersome. Throughout the 2000s, the Supreme Court has been establishing many significant precedents regarding new or revised articles, especially the ones concerning preliminary or selective co-litigation, preparatory proceedings for pleadings, and order for submission of document, of the Amendment. This paper examines the leading judgements of the Supreme Court on the Civil Procedure Act, by arranging the judgements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articles of the Act. The ideal of the civil procedure is for the courts to endeavor to have the litigation procedures progress fairly, swiftly and economically. The 2000s' tendency of court rulings respecting the Civil Procedure Act is to manage the new civil procedure system actively by interpreting the articles of the Act aggressivel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ideal. 민사소송법이 2002. 1. 26. 법률 제6626호로 전문 개정되어 2002. 7. 1.부터 시행되었는데, 이는 민사소송법 제정 이래 지난 40년간의 제도운영경험을 바탕으로 그동안 문제되었던 내용을 전면 개정하여 실질적이고 신속한 권리구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법률수요자인 국민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었다. 2000년대에 민사소송법 분야에서 많은 중요한 판례가 나왔는데 특히 예비적‧선택적 공동소송, 변론준비절차, 문서제출명령 등 민사소송법 전문 개정으로 신설되거나 개정된 규정에 관하여 대법원판결이 다수 선고되어 판례가 형성되어가고 있다. 본고는 전원합의체 판결을 비롯한 민사소송법에 관한 주요 대법원판결을 민사소송법의 조문편제 순서에 따라 살펴본 것이다. 법원은 소송절차가 공정하고 신속하며 경제적으로 진행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는 민사소송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분쟁이 실질적으로 해결되고 권리구제가 신속하게 될 수 있도록 민사소송법의 규정을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제도를 운영하고자 하는 것이 2000년대의 민사소송법 판례의 경향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후보

        선택적 중재조항의 유효성

        여미숙 민사판례연구회 2005 民事判例硏究 Vol.- No.27

        대상판결(대법원 2003. 8. 22. 선고 2003다318 판결)은 “‘구매자와 공급자 간의 분쟁은 판결 또는 중재에 의하여 해결되어야 한다.’와 같은 내용의 선택적 중재조항은 일방당사자가 상대방에 대하여 판결이 아닌 중재절차를 선택하여 그 절차에 따라 분쟁해결을 요구하고 이에 대하여 상대방이 별다른 이의 없이 중재절차에 임하였을 때 비로소 중재계약으로서 효력이 있다.”고 판시하였다. 이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공사도급계약 등을 체결할 때 사용하는 재정경제부의 회계예규인 공사계약일반조건 등에 포함된 선택적 중재조항의 유효성에 관한 최초의 대법원판결이다. 우선 중재 및 중재합의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을 살펴본 후, 선택적 중재조항의 유효성에 관한 학설과 판례를 검토를 통하여 대상판결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국가가 당사자인 계약상의 선택적 중재조항은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분쟁은 조정위원회의 조정 또는 중재법에 의한 중재기관의 중재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는 제1유형, ‘분쟁은 조정위원회의 조정 또는 중재법에 의한 중재기관의 중재에 의한다. 조정에 불복하는 경우에는 발주기관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법원의 판결에 의한다.’는 제2유형 및 ‘분쟁은 중재법에 의한 중재기관의 중재 또는 법원의 판결에 의하여 해결한다.’는 제3유형이 그것이다. 학설은 선택적 중재조항이 유효한 합의로서 일방당사자는 분쟁해결수단의 하나로 중재를 선택할 수 있다고 보는 유효설과 중재합의로서의 효력을 부정하는 무효설로 나뉜다. 우리 나라 하급심판결은 중재합의로서의 효력을 인정한 것과 부정한 것이 있는데, 그 내용을 위 3가지 유형별로 나뉘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계약내용에 중재조항과 소송조항이 함께 있는 경우 가능한 한 중재에 의하는 방향으로 해석하는 미국의 판례를 비롯하여 외국의 판례를 살펴보았다. 선택적 중재조항을 유효한 중재합의로 볼 것인지 여부는 사적자치의 원칙 및 대체적 분쟁해결수단의 활성화라는 측면과 법적 안정성이라는 측면을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할 문제로서 결론적으로 대상판결은 타당하다고 본다. 다만, 대상판결 이후에 하급심은 대체로 위 제1, 2유형의 중재조항을 무효로 보고 있는데, 제1, 2유형의 중재조항은 일차적으로 조정 또는 중재라는 비소송적 분쟁해결수단에 의한다는 당사자의 자치적 의사의 합치가 있다고 보아 유효한 중재합의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 KCI등재

        임대차에서의 연체차임의 공제

        여미숙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법학논총 Vol.36 No.1

        The deposit paid on real estate lease guarantees the compensation for the overdue rent and other debts. The overdue rent is deducted from the deposit at the time of return of the object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lease without the lessor’s declaration of intent of deduction. If there is an attachment and collection order, the claim for rent which is the subject of the order is scheduled to be covered by the deposit, and the collection creditor is also subject to such restrictions. Therefore the overdue rent is deducted from the deposit at the time of return of the object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lease. In addition, even if the claim for rent is transferred, the overdue rent is deducted from the deposit at the time of return of the object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lease. It’s rationale is as follows. The overdue rent is subjected to be deducted from the deposit if it is remained until the return of the object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lease from the legal nature of the deposit and the rent, and such a legal character is not changed when the claim for rent is transferred. Therefore it is not unreasonable that the transferee of the claim for rent bears the risk of the deduction of the overdue rent from the deposit. It is not disadvantageous for the tenant to receive the deposit after deduction of the overdue rent, and it meets the tenant's intention. When the lessor's status is succeeded to the assignee due to the transfer of the object, the overdue rent which occurred before the transfer of the object is not succeeded to the assignee unless they agree on it. In the absence of an agreement on the overdue rent, the assignee succeed the obligation to pay the full amount of the deposit, not the remaining deposit after the overdue rent has been deducted. And the assignee shall pay the remaining deposit after deduction of the overdue rent at the time of return of the object after the lease termination. The reason is as follows. It is consistent with the legal nature of deposit and the legal effect of succession of lessor’s status that the assignee takes the obligation of deposit repayment and the possibility of deduction of overdue rent at the time of return of the object after the lease termination, and the assignor is exempted from the obligation of deposit repayment. It meets the general intentions of the transferee and the tenant, and is also properly takes into account the interests of the lessor and the collection creditor. 부동산 임대차에 있어 지급되는 보증금은 차임채무 등 임대차에 따른 모든 채무를 담보하는 것으로 임대차 종료 후 목적물 반환 시에 연체차임이 보증금에서 당연 공제된다. 차임채권에 대하여 압류 및 추심명령이 있는 경우 압류의 목적인 차임채권은 보증금에 의한 당연 충당을 예정한 채권이므로 추심권자도 그러한 제한을 받아 임대차 종료 후 목적물 반환 시에 연체차임이 당연 공제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차임채권이 양도된 경우에도 보증금과 차임의 성질상 차임채무는 임대차 종료 후 목적물 반환 시까지 잔존하는 경우 보증금에서 당연 공제될 성질의 것이었고, 차임채권이 양도되더라도 그와 같은 성질은 유지가 되는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므로 차임채권 양수인이 보증금에서 연체차임이 당연 공제되는 위험을 부담하는 것이 부당하다고 할 수 없고, 임차인은 연체차임이 공제된 나머지 보증금을 반환받더라도 불이익은 없고 임차인의 의사에도 부합한다고 할 것이므로 임대차 종료 후 목적물 반환 시에 연체차임이 당연 공제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목적물의 양도로 임대인 지위가 양수인에게 승계되는 경우 목적물 양도 이전의 연체차임채권은 별도의 합의가 없는 한 양수인에게 승계되지 않는데, 그러한 정산절차가 없는 경우 양수인에게 승계되는 보증금은 연체차임을 공제한 나머지 금액이 아니라 보증금 전액이고, 양수인은 임대차 종료 후 목적물 반환 시에 연체차임이 공제된 나머지 보증금을 반환하면 된다고 본다. 양수인이 보증금반환채무를 면책적으로 인수하면서 연체차임이 보증금에서 당연 공제되는 것 또한 승계되어 이후 임대차 종료로 인한 목적물 반환 시에 연체차임이 당연 공제된다고 해석하는 것이 보증금의 성질이나 임대인 지위 승계의 의미에 부합하고, 양수인과 임차인의 일반적인 의사에도 부합하며, 임대인이나 차임채권의 추심권자 등의 이해관계도 적절히 고려한 것으로서 타당하다.

      • KCI우수등재

        제3자를 위한 계약의 해제 시 수익자의 지위 - 대법원 2021. 8. 19. 선고 2018다244976 판결 -

        여미숙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6

        해제의 효과에 대하여 우리 민법은 물권적 효과설을 취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계약이 해제되면 양도인은 등기나 점유를 원상회복할 것을 부당이득을 이유로 청구할 수 있는 채권적 청구권과 회복한 소유권에 기하여 소유물의 반환 또는 방해배제를 구할 수 있는 물권적 청구권을 갖게 된다. 이 두 청구권은 별개의 권리로서 병존하며 소송물도 다르다. 제3자를 위한 계약에서도 마찬가지로 요약자의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계약이 해제된 경우 낙약자는 위 두 청구권에 기하여 권리를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계약관계의 청산은 계약 당사자 사이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부당이득의 반환을 수익자에 대하여는 구할 수 없다. 수익자가 민법 제548조 제1항 단서의 제3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수익자의 부당이득반환의무 문제보다 먼저 검토되어야 한다. 수익자가 제3자 보호 규정의 제3자에 해당한다면 수익자에게 부당이득반환의무를 부담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위 규정의 제3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여 곧바로 부당이득반환의무가 긍정되는 것은 아니고, 계약 당사자가 아닌 수익자는 부당이득반환의무를 부담하지 않는다. 수익자는 계약의 당사자는 아니지만 계약으로부터 직접 권리를 취득하므로 해제된 계약에서 생기는 법률효과를 기초로 하여 새로운 권리를 취득한 자가 아니어서 민법 제548조 제1항 단서의 제3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대법원도 수익자가 위 규정의 제3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시한 바 있다. 대상판결은 기본관계에 기초하여 대가관계를 맺음으로써 해제 전에 새로운 이해관계를 갖게 된 경우에는 수익자가 위 규정의 제3자에 해당한다고 판시하며 이를 이유로 낙약자의 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을 행사에 대한 수익자의 물건반환의무를 부정하였다. 그러나 기본관계에 기초하여 대가관계를 맺은 경우에도 수익자는 여전히 계약으로부터 직접 권리를 취득하는 자이므로 위 규정의 제3자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고, 대상판결의 사안이 기본관계에 기초하여 대가관계를 맺은 경우에 해당하는 것도 아니다. 대상판결이 수익자에 위 규정의 제3자에 해당한다는 일반론을 설시한 것은 타당하지 않고, 종래의 입장과도 다른 것이다. 낙약자가 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을 행사하여 물건의 반환을 구할 때 수익자는 계약해제에 따른 부당이득반환반환의무를 부담하지 않아 물건을 점유할 권리를 가진다는 것을 이유로 반환을 거부할 수 있다. 수익자의 물건의 반환의무를 부정한 대상판결의 결론에는 찬성하나 그 근거는 타당하지 않다. The Civil Act has adopted the theory of proprietary effect regarding the effect of rescission of contract. According to this theory, when the contract is rescinded the transferor has a claim to restore registration or possession to its original state on the grounds of unjust enrichment, and a claim for property rights based on the restored ownership. These two claims coexist as separate rights, and the subject matter of the lawsuit for each is also different. When the contract for third party is rescinded, the promisor has the right based on the two claims mentioned above. However, as the contractual relationship should be settled between the contracting parties, the promisor cannot claim the return of unjust enrichment from the beneficiary. Whether the beneficiary is a third party under the Proviso to Article 548(1) of the Civil Act must be reviewed before addressing the issue of the beneficiary's obligation to return unjust enrichment. If the beneficiary is a third party under the third party protection regulation, he/she cannot be held liable for the return of unjust enrichment. However, just because the beneficiary is not a third party under the above provision, the obligation to return the unjust enrichment is not immediately affirmed. The beneficiary, who is not a party to the contract, does not have the obligation to return the unjust enrichment. The beneficiary is not a party to the contract but he/she acquires rights directly from the contract, therefore he/she is not a person who has acquired new rights based on the legal effect arising from the rescinded contract. The beneficiary is not a third party under the Proviso to the Article 548(1) and the Supreme Court has previously ruled as such. However, the Supreme Court Decision in this case ruled that if the beneficiary acquires new interests before the rescission by forming the value relationship based on the basic relationship, he/she is considered a third party under the above provision and denied the promisor's claim for property rights against the beneficiary. However, even if the value relationship is established based on the basic relationship, the beneficiary is still the person who acquires rights directly from the contract and cannot be considered a third party under the above provision. Also, this case does not correspond to a case where the value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basic relationship. The beneficiary has the right to take possession of the goods because he/she is not liable for the return of unjust enrichment. Therefore, he/she can refuse to return the goods to the premisor. The conclusion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is justified, but its basis is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