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휴 멀티 e-Science 그리드 자원 공유를 위한 통합 자원 접근 제어

        정임영,정은진,염헌영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10

        This paper proposes a light-weight, seamless integrated access control for global e-Science resource sharing. E-Science, based on Grid Computing, was designed to help scientists to remotely control and process the Grid resources such as high-end equipments and remote machines. As many researchers engage in the e-Science Grids, the researchers in a grid often have to wait for or give up use of the Grid resources, even when there are idle resources in other Grids. In this case, provided that proper compensation is given, Grid resource sharing is helpful both for the researchers and the Grids which provide their resources. But, sharing Grid resources globally is not simple, as each e-Science Grid is especially designed for resource sharing in its Virtual Organization(VO) and already has its unique access control policy for its resources. This paper proposes a new integrated access control for e-Science Grid resource sharing. The access control is light-weight without any priori service level agreement(SLA)s among the Grids which share their resources and seamless because the users can use the resources shared as the ones belonging to their Grids without their additional registration to the other Grids. 본 논문은 e-Science 그리드 자원 공유를 위한 가볍고 솔기없는 통합 자원 접근제어를 제안한다. 그리드 컴퓨팅에 기반한 e-Science는 고가의 과학 실험 장비를 포함하는 그리드 자원을 원격조정하고 이로부터 얻은 데이타를 고성능 컴퓨터를 통해 처리하는 총체적인 도메인을 구성하여 과학자들의 연구를 돕는다. 그런데, 많은 사용자들이 그리드 자원을 이용할 때, 사용자가 소속된 e-Science 그리드에서 자원이 부족할 경우, 원하는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기다리거나 자원이용을 포기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적절한 보상 하에 타 그리드의 유휴 자원을 이용할 수 있으면 자원제공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런데, e-Science 그리드는 개개 그리드 단위로 특정 과학응용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사용편의를 위해, 가상 조직(Virtual Organization-VO)에 특화된 자원 접근정책이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자원의 공유가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다. 본 논문은 e-Science 그리드 사용자가 복수 개 타 그리드의 공유자원을 이용할 때, 전체 그리드 차원의 자원접근정책 통합을 위한 선협정(Service Level Agreement-SLA)이 필요없어 가볍고, 사용자가 소속 그리드의 자원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과정으로 추가적인 등록이 필요하지 않아 솔기없는 새로운 통합 자원 접근 제어를 제안한다.

      • KCI등재

        e-Science 개발정책: 독일의 사례

        박재수 ( Jae Sue Park ),이준 ( Joon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08 유라시아연구 Vol.5 No.2

        e-Science는 새로운 연구개발 패러다임으로 핵심 과학영역에서 글로벌 협력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인프라에 관한 것이다. 인프라는 특히 e-Science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e-Science의 일부분이다. 이러한 인프라는 일반적으로 Grid로 불리며, 데이터 처리 컴퓨팅을 공유한다. Grid 컴퓨팅기술은 글로벌 규모의 자원(컴퓨팅 파워, 데이터 스토리지, 그리고 관련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e-Science 경제에 의해 지배되기도 한다. 그 맥락에서 e-Science가 무엇이고, 개발정책은 어떻게 진행하여야 하는가를 파악해 보았다. 구조적으로 혼란한 e-Science의 개념적 수렴문제와 더불어 개발정책 순서의 딜레마를 해결해 보고자 하였다. 사례연구는 과학 및 산업정책에서 탁월한 이론과 실무를 제시해왔던 독일의 e-Science 개발정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이유는 BMBF(독일연방교육연구부)의 주도 하에 체계적인 개발정책을 실행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기 때문이다. 한편 독일 e-Science Initiative는 독일과학자와 BMBF에 의해 D-Grid로 불린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e-Science 개발정책을 alpha(인문, 예술, 언어 등), beta(수학, 화학, 물리, 천문, 의약 등), gamma(사회/행동 과학, 경제와 법률 등)의 학문분야에 필요한 e-Infra와 그리드 컴퓨팅, 그리고 e-Science경제 등에 관하여 정부가 충분히 준비해 줄 수 없다는 전제 하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e-Science개발정책의 모형은 점(e-Society), 선(X,Y,Z), 면(e-Science economy, e-Infra, Grid Computing), 공간(Basic, Usage, Application)의 나선형적 진화구조인 동시에 전략적 접근형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e-Science 개발정책은 공간적 의미를 포괄하는 대상 분야를 먼저 정한 뒤, 그리드 컴퓨팅 프로젝트, e-Infra, 그리고 자원을 포괄하는 선의 개발로 이어지는 순서가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고객 유인형으로서 그리드 컴퓨팅을 통한 e-Science economy를 기대하는 차원에서 기술 드라이버형인 그리드 컴퓨팅을 위한 e-Infra개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와 같은 고찰을 바탕으로 독일의 e-Science정책을 파악하고 그 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독일의 e-Science 정책은 2003년 6월 독일의 과학자 및 과학협회가 주도하여 D-Grid Initiative(독일 e-Science의 대표 격)전략백서를 내 놓으면서 시작되었다. 보고서는 과학연구를 위한 Grid 기술의 현황과 결과를 검토하고, 장기적인 안목에서 전략적 Grid연구와 개발Initiative를 권고하고 있다. 2004년 3월 BMBF는 Germany e-Science Initiative에 대한 정책을 공고하였으며 연이어 그리드 컴퓨팅, 이-러닝, 그리고 지식경영에 대한 제안신청서를 요청하였던 바, D-Grid 프로젝트는 2005년 1월에 시작되었다. 그 특성을 반영하여 분석기법을 정하였던 바, D-Grid를 그 특성에 따라 그룹을 구성한 뒤에 결과를 매트릭스로 제시하고 이론적 모형에서 제시하였던 개발정책의 순서와의 일치성을 파악하였다. D-Grid 1은 과학자를 대상으로 컴퓨터 과학과 과학 컴퓨팅 커뮤니티의 얼리어돕터(early adopters)에 의해 설계 계발된 IT서비스이다. 이러한 서비스 인프라는 주로 고에너지물리, 천체물리학, 대체 에너지, 의약과 생명공학, 지구과학(일례 기후), 엔지니어링 사이언스, 과학도서관의 일명 커뮤니티그리드에 의해 검토 사용되고 있는 중이다. D-Grid 2는 과학자, 산업계, 비즈니스를 대상으로 하는 IT서비스이다. 주로 건설산업, 금융, 항공우주와 자동차, 기업정보와 자원계획시스템, 지리적 데이터, 일반적인 IT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한다. 특징을 보자면, 독일 e-Science개발정책은 그리드 컴퓨팅과 지식경영을 전략적으로 추진하되, 과학과 산업분야 간의 내외 경계를 뛰어넘어 추진되고 있다. 추진 초기에는 그리드 컴퓨팅정책에 집중하였고, 점차적으로 지식경영으로 확대한다는 점이다. 다만, 이-러닝은 아직까지 부차적인 입장이다. 대체적으로 독일 e-Science이니셔티브는 전략적인 개발대상이기 때문에 정책우선순위가 뚜렷한 편이며, BMBF도 전략적 과업으로 동감하고 있다. 더불어서 과학과 산업 간의 협력기반 생성을 통해 국제경쟁력까지 시도하는 특징 또한 나타난다. 시사점은 e-Science를 적용하기 이전에 공간적인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더불어서 현재와 미래간의 갈등구조를 지니고 있는 e-Science의 잠재력 파악을 우선한 뒤, 개발정책을 실시하는 것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The e-Science is emerged on a new R&D paradigm and is concerned about global collaboration in key areas of science including the next generation of infrastructure that will enable it. In particular, the infrastructur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part of e-science. It is generally referred to as the Grid that shares e-infrastructure to display data. Grid Computing Technology enables to share all resources(computing power, data storage and relevant information) on a global scale and is also governed by e-Science econom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what is e-Science, and how to develop the policy associated with it consequently. We also focus on the situations that is brought about public consensus and a dilemma on developing policies for e-Science. Additionally, we attemp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German policies on e-Science that shows the excellent evidence of theories and practices in science and industry policies in German. That is the reason why we choose and analyze the cases of e-Science Initiatives in German. It provides us a lot lessons because German policies are based on the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of widely distributed science and industrial parts, and are guided by BMBF systematically. By a research model in this study, it provides the clue of starting point developing a policy of e-Science. Since Government is not able to deal with all the system, such as e-Infra, Grid Computing, and e-Science economy which are necessary for alpha(humanities, arts, language etc), beta(mathematics, chemistry, physics, Astrology, Medicine etc), gamma(Society/behavior science, economy and law etc), the developing policies of e-Science needs to apply to a strategic approach after identifying the situations such as a dot(e-Society), a linear(X, Y, Z), an aspect(e-Science economy, e-Infra, Grid Computing), a space(Basic, Usage, Application). As the above view, e-Science policy needs to focus on the target area. After that, it is recommended to move to Grid Computing project, developing e-Infra step by step. Again, e-Science Policy moves to develop CDI-P type(Customer Driven Innovation Pull): e-Science economy through Grid Computing, T-P type(Tech Push): e-Infra for Grid Computing. Meanwhiles, German scientists and scientific organizations in 2003 jointly published a strategic paper which examined the status and consequences of grid technology on scientific research in Germany and recommended a long-term strategic grid research and development initiative. This resulted in the German D-Grid Initiative founded by the German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BMBF) in March 2004, together with a call for proposals in the areas of Grid Computing, e-Learning, and Knowledge Management. The first D-Grid projects started on September 1, 2005. D-Grid 1: IT services for scientists, designed and developed by the ‘early adopters’ of the computer science and scientific computing communities. D-Grid 2: IT services for scientists, industry, and business. Accordingly, though Germany e-Science Initiatives strategically drive up Grid Computing and Knowledge Management, it has a point beyond the boundary between science and industry. It is characterized that the initial stage begins with Grid Computing policy, transfers to Knowledge Management thereafter. E-Learning is placed on the optional position. Normally, e-Science is considered as a strategic goal so the priority of it is relatively clear. BMBF also clear states “The German e-Science Initiative is a strategic task”. A another is to try up international competition through a peculiar collaboration-based formation between science and industry. In this paper, we try to analyse the German e-Science Initiatives in the context of the e-Science eco-system. German e-science projects are called “D-Grid by German scientists and the BMBF. As a method, the on-going Grid computing projects in German are grouped in terms of the D-Grid characteristics and reported in a matrix form as a resul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show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an inherent characteristics of e-science before adoption of it. It also tries to identify the potential impacts on e-science and provides clues how to deal with exposed uncertainty when a government wants to settle the public policy on e-science.

      • KCI등재

        e-Science for High Energy Physics in Taiwan and Asia

        Simon C. Lin,Eric Yen 한국물리학회 2009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55 No.5

        The newly arisen e-Science or data-intensive science is capable of unifying theory, experiment and simulation by using data exploration tools to link the network of scientists with their dataset and results analyzed by using a shared computing infrastructure. High energy physics applications are generally regarded as a driver to develop this global e-Science infrastructure. Challenges of e-Science development in Asia include the divergence of networking infrastructure, production e-infrastructure operation, close interaction with the user community, and the collaboration culture. As the global e-Science infrastructure is being established quickly, we have to take advantage of the progress by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regional cooperation in the Asia Pacific region. The work to promote collaboration in e-Science and scientific research between Europe and Asia and within Asia itself will be presented. By leveraging the existing application communities and infrastructure created by WLCG/EGEE (Worldwide Large Hadron Collider Computing Grid project and Enabling Grid for E-sciencE project) and EUAsiaGrid projects, many regional collaborations are participating with real benefits such as biomedical, disaster mitigation, e-social sciences, computational chemistry, high energy physics and digital archives, etc. The newly arisen e-Science or data-intensive science is capable of unifying theory, experiment and simulation by using data exploration tools to link the network of scientists with their dataset and results analyzed by using a shared computing infrastructure. High energy physics applications are generally regarded as a driver to develop this global e-Science infrastructure. Challenges of e-Science development in Asia include the divergence of networking infrastructure, production e-infrastructure operation, close interaction with the user community, and the collaboration culture. As the global e-Science infrastructure is being established quickly, we have to take advantage of the progress by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regional cooperation in the Asia Pacific region. The work to promote collaboration in e-Science and scientific research between Europe and Asia and within Asia itself will be presented. By leveraging the existing application communities and infrastructure created by WLCG/EGEE (Worldwide Large Hadron Collider Computing Grid project and Enabling Grid for E-sciencE project) and EUAsiaGrid projects, many regional collaborations are participating with real benefits such as biomedical, disaster mitigation, e-social sciences, computational chemistry, high energy physics and digital archives, etc.

      • KCI등재

        유휴 멀티 e-Science 그리드 자원 공유를 위한 통합 자원 접근 제어

        정임영(Im Y. Jung),정은진(Eunjin Jung),염헌영(Heon Y. Yeom)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9·10

        본 논문은 e-Science 그리드 자원 공유를 위한 가볍고 솔기없는 통합 자원 접근제어를 제안한다. 그리드 컴퓨팅에 기반한 e-Science는 고가의 과학 실험 장비를 포함하는 그리드 자원을 원격조정하고 이로부터 얻은 데이타를 고성능 컴퓨터를 통해 처리하는 총체적인 도메인을 구성하여 과학자들의 연구를 돕는다. 그런데, 많은 사용자들이 그리드 자원을 이용할 때, 사용자가 소속된 e-Science 그리드에서 자원이 부족할 경우, 원하는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기다리거나 자원이용을 포기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적절한 보상 하에 타 그리드의 유휴 자원을 이용할 수 있으면 자원제공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런데, e-Science 그리드는 개개 그리드 단위로 특정 과학응용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사용편의를 위해, 가상 조직(Virtual Organization-VO)에 특화된 자원 접근정책이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자원의 공유가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다. 본 논문은 e-Science 그리드 사용자가 복수 개 타 그리드의 공유자원을 이용할 때, 전체 그리드 차원의 자원접근정책 통합을 위한 선협정(Service Level Agreement-SLA)이 필요없어 가볍고, 사용자가 소속 그리드의 자원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과정으로 추가적인 등록이 필요하지 않아 솔기없는 새로운 통합 자원 접근 제어를 제안한다. This paper proposes a light-weight, seamless integrated access control for global e-Science resource sharing. E-Science, based on Grid Computing, was designed to help scientists to remotely control and process the Grid resources such as high-end equipments and remote machines. As many researchers engage in the e-Science Grids, the researchers in a grid often have to wait for or give up use of the Grid resources, even when there are idle resources in other Grids. In this case, provided that proper compensation is given, Grid resource sharing is helpful both for the researchers and the Grids which provide their resources. But, sharing Grid resources globally is not simple, as each e-Science Grid is especially designed for resource sharing in its Virtual Organization(VO) and already has its unique access control policy for its resources. This paper proposes a new integrated access control for e-Science Grid resource sharing. The access control is light-weight without any priori service level agreement(SLA)s among the Grids which share their resources and seamless because the users can use the resources shared as the ones belonging to their Grids without their additional registration to the other Grids.

      • KCI등재

        유휴 멀티 e-Science 그리드 자원 공유를 위한 통합 자원 접근 제어

        정임영,정은진,염헌영,Jung, Im-Y.,Jung, Eun-Jin,Yeom, Heon-Y.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9

        본 논문은 e-Science 그리드 자원 공유를 위한 가볍고 솔기없는 통합 자원 접근제어를 제안한다. 그리드 컴퓨팅에 기반한 e-Science는 고가의 과학 실험 장비를 포함하는 그리드 자원을 원격조정하고 이로부터 얻은 데이타를 고성능 컴퓨터를 통해 처리하는 총체적인 도메인을 구성하여 과학자들의 연구를 돕는다. 그런데, 많은 사용자들이 그리드 자원을 이용할 때, 사용자가 소속된 e-Science 그리드에서 자원이 부족할 경우, 원하는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기다리거나 자원이용을 포기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적절한 보상 하에 타 그리드의 유휴 자원을 이용할 수 있으면 자원제공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런데, e-Science 그리드는 개개 그리드 단위로 특정 과학응용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사용편의를 위해, 가상 조직(Virtual Organization-VO)에 특화된 자원 접근정책이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자원의 공유가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다. 본 논문은 e-Science 그리드 사용자가 복수 개 타 그리드의 공유자원을 이용할 때, 전체 그리드 차원의 자원접근정책 통합을 위한 선협정(Service Level Agreement-SLA)이 필요 없어 가볍고, 사용자가 소속 그리드의 자원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과정으로 추가적인 등록이 필요하지 않아 솔기없는 새로운 통합 자원 접근 제어를 제안한다. This paper proposes a light-weight, seamless integrated access control for global e-Science resource sharing. E-Science, based on Grid Computing, was designed to help scientists to remotely control and process the Grid resources such as high-end equipments and remote machines. As many researchers engage in the e-Science Grids, the researchers in a grid often have to wait for or give up use of the Grid resources, even when there are idle resources in other Grids. In this case, provided that proper compensation is given, Grid resource sharing is helpful both for the researchers and the Grids which provide their resources. But, sharing Grid resources globally is not simple, as each e-Science Grid is especially designed for resource sharing in its Virtual Organization(VO) and already has its unique access control policy for its resources. This paper proposes a new integrated access control for e-Science Grid resource sharing. The access control is light-weight without any priori service level agreement(SLA)s among the Grids which share their resources and seamless because the users can use the resources shared as the ones belonging to their Grids without their additional registration to the other Grids.

      • KCI등재

        과학고 R&E(Research & Education)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과 의미

        최호성(Ho Seong Choe),태진미(Jin Mi Ta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3

        과학 영재교육에서 학생들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탐구 활동은 매우 중요하다. 2003년 한국과학영재학교(KSA)의 독특한 사사교육 모형으로 도입된 R&E(Research & Education) 프로그램은 과학영재학교는 물론이고 전국의 과학고등학교에서도 핵심적인 영재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는 고교 시절의 자율탐구활동인 R&E 참여 경험이 대학 이상의 탐구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과학고에서 R&E를 경험하고 현재 대학생이 된 졸업생 39명을 대상으로 개인별 심층면담을 통해 참여 경험과 의미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졸업생들은 과학고에서의 R&E 참여 경험이 실제로 과학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지적ㆍ정의적ㆍ기능적으로 상당한 도움을 주었다고 인식하였다. 다만 운영과정에서의 비효율성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나 영재학교와 비교하였을 때 사전 이해를 증진하는 안내 활동이나 예산 및 설비 등이 부족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국 과학고들 간에 R&E 운영의 체계성이나 전문성, 지역대학과의 인적ㆍ물적 교류와 협력 등에서 상당한 편차가 있음이 드러났다. 이에 향후 지역의 우수 과학 인재를 발굴ㆍ육성하는 요람으로서의 과학고에서 R&E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지역간ㆍ학교간 특성을 반영한 중장기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It is very important that gifted students in science hav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self-directed and creative research activities in high school. R&E(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 as a unique mentorship model of KSA(Korea Science Academy) from 2003 has been developed as one of the most powerful programs in science-gifted high school and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 as well.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 R&E program as a self-directed research activity has impacted on the research process of the college students having the experiences with the R&E program during their high school life. For this study,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39 college students and identified their experiences, benefits, and meanings in the higher level of research activities after high school. Participants recognize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experiences with R&E programs in their high schools in many ways such as cognitive, affective, and technical aspects of their own research at the college. However, some of the interviewee from the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 responded that R&E program had a little bit ineffective due to insufficient orientation of it and less budget-supports. This research, in addition, identified some deficiencies in operation systems and the professional managements of R&E program in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especially. Based on results of in-depth interview, this study recommends the mid and long term support plan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igh school and the local conditions are needed to develop R&E programs and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s on doing research in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edite self-directed and creative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recognized as one of the core foundations of science and for nurturing future scientist.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R&E Activities and Mathematics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신동선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1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cience and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 activities in mathematics and science. In addi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R&E activity characteristics and mathematics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was stud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between subjects. There was a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sci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 activity area, and the experience of R&E activity was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academic achievement of related subjects. Depending on the area of R&E activity, mathematical and scientific academic achievement was found to be two factors: mathematical logic and natural understanding. Natural understanding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physics, and life sciences, and mathematical logic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chemistry and earth science subjects. In particular, mathematical logic ability was concentrated in excellent physics class students, and natural understanding ability was concentrated in excellent life science class students.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 & E activity area greatly influenc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and science, it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selection and operation of the R & E activity area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이러닝 수업에서의 한국 중학생 과학영역 성취정서 질문지(e-AEQ-KMS) 개발과 타당화

        전지영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5

        In a sense that achievement emotion is directly associated with achievement activity of students and its result, drastic changes in educational environment such as expansion of e-learning due to COVID-19 may have a large impact on the achievement emotion of students inevitably. However, studies on the foregoing still remain insufficient, and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capable of making a quantitative measurement on the achievement emotion of students under the environment of e-learning may become the basis of relevant studies, so this study developed the e-learning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Korean Middle school Science(e-AEQ-KMS) and verified its validity. e-AEQ-KMS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ased on th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Korean Middle school Science (AEQ-KMS) and b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science class. With 226 questions in total,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to measure 9 kinds of achievement emotion such as enjoyment, hope, pride, relief, anger, anxiety, hopelessness, shame, and boredom under 3 academic situations of class situation, learning situation and testing situ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e way that it set out a framework for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quantitatively on the achievement emotion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 science for e-learning classes. 성취 정서가 학생들의 성취 활동 및 결과와 직접으로 연관된 정서 라는 점에서, 코로나 19로 인한 이러닝 수업의 확대와 같은 급격한 교육환경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학생들의 성취 정서에 많은 영향을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며, 이러닝 수업환경에서 학생들의 성취 정서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질문 지의 개발은 관련 연구의 바탕이 될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수업에서의 한국 중학생 과학영역 성취 정서 질문지(e-AEQ-KMS)를 타당화 과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e-AEQ-KMS는 한국 중학생의 과학영역 성취 정서 질문지(AEQ-KMS)을 바탕으로 이러닝 과학 수업의 특징을 반영하여 개발되었다. 수업상황, 학습상 황, 시험상황 등의 3가지 학업 상황에서 즐거움, 희망, 자부심, 안도감, 화, 불안, 지루함, 절망감, 수치심 등의 9가지 성취 정서를 측정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총 226문항이다. 내적, 외적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질문지를 구성하는 각 문항은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4가지 구성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FA)결과, 성취 정서가 정의적, 인지적, 동기적, 생리적이라고 하는 4개의 구성요인으로 이루어 졌다고 가정한 모형이 그렇지 않다고 가정한 모형보다 더 타당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성취 정서 사이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성취 정서가 잘 변별됨을 확인하였고, 3가지 학업 상황 및 9가지 성취 정서의 잠재적 관계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CFA)결과, 질문지에 반영된 모형이 가장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통제-가치평가, 학습 전략, 성취목표, 과학성적을 준거 변인으로 한 외적 타당도 검증 결과, 모든 준거 변인에 대하여 선행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충분한 외적 타당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러닝 수업에서 한국 중학생들의 과학영역 성취 정서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는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e-AIRS : e-Science 인프라 기반의 항공우주 공력통합연구 환경구축

        김진호(Jin-Ho Kim),이준석(Junsok Yi),고순홈(Soon-Heum Ko),안재완(Jae Wan Ahn),김종암(Chongam Kim),김윤희(Yoonhee Kim),조금원(Kum Won Cho) 한국항공우주학회 2008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6 No.5

        e-AIRS는 e-Aerospace Integrated Research System의 약어로, e-Science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항공우주 통합연구 환경을 말한다. 이러한 항공우주 통합연구 환경구축을 위한 첫 단계로, 공력분야의 통합연구를 위한 환경을 구축하였으며, 현재 e-AIRS 시스템을 통하여, 수치적 및 실험적 연구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e-AIRS 웹 포털을 통하여 수치해석 연구의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풍동실험의 요청 및 수치해석결과와 실험결과의 비교 연구, 그리고 협업 시스템을 이용한 연구자간의 협력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e-AIRS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 및 활용에 대해 설명한다. e-AIRS, an abbreviation of 'e-Aerospace Integrated Research System', is a virtual organization designed to support the aerospace engineering processes in the e-Science environment. As the first step toward a virtual aerospace engineering organization, the e-AIRS intends to give a full support to aerodynamic research processes. Currently, the e-AIRS can handle both the computational and experimental aerodynamic researches on the e-Science infrastructure. In detail, users can conduct the full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research processes, request wind tunnel experiments, perform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omputational and experimental resultants and finally collaborate with other researchers using the web portal. The current paper will describe those functions and the internal architecture of the e-AIRS system.

      • KCI등재

        과학탐구활동을 위한 천문 관측 자료의 실시간 전송 및 영상 구현 실험 방법 개발

        김순욱 한국지구과학회 2012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3 No.2

        Previous Earth Science textbooks have mostly lacked the latest astronomical phenomena frequently being reported in mass media such as popular science magazines. One of the main directions in the revision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is to actively include those phenomena. Furthermore, despite a close link between astronomy and physics, the concept of modern physics has not been actively introduced in Earth Science textbooks and at the same time the linkage of physics to astronomy has rarely been studies in physics textbooks. Therefore, the concept of integration among different fields in science is emphasized in the new National Curriculum. Transient phenomena in the high energy astrophysical objects are examples that reflect such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ransferring a real-time data and making imaging of astronomical observations using e-Science. As a first step, we performed the first experiment for a large data transfer of astronomical observ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using KOREN, a National Research and Education Test Network. We introduce actively on-going fields of e-Science in observational activities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and their close interrelationship with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and public outreach activities. We discuss our experiment in the scientific and educational aspects to the primitive e-Science activity in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and, in turn, provide a prospective view for its application to the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and public outreach activities in the upcoming commercial Gbps-level internet environments. 종래의 지구과학 교과서에서는 대중 과학잡지를 비롯한 각종 언론 매체에서 자주 다루는 최신 천문 현상들에 대한 내용이 매우 부실하였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내용들을 적극 수용하자는 것이 주요 개정 방향 중 하나이다. 추가로, 천문학과 물리학의 깊은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지구과학 교과에서는 현대 물리학의 개념, 물리 교과에서는 천문학과의 연관성에 대한 내용이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의 융합 개념을 강조하고 있다. 위의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하는 분야들 중 하나로서 고에너지 천체의 격변광 현상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e-Science를 이용한 천체 관측의 실시간 자료 전송 및 영상화를 소개하였다. 그 첫 단계의 실험으로서 우리는 국가 연구 교육 시험망의 하나인 KOREN을 이용한 국내 최초의 한·일간 천문 관측 자료의 대용량 자료 전송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관측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세계 각국의 e-Science 분야들을 소개하고, 과학탐구활동 및 과학 대중화 활동과 어떻게 연결되어 진행되는지 소개하였다. 아직 걸음마 단계인 국내 천문 분야의 e-Science에 있어서 우리의 실험이 가지는 과학적 및 교육적 의미를 짚어보고, 머지않아 상용화될 Gbps급 인터넷 환경에 있어서 이와 같은 실험의 과학탐구활동 및 과학 대중화 활동에 있어서의 활용을 전망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