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십자가 장신구의 대중화를 위한 상품화 가능성 연구

        정은현(Eun Hyun Ch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1

        십자 문양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선이 교차하는 도형으로서 인류가 사용한 문양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이며, 많은 민족들이 수 천년 전부터 십자가를 우주관과 세계관, 인생관을 표출하는 상징물로, 또한 자기의 신앙과 종교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십자가 형태의 장신구는 관련 종교의 신자들을 중심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고 비기독교인들에게 널리 일반화되지 못한 것은 아마도 십자가는 기독교인들의 신앙의 상징으로 일반인들에게 깊이 인식되어져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십자 문양이 고대부터 초종교적 차원에서 사용되어져 왔던 만큼 특정 종교의 전유물이 아니라 인간 본연의 내재적 특정 의미로 다가가 형태를 새롭게 구성하고 다양화 한다면 일반인에게도 자기의 개성과 자아를 표출하는 장신구로 대중화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가능성 모색을 위하여 십자 문양에 대한 인식, 십자가 장신구의 디자인 속성 및 구매 의사 등에 대한 일반인들의 의식 조사를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 째, 소유하고 있는 십자가 장신구로는 목걸이가 가장 많은 비율을 보였으며, 소유한 십자가 장신구의 만족도는 남·여, 연령, 직업, 종교에 무관하게 모두 긍정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십자가 장신구의 구입 의지는 전반적으로 디자인으로 인한 구입 망설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십자 문양의 기원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모르는 경향이 많았으며, 십자 문양에 대한 친숙도는 긍정적인 경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십자 문양의 종류별 선호도는 기본적 십자 문양이 다른 변형된 십자 문양에 비하여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십자가 장신구의 디자인 속성에 대한 선호도는 현대적 디자인, 심플한 디자인, 귀여운 디자인, 우아한 디자인, 앤틱 디자인 순으로 나타났다. 넷 째, 십자가 장신구의 구매 의사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종교와 상관없이 디자인이 좋다면 구입할 의사가 있다는 긍정적인 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십자가 장신구의 디자인 개발 필요성은 전체적으로 필요하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일반인들에게 십자 문양의 기원에 대한 인식은 비록 낮지만 십자 문양에 대한 친숙도는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십자가 장신구의 디자인 개발은 기본적인 형태를 중심으로 특정 종교의 과도한 상징성에서 탈피하여 현대의 문화와 효과적으로 결합되어 표현된다면 종교인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자기의 개성과 자아를 표출하는 장신구로 대중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보았으며, 일반인들의 선호도가 높은 목걸이를 중심으로 기본적인 형태에 충실한 현대적 십자가 장신구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cross as the symbol of Christianity, represents suffering, sacrifice, love, and hope and takes a close place in lives of christians. However crosses created before the existence of Christianity had various meanings such as eternity, future, unification, life and so on. So it is assumed that cross formed jewelry can be desirable to non-christians like the non-religious aspects of Christmas have been enjoyed by non-christians. The form of the cross has been used not just as an exclusively christian symbol, but also as a universal symbol since before the existence of christianity. Therefore cross form can appeal to the general public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elf-consciousness regardless of their religious affiliation as long as the design is visually attractive.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f cross jewelry in order to increase it`s popularity, four study categories were addressed by distinctive statistical census of popularity: a survey of the consciousness on the possession of cross jewelry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m, recognition of the origins of the cross form and the degree of familiarity, recognition of attribute of design, and attribute of purchasing cross jewelry. The results from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ly possessed type of cross formed jewelry is the necklace, followed by earrings and then brooch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possessed cross jewelry shows a positive tendency irrelevant of gender, age occupation or religion, contrary to expectation which is inclined exclusive in various religions. The overall design was the cause for hesitation to willingly purchase cross jewelry. Christians tended to hesitate to purchase cross jewelery because of poor design whereas in the case of non-christians hesitation to purchase was caused by religious differences and indifference. Second, in order to popularize cross jewelry, the public should be aware that the cross is not the exclusive to one religion but there is little public knowledge of the prehistoric origins of the cross. The cross form was widely observed and accepted by ancient peoples of nearly all cultures before the 2000 year spread of christianity and rapid development of mass communication and christian holidays. Third, of the various form of the cross, survey respondents even non-christians preferred the basic Latin cross rather than other cross forms, and the preferred design style is modern, followed by simple, cute, elegant, and last antique style. Fourth, the results of the survey suggest that design is the main factor to purchase.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s good desig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willingness to purchase cross jewelry regardless of age gender, occupation, or religion.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f cross jewelry is public opinion in general regardless of gender age occupation and religion. It shows that people are not satisfied with the current design of cross jewelry.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improve cross design to popularize cross formed jewelry. In conclusion, even though people don`t know much about the origin of crosses, they are familiar with cross forms and their opinion of cross jewelry is relatively high. If the development of cross forms is free from specific religious symbol and effectively incorporating modern culture, it will allow a larger percentage of the general public to show their personality and self consciousness and encourage future jewelry trends, and it shows the development of modern design focused on necklace with basic cross form is necessary above all.

      • KCI등재

        헨리 스타이너의 크로스 컬츄럴 그래픽 디자인에 관한 연구

        윤민희(Min Hie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세계화와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달로 국제적 교류가 활성화되면서 국가나 민족 사이의 경계 및 차별성은 희미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회 현상은 예술과 일상,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등의 경계허물기로 나타날 뿐만 아니라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 학문과 학문 간의 벽을 허물고 국경 없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오늘날 문화의 이미지도 국경을 초월하여 문화와 문화 간의 융합으로 국경 없는 세계화된 문화(global culture)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추세 속에서 디자인 영역에서도 세계인이 상호 교류할 수 있는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cross-cultural design)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헨리 스타이너의 그래픽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그래픽디자인 영역의 보편적인 시각언어로써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 표현 특성을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의 시각에서 연구한다.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분야의 선두주자인 헨리 스타이너(Henry Steiner)는 자신이 집필한 「Cross-cultural design: communicating in the global marketplace」(1995) 에서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의 양면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 즉 다양한 문화적 특성이 공존하는 퓨전적 디자인을 제안하고 있다. 포괄적인 의미에서 그래픽 디자인은 아이디어나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묘사한 시각 정보디자인(visual communication design)이다. 이와 같이 그래픽 디자인은 많은 사람들이 문화권이나 국적을 초월하여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시각언어(visual language)이기 때문에 세계인이 공유하는 디자인의 문화적 보편성이 중요하다.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 전 세계적 디자인의 표현이 미국화·서구화 경향을 띄고 있기 때문에 동양인의 시각에서 바라보면 동양의 문화적 정체성의 상실을 가져올 수 있는 우려를 가지고 있다. 특히 디자인의 표현이나 교육에서 문화의 보편성과 다양성의 양면적 가치 속에서 세계인인 공유하는 아시아,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헨리 스타이너의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 철학과 작품은 세계적 보편성의 측면과 함께 문화적 정체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범위는 현대 그래픽 디자인과 문화적 다양성과 문화적 정체성, 헨리 스타이너의 현대 그래픽디자인 등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세부적으로 현대 디자인의 문화적 정체성과 특수성 표현을 문화의 특성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함께 디자인 영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헨리 스타이너의 현대 그래픽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그의 약력 및 작품세계, 헨리 스타이너의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구체적으로 연구·분석한다. 21세기의 다문화 사회에서 세계인이 소통하는 디자인을 하기 위한 대표적인 디자인 방법론의 하나가 크로스 컬츄럴 접근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단순히 디자인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문화 현상 전반에 걸친 학제 간 연구를 바탕으로 행해져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과 같이 급격한 서구화에 의하여 문화적 정체성의 표현과 서구화라는 양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크로스 컬츄럴 디자인은 한국의 디자인 교육과 디자이너들에게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한다. Today`s society tends to be against the strict classification and has a mutual exchange relationship. This phenomenon, exposed through destroying the dichotomy division, such as spirit & material, rationality & sensibility, art & life, high & low and Oriental & Western cultu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Henry Steiner`s cross-cultural graphic design.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graphic design as a universal visual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Henry Steiner, a leader of cross-cultural design field, he wrote “Cross-cultural design: communicating in the global marketplace” (1995) on both sides of the cultural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as a plan to solve problems cross-cultural design. Visual language can deliver a message instantly to anyone, however, the meaning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each person`s viewpoint. Therefore, Henry Steiner`s visual language gives the strongest message that anyone can imagine. As a universal visual language, it also goes beyond the differentiated language recognition of cultural areas and impresses people as an excellent advertising copy does. However, because of Americanization and Westernization since the mid-20th century, from the Asian perspectives, this tendency can bring a loss of cultural identity. In this respect, Henry Steiner`s cross-cultural design philosoph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identity and universality. Scope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cope of the study of modern graphic design and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identity, Henry Steiner, the center of the modern graphic design shall be composed. Modern design in the expression of cultural identity and cultural specificity is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with design case studies. And also, we examine Henry Steiner`s biography and his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cross-cultural research and analysis. Henry Steiner`s design philosophy can influence the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and design work, the policy in Korea. Using this cross-cultural approach of the 21st century in multicultural societies, global citizens can communicate with a design methodology. This approach must be studied not only in design area, but also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based on phenomenon. In a situation, this cross-cultural design research is expected to bring important viewpoints for designers and design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A Study on the Fused-Innovation Method of Cross-cultural Design through analyzing the Guangdong-Hong Kong-Macao Greater Bay Area Design Activities

        Yang, Hai Qiong(양해경),Hong, Chan Seok(홍찬석)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3

        With the outbreak of COVID-19, international exchanges have become more frequent, and cross-cultural exchanges have also begun to become more frequent, prompting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cross-cultural features of design to become increasingly prominent. This article starts with this exploration of design trends and analyzes the design activities in the Guangdong-Hong Kong-Macao Greater Bay A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ign a theoretical system of innovation methods in the process of cross-cultural knowledge fusion of consistency modeling, similarity clustering, reorganization, and fusion innovation. Therefore, this thesis was able to study the components of innovative design methods. First, using design cases, cross-cultural knowledge fusion procedures and design trends, an analysis framework is designed. Secondly, under this framework, four design categories are studied: visual design, industrial design, fashion design, and space design. Finally, it is analyzed that innovative design has different degrees of development in regions, ecology, technology, times and human natur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look forward to enhancing consumers" personalized experience of the product.

      • 농산물의 우량품종 개발을 위한 암-수교배(이면교배) 블록계획

        최규정(Choi Kuey-Chung)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03 지역개발연구 Vol.8 No.2

        Diallel cross designs are commonly used in plant and animal breeding to investigate the genetic properties and potentials of inbred lines. These designs consist of all possible crosses or a subset of all crosses among a set of inbred lines. Most commonly, diallel cross experiments have been evaluated using completely randomized designs or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s. In most cases, however, the number of crosses is too large, leading to an overall inefficient experiment. For this reason, we have used incomplete block designs in diallel cross designs. Combinatoric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nstructing incomplete block designs in diallel cross. Thus, in this paper, we give a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plete block diallel cross designs and combinatorics.

      • KCI등재

        십자가 장신구의 대중화를 위한 십자가의 시대적 변천에 대한 고찰과 디자인적 접근

        정은현(Chung, eun-hyun),추원교(Choo, won-gyo)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8 조형디자인연구 Vol.11 No.2

        십자문양은 인류가 사용한 상징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로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선이 교차하는 도형이다. 많은 민족과 종족들은 수천년 전부터 나름의 우주관과 세계관, 인생관을 표출하고 또한 자기의 신앙과 종교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되어 왔다.본 연구는 십자가 문양이 종교적인 상징으로만 간주되지 않고 비종교인들에게까지도 폭 넓게 다 가 갈 수 있는 장신구의 소재로서, 십자가 장신구를 중심으로 시대적인 형태 변화와 현재 브랜드 디자인을 조사하여 십자가 장신구가 대중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론은, 첫째, 십자문양은 기원전 3,000년경부터 태양, 별, 완전함, 영원한 생명력, 방향성 제시 등의 종교적 영역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십자가의 기본 형태는 시대별과 지역별 해당 종교와 문화에 의해 다양한 의미가 부가되어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시기보다는 지역별로 그 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결합되어 독특한 형태적 특성을나타낸다. 셋째, 대표적 장신구 브랜드의 십자가 장신구는 단순하고 심플한 형태를 중심으로 재료에 따른 색의 변화와 보석을 중심으로 하는 장식의 변화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연령별 고객층에 따라 디자인의 형태를 다르게 표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십자가 문양은 기독교의 전유물이 아니라 고대부터 초종교적 차원에서 사용되어졌던 문양이므로 현대인들에게 종교적 의미를 넘어 인간 본연의 내재적 특정 의미로접근하여 종교적 전통에 얽매이지 않고 각 지역의 문화 특성에 따라 형태를 새롭게 구성하고 다양화 한다면 일반인에게도 자기의 개성과 자아를 표출하는 장신구로서 새롭게 십자가 주얼리 트랜드를 형성하고 대중화 될 수 있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The cross is one of the oldest symbols used by mankind. The form resulting from the intersection of two or more lines has been used to represent cosmological, terrestrial, andorganic viewpoints as well as regional and spiritual meanings.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pularity of jewelry (primarily pendants) incorporating the cross form using a chronological approach to examine early designs and their specific symbolic and religious meanings up to the broad appeal of modern brand name designs. In summary, the result of the study makes use of three points. First, the form of the cross appeared around 3000 B.C. and is assumed to epresent a symbol for the sun, star, wholeness, and direction in the religious realm. Second, over time, basic cross forms have evolved into a multitude of designs and meanings following regional and cultural additions to the forms. Third, crosses used in jewelry by modern brand name designers consist mainly of minimalist forms embellished with various materials and gem stones in a variety of colors marketed to specific age demographics. In conclusion, the form of the cross has been used not just as an exclusively christian symbol, but also as a universal symbol since before the existence of christianity. Therefore cross form can appeal to the general public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elf-consciousness regardless of their religious affiliation as long as the design is visually attractive.

      • KCI등재

        십자가 장신구의 대중화를 위한 십자가의 시대적 변천에 대한 고찰과 디자인적 접근

        정은현(Chung, eun-hyun),추원교(Choo, won-gyo)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6 조형디자인연구 Vol.9 No.2

        십자문양은 인류가 사용한 상징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로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선이 교차하는 도형이다. 많은 민족과 종족들은 수천년 전부터 나름의 우주관과 세계관, 인생관을 표출하고 또한 자기의 신앙과 종교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십자가 문양이 종교적인 상징으로만 간주되지 않고 비종교인들에게까지도 폭 넓게 다가 갈 수 있는 장신구의 소재로서, 십자가 장신구를 중심으로 시대적인 형태 변화와 현재 브랜드 디자인을 조사하여 십자가 장신구가 대중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론은, 첫째, 십자문양은 기원전 3,000년경부터 태양, 별, 완전함, 영원한 생명력, 방향성 제시 등의 종교적 영역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십자가의 기본 형태는 시대별과 지역별 해당 종교와 문화에 의해 다양한 의미가 부가되어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시기보다는 지역별로 그 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결합되어 독특한 형태적 특성을 나타낸다. 셋째, 대표적 장신구 브랜드의 십자가 장신구는 단순하고 심플한 형태를 중심으로 재료에 따른 색의 변화와 보석을 중심으로 하는 장식의 변화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연령별 고객층에 따라 디자인의 형태를 다르게 표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십자가 문양은 기독교의 전유물이 아니라 고대부터 초종교적 차원에서 사용되어졌던 문양이므로 현대인들에게 종교적 의미를 넘어 인간 본연의 내재적 특정 의미로 접근하여 종교적 전통에 얽매이지 않고 각 지역의 문화 특성에 따라 형태를 새롭게 구성하고 다양화 한다면 일반인에게도 자기의 개성과 자아를 표출하는 장신구로서 새롭게 십자가 주얼리 트랜드를 형성하고 대중화 될 수 있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The cross is one of the oldest symbols used by mankind. The form resulting from the intersection of two or more lines has been used to represent cosmological, terrestrial, and organic viewpoints as well as regional and spiritual meanings.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pularity of jewelry (primarily pendants) incorporating the cross form using a chronological approach to examine early designs and their specific symbolic and religious meanings up to the broad appeal of modern brand name designs. In summary, the result of the study makes use of three points. First, the form of the cross appeared around 3000 B.C. and is assumed to represent a symbol for the sun, star, wholeness, and direction in the religious realm. Second, over time, basic cross forms have evolved into a multitude of designs and meanings following regional and cultural additions to the forms. Third, crosses used in jewelry by modern brand name designers consist mainly of minimalist forms embellished with various materials and gem stones in a variety of colors marketed to specific age demographics. In conclusion, the form of the cross has been used not just as an exclusively christian symbol, but also as a universal symbol since before the existence of christianity. Therefore cross form can appeal to the general public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elf-consciousness regardless of their religious affiliation as long as the design is visually attractive.

      • KCI등재

        십자가 심볼 디자인을 위한 데이터 모델 설계 및 연관규칙 분석

        박은영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9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2

        The cross which is widely used as a representative symbol of Christianity, is symbolically representing the success, atonement, and sacrifice and love regarding the sufferings and death of Jesus Christ for the salvation of mankind. Like this, the cross has been expressed into many forms with the symbolism and formativeness. However, there are not much internal data related to the cross. If there is the refined and defined data of the cross with diverse meanings and forms, it would be possible not only to underst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ross, but also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patterns of the time. This study designed a data model that could systematize and save the types of cross symbol expressed in the symbolic form, and also analyzed the attributes of association rule of the cross with the use of Apriori algorithm.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the production of more meaningful and symbolic cross symbols by conducting the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ross design and also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cross symbol design. 십자가는 그리스도교의 대표적인 상징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인류 구원을 위한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에 대한 승리, 속죄, 희생과 사랑 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십자가는 상징성과 조형성을 지니면서 여러 형태로 표현되어져 왔지만 십자가에 관한 내부 데이터는 부족한 실정이다. 다양한 의미와 형태를 갖는 십자가에 관한 정제되고 정의된 데이터가 존재한다면 십자가의 유형 및 특성을 파악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대적 패턴 변화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십자가를 상징화시켜 표현한 십자가 심볼의 유형을 체계화하여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Apriori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십자가 심볼의 속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십자가 디자인의 특성에 따른 분석이 가능하며 십자가 심볼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의미 있고 상징적인 십자가 심볼 제작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철도객차용 크로스 빔의 경량화 설계에 관한 연구

        장득열(Deuk-Yul Jang),전형용(Hyung-Yong Jeon) 한국기계가공학회 2017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16 No.5

        This report investigates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shape change of the circular hole for the lightweight design of the cross beam of a railway passenger car and studies the lightweight design. To design a lightweight cross beam with a circular hole, we selected the non-circular crossbeam as a basic model, examined the stress distribution and displacement by position and determined the location, shape, size and quantity of the hole for light weight.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hole on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and displacement.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set as the design parameters, and the stress value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each variable. By considering the stress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of each variable and selecting the design parameter with the narrowest scattering value of the stress at each position of the hollow cross beam with various hole positions and shapes, we studied a cross beam with a circle hole under identical load condition to have an equal stress distribution to that of a non-circular cross beam.

      • 차량 B.I.W 강성과 경량화를 고려한 사이드 단면 최적설계 프로그램 개발

        유윤기(Yun Ki You),임홍재(Hong Jae Yim),김기창(Ki Chang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6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In the primary design step. an accurate and efficient design guide is important for design engineers. Otherwise design engineers have to go through trial and error for the desired design. In this paper, an integrated design program is presented. The presented design program named B-SOPT(Beam Section Optimization) provides an accurate and efficient design guide for the frame cross section of the vehicle side body structure. Therefore, using the B-SOPT, design engineers could find an optimum design of the pillar section without waste of time and energy in the primary design step. The B-SOPT is composed of vibration analysis, section property analysis and section optimization. Vibration analysis procedure is necessary to obtain target constraint(section property) for optimization. B.I.W vibration analysis model can be generated and joint stiffness also can be generated automatically by explicit formula derived using RSM (Response surface method) in the B-SOPT. For design engineers, B-SOPT is established for graphic user interface environment by visual C++. A design example is given to demonstrate the design procedure using the B-SOPT program.

      • 지식기반 자체조인트 단면 평가 데이터를 이용한 차체 다분야 구속 최적설계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

        이동호(Dong-Ho Lee),기원용(Won-yong Ki),허승진(Seung-Jin Heo),김정호(Jung-Ho Kim),이경원(Kyungwon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5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5 No.5

        To achieve effectiveness and optimized design for light weight vehicle body, many concept design methodologies have been studied. However, study using database would be not conducted yet.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a study on body structure multi-disciplinary optimum design process using knowledge-based body joint cross-section database. The database includes 42 competitive vehicles with 10 cross-sections. Using the database, cross section of body structure is selected for conceptual model construction. The target is reference model`s performance improvement. To select suitable cross section, what-if design method is applied. As a result, crashworthiness is about 15% and static/dynamic stiffness is 3.5% improved And also, body structure`s mass is 0.5% diminished. From this paper, it could be verified that cross-sectional performance affects body structure performance. Moreover, by evaluation of cross-section performance, fast variation of concept design would be cap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