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두진 기독교 시 연구 ― 시어를 통한 성 삼위일체를 중심으로 ―

        백승란 ( Baek Seung-ra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8

        박두진의 시세계를 초기, 중기, 후기로 삼분하여 살펴보면 초기에는 자연에 대한 시적 지향, 고향과 민족의 회복으로서의 자연, 기독교적 이상세계 등에 초점을 맞추었다. 중기에는 한국전쟁의 비극과 4ㆍ19 희생에 대한 가치와 사회악에 대한 준열한 비판의식을 제기했다. 후기에는 신의 섭리와 자연과 인간에 대한 사랑의 재발견에 집중했다. 그러나 초기, 중기, 후기를 구분할 것 없이 그의 시에는 기독교 사상 혹은 기독교적 감수성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시어가 함의하고 있는 성서적 모티브와 기독교적 상징에 의거하여 신성지향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기독교 시 논의에 일조하고자 한다. 기독교 사상의 핵심인 성 삼위일체가 박두진 기독교 시에서는 어떻게 형상화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본고에서 다룬 이미지는 `하늘`, `돌`, `비둘기`였으며 그것은 각각 절대자, 예수 그리스도, 그리고 성령으로 표상되었다. 박두진 시에 자주 등장하는 `하늘`은 고소상징으로서 절대자 혹은 초월적 존재를 표상한다. 박두진에게 절대자는 기독교 사상에 입각하여 하나님이다. 그의 절대자에 대한 외경은 단순한 찬미의 수준을 넘어서 절대자와 합일의 경지 혹은 성화의 단계를 갈망한다. 또한 박두진은 자신의 기독교 시에서 하늘과 하나님을 동일체로 인식하여 병렬적으로 문면에 직접 제시하기도 한다. 박두진은 수석시를 연작할 만큼 돌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많았다. 그의 기독교 시에서 `돌`은 성서적 이미지와 동일하게 예수 그리스도를 표상한다. 그의 시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인류구원을 위해 수난당하는 희생양의 모습으로 형상화되기도 하고 인간과는 구별된 성자 혹은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지도자의 모습으로 형상화되기도 한다. 성서적 모티브에서 새는 신령한 존재로 형상화된다. 박두진의 기독교 시에는 `비둘기`가 자주 등장하는데 이 역시 기독교적 상징에 의해 성령(holy spirit)을 상징한다. 그의 시에는 비둘기와 더불어 `꽃`과 `별`도 등장한다. 꽃과 별은 순수하고 순결한 영혼을 표상한다. 따라서 꽃과 별과 새는 신성지향으로서 동일성을 획득한다. 박두진 기독교 시의 의의는 자신의 신앙적 체험을 예언자적인 목소리로 관념화시켰다는 데 있다. 자연과 인간, 그리고 신은 그의 반세기 이상의 시세계에 있어서 커다란 화두이다. 박두진의 기독교 시는 이 세 가지 화두의 조화를 통해 절대자에 대한 경외와 사랑을 드러내고 있다. 본고가 박두진의 기독교 시 논의에 일조했으면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Doo-jin Park`s Christian poems with the poetic words focused on Christian symbols. The poetic words are heaven, stone, and dove for this. And they symbolize God, Jesus Christ, and the Holy Spirit. Heaven symbolizes holy place, transcendental power, Supreme Being, and incarnation of God according to high place orientation. Park`s heaven is God according to christianity in his poems. In fact, heaven and God are written in a line in his poems. His owe for God longs for not only love and praise for God but also mystic union with God. Park loved stone as the poetic materials. So he wrote many stone poems. Stone reveals various images. But stone represents Jesus Christ in his christian poems. Jesus Christ is described as the scapegoat who redeems men from vice and the saint or the leader who differs from men or stands against injustice. Therefore Jesus Christ becomes ideological and meaningful in his poems. A bird symbolizes mystical creature in the Bible. Especially a dove stands for the Holy Spirit in Park`s christian poems. And there are flowers and stars with doves in his poems. Flowers and stars represent pure and innocent spirit. Doves are also a symbol of the Holy Spirit. Therefore flowers, stars and doves are identical meaning as the symbol of sacredness. I think that Park`s christian poems are neither inflammatory and propaganda poems nor the poems which focus on spreading the gospel. Just Park ideated his religious experience with vatic tone in his poems. Nature, Human, and God are the important themes in Park`s poetic world for 60 years. The significance of Park`s christian poems is that the poems reveal owe and praise for God with three themes. I hope that this paper plays a role in the study of Park`s christian poems.

      • KCI등재

        Christian Symbolism in Joseph Conrad`s Victory

        ( Woong Jae Shin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3 현대영어영문학 Vol.57 No.2

        This paper argues that Conrad, though seemingly sceptical on Christianity, uses a complex network of religious symbols in Victory in order to present the victory of Christian love over Satanic forces. The symbolic structure of the novel is based on a struggle between two forces for the soul of the central character Axel Heyst: the force of the Christ and the Satanic force which are symbolically represented by Lena and Jones respectively. While Lena and Jones consistently represent the good and the evil respectively, Heyst is an ambiguous character, standing midway between the two or belonging to both of them in turn. And through the victory of Lena`s Christ-like virtues over Jones` evil powers, Heyst`s soul is redeemed in the end. The victory in Victory is ultimately that of human goodness over the evil forces in the world. This human goodness is represented by the self-sacrificing love of a human being for another, the supreme virtue in Christianity. In this novel, Conrad dramatically emphasizes the value of human goodness through his effective use of religious symbols. (Kwangwoon University)

      • KCI등재

        Christian Symbolism in Joseph Conrad’s Victory

        신웅재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3 현대영어영문학 Vol.57 No.2

        This paper argues that Conrad, though seemingly sceptical on Christianity, uses a complex network of religious symbols in Victory in order to present the victory of Christian love over Satanic forces. The symbolic structure of the novel is based on a struggle between two forces for the soul of the central character Axel Heyst: the force of the Christ and the Satanic force which are symbolically represented by Lena and Jones respectively. While Lena and Jones consistently represent the good and the evil respectively, Heyst is an ambiguous character, standing midway between the two or belonging to both of them in turn. And through the victory of Lena's Christ-like virtues over Jones' evil powers, Heyst's soul is redeemed in the end. The victory in Victory is ultimately that of human goodness over the evil forces in the world. This human goodness is represented by the self-sacrificing love of a human being for another, the supreme virtue in Christianity. In this novel, Conrad dramatically emphasizes the value of human goodness through his effective use of religious symbols.

      • KCI등재

        복합공간으로서의 교회 강단 디자인의 종교적 기능 실현을 위한 상징성 연구 - 백석대학교회 강단 디자인을 중심으로

        조애래 기독교학문연구회 2020 신앙과 학문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the worship space of church buildings expresses the Christian symbolism presented by the Bible for the purpose of serving as a place of worship while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The architecture of Baekseok University Presbyterian Church is used as a specific research objec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symbolism of the space function. The focus is on what symbolic meaning the design of the front wall of the pulpit has in relation to the essential functions of the church. It can be established that the form of the cleft of the wall of the pulpit has five Christian symbols. First, it reveals the weakness of mankind and the protection of God by symbolizing the cleft of the rock and safe places human being is hidden for protection by Him. Second, by symbolizing the place of a foreigner who is self-confident or goes astray, the believer makes himself realize that he is sinner and needs his salvation. Thirdly, it reminds us of God, who is a refuge, who is our savior. Fourthly, by symbolizing the miracle of splitting the rock and watering them in Rephidim, we realize that the Bible, the Word of God symbolized by the living water, keeps us alive. Fifthly, by symbolizing the torn curtain of the most holy place in the temple and salvation from sin, the believer is required to appreciate God's grace has saved the sinners and to realize that prayer is a privilege of believers. The wall design of Baekseok University Presbyterian Church reveals religious meanings by its symbolism and carries a rich Christian message that binds users to the community of faith. 본 논문은 교회건축물의 예배 공간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예배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성경이 제시하는 기독교적인 상징성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연구하였다.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백석대학교회 건축물을 구체적인 연구대상으로 삼아 그 공간의 특징과 상징성을 규명하며, 예배 공간 중 특히 강단 디자인이 교회의 본질적 기능과 관련하여 어떤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지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백석대학교회의 강단부의 갈라진 벽면의 형태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기독교적 상징성을 갖는다고 규명할 수 있다. 첫째, 보호를 위하여 숨기시는 바위틈과 안전한 장소를 상징함으로써 인간의 연약함과 하나님의 보호하심을 드러낸다. 둘째, 자만하거나 잘못된 길을 가는 이방인의 장소를 상징함으로써 성도가 스스로 돌아보아 자신이 죄인임을 깨닫게 한다. 셋째, 피난처가 되시는 하나님 자신을 상징함으로써 우리의 구원자가 되시는 하나님을 생각하게 한다. 넷째, 반석을 쪼개어 생수를 낸 기적을 상징함으로써 영적 생명수인 말씀이 우리를 살리심을 알게 한다. 다섯째, 찢겨진 성소 휘장과 죄에서 구원하심을 상징함으로써 구원받은 자로서 살리신 은혜에 감사하게 하며 기도가 신자의 특권임을 깨닫게 한다. 백석대학교회 강당의 벽면 디자인은 상징을 통해 신앙적 의미들을 드러내며 사용자들을 신앙의 공동체로 묶어주는 풍부한 기독교적인 메시지를 전해준다.

      • KCI등재

        李箱의 〈鼅鼄會豕〉에 대한 기독교적 해석

        김미영(Kim Mee-young) 국어국문학회 2011 국어국문학 Vol.- No.158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what is the specialities of the symbolism in the Ji-Ju-Whoe-Shi(??會豕) written by Lee Sang(李箱) in 1936. The assumption of this article is constructed this short novel based on the imagination of christianity from bible. Because the meaning of this novel’s title, “the Ji-Ju-Whoe-Shi(??會豕)” is two of spiders had met a pig. That means the thin spiders got eaten by the greedy pigs, and the thin spiders ate pig’s flesh. Those are happened simultaneously. Those images are kinds of the symbols of a life-and-death struggle at the middle of 1930’s in Seoul. By the way, Lee Sang had borrowed spider & pig as symbols of animals from The Bible, The Book of Isaiah, chapter 59: verse 1-8 and The Gospel of Luke, chapter 8: verse 32-35. Those are proved spider as a symbol of positive characters, not negative in eastern & western literature. But in the Ji-Ju-Whoe-Shi(??會豕) written by Lee Sang(李箱), there are spiders as symbols of negative personna. In addition to, in the Ji-Ju-Whoe-Shi(??會豕) written by Lee Sang(李箱), the main accident in narrative is developed through a suit in Christmas seasons. In The Book of Isaiah, God said, the spider as an evil spirit were made a suit but they might given birth to a venomous snake. Lee Sang did not write leaving spaces in this novel like The Bible with Korean published in those times. And Lee Sang used frequently adjectives, clean & dirty. That are not common to Lee Sang’s novel with dried style. So that it could be said the symbols of Ji-Ju-Whoe-Shi(??會豕) are based on the imagination of christianity.

      • KCI등재

        십자가 장신구의 대중화를 위한 십자가의 시대적 변천에 대한 고찰과 디자인적 접근

        정은현(Chung, eun-hyun),추원교(Choo, won-gyo)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8 조형디자인연구 Vol.11 No.2

        십자문양은 인류가 사용한 상징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로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선이 교차하는 도형이다. 많은 민족과 종족들은 수천년 전부터 나름의 우주관과 세계관, 인생관을 표출하고 또한 자기의 신앙과 종교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되어 왔다.본 연구는 십자가 문양이 종교적인 상징으로만 간주되지 않고 비종교인들에게까지도 폭 넓게 다 가 갈 수 있는 장신구의 소재로서, 십자가 장신구를 중심으로 시대적인 형태 변화와 현재 브랜드 디자인을 조사하여 십자가 장신구가 대중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론은, 첫째, 십자문양은 기원전 3,000년경부터 태양, 별, 완전함, 영원한 생명력, 방향성 제시 등의 종교적 영역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십자가의 기본 형태는 시대별과 지역별 해당 종교와 문화에 의해 다양한 의미가 부가되어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시기보다는 지역별로 그 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결합되어 독특한 형태적 특성을나타낸다. 셋째, 대표적 장신구 브랜드의 십자가 장신구는 단순하고 심플한 형태를 중심으로 재료에 따른 색의 변화와 보석을 중심으로 하는 장식의 변화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연령별 고객층에 따라 디자인의 형태를 다르게 표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십자가 문양은 기독교의 전유물이 아니라 고대부터 초종교적 차원에서 사용되어졌던 문양이므로 현대인들에게 종교적 의미를 넘어 인간 본연의 내재적 특정 의미로접근하여 종교적 전통에 얽매이지 않고 각 지역의 문화 특성에 따라 형태를 새롭게 구성하고 다양화 한다면 일반인에게도 자기의 개성과 자아를 표출하는 장신구로서 새롭게 십자가 주얼리 트랜드를 형성하고 대중화 될 수 있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The cross is one of the oldest symbols used by mankind. The form resulting from the intersection of two or more lines has been used to represent cosmological, terrestrial, andorganic viewpoints as well as regional and spiritual meanings.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pularity of jewelry (primarily pendants) incorporating the cross form using a chronological approach to examine early designs and their specific symbolic and religious meanings up to the broad appeal of modern brand name designs. In summary, the result of the study makes use of three points. First, the form of the cross appeared around 3000 B.C. and is assumed to epresent a symbol for the sun, star, wholeness, and direction in the religious realm. Second, over time, basic cross forms have evolved into a multitude of designs and meanings following regional and cultural additions to the forms. Third, crosses used in jewelry by modern brand name designers consist mainly of minimalist forms embellished with various materials and gem stones in a variety of colors marketed to specific age demographics. In conclusion, the form of the cross has been used not just as an exclusively christian symbol, but also as a universal symbol since before the existence of christianity. Therefore cross form can appeal to the general public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elf-consciousness regardless of their religious affiliation as long as the design is visually attractive.

      • KCI등재

        십자가 장신구의 대중화를 위한 십자가의 시대적 변천에 대한 고찰과 디자인적 접근

        정은현(Chung, eun-hyun),추원교(Choo, won-gyo)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6 조형디자인연구 Vol.9 No.2

        십자문양은 인류가 사용한 상징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로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선이 교차하는 도형이다. 많은 민족과 종족들은 수천년 전부터 나름의 우주관과 세계관, 인생관을 표출하고 또한 자기의 신앙과 종교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십자가 문양이 종교적인 상징으로만 간주되지 않고 비종교인들에게까지도 폭 넓게 다가 갈 수 있는 장신구의 소재로서, 십자가 장신구를 중심으로 시대적인 형태 변화와 현재 브랜드 디자인을 조사하여 십자가 장신구가 대중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론은, 첫째, 십자문양은 기원전 3,000년경부터 태양, 별, 완전함, 영원한 생명력, 방향성 제시 등의 종교적 영역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십자가의 기본 형태는 시대별과 지역별 해당 종교와 문화에 의해 다양한 의미가 부가되어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시기보다는 지역별로 그 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결합되어 독특한 형태적 특성을 나타낸다. 셋째, 대표적 장신구 브랜드의 십자가 장신구는 단순하고 심플한 형태를 중심으로 재료에 따른 색의 변화와 보석을 중심으로 하는 장식의 변화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연령별 고객층에 따라 디자인의 형태를 다르게 표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십자가 문양은 기독교의 전유물이 아니라 고대부터 초종교적 차원에서 사용되어졌던 문양이므로 현대인들에게 종교적 의미를 넘어 인간 본연의 내재적 특정 의미로 접근하여 종교적 전통에 얽매이지 않고 각 지역의 문화 특성에 따라 형태를 새롭게 구성하고 다양화 한다면 일반인에게도 자기의 개성과 자아를 표출하는 장신구로서 새롭게 십자가 주얼리 트랜드를 형성하고 대중화 될 수 있을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The cross is one of the oldest symbols used by mankind. The form resulting from the intersection of two or more lines has been used to represent cosmological, terrestrial, and organic viewpoints as well as regional and spiritual meanings.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pularity of jewelry (primarily pendants) incorporating the cross form using a chronological approach to examine early designs and their specific symbolic and religious meanings up to the broad appeal of modern brand name designs. In summary, the result of the study makes use of three points. First, the form of the cross appeared around 3000 B.C. and is assumed to represent a symbol for the sun, star, wholeness, and direction in the religious realm. Second, over time, basic cross forms have evolved into a multitude of designs and meanings following regional and cultural additions to the forms. Third, crosses used in jewelry by modern brand name designers consist mainly of minimalist forms embellished with various materials and gem stones in a variety of colors marketed to specific age demographics. In conclusion, the form of the cross has been used not just as an exclusively christian symbol, but also as a universal symbol since before the existence of christianity. Therefore cross form can appeal to the general public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elf-consciousness regardless of their religious affiliation as long as the design is visually attractive.

      • KCI등재

        개신교 교단 로고 디자인의 형태와 컬러의 의미 연구

        김정열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1 No.62

        개신교의 로고 디자인은 성경의 다양한 의미를 포 함한 형태와 컬러를 활용하여 만들어지게 된다. 특히, 성경의 의미를 활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렇게 만들어진 로고 디자인은 기독교인들에게 신앙 생활을 하는 데 도움을 주고, 비기독교인에게는 기독 교의 정체성을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국내 개신교 교단 126개의 교단 중 비교적 교세가 큰 11개의 교단을 선정하여, 로고 디자인에 활용된 형태와 컬러를 분석하고, 성경적 의미의 유무를 확인 하여 형태와 컬러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각 교단의 로고 디자인 분석 방법을 정리하였다. 첫째, 11개 교단 로고 디자인 형태를 분 석하였다. 둘째, 로고 디자인에 활용된 형태와 컬러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형태와 컬러의 성경적 의미 와 비성경적 의미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연구를 통해 교단 로고 디자인 형태는 비성경적 의 미의 형태를, 컬러는 성경적인 의미의 컬러를 주로 사용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개신교 교단의 로고 디자인을 할 때 성경적인 의미의 형태와 컬러를 사용한다면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이 기독교의 정체 성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도 기독교 상징은 교회와 사람 간의 소통과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 을 할 것이며, 신앙적인 면에서도 성경의 의미를 쉽 게 이해하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Logo Designs of Protestant Denominations are made using forms and colors reflecting the various meanings of the Bible. Most of them are, in particular, creat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Bible. Once created this way, Logo Designs help Christians live a religious life and help to convey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to non-Christians. This study set out to select 11 Protestant denominations with relatively big religious influence of 126 ones in the nation, analyze the forms and colors used in their logo designs, and investigate the meanings of their forms and colors by checking whether they reflected the biblical meanings or not. The study sorted out the methods of analyzing logo designs for each of the denominations: first, the logo designs of the 11 denominations were analyzed in forms; secondly, the forms and colors used in their logo designs were analyzed; and finally, relations were examined between the biblical and non-biblical meanings of forms and colors. The findings show that the 11 denominations usually used forms of non-biblical meanings for the forms of their logo designs and colors of biblical meaning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f a Protestant denomination uses forms and colors of biblical meanings to design its logo, they will help both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ccept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In the future, Christian symbols will continue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between churches and people and help with the easy understanding of the Bible's meanings in the religious aspect.

      • KCI등재

        일본 기독교 문화와 정신세계의 사적(史的) 고찰

        임영언 ( Young Eon Yi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09 동북아연구 Vol.24 No.2

        일본 기독교는 프란시스코 자비엘에 의해 로마 카톨릭이 전래 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500년 전인 1549년이다. 개신교는 미국이 1889년부터 일본선교를 시작한 이래 120년이 경과되었지만 기독교가 전반적으로 상당히 정체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 기독교의 역사와 정신세계를 검토하고 정체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근현대 한일관계를 기독교적 차원에서 정리한다는데 상당히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초기 외국인 선교사들은 신앙인이면서 동시에 뛰어난 교육자들이 많아 선교뿐만이 아니라 교육과 사회복지에도 관여하여 일본의 근대화에 크게 공헌하였다. 선교활동은 외국 선교사들이 주도하고 있었지만 점차 주체가 일본인으로 바뀌어 가기 시작하였다. 메이지시대부터 일본의 패전까지 일본 기독교 역사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금교령이 해제되고 선교가 활발해졌지만 개신교의 사상과 신조가 천황제와는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결국 일본 정부의 엄격한 감시와 통제 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런 사실은 기독교가 국가와 민족을 초월하는 것이지만 일본에서는 내셔널리즘의 영향으로 쉽게 일체화되는 측면도 가지고 있었으며 기독교 정체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파악된다. 여기에 대해서는 앞으로 좀더 심도 있는 논의와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For Japanese Christian religion, it is 1549 that Rome Catholic gets transmitted by Francisco de Xavier. Protestant was passed 120 since the United States begins Japanese missionary work from 1889, but Christian religion is decreasing generally.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Japanese Christian history and the spiritual world and is that diagnose. Therefore, this study modern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Christian as a means for to arrange relevant research become. Early foreign missionaries are concerned in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and contributed greatly in Japanese modernization in Japan. Subject of missionary work were leading foreign missionaries, but began to change by Japanese gradually. Prohibition is defrosted if summarize Japanese Christian history simply to postwar in 1945 after Meijii era and it was time that missionary work is lively. Confirmed that principle of Protestant differs with a Symbol Emperor System and is put under Japanese government`s strict watch and regimentation. Originally, Christian religion is transcended country and nation, but there was side that is embodied to effect of nationalism in Japan and grasps that affected to Christian`s decrease. Deeper discussion and study will have to be continued hereafter.

      • KCI등재

        중세 아일랜드 항해기에 나타난 가치체계의 변화

        주나미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21 西洋中世史硏究 Vol.- No.48

        중세 아일랜드의 항해기인 ‘임람’에는 성서 문화와 이교 문화가 충돌하고 뒤섞이고 융합하여 중세 기독교 문화의 다층적인 구조를 형성해가는 과정이 역동적으로 드러난다. 이것은 아일랜드의 전통적인 영웅 모험담인 ‘에흐트라’와의 비교를 통해서 뚜렷이 확인된다. 에흐트라와 임람의 주인공들은 미지의 세계를 향해 모험에 나선다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동기와 목적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에흐트라의 영웅들은 위반된 금기를 회복하기 위해, 신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세속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여행에 나선다. 하지만 임람의 주인공들은 그리스도의 낙원을 찾기 위해, 회개와 순례를 위해 항해에 나선다. 그리고 에흐트라 영웅들은 초자연적인 세계로 들어가 신화적인 경험을 하지만, 임람 주인공들은 바다 위의 여러 섬들을 떠돌면서 기독교적 믿음을 향해 나아가는 영혼의 여정을 겪는다. 그 과정에서 이교도 신들의 낙원은 하느님의 천국으로 바뀌어 가고, 다른 세계로 건너가는 열쇠와 같은 구실을 하던 여인의 자리는 종말과 심판을 경고하는 은둔 수도사가 차지해간다. 이러한 두 장르의 차이는 ‘기독교 전파’와 ‘바이킹의 침략’이란 두 사건이 바꿔놓은 중세 아일랜드의 풍경을 보여준다. 전통적인 켈트 문화에서 기독교 문화로의 심성의 변화는 장르 내부에서도 드러난다. 주인공인 전사는 사제로, 조언자인 드루이드는 거룩한 성인으로, 항해를 준비하는 과정은 미사처럼 바뀐다. 더불어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 임람 문헌들은 유사한 상징들을 사용하면서도 그것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해석하는데, 이것은 주인공들이 겪는 온갖 시련의 의미 변화, 시련과 함께 얻게 되는 기쁨의 의미 변화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주인공들이 극복해야 할 과제처럼 등장하던 괴물들과 악마들은 지옥의 혹독함을 간접적으로 체험케 하고 신의 영험함을 드러내는 존재로 바뀐다. 다른 세계에서 들려오던 감미로운 노래는 성가대와 천사들의 합창으로, 엠네의 사과나무는 성체성사의 포도주로 대체된다. 그러나 이교 문화의 전통은 사라지지 않고, 고유한 흔적을 남기며 성서 문화와 결합해 독특한 상상과 상징의 체계를 만들어낸다. 다른 세계의 존재가 새들로 변신한다는 신화 속 믿음은 기독교적 사고 안에서 새롭게 자리를 찾는다. 이교도의 신이 기독교 교리를 전달하는가 하면, 다른 세계에서 가져온 은이나 수정이 신의 신비를 증언하거나 수도원이나 교회의 명성을 드높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중세 아일랜드 항해기는 이교 문화가 기독교 문화로 대체되는 과정이 일방적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융합해가는 방식으로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Immrama’, medieval Irish voyage tales, show us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medieval Christian culture. Especially, this is well-confirmed by comparing Immrama to ‘Echtrai’, Irish traditional heroic adventure stories. The protagonists of Echtra and Immram are similar in that they embark on an adventure into an unknown world, but have distinct differences in their motives and purposes. Echtra’s heroes go on a journey to recover from taboo violations, to keep their promises to God, and to satisfy their worldly desires. However, Immram’s protagonists leave on a voyage to find the paradise of Christ, for repentance and pilgrimage. And while Echtra’s heroes enter the supernatural world and have mythical experiences, Immram’s protagonists wander through the islands on the sea and undergo a soul journey toward Christian faith. In the process, the paradise of the pagan gods is transformed into the heaven of God, and the place of the woman who played the role of a key to another world is taken over by a hermit monk who warns of the Doomsday.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enres shows the landscape of medieval Ireland that was changed by the two events,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and ‘the Viking raids’. These changes of mentality and value system are also revealed among Immrama. A warrior hero turns into a priest, a druid adviser turns into a saint, and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voyage gradually turns into something like a Mass. In addition, each Immram uses similar symbols but interprets them in different ways. This is confirmed through the changes in the meaning of all kinds of trials and joys experienced by the protagonists. However, the traditions of pagan culture do not disappear, leaving unique traces, creating unique systems of imagination and symbols. The Irish traditional beliefs find a new place in Christian thinking. Pagan god transmits Christian doctrines, and silver or crystal from other worlds is used to testify to the mysteries of the gods or to enhance the prestige of monasteries and churches. In this regard, Immrama show that the process of replacing Pagan culture with Christian culture was not one-sided, rather it appeared in a way that influenced and fused with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