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속의례(巫俗儀禮)의 꽃장식, 그 기원적 성격과 의미

        이수자(Lee SooJa) 한국무속학회 2007 한국무속학 Vol.0 No.14

        우리의 무속의례인 굿에는 종이로 만들어진 꽃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흔히 지화(紙花)라 불린다. 우리 무속에 있어 꽃들은 이처럼 지화로 등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외에 그림으로 그려져 신체로도 봉안되고 있고, 특별히 꽃과 관련된 무속의례가 따로 있기도 하다. 무속의례에 등장하는 꽃들은 편의상 무화(巫花), 신화(神花) 혹은 지화라 부를 수도 있는데, 우리 무속에서는 왜 이처럼 꽃들이 중시되고 있는지 궁하지 않을 수 없다. 본 논문은 바로 우리 무속에 있어 이처럼 꽃들이 중시되고 있는 이유를 해명해 보고자 쓴 글이다. 고대에 있어 우리민족은 열두거리 큰굿이라고 하는 무속제의를 창안해내고 이를 통해 인간사 일을 관장하는 수많은 신들에게 제의를 행하면서 우리들 삶의 행복과 평안을 기원했다. 현존하는 무속은 바로 이러한 열두거리 큰굿을 뿌리로 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에는 생불할망본풀이, 이공본풀이 같은 무속신화들이 있었는데, 이 내용 속에는 인간을 탄생시키는 생불꽃, 죽게 하는 악심꽃, 죽은 사람을 살리는 꽃인 도환생꽃 같은 것이 있었고, 이들이 피어 있는 곳으로 서천꽃밭과 같은 곳이 따로 있다고 하였다. 서천꽃밭은 아기 산육신인 생불신이 만들었는데, 이 여신은 하늘에서 꽃씨를 받아다 지상에 심어 서천꽃밭을 만들고, 여기에 핀 생불꽃을 따가지고 다니면서 아기를 점지·잉태시킨다. 아이는 동쪽의 푸른 꽃으로 점지하면 아들, 서쪽의 하얀 꽃으로 점지하면 딸, 그리고 북쪽의 검은 꽃으로 점지하면 단명(短命), 남쪽의 붉은 꽃으로 점지하면 장수(長壽), 그리고 가운데의 황색 꽃으로 점지하면 이 세상에서 만과출세한다고 한다. 생불꽃은 인간의 생명기원이 하늘에 있다고 믿는 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서천꽃밭은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꽃들이 피어 있는 곳이라는 점에서 신화적 생명공간이며, 이상향으로서의 이계(異界)라 할 수 있다. 생불꽃, 악심꽃, 도환생꽃 같은 것은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꽃들이라는 점에서〈생명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렇게 보면, 우리 무속에서는 원래〈생명꽃〉과〈서천꽃밭〉이 중요한 신화소였다고 할 수 있다. 우리 무속의례에 있어 꽃들이 많이 등장하게 된 배경은 바로 고대에 창안되고 행해졌던 열두거리 큰굿과 같은 곳에〈생명꽃〉 및〈서천꽃밭〉과 같은 내용이 중요한 신화소이며 무속소였기 때문에 여기에 바탕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바리데기 신화에도〈생명꽃〉과 같은 내용이 들어 있기에 우리 무속의례에 나타나는 꽃의 기원은 이 신화와 관련하여 생각해 볼 수도 있겠으나, 바리데기 신화 속의〈생명꽃〉 요소는 원래적 내용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보면, 우리 무속의례에 나타나고 있는 꽃들의 기원은〈생명꽃〉 및〈서천꽃밭〉과 관련하여 이해하는 것이 우선적일 것이다. 무속에 나타나는 꽃장식의 기원을 이렇게 본다면 현재 무속의례에서 사용되는 꽃들 중에도 그 시원이 아주 오래일 꽃들도 남아 있을 수 있는데, 동해안별신굿의 불동화와 같은 지화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무속의례에 나타난 꽃장식의 기원을 이상과 같이 보면 무속의례 속의 지화들은 열두거리 큰굿이라고 하는 우리의 고유한 민족문화를 기반으로 하여 형성된 독자적인 문화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사용되는 지화들은 우리민족 문화에 있어 소중한 전통공예 중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기에, 앞으로도 계속 전승될 필요가 있으며, 그 활성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Various flowers appear in Gut, the rite of shaman in Korea, and these are called freguently Muwha(the flowers of shaman), Shinwha(the flowers of god) or Jiwha(the paper flowers). This thesis explains the origin of appearence of various flowers in the rite of shaman in Korea. Kun-Gut is the nature of the rite of shaman in Korea, which basically consists of 12 individual ceremonies founded in ancient times. The rite of shaman include mythologies. For example, Saengbul flower which create the birth, Aksim flower which take life of people and Dowhansaeng flower which bring a person to life are founded in mythologies of Saengbulhalmangbonpuri and Egongbonpuri among the 12 individual ceremonies. The flower garden of sky of west imagine as the place these flowers are in bloom. Saengbulsin who create the birth(a baby) make the flower garden of sky of west on the ground with the seed gained in heaven and take a Saengbul flower to create the birth. Who blessed with blue flower from east of the flower garden of west sky get a boy, white flower from west get a girl, black flower from north get a short life, red flower from south get a long life and yellow flower from center get a success in life. When we consider Sangbul flower, Aksim flower and Dowhansaeng flower as the magic flower of life, we can understand that the flowers in the rite of shaman in Korea are very important and thus made with paper to decorate the rite.

      • KCI등재

        한국농촌주민의 의례와 종교생활의 변화

        김주희(Joo Hee Kim)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4 비교문화연구 Vol.20 No.1

        This paper tries to trace changes for the past three decades of rites and religion among villagers of S village located in Pyeongtaek, Gyeonggi Province.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funeral rites, ancestor worship ceremonies, and shamanic rituals. Twenty village women aged from 40s to 80s were in-depth interviewed to elicit the information on ritual behaviors of funeral rites and ancestor worship ceremonies and attitudes toward shamanism. The data was compared with the circumstances of 1977-78. Noticeable changes in the lives of the villagers for the last three decades are related to their economic activities outside of the village. Funeral rites are now commercialized and are not held any more in the village. Ancestor worship ceremonies are simplified in terms of the number of ancestors worshiped and kinship members participating in. These changes contest the drastic decrease of communal consciousness not only in the level of the community but of the kin group as well. Elements responsible for these changes are directly brought by farming mechanization which has greatly reduced the farming energy, thereby enabling both men and women with spare labor to easily engage themselves in wage earning jobs provided by the industrial and tourist facilities newly developed nearby. They are more than ready to follow the recent national trend of handiness in rites of passage such as funeral and ancestor worship. The most surprising finding in recent religious lives of villagers is the disappearance of the shamanic ritual, gut, which used to be very popular among them during 1970s. Some of those who were passionate shamanism believers discarded it, while many of them converted to Buddhism. Only two out of 40 households keep visiting shamans. The number of Christians have not changed. It is the finding of the paper that villagers` attitudes toward shamanism can be understood only when ups and downs of the particular life course of each villager are fully considered. It is the conclusion of the paper that changes in rites of passage and religious lives among villagers should be interpreted with different perspectives.

      • KCI등재

        황해도굿으로 본 장구예단의 설행 양상

        김윤희 한국민속학회 2020 韓國民俗學 Vol.71 No.-

        In Hwanghaedo-gut, Janggu controls the tempo of the shamanism rite as the main pillar of the music and support a shaman through wordplay from the beginning. Janggu also has the ability to assist God or indirectly represent God. Therefore, Janggu can be summed up as ‘a medium used when one is confirmed between the gods and the shamans’. Because of this, we calling it ‘Sangjanggu(상장구)’, ‘Janggunim(장구님)’and gives rite-present(禮緞). Janggu appears in various types, such as textiles, papers, and pockets. Janggu-yedan(Janggu rite-present) mainly uses white textiles and paper(韓紙, hanji). The origin of the janggu-yedan is sometimes seen as janggu-baekgi(장구 백기). The janggu-baekgi is used to fix janggu and offer rice to the god of “Anjeun-Janggun(앉은장군)”. Today, however, janggu-yedan refers only to the one hung on the tightrope of a janggu. Therefore, the change from real to nominal money is thought to have had an effect. Janggu-yedan is installed before the start of the rite, usually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janggu. If the installation types are organized through prior research, there are three methods: hang on to a rope (vertical), cross between ropes (horizontal) and enclose a janng-tong (central). On the other hand, Jinoqui-gut(진오귀굿), which sends the dead, recognizes the spirit as being afraid. Therefore, the horizontal type is mainly used so that the rop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way to the life beyond. In addition, Mangudaetaek-gut(만구대 택굿), where two or more janggu are installed, Janggu-yedan will be installed only in one of the two most powerful. When the ceremony is over, a piece of paper is burned. The mone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epending on the recipient: for janggu player, for shaman’s Jinjuk-gut(진적굿) and for the gut-dang(굿당) maintenance. The gut cost is distributed according to shaman genealogy or belonging, and Janggu is also affected by the instrument owner. The labor cost of a janggu player is usually similar to shaman or given a fixed amount of money. In other words, differences appear in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fellowship between the shaman and the janggu player, the years of experience of the janggu player, and whether the musician is a member of gut-dang. 황해도굿에서 장구는 굿을 시작하는 부정거리부터 음악의 주축으로서 의례의 완급을 조절하고, 재담을 통해 만신을 뒷받침하는 등 그 역할이 두드러진다. 또한 굿의 진행을 보조하 거나 신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기능으로 인해 ‘만신과 신령 사이에서 신명을 확인받을 때 사용되는 매개물’이라는 의물(儀物)적 성격을 가진다. 이로 인해 ‘상장구’, ‘장구님’으로 존 칭하며 장구예단을 바치는데, 직물.한지.주머니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장구예단은 무속의례에서 의물적 역할을 담당하는 장구를 신격화하여 바치는 직물(광 목).한지(창호지) 등 예물을 말하며, 주로 백색을 사용하고 있다. 장구예단의 원형은 장구 백기로 보기도 한다. 장구백기는 장구의 고정과 ‘앉은 장군’이라는 신에게 쌀을 바치는 예물 임과 동시에 장구잽이의 품삯으로 쓰였다. 그러나 오늘날 굿 현장에서 장구예단은 장구의 조 임줄에 걸려진 예단만을 일컫는다. 이는 시대 변화와 더불어 실물화폐에서 명목화폐로 전환 되는 화폐변동과 연관하여 현재에 이른 것으로 생각된다. 장구예단은 굿거리 시작 이전에 설치하는데, 보통 장구의 위쪽에 자리한다. 선행연구 등을 통해 설치유형을 정리하면 줄에 걸어 내리는 방법(수직형), 줄과 줄 사이를 관통하는 방법(수 평형), 장구통에 매다는 방법(중앙형) 등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줄에 거는 형식은 금기(禁 忌)와 연결짓기도 하는데, 망자를 보내는 진오귀굿에서 혼(魂)은 두려운 것으로 인식되므로 줄에 걸려 저승에 가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수평형을 주로 사용한다. 한편 황해도 큰굿인 만구 대택굿과 같이 장구가 2개 이상 사용될 경우 우위에 있는 상장구 하나에만 예단을 설치한다. 굿을 마친 뒤 처리되는 장구예단금은 쓰임에 따라 상장구 연주자용, 만신 진적용, 신당 유지보수용 등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만신 진적과 신당 유지보수는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지만, 특정일 사용이라는 특이점이 있기 때문에 차이를 두었다. 굿비용은 계보나 소속에 따라 분배되는데, 장구는 악기 소유주에 따라 영향을 받기도 한다. 장구잽이 인건비는 주로 만신과 비슷한 몫을 주거나 일당제로 일정금액을 지급하는 등 만신과 장구잽이의 유대간계, 장구잽이의 내공, 신당에 적을 두고 있는 악사인지 등 다양한 조건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 KCI등재

        고정희 굿시의 여성적 글쓰기 -『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를 중심으로-

        송주영 ( Ju Yeong So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6 No.-

        본고는 역사적 암흑기에 현실의 문제를 재연하며 해결방안을 모색했던 고정희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그녀는 무녀의 서술적 가락으로 『저무덤 위에 푸른 잔디』시집을 마당굿의 대본으로 만들었으며 전통 양식의 토대 위에 살아있는 언어로 낡은 것들을 부정하였다. 상처받은 피해자이자 치병자의 권위를 동시에 지닌 무녀의 언술은 억압받는 여성의 목소리를 진솔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굿이 신을 모신 뒤 삶과 죽음의 화해를 이루듯이 시집에서는 남녀 차별의 역사를 이야기한 뒤 여성 해방과 대동 단결을 모색한다. 고독과 외로움 속에서 누구도 들어주지 않는 혼잣말을 하며 살았을 여성의 심정이 무녀의 넋두리로 이어져서 여성적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무녀는 광주민주화운동 원혼의 억울함과 분단동이의 설움을 그들의 목소리로 직접 들려주어 진실성이 강조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무녀는 주술적 노래를 통해 시대의 아픔을 치유하며 민중들의 고통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시인의 모습이다.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해결책을 찾는 날카로운 그의 시선은 눌리고 찢기는 여성에게 고통과 시련을 극복하고 일어날 수 있도록 역동적인 힘을 제시하며 어떠한 상황에도 꺾이지 않는 유연한 움직임으로 생명을 불어넣었다. 고정희의 굿시는 여성 고유의 언어로 현 시대의 모순과 갈등을 공론화시킬 수 있는 여성적 글쓰기였으며 기존의 시적 언어를 벗어난 여성중심적인 세계관을 가장 잘 표현한 형태라 할 수 있다. Jung-Hee Goh made a poetry book ‘Green Grass on the Grave’ on a script of ‘shamanic rite’ with shaman’s descriptive tune. Furthermore, she denied outdated things using lively words on traditional style. Shaman``s statement which have authority of victims and curers could express voices of suppressed women. Shamanism achieves reconciliation between life and death after performing a rite for the god. The poetry book talks about discrimination of men and women historically and seeks for women liberation and unity. Women’s appealing which released in a period when no one else paid any attention to what they say brought out feminine bond. Regrettable spirit of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sorrow of generation that experienced nation``s partition which are told by shaman aroused more reality in it. The shaman who sings shamanistic songs to heal pain of the era and accept agony of the public as her own is a reflection of a poet. Goh’s poetry was an ecriture feminine that could politicize contradiction and conflict of the current age by womenlike language It well showed the women-centered perspective out of the existing poetic language

      • KCI등재

        일본 궁중 제의와 한국 굿의 구조적 유사성 연구 - 소노·가라신제(園韓神祭)와 관련하여 -

        남성호 동아시아고대학회 2017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8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substance in Sono(園) or Kara(韓) god worshiped in the Imperial Court in the Japanese Heian era through a religious ceremony. It has been particularly noted for the song “Karakami”, which is a song of Mikakura in Japan court. In addition, the song of Kara god accompanies the dance of the man who is the leader of Mikagura.(御神楽). There have been various interpretations of Kara god, but the exact identity is still unknown. In this paper, I try to interpret the new interpretation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shamanism. I examined the identity of Kara god through the background of the legend that Kara god was enshrined in the court of Heian, the reason why Sono and Kara god were recorded in the official decree of ancient Japan, Shinto shrine designated by the Japanese imperial, the process of ceremony of sacrifice and song lyrics of Mikagura of court, etc. Especially,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eremony of Kara god, which is said to have come from the Korea, and to test the identity of go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shaman ritual on the Korea. Kara was the god of the aliens who crossed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it analyzed the similarity with the shamanistic ceremony in Korea. The Kara god ceremony wa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Niinamesai (The Harvest Festival 新嘗祭), an important ceremony in the Japanese imperial. This is comparable to Golmegi (guardian god of the village) in the east coast. These are located in the first half of the whole shaman rite. In other word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had the character of pre-rite to report to the god of land or to the landlord so that the ceremony 東아시아 古代學 第 48 輯 (2017. 12) 東아시아 古代學會284 can be completed safely before the ceremony of the large ritual. Kyungsando and Gangwon-do regions where Sono and Kara god is widely distributed are the ancient Shilla region, and Sono Kara god is also highly likely to be newly served by the Silla people. 본고는 일본 헤이안(平安)시대 궁중에서 거행하던 소노·가라신(園韓神)의 제례의식을 주목하고 그 실체를 검토하였다. 특히 가라신은 일본 궁중의 미가구라노래(神楽歌)에 등장하여 ‘가라신(韓神)’의 노래에 맞춰 미가구라의 지휘격인 인장(人長)의 춤을 동반하는 존재이다. 가라신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지만, 아직 정확한 실체는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고는 선행연구를참고하면서 한국의 무속의례와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본고는 한반도 계통의 신이라고 일컬어지는 가라신의 제례의식 절차를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한반도의 무속의례와의 비교를 통하여 신의 정체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가라신은 한반도에서 건너간 도래인들이 모시던 신이었으며경상도 일대에 분포되어 있는 골매기신의 성격과 매우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노·가라신 제례의식은 일본 황실에서 봄가을 두 차례 거행되는데, 그중 가을에는 일본 궁중의례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의례인 신상제(新嘗祭)와 연동되어있음에 주목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소노·가라신제, 진혼제, 신상제를 독립적인 제의로 여겨왔다. 본고는 이들이 각각의 제의이면서 연속성을 지니고 있음에 착목하였다. 즉, 신상제를 중심으로 한 황실의 연속적인 행사는 마치 한국 무속의례에서 초반부에 토착신, 즉 마을 수호신(예 골매기신)에 대한 제사에 이어서 조상거리로 이어지는 절차와 구조적으로 일치하고 있음을 밝혔다. 주지하듯 한국의 굿은 목적에따라 다양한 형태를 띠지만, 기본적으로 제장을 정화시키는 부정거리에 이어서마을의 수호신이자 토착신에 대한 제의를 가장 먼저 행하고 조상거리로 이어진다. 이처럼 한국의 토착신에 대한 굿과 조상굿은 모든 무속의례에서 반드시 초반부에 진행되는 절차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의 소노·가라신은 토착신에 해당되며 진혼제는 조상거리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골매기신앙이 널리 분포되어 있는 경상도·강원도 지역은 고대 신라지역이었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소노·가라신이 신라계통의 도래신이었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시베리아 투바 공화국 샤마니즘 고찰

        이건욱(Lee Kun-wook) 한국무속학회 2002 한국무속학 Vol.0 No.5

        투바 민족은 현재 시베리아에 있는 러시아 연방 트이바 공화국에 살고 있다. 우리에게는 다소 거리감이 있는 낯선 민족이라고 할 수 있지만, 잘 살펴보면 오랜 역사속에서 주변 민족과의 문화적 교류를 통해 샤머니즘을 나름대로 형성하여 발달시켜 왔다. 본고에서 필자는 이러한 투바 민족이 가지고 있는 샤머니즘의 그 양상과 특징을 알아보았다. 본 논문은 전체적으로 다섯 개의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우리에게 낯선 투바 민족에 대해 전체적으로 소개하였다. 두 번 째 단락에서는 투바 샤머니즘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 단락에서는 소비에트 시절부터 논란이 되고 있는 무당의 입무 과정에 대해 러시아 학자들의 논쟁을 정리하여 서술하였다. 네 번째 단락에서는 실제 무당의 의례를 민족지적 조사 자료를 토대로 서술하였고, 특히 시베리아 무당의 주요 역할인 질병 치료에 관한 의례를 소개하였다. 또한 무당의 질병 치료에 관한 러시아 학자들의 논쟁을 다음 장에 소개하였다. 결론에서는 소비에트 시절 탄압으로 침체기를 맞이하였지만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부흥기를 맞고있는 투바 샤머니즘이 현재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그 일련의 과정과 여기에서 보여지는 특징을 중심으로 러시아 학자들이 관찰하고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논하였다. The Tuva race lives in Republic of Tyva, Federal Russia in Siberia at present. The Tuva has been developing Shamanism for ages through a cultural exchange with other neighbors although we are unfamiliar with this race. I have researched on various aspects and special features of Tuva Shamanism and have introduced them in this report. The report consists of five elements. Firstly I am introducing general features on Tuva race who is not well-known. Secondly I am explaining a process how Tuva shamanism has been developing. Thirdly I am compiling Russian scholars comments on a process of how to be a shaman. Fourthly it is being explained of shamanistic rites based on ethnography research reports. In particular, ceremonies of the treatment, which is one of major roles of Siberian shamans is being described. Lastly, I am adding the Russian scholars comments on a shaman treatment. In the conclusion of this report, it is being explained a series of a process of Tuva shamanism which is rapidly revived although it was not active due to suppression of the Soviet union and the special features related to this is also referred with research results conducted by Russian scholars.

      • KCI등재

        제주도 〈시왕맞이〉 의례의 절차와 유형 연구

        곽진석(Kwak Jin-Seok) 한국문학회 2008 韓國文學論叢 Vol.49 No.-

        First of all, the procedures of shamanic rites should be described, in the level of ""expression"", as ritual acts or ritual material and the languages in those rites. And then, the ritual procedures should be analyzed in the level of ""meaning"" and ""fuction"". In the level of ""meaning"" and ""function"", rites are made up of actant, actual unit. These actants, therefore, could be grouped into a sequence within their functional context. Although there are so many kind of shamanic rites, its fundamental construction is the same. However contact process for achievement of the ultimate purpose, between Simbang who is Korean shaman and Holy Spirit are different. The rites of 〈Siwangmagi〉 reflected traditional notion on universe, soul, and the world beyond. In the aspect of cosmogony, more emphasis is laid on how chaos are mediated than how cosmos is made. The cosmology consists of three levels: the heaven, the ground and the world beyond. These three spaces are construct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is is a transient phenomenon by transfiguring from horizontal into vertical constitution of spaces. The notion of three souls is in 〈Siwangmagi〉. This notion is connected with Eurasia shamanism which has the notion of plural souls.

      • KCI등재

        고려시대 祀典의 制定과 運用

        강은경(Kang Eun-Gyeong) 한국사연구회 2004 한국사연구 Vol.126 No.-

        During the Goryeo dynasty various national rites were carried out.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the fact that these rites were for the most part religious activities that simultaneously provided the state with important tools with which to manage the administration of the nation. This paper is tried to analyze the Sajeon -ritual principles-, which governed the conducting of national rites. These ritual principles were established at the tim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algwanhoe during the 1st year of King Taejo, the first monarch of the Goryeo dynasty. Given the need to stabilize the nation, to control the power struggle among the meritorious subjects, and to unite the people for the battles against post-Baekje, the establishment of these ritual principles became seen as one of the most pressing issues for the new government. These ritual principles became the standards which were applied to all national rites and ceremonies. These principles included detailed matters such as who could be the subject of a rite, the period, foods to be served, organizations responsible for its implementation, and the ritual process itself. Relevant officials had to follow these ritual principles and were promoted or degraded depending on their performance of these national rites. As it was difficult to change a ritual which had been recognized in the Sajeon, ceremonies formed at the beginning of the Goryeo dynasty were often conducted until the end of the dynasty. As such, national rites and ceremonies were more often than not maintained in their original form and this despite social changes such as the advent of military rule, or the changes in the ruling class caused by the intervention of the Yuan Dynasty in Koreas internal affairs. Furthermore, these national rites could not be changed by the king or government officials. The people of Goryeo possessed a common perception of god and nature. A fact that is well reflected in the Sajeon.

      • KCI등재

        영남지방의 무속(巫俗)과 불교(佛敎) 제의(祭儀)에 나타난 음식문화 연구

        김성미,손유정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1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1 No.3

        This paper is intended to survey the literature about Shamanistic and Buddhistic memorial services and to examine the food culture manifested in them. In Shamanistic rituals, fish and meat were not prohibited except in special cases whereas Buddhism prohibited fish and meat. For Shamanistic rituals, rice cake, cooked rice, liquor and the walleye pollack were commonly used. Besides there were such important offerings as a boiled pork head, chestnuts, jujube and persimmons (dried persimmons). For Buddhistic memorial services, such foods as cooked rice, soup, cooked pot-herbs, saute, rice cake, confectionary (or candies), chestnuts and jujubes, were dedicated such offerings as cooked rice, rice cake, cooked pot-herbs and fruits were commonly used for both Shamanistic and Buddhistic memorial rites. Particular fruits were not prohibited in either case. Buddhistic rites in particular offered such foreign fruits as pineapples, kiwi and oranges, which showed that the foods of Buddhistic memorial services reflected the popular foods of the day more than those of Shamanistic ones. Water (Jung-hwa-su) brought from the well at daybreak for Buddistic memorial rites came from Shamanism, where as oil-and-honey pastry (Yu-gwa) used for Shamanistic rites came from Buddhism, which showed that the offerings of Buddhistic memorial services and Shamanistic ones were influenced by each other.

      • KCI등재

        한국 무(巫)에서 나타나는 죽음과 새남

        김창호(Kim Chang-ho) 한국무속학회 2002 한국무속학 Vol.0 No.5

        한국 무(巫)의 타계관의 핵심을 표현하자면 ‘커뮤니케이션의 회복’ 혹은 ‘상호작용의 회복’이라 할 수 있다. 죽음으로 단절된 망자와 후손의 커뮤니케이션은 통과의례적 과정을 통해 회복된다. 이는 무(巫)의 타계관 만의 독특한 것이다. 무당은 굿판을 통해 현실세계와 타계의 경계를 터 인간과 신과 조상들이 한자리에 모여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스스로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매우 신화적인 이야기지만 지금 이 땅에 인간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기에 현실적이기도 하다. 무(巫)의 타계관은 그러한 능력으로 사람들이 가진 죽음의 단절성을 뛰어 넘을 수 있는, 쉽게는 죽음의 공포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때문에 무(巫)의 타계관은 죽은 사람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살아있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 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인간의 죽음을 커뮤니케이션의 단절로 규정하고 무(巫)의 망자천도의례인 진오기를 통해 다시 재생되는 커뮤니케이션을 조명하였다. 죽음을 맞음으로 주변인들과 상호작용이 끊어진 망자가 무당을 통해 다시 후손들과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을 맺게 되는 일련의 관계를 진오기의 기본 바탕으로 두었다. 이것이 곧 무(巫)에서 이야기하는 새남[再生]의 의미라 할 수 있다. The core idea of the other world of Korean Shamanism is the "restoration of communication" or the "restoration of interaction":the communication of the dead and the survived is restored by the rites of passage, which is very original only in the view of the other world of Korean Shamanism. Shamans offer the opportunities to confirm each other through the communications made at the same place, inviting men and their ancestors and the god. This may sound very mythical, but it is also very realistic because this is a phenomenon around you. The view of the other world of Shamanism presents a means to get over the cutting image of the death and finally to resolve the fear of the death. That is why this view of the other world is for the living as well as the dead. Therefore, the death of men was referred to in this study as the cease of communication, this communication was set to replay by "Jinoki" which is the ritual of taking the deceased to heaven. Jinoki was interpreted as the whole new communication intermediated by the Shaman between the dead and its descendants, while the dead being cut off the interaction with people around. This was decided as a meaning of rebirth[Saenam] that is named by Korean Sham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